보바인 백혈병 바이러스
Bovine leukemia virus보바인 백혈병 바이러스 | |
---|---|
바이러스 분류 | |
(랭킹되지 않음): | 바이러스 |
영역: | 리보비리아 |
킹덤: | 파라나비레아과 |
망울: | 아르트베르비리코타 |
클래스: | 레브트라비리케테스 |
순서: | 오르테르비르목 |
패밀리: | 레트로바이러스과 |
속: | 델타레트로바이러스 |
종: | 보바인 백혈병 바이러스 |
동의어[1] | |
|
BLV(Bovine 백혈병 바이러스)는 소에 종양성 백혈병을 일으키는 레트로바이러스다. 인간의 T형성 바이러스 유형 1(HTLV-I)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BLV는 DNA 중간(프로바이러스)으로서 B-림프구의 유전체 DNA에 통합되거나 통합되지 않은 원형 또는 선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2] BLV는 처녀생산에 필요한 구조 및 효소 유전자 외에도 Tax라는 단백질의 종양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알 수 없는 기능의 마이크로RNA를 표현하고 있다.[3] 소의 경우 대부분의 감염동물이 무증상이다; 백혈병은 드물지만(감염동물의 약 5%), 림프절제술은 더 빈번하다(30%)
벡터
BLV는 곤충인 아노펠레스 알비마누스, 아노펠레스 프리보른, 아노펠레스 쿼드리마쿨라투스, 아노펠레스 스테판시, 스토목시스 캘리타스, 그리고 타바누스 atratus와 진드기 부필루스 마이크로플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타바니에 의해 보호된다.[4]
소의 질병
전송
많은 잠재적 BLV 전송 경로가 존재한다. 구게 디호닝, 예방접종, 귀태깅 등 동물 간 혈액을 동물 간에 교환하거나 소독하지 않는 기구나 바늘로 전달하는 절차를 통한 전염은 BLV 전파의 중요한 수단이다. 공통 소매가 있는 직장 팔팽이는 경험 부족과 팔굽혀펴기 빈도 증가에 의해 증가하는 위험을 내포한다. 일반적으로 대장, 우유 및 자궁 내 노출을 통한 전염은 비교적 적은 비율의 감염을 고려한다.[5] 배아 전이 및 인공수정 역시 공통 장비 및/또는 팔팽이 슬리브를 사용할 경우 소수의 새로운 감염을 설명한다. 곤충에게 피를 먹이는 방법으로 전염이 기록되었지만, 이 위험의 중요성은 불분명하다. 전염은 주로 감염된 림프구가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옮겨지는 것에 의존하고 있으며, 림프구증을 가진 BLV 양성 동물은 감염의 근원을 제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 바이러스 입자는 검출이 어렵고 감염 전파에 이용되지 않는다.
임상 징후
일반적으로 BLV는 소에게 양성인 단핵증 같은 질병만을 유발한다. 오직 몇몇 동물들만이 나중에 엔주틱 소백혈증이라고 불리는 B세포 백혈병을 발병한다.[6]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우유로 송아지에 전염된다.
백혈구가 발생하는 장기의 다양성은 피상적인 림프절 확대, 소화기 형태, 심장 형태, 신경 형태, 호흡기 형태 등 여러 증상을 설명한다.[7] 림프절 확대는 종종 초기 임상 징후다.[8] 예상치 못한 임상적 발견은 복강 림프절의 확대로 인해 결막막이 돌출된 것이다.[8]
진단
진단은 아가르겔 면역주사, ELISA(엔자임 연계 면역주사 검사), PCR(폴리메라제 체인 반응)에 의존한다. 검시 결과들은 특징적이며 대부분의 장기에 널리 퍼진 흰 종양을 포함한다.[8]
치료 및 통제
그 질병은 치료할 수 없다.[8] 무리로부터 양성 동물을 실험하고 제거하는 것은 통제하는 한 방법이다. 질병이 만연해 있는 무리에서는 동물들 사이의 혈액과의 접촉을 피함으로써 확산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8]
역학 및 근절 노력
유럽에서는 감염된 동물을 도살하여 바이러스를 근절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감염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 첫 번째 국가는 덴마크였다. 곧 영국은 그 뒤를 따랐다. 북미 국가들처럼 유럽의 동부권 국가들도 바이러스를 제거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동유럽 국가들은 지난 세기 말 정치적 변화 이후 백혈병이 없어지기 시작했다. USDA의 한 팩트 시트에서 인용한 "Entery 1996 연구에서 보고된 BLV의 높은 개별적 동물 유행을 보면 혈청성 동물을 시험하고 도살하는 것이 질병을 통제하는 비용 효과적인 방법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대신 예방적 실천을 통해 질병의 전염을 막는 것이 더 비용 효율적일 것 같다.[9]
USDA의 검사에서 바이러스의 높은 유행이 발견되었다."2007년 유제품 연구의 일환으로, 벌크 탱크 우유가 30마리 이상의 젖소를 대상으로 534번의 수술에서 채취되었고, BLV에 대한 항체의 존재에 대해 ELISA(Efficiency Linked-Imunosorbent Assay)로 검사되었다. 결과는 미국 낙농작업의 83.9%가 BLV(표1)에 긍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9] BLV 감염은 ELISA나 PCR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9]
인간 감염 가능성
1970년대에 BLV가 발견된 직후, 인간의 BLV에 대한 항체를 찾는 10개의 연구가 행해졌다. 하지만, 항체는 발견되지 않았고 그래서 연구원들은 BLV가 인간의 건강에 위험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10] 그러나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보다 민감한 기술이 개발되었고, 2003년에 이 새로운 실험을 사용하는 200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3분의 1 이상이 BLV에 반응하는 항체를 운반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그 문제는 다시 연구되기 시작했다.[11]
BLV가 인간에게 질병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감염된 소의 생우유를 주로 마시는 농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9] 도축업자와 도축업 종사자 사이에 암의 경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12] 2014년 연구진은 미국 여성의 표본에서 인간 유방조직에서 BLV 양성세포의 존재를 발견했고,[13] 2015년 발표된 환자-대조군 연구는 BLV에 노출되는 것이 유방암, 미국 여성에게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14] 이후 호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유방암 여성의 40/50(80%)에서 역행성 BLV DNA를 발견했으며 유방암 이력이 없는 여성의 19/46(41%) 대비 4.72(1.71-13.05)의 연령 조정 승산비와 신뢰 구간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호주 인구의 확률비율이 훨씬 더 높은 미국 여성들에 대한 이전 연구의 결과를 확증한다.[15] 텍사스 여성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는 유방조직에서의 BLV 유무와 승산비 OR 5.1의 유방암 상태 사이의 연관성을 확립했다.[16]
2019년에는 거트루드 C 뷔링에 의해 유방암에서 보바인 백혈병 바이러스의 가능한 역할에 대한 검토가 제안된다.[17]
중국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또 다른 환자-대조군 연구는 BLV와 유방암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유방암에서 나온 조직 샘플을 살펴본 것이 아니라 혈액검사만 했다.[18] 이후 중국 연구에 대한 평가는 키트 지침서에서 이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인간 항체 시험에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소를 위해 설계 및 교정된 수의학 시험 키트와 같은 사용 방법론의 약점을 지적했다.[19]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에 의한 유방암 전체 게놈 51개에 대한 철저한 분석은 BLV DNA의 흔적을 전혀 보여주지 않아 유방암 세포의 DNA에 BLV의 클론 삽입(인간 게놈 DNA로의 통합)을 배제했다.[20] 그러나, 검사할 수 있는 모든 DNA 염기서열은, 염기서열 열 위에 쓰여진 제공자(미국 국립 암 연구소)의 진술에 따르면, 전이성 부위에서 파생되었다. BLV 감염의 진보된 단계를 가진 소의 경우, BLV 게놈의 대부분은 삭제되고 종종 촉진자 부위와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만 남아 있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BLV에 감염된 인간에게도 존재한다면, 사람들은 BLV가 인간 유방암의 진전된 단계인 전이성 종양의 전체 게놈에서 발견되기를 기대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통합되지 않은 BLV DNA는 NGS에 의해 검출되지 않을 것이다. 동일한 인체조직 기증자와 전이성 대 1차 유방암 세포에 BLV 유무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캘리포니아의 95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는 3분의 1 이상이 그들의 혈액 세포에 BLV DNA의 증거를 가지고 있고, 3분의 1은 BLV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이 두 BLV 마커는 개별 기증자들 사이에서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21]
타종 감염
부발루스 부발리스, 무스 근육쿨루스, 오릭톨라거스 쿠니큘러스, 오비스 양자리 등 다른 포유류 호스트도 있다.[4] 많은 동물들이 인공감염에 걸리기 쉽지만 소와 버팔로 이외의 동물들의 자연감염은 드물다. 양의 인위적인 감염 후에 대부분의 동물들은 백혈병에 걸린다. 토끼는 인간의 양성 코담배와는 다른 파스퇴렐라와 비슷한 치명적인 에이즈 같은 병에 걸린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토끼 질병이 BLV 감염과 관련이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바이러스 접종으로 여러 종을 감염시킬 수 있지만 자연감염은 소(보스 타우루스·보스 인디쿠스)와 물소, 카피바라에서만 발생한다. 양은 실험 접종에 매우 취약하며 소보다 어린 나이에 종양이 더 자주 발생한다. 사슴, 토끼, 쥐, 기니피그, 고양이, 개, 양, 붉은털원숭이, 침팬지, 항모, 돼지, 염소, 버팔로 등에서 실험적으로 감염되어도 지속적인 항체반응을 발견할 수 있다."[22]
연구 방향
BLV와 HTLV-I의 긴밀한 관계 때문에 BLV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ATL(성인 T세포 백혈병)이나 HAM/TSP(HTLV-1 관련 근막병증/열대성 척추측만증)와 같은 신경질환을 이해하는 데는 BLV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다. 수많은 환자-대조군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BLV 관련 질병에 대한 연구는 다른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연구만큼 광범위하지는 않았다.[22]
소백신
연구자들은 보바인용 감쇠된 프로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해왔다.[23][24] 이 이론은 병원성 유전자가 삭제되어 종양 발생(세금)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 백신은 낮은 감염도를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항BLV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한편, 온코인제 추진력을 유지하는 야생형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위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23][24] 그러나 지금까지의 시도는 산모에서 자손에게 쉽게 전염되는 백신을 만들 수 없었다.[23][24]
참고 항목
참조
- ^ "ICTV Taxonomy history: Bovine leukemia virus".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Retrieved 22 January 2019.
- ^ Reyes RA, Cockerell GL (August 1996). "Unintegrated bovine leukemia virus DNA: association with viral expression and disease". Journal of Virology. 70 (8): 4961–5. doi:10.1128/JVI.70.8.4961-4965.1996. PMC 190448. PMID 8764001.
- ^ Rosewick N, Momont M, Durkin K, Takeda H, Caiment F, Cleuter Y, et al. (February 2013). "Deep sequencing reveals abundant noncanonical retroviral microRNAs in B-cell leukemia/lymphom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0 (6): 2306–11. Bibcode:2013PNAS..110.2306R. doi:10.1073/pnas.1213842110. PMC 3568357. PMID 23345446.
- ^ a b "bovine leukemia virus". Invasive Species Compendium (ISC). CABI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 International). 2019-11-21. Retrieved 2022-01-22.
- ^ Meas S, Usui T, Ohashi K, Sugimoto C, Onuma M (January 2002). "Vertical transmission of bovine leukemia virus and bovine immunodeficiency virus in dairy cattle herds". Veterinary Microbiology. 84 (3): 275–82. doi:10.1016/s0378-1135(01)00458-8. PMID 11731179.
- ^ Mahy BW (2009). "Bovine leukemia virus". The dictionary of virology (4th ed.). Amsterdam: Elsevier/Academic Press. pp. 61–62. ISBN 9780080920368.
- ^ Blood DC, Henderson JA, Radostits OM (1979). Veterinary Medicine (5th ed.). London: Baillière Tindall. pp. 611 (Leucosis in cattle and other species). ISBN 978-0-7020-0718-7.
- ^ a b c d e 위키베트에 의해 검토되고 출판된 보바인 백혈병 바이러스는 2011년 10월 10일에 접속했다.
- ^ a b c "Bovine Leukosis Virus on U.S. Dairy Operations, 2007" (PDF). NAHMS Dairy 2007.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1-03-22.
- ^ Buehring GC, Shen HM, Jensen HM, Choi KY, Sun D, Nuovo G (May 2014). "Bovine leukemia virus DNA in human breast tissu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 (5): 772–82. doi:10.3201/eid2005.131298. PMC 4012802. PMID 24750974.
Concerns that this virus might infect humans through exposure to food products from subclinically infected animals prompted 10 studies that used what were then (1975–1979) state-of-the-art immunologic methods to test serum samples from a collective total of 1,761 humans, including cancer patients, farm workers, and veterinarians (5). In these studies no antibodies against BLV were detected, prompting Burridge to conclude in his review article, “There is no epidemiological or serological evidence from human studies to indicate that BLV can infect man” (5). The advent of immunoblotting, ≈100 times more sensitive than techniques of the 1970s (6), enabled the detection of antibodies reactive with recombinant purified BLV p24 capsid protein in serum samples from 39% of 257 self-selected human volunteers (7).
- ^ Buehring GC, Philpott SM, Choi KY (December 2003). "Humans have antibodies reactive with Bovine leukemia virus".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es. 19 (12): 1105–13. doi:10.1089/088922203771881202. PMID 14709247.
- ^ Johnson ES (2005). "Assessing the role of transmissible agents in human disease by studying meat workers". Cellscience Reviews. 2 (1). ISSN 1742-81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0-18.
- ^ Buehring GC, Shen HM, Jensen HM, Choi KY, Sun D, Nuovo G (May 2014). "Bovine leukemia virus DNA in human breast tissu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 (5): 772–82. doi:10.3201/eid2005.131298. PMC 4012802. PMID 24750974.
- ^ Buehring GC, Shen HM, Jensen HM, Jin DL, Hudes M, Block G (2 September 2015). "Exposure to Bovine Leukemia Virus I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A Case-Control Study". PLOS ONE. 10 (9): e0134304. Bibcode:2015PLoSO..1034304B. doi:10.1371/journal.pone.0134304. PMC 4557937. PMID 26332838.
- ^ Buehring GC, Shen H, Schwartz DA, Lawson JS (22 June 2017). "Bovine leukemia virus linked to breast cancer in Australian women and identified before breast cancer development". PLOS ONE. 12 (6): e0179367. Bibcode:2017PLoSO..1279367B. doi:10.1371/journal.pone.0179367. PMC 5480893. PMID 28640828.
- ^ Baltzell KA, Shen HM, Krishnamurthy S, Sison JD, Nuovo GJ, Buehring GC (April 2018). "Bovine leukemia virus linked to breast cancer but not coinfection with human papillomavirus: Case-control study of women in Texas". Cancer. 124 (7): 1342–1349. doi:10.1002/cncr.31169. PMID 29266207.
- ^ Buehring, Gertrude C.; Sans, Hannah M. (27 December 2019). "Breast Cancer Gone Viral? Review of Possible Role of Bovine Leukemia Virus in Breast Cancer, and Related Opportunities for Cancer Pre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 (1): 209. doi:10.3390/ijerph17010209. ISSN 1660-4601. PMC 6982050. PMID 31892207.
- ^ Zhang R, Jiang J, Sun W, Zhang J, Huang K, Gu X, et al. (October 2016). "Lack of association between bovine leukemia virus and breast cancer in Chinese patients". Breast Cancer Research. 18 (1): 101. doi:10.1186/s13058-016-0763-8. PMC 5057430. PMID 27724949.
- ^ Buehring GC (March 2017). "Response to "Lack of association between bovine leukemia virus and breast cancer in Chinese patients"". Breast Cancer Research. 19 (1): 24. doi:10.1186/s13058-017-0808-7. PMC 5341364. PMID 28270176.
- ^ Gillet NA, Willems L (November 2016). "Whole genome sequencing of 51 breast cancers reveals that tumors are devoid of bovine leukemia virus DNA". Retrovirology. 13 (1): 75. doi:10.1186/s12977-016-0308-3. PMC 5095936. PMID 27814725.
- ^ Buehring GC, DeLaney A, Shen H, Chu DL, Razavian N, Schwartz DA, et al. (April 2019). "Bovine leukemia virus discovered in human blood". BMC Infectious Diseases. 19 (1): 297. doi:10.1186/s12879-019-3891-9. PMC 6444872. PMID 30940091.
- ^ a b OIE (2010). "Chapter 2.4.11 Enzootic bovine leukosis" (PDF). Manual of Diagnostic Tests and Vaccines for Terrestrial Animals.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 (OI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0-09-20.
- ^ a b c Gutiérrez G, Rodríguez SM, de Brogniez A, Gillet N, Golime R, Burny A, et al. (June 2014). "Vaccination against δ-retroviruses: the bovine leukemia virus paradigm". Viruses. 6 (6): 2416–27. doi:10.3390/v6062416. PMC 4074934. PMID 24956179.
- ^ a b c Barez PY, de Brogniez A, Carpentier A, Gazon H, Gillet N, Gutiérrez G, et al. (November 2015). "Recent Advances in BLV Research". Viruses. 7 (11): 6080–8. doi:10.3390/v7112929. PMC 4664998. PMID 26610551.
추가 읽기
- Kabeya H, Ohashi K, Onuma M (July 2001). "Host immune responses in the course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ion". The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Science. 63 (7): 703–8. doi:10.1292/jvms.63.703. PMID 11503896.
- Gillet N, Florins A, Boxus M, Burteau C, Nigro A, Vandermeers F, et al. (March 2007). "Mechanisms of leukemogenesis induced by bovine leukemia virus: prospects for novel anti-retroviral therapies in human". Retrovirology. 4: 18. doi:10.1186/1742-4690-4-18. PMC 1839114. PMID 17362524.
- Takatori I, Itohara S, Yonaiyama K (1982). "Difficulty in detecting in vivo extracellular infective virus in cattle naturally infected with bovine leukemia virus". Leukemia Research. 6 (4): 511–7. doi:10.1016/0145-2126(82)90008-X. PMID 6292585.
외부 링크
- "Bovine leukemia virus". NCBI Taxonomy Browser. 11901.
- "Bovine Leukemia Virus (BLV)". APHIS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Retrieved 202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