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갑상선제

Antithyroid agent

항갑상선제갑상선 호르몬에 작용하는 호르몬 억제제입니다.

주요 항갑상선 약물은 영국의 카비마졸, 미국의 메티마졸, 그리고 프로필티오우라실입니다.덜 흔한 항갑상선제는 과염소산 칼륨입니다.

작용기전에 따른 분류

항갑상선제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습니다.약물은 작용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은 6가지 부류로 분류됩니다.

갑상샘 호르몬 합성억제제

이러한 약물은 갑상선 과산화효소(a.k.a.티로퍼옥시다제)를 억제하고, 요오드화 산화를 감소시키며, 티로글로불린의 티로실 잔기의 요오드화, 요오드토티로실과 요오드티로닐 잔기의 결합을 억제할 것입니다.[1]이들은 과산화효소-요오드 복합체의 기질로서 작용하여 티로페록시다아제 촉매화된 산화반응을 억제하여 아미노산 티로신과의 상호작용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이 부류에서 가장 일반적인 약물은 티오아미드로 프로필티오우라실, 메티마졸 및 그 프로약 카비마졸을 포함합니다.

또한, 프로필티오우라실은 말초 조직에서 티록신(테트라아이오도티로닌; T4)의 트리아이오도티로닌(T3)으로의 탈요오드화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2]

루골 요오드는 수술 전 갑상선 호르몬 합성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데 사용됩니다.[3]또한 갑상선 폭풍 환자를 치료하거나 갑상선 절제술(갑상선의 수술적 제거) 전에 갑상선 혈관을 줄이는 데 더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4]

요오드섭취억제제

그들은 요오드화 이온(I)이 갑상선의 여포 세포로 흡수되는 것을 줄입니다.그들의 분자는 요오드화 이온과 구조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Na와+ I 이온을 함께 수송하는 수송 단백질인 나트륨/요오드화 교감체에 의해 수송되기 위해 요오드화와 경쟁합니다.요오드화물 수송은 갑상선 호르몬 T4와 T3의 생합성에서 중요한 단계입니다.[5][6]예를 들어 과염소산칼륨은 큰 농도 구배에[5][6] 대하여 요오드화물을 선택적으로 농축하는 능력을 가진 갑상샘에서 활성 요오드화물 수송 메커니즘을 경쟁적으로 억제합니다.

과염소산염 이외에도, 과염소산염, 티오시아네이트, 질산염 등의 다른 섭취 억제제의 예가 있습니다.[7]

이러한 약물은 높은 독성과 부작용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8][9]

갑상선호르몬방출억제제

그들은 갑상선에 의한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합니다.이 부류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약물은 리튬으로 요오드티로신 결합, 갑상선 요오드 섭취 및 갑상선 호르몬 합성 및 비활성 형태의 T3 저장을 위한 기질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10]티로글로불린의 구조 변화를 억제함으로써 갑상선 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는 것이며,갑상선 여포 세포의 내강 내 T4와 요오드.[11]리튬은 대사되지도 단백질에 결합되지도 않기 때문에 생체이용률은 보통 100%[12]에 가깝습니다.따라서 리튬 독성 갑상샘기능저하증, 당뇨병 등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습니다.[13]

요오드 과잉

과도한 요오드 섭취는 일시적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이는 갑상선에 의해 요오드가 대량으로 거부되어 갑상선 호르몬이 대량으로 합성되지 못하게 되는 울프-차이코프 효과 때문에 발생합니다.[14]

요오드 방사성의약품

그들은 요오드의 방사성 동위원소입니다.소량으로, 그것들이 과도하게 활성화된 갑상선 여포 세포에 흡수되면, 그것들은 베타 방사선을 소량 방출하여 전부가 아니라 많은 갑상선 여포 세포를 파괴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을 감소시킵니다.[15]이것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한 표적 치료의 한 형태입니다.낮은 수준의 전리방사선도 변이원성이 높고 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16]요오드-123[17] 같은 덜 독성이 있는 요오드 동위원소는 핵영상에서 더 흔하게 사용되는 반면 요오드-131은 갑상샘기능항진증과 갑상샘종양에서 세포 분해 효과에 사용됩니다.[15]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길항제

TR 길항제라고도 불리는 그들은 TR 수용체(갑상샘 호르몬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갑상샘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합니다.길항제 1-850 및 이의 유도체는 TR 수용체와 핵 호르몬 수용체 코아조절제(NRC)와 같은 협력체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협력체 상호작용 억제제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결과적으로, 수용체들은 협동 활성제를 모집할 수 없고, 표적 유전자의 전사의 중단을 야기하여 TR 수용체의 활성화를 방지하고, 비활성화된 TR 수용체에만 결합할 수 있고, 이러한 수용체들은 TR 길항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활성화될 수 없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효과 억제로 이어집니다.[18]길항제 1-850은 또한 온전한 GH4 세포에서 [125I]T3와[a] TR의 결합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8]

역효과

가장 위험한 부작용은 무과립구증(1/250, PTU에서 더 많음)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약물을 중단하면 해결되는 특이 반응입니다.항갑상선제로 치료한 경우의 약 0.2~0.3%에서 발생합니다.[19]다른 부작용으로는 과립구감소증(용량에 의존하여 약을 끊으면 좋아지는)과 재생불량성 빈혈이 있으며, 프로필티오우라실의 경우 중증, 전격성 간부전이 있습니다.[20]이러한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인후통이나 발열이 있으면 병원에 가야 합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발진과 말초신경염입니다.[21]이 약들은 태반을 가로지르며 모유에서도 분비됩니다.[22]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병에서는 항갑상선제를 사용한 치료를 6개월에서 2년간 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그 때에도 약제를 중단하면 갑상선 기능 항진 상태가 재발할 수 있습니다.항갑상선제의 부작용으로는 백혈구 수치가 치명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레이브스의 발견된 메티마졸에 대한 단일 용량 치료를 테스트한 무작위 대조군 시험 결과, 12주 후에 프로필티오우라실(메티마졸 15mg 77.1% 대 프로필티오우라실 150mg군 19.4%)보다 더 효과적으로 부갑상선 기능증(TSH와 T4의[23] 정상 혈청 수치로 발생하는 정상 갑상선 기능)을 달성했습니다.[24]그러나 일반적으로 두 약물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항갑상샘제에 티록신을 추가하고 항갑상샘제 금단 후에도 위약 대비 티록신을 지속한 결과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하지만 재발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두 가지 표지자가 발견되었습니다.이 두 지표는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 항체(TSHR-Ab)와 흡연의 높은 수준입니다.항갑상샘 약물 치료 종료 시 양성 TSHR-Ab은 재발 위험을 90%(민감도 39%, 특이도 98%)로 증가시키며, 항갑상샘 약물 치료 종료 시 음성 TSHR-Ab은 관해 유지 가능성 78%와 관련이 있습니다.흡연은 TSHR-Ab 양성과는 무관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5]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의 경쟁적 길항제가 그레이브병의 가능한 치료법으로 현재 연구되고 있습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125IT3는125 요오드 대신 요오드-125 원자를 갖는 트리요오드티로닌의 방사성 의약품 제제입니다.

참고문헌

  1. ^ "Thioamide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www.sciencedirec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09-27. Retrieved 2023-10-03.
  2. ^ Manna D, Roy G, Mugesh G (2013). "Antithyroid Drugs and their Analogues: Synthesis, Structure and Mechanism of Action". Acc. Chem. Res. 46 (11): 2706–15. doi:10.1021/ar4001229. PMID 23883148.
  3. ^ Erbil, Yeşim; Ozluk, Yasemin; Giriş, Murat; Salmaslıoglu, Artur; Issever, Halim; Barbaros, Umut; Kapran, Yersu; Özarmağan, Selçuk; Tezelman, Serdar. "Effect of Lugol Solution on Thyroid Gland Blood Flow and Microvessel Density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2-26. Retrieved 2023-10-03.
  4. ^ Pearce, Elizabeth N. (2006-06-08).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yrotoxicosis". BMJ. 332 (7554): 1369. doi:10.1136/bmj.332.7554.1369. ISSN 0959-8138. PMID 16763249.
  5. ^ a b Furman, B. L. "Potassium Perchlorate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www.sciencedirec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10-03. Retrieved 2023-10-03.
  6. ^ a b Wolff, J. (March 1998). "Perchlorate and the thyroid gland". Pharmacological Reviews. 50 (1): 89–105. ISSN 0031-6997. PMID 9549759.
  7. ^ Mervish, Nancy A.; Pajak, Ashley; Teitelbaum, Susan L.; Pinney, Susan M.; Windham, Gayle C.; Kushi, Lawrence H.; Biro, Frank M.; Valentin-Blasini, Liza; Blount, Benjamin C.; Wolff, Mary S.; for the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Research Project (BCERP) (April 2016). "Thyroid Antagonists (Perchlorate, Thiocyanate, and Nitrate) and Childhood Grow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U.S. Girl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24 (4): 542–549. doi:10.1289/ehp.1409309. ISSN 0091-6765. PMC 4829993. PMID 26151950.
  8. ^ Wyngaarden, J. B.; Stanbury, J. B.; Rapp, B. (May 1953). "The effects of iodine, perchlorate, thiocyanate, and nitrate administration upon the iodide concentrating mechanism of the rat thyroid". Endocrinology. 52 (5): 568–574. doi:10.1210/endo-52-5-568. ISSN 0013-7227. PMID 13060263.
  9. ^ Serrano-Nascimento, Caroline; Nunes, Maria Tereza (2022). "Perchlorate, nitrate, and thiocyanate: Environmental relevant NIS-inhibitors pollutants and their impact on thyroid function and human health". Frontiers in Endocrinology. 13. doi:10.3389/fendo.2022.995503/full. ISSN 1664-2392.
  10. ^ Lazarus, J.h. (October 1998). "The Effects of Lithium Therapy on Thyroid and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hyroid®. 8 (10): 909–913. doi:10.1089/thy.1998.8.909. ISSN 1050-7256.
  11. ^ "TG thyroglobulin [Homo sapiens (human)] – Gene –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Retrieved 2019-09-16.
  12. ^ Ware, Kenric; Tillery, Erika; Linder, Lauren (January 2016). "General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concepts of mood stabilizers in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The Mental Health Clinician. 6 (1): 54–61. doi:10.9740/mhc.2016.01.054. ISSN 2168-9709. PMID 29955448.
  13. ^ "Lithium Salts".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15. Retrieved 1 December 2015.
  14. ^ Markou, K.; Georgopoulos, N.; Kyriazopoulou, V.; Vagenakis, A.g. (May 2001). "Iodine-Induced Hypothyroidism". Thyroid®. 11 (5): 501–510. doi:10.1089/105072501300176462. ISSN 1050-7256.
  15. ^ a b "Iodide I-131". go.drugbank.com. Retrieved 2023-10-03.
  16. ^ Zelensky, Alex N.; Schoonakker, Mascha; Brandsma, Inger; Tijsterman, Marcel; Gent, Dik C. van; Essers, Jeroen; Kanaar, Roland (2020-01-16). "Low dose ionizing radiation strongly stimulates insertional mutagenesis in a γH2AX dependent manner". PLOS Genetics. 16 (1): e1008550. doi:10.1371/journal.pgen.1008550. ISSN 1553-7404. PMC 6964834. PMID 31945059.
  17. ^ Kim, Phillip D.; Tran, Huyen D. (2023), "I-123 Uptake",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2644740, retrieved 2023-10-03
  18. ^ a b Schapira, Matthieu; Raaka, Bruce M.; Das, Sharmistha; Fan, Li; Totrov, Maxim; Zhou, Zhiguo; Wilson, Stephen R.; Abagyan, Ruben; Samuels, Herbert H. (2003-06-10). "Discovery of diverse thyroid hormone receptor antagonists by high-throughput dock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 (12): 7354–7359. doi:10.1073/pnas.1131854100. ISSN 0027-8424. PMC 165879. PMID 12777627.
  19. ^ Zambrana, J.; Zambrana, F.; Neto, F.; Gonçalves, A.; Zambrana, F.; Ushirohira, J. (2005). "Agranulocytosis with tonsillitis associated with methimazole therapy".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71 (3): 374–377. doi:10.1016/S1808-8694(15)31339-2. PMID 16446945.
  20. ^ Bahn RS, Burch HS, Cooper DS, Garber JR, Greenlee CM, Klein IL, Laurberg P, McDougall IR, et al. (July 2009). "The Role of Propylthiouracil in the Management of Graves' Disease in Adults: report of a meeting jointly sponsored by the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and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yroid. 19 (7): 673–4. doi:10.1089/thy.2009.0169. PMID 19583480.
  21. ^ Pal, Partha; Ray, Sayantan; Biswas, Kaushik; Maiti, Animesh; Mukhopadhyay, Deep; George, Rintu; Mukherjee, Debabrata (September 2014). "Thyrotoxic neuropathy; an under recognized condition: A clinical vignette". Thyroid Research and Practice. 11 (3): 118. doi:10.4103/0973-0354.138559. ISSN 0973-0354.
  22. ^ Kampmann, Jens P.; Hansen, J. Mølholm (1981-12-01).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Antithyroid Drugs". Clinical Pharmacokinetics. 6 (6): 401–428. doi:10.2165/00003088-198106060-00001. ISSN 1179-1926.
  23. ^ "Euthyroidism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www.sciencedirec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3-10-03. Retrieved 2023-10-03.
  24. ^ Homsanit M, Sriussadaporn S, Vannasaeng S, Peerapatdit T, Nitiyanant W, Vichayanrat A (2001). "Efficacy of single daily dosage of methimazole vs. propylthiouracil in the induction of euthyroidism". Clinical Endocrinology (Oxford). 54 (3): 385–90. doi:10.1046/j.1365-2265.2001.01239.x. PMID 11298092.
  25. ^ Glinoer D, de Nayer P, Bex M (2001). "Effects of l-thyroxine administration, TSH-receptor antibodies and smoking on the risk of recurrence in Graves' hyperthyroidism treated with antithyroid drugs: a double-blind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Eur. J. Endocrinol. 144 (5): 475–83. doi:10.1530/eje.0.1440475. PMID 113312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