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고혈압제

Antihypertensive drug

항고혈압제고혈압(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한 종류입니다.[1] 고혈압 치료는 뇌졸중, 심부전, 신부전, 심근경색과 같은 고혈압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혈압을 5 mmHg 감소시키면 뇌졸중 위험이 34%,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이 21% 감소할 수 있으며, 치매, 심부전,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2]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제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하고 널리 사용되는 약물 중에는 티아자이드 이뇨제, 칼슘 채널 차단제,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s) 및 베타 차단제가 있습니다.

고혈압에 어떤 종류의 약을 처음에 사용할지는 여러 대규모 연구와 그에 따른 국가 지침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치료의 근본적인 목표는 심장마비, 뇌졸중, 심부전과 같은 고혈압의 중요한 종말점을 예방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환자 연령, 관련 임상 조건 및 최종 장기 손상도 투여 용량 및 약물 유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3] 항고혈압제의 여러 등급은 부작용 프로파일, 종말점 방지 기능 및 비용에서 다릅니다. 더 저렴한 에이전트가 동등하게 효과적일 수 있는 더 비싼 에이전트의 선택은 국가 의료 예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 2018년 현재 가장 좋은 증거는 약물이 필요할 때 고혈압 1차 치료제로 저용량 티아자이드 이뇨제를 선호하고 있습니다.[5] 임상 증거에 따르면 칼슘 채널 차단제와 티아자이드형 이뇨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효능과 비용 측면에서) 선호되는 1차 치료법이지만, 영국 NICE는 55세 미만에게 ACE 억제제를 권장합니다.[6]

이뇨제

인기 있는 티아지드 이뇨제인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이뇨제는 신장이 신체 조직과 혈액에서 과도한 염분과 수분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미국의 JNC8(제8차 고혈압 예방, 검출, 평가 및 치료에 관한 국가공동위원회)는 티아지드형 이뇨제를 단독요법으로 또는 칼슘채널 차단제ACE 억제제와 병용하여 고혈압의 1차 약물치료제 중 하나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7] ACE 억제제와 티아지드 조합과 같은 고정 용량 조합 약물이 있습니다. 티아지드는 저렴하고 효과적이지만 일부 새로운 약물만큼 자주 처방되지 않습니다. 이는 신생 당뇨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어 65세 이상의 환자에게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신생 당뇨병의 위험이 수축기 혈압 조절의 이점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 또 다른 이론은 특허권이 없기 때문에 의약품 업계에서 거의 홍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9]

아밀로라이드, 트리암테렌과 같이 상피 나트륨 채널(ENaC)을 차단하는 칼륨-스파링 이뇨제로 분류되는 약물은 단독 요법으로 처방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ENaC 차단제는 혈압 감소 효과에 대한 더 강력한 공개 증거가 필요합니다.[10]

칼슘 채널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는 동맥벽의 근육세포로 칼슘의 유입을 차단해 근육세포의 이완과 혈관 확장을 초래합니다.[11][12]

제8차 국가공동위원회(JNC-8)는 나이와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칼슘 채널 차단제를 단독요법으로 사용하거나 티아지드형 이뇨제, ACE 억제제 또는 앤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와 함께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7]

CCBs의 항단백뇨 효과인 비디히드로피리딘 대 디히드로피리딘의 비율은 30 대 -2였습니다.[13] 비-디히드로피리딘의 항-단백뇨 효과는 사구체 여과 동안 더 나은 선택성 및/또는 신장 시스템을 통한 더 낮은 관류율에 기인합니다.[14]

CCB의 눈에 띄는 부작용으로는 부종, 얼굴 홍조, 두통, 졸음, 어지러움 등이 있습니다.[14]

ACE 억제제

전형적인 ACE 억제제인 캡토프릴

ACE 억제제는 안지오텐신 I을 강력한 혈관 수축제인 안지오텐신 II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의 활성을 억제합니다.[15]

35,000명 이상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63건의 시험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ACE 억제제가 다른 약물(ARBs, α 차단제, β 차단제 등)에 비해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두 배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자들은 이를 첫 번째 방어선으로 제안했습니다.[16] ACE 억제제가 칼슘 채널 차단제베타 차단제에 비해 신장 기능 저하를 늦추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AAK 시험에서 나타났습니다.[17] 따라서 ACE 억제제는 인종이나 당뇨병 상태에 관계없이 만성 신장 질환 환자에게 선택되는 약물 치료가 되어야 합니다.[7]

그러나 ACE 억제제(및 앤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는 만성 신장 질환이 없는 흑색 고혈압의 1차 치료제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7] ALLHAT 시험의 결과는 티아지드형 이뇨제와 칼슘 채널 차단제가 모두 이 부분군의 ACE 억제제에 비해 심혈관 결과를 개선하는 데 단일 요법으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18] 또한 ACE 억제제는 칼슘 채널 차단제에 비해 초기 치료제로 사용했을 때 혈압 감소 효과가 낮고 흑색 고혈압에서 뇌졸중 위험이 51% 더 높았습니다.[19] ACE 억제제와 티아지드 조합과 같은 고정 용량 조합 약물이 있습니다.[20]

ACE 억제제의 주목할 만한 부작용으로는 마른 기침, 높은 수준의 칼륨, 피로, 어지러움, 두통, 미각 상실 및 혈관 부종의 위험이 있습니다.[21]

앤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인 발사르탄

앤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앤지오텐신 수용체의 활성화를 길항함으로써 작용합니다.[22]

2004년, BMJ의 한 기사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가 심근경색(심장마비)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제안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증거를 조사했습니다.[23] 이 문제는 2006년 미국 심장 협회의 의학 저널에서 논의되었습니다. ARB가 MI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지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ARB가 MI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실질적인 증거도 없습니다.[24][25]

VALUE 시험에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발사르탄은 암로디핀과 비교하여 미리 지정된 심근경색의 이차 종점(fatal 및 비 fatal)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19%(p=0.02)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냈습니다.

CHARM-대체시험은 혈압 감소에도 불구하고 칸데사르탄(versus 위약)으로 심근경색이 유의하게 +52%(p=0.0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T1 차단의 결과로 ARB는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를 분리함으로써 안지오텐신 II 수준을 기준선보다 몇 배 더 증가시킵니다. 순환하는 앤지오텐신 II의 증가된 수준은 AT2 수용체의 반대 없는 자극을 초래하며, 이는 또한 상향 조절됩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AT2 수용체 자극은 이전에 제안된 것보다 덜 유익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성장 촉진, 섬유증 및 비대증뿐만 아니라 프로아테오제닉 및 프로염증 효과의 매개를 통해 해로울 수도 있습니다.[28][29][30]

ACEis로 치료된 심부전 유형의 감소된 박출률을 가진 고혈압 환자가 고칼륨혈증 또는 만성 신장 질환 이외의 기침, 혈관 부종에 내성이 없는 경우 ARB는 ACE 억제제에 대한 유리한 대안입니다.[31][32][33]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

베타 차단제 최초로 개발 성공한 프로프라놀롤

베타 차단제는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 및/또는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베타-1-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은 내인성 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결합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레닌 감소와 심박출량 방출을 통해 혈압을 낮춥니다. 베타-2-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은 평활근 이완 증가를 통해 혈압을 낮춥니다.

알파 차단제는 알파-1 아드레날린 수용체 및/또는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35] 혈관 평활근 세포의 알파-1-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은 혈관 수축을 방지합니다.[35] 알파-2-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차단은 노르에피네프린(NE)의 부정적 피드백 메커니즘을 방지합니다.[35] 비선택적 알파 차단제는 알파-1 차단제에 의해 유도되는 혈관 확장 효과를 줄이기 위해 알파-2 차단제가 NE를 방출하는 균형을 생성합니다.[35]

베타 차단제는 혈압을 낮추지만 다른 항고혈압제처럼 엔드포인트에 긍정적인 이점을 주지 않습니다.[36] 특히 베타 차단제는 다른 약물과 비교할 때 뇌졸중 및 제2형 당뇨병의 새로운 발병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아 더 이상 1차 치료제로 권장되지 않는 반면,[3] 테놀롤과 같은 특정 베타 차단제는 다른 여러 약제에 비해 고혈압의 전반적인 치료에 유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37] 35,000명 이상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63건의 시험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다른 항고혈압 치료법에 비해 β-차단제가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6] 그러나 그들은 이미 심장마비를 겪은 사람들의 심장마비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38] 영국에서는 2006년 6월 국립 보건 임상 우수성 연구소의 "고혈압: 1차 진료 성인 고혈압 관리"[39] 가이드라인에서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베타 차단제의 역할을 하향 조정했습니다.[40]

알파 차단제는 혈압을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항고혈압제에 비해 종말점 결과가 현저히 낮으며, 더 이상 고혈압 치료의 1차 선택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41] 그러나 전립선 질환의 증상이 있는 일부 남성에게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혈관확장제

혈관 확장기는 동맥의 부드러운 근육에 직접 작용하여 혈액이 동맥을 통해 더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혈관 확장기는 고혈압 응급 상황이나 다른 약물이 고장 났을 때만 사용되며, 단독으로 투여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42]

니트로프루시드 나트륨은 매우 강력하고 짧은 작용을 하는 혈관 확장제로, 응급 상황(악성 고혈압 또는 대동맥 박리와 같은)에서 혈압을 신속하고 일시적으로 낮추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43][44] 히드라진과 그 유도체는 중증 고혈압 치료에도 사용되지만 응급 상황에서는 피해야 합니다.[44] 부작용과 안전성 문제로 더 이상 고혈압 1차 치료제로 지목되지 않지만, 히드라진은 임신성 고혈압에서 선택하는 약물로 남아 있습니다.[43]

레닌 억제제

레닌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에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보다 한 단계 높습니다. 따라서 레닌 억제제는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알리스키렌(Novartis 개발)은 고혈압 치료를 위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레닌 억제제입니다.[45]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miner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 MRA)라고도 하는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는 알도스테론이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여 혈압을 낮출 수 있습니다. 스피로노락톤과 에페레논은 MRA로 나트륨의 재흡수를 막아서 혈압이 떨어집니다.[46][47]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는 혈압의 1차 약제로 권장되지 [48]않지만 스피로노락톤과 에페레논은 모두 심부전과 저항성 고혈압 치료에 사용됩니다.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중추 알파 작용제는 말초 동맥을 열어 혈류를 완화시키는 뇌의 알파 수용체를 자극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이러한 알파 2 수용체는 신경 전달(이 경우 아드레날린의 혈관 수축 효과)에서 부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가 수용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클로니딘과 같은 중심 알파 작용제는 일반적으로 다른 모든 항고혈압제가 실패했을 때 처방됩니다. 고혈압 치료를 위해 이 약들은 일반적으로 이뇨제와 함께 투여됩니다.

이 종류의 약물의 부작용으로는 진정, 코 점막의 건조, 중단 시 반동 고혈압 등이 있습니다.[49]

치료 저항성 고혈압에는 간접 항아드레날린제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가장 내성이 강하고 심각한 질병에는 이뇨제와 β-차단제를 병용한 경구 미녹시딜(Loniten) 또는 기타 교감신경계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medical citation needed]

내피 수용체 차단제

보센탄은 새로운 부류의 약물에 속하며, 엔도텔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합니다. 중등도에서 중증 심부전 환자의 폐동맥 고혈압 치료에만 특별히 표시됩니다.[50]

초치료제 선택

가벼운 혈압 상승의 경우 합의된 지침은 약물 치료 시작을 권장하기 전에 의학적으로 감독된 생활 방식의 변화와 관찰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미국 고혈압 협회에 따르면 혈압 상승이 관찰되기 전에도 신체에 지속적인 손상이 있다는 증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 약의 사용은 명백한 정상 혈압을 가지고 있지만 고혈압 관련 신장병, 단백뇨, 죽상경화성 혈관 질환 및 기타 고혈압 관련 장기 손상의 증거를 보이는 사람에게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생활 습관 변화가 효과가 없다면 약물 요법을 시작하여 효과적으로 고혈압을 낮추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약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고혈압에 어떤 종류의 많은 약을 초기에 사용해야 하는지는 여러 대규모 연구와 다양한 국가 지침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고려 사항에는 연령, 인종 및 기타 의료 조건과 같은 요소가 포함됩니다.[48] 미국에서 JNC8(2014)은 티아지드형 이뇨제, 칼슘 채널 차단제, ACE 억제제 또는 앤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와 같은 4가지 등급 중 하나의 약물을 초기 치료제 또는 추가 치료제로 선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7]

고혈압 치료로 인한 사망률의 이점을 보여준 최초의 대규모 연구는 클로르탈리돈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한 VA-NHLBI 연구였습니다.[51] 가장 큰 연구인 2002년 심장마비 예방을 위한 고혈압 및 지질 강하 치료(ALLHAT)는 클로르탈리돈(티아지드 유사 이뇨제)이 리시노프릴(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또는 암로디핀(칼슘 채널 차단제)만큼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18] (ALLHAT는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인 독사조신이 심부전 이벤트의 발생률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연구의 독사조신 암은 중단되었습니다.)

후속 소규모 연구(ANBP2)는 ALLHAT 연구에서 관찰된 티아지드 이뇨 결과에서 약간의 이점을 보여주지 않았으며 실제로 고령의 백인 남성 환자에서 ACE 억제제에 대해 약간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52]

티아지드 이뇨제는 효과가 있고 고혈압에 가장 좋은 1차 치료제로 추천되며 [53]다른 치료제보다 훨씬 저렴하지만 일부 새로운 약만큼 자주 처방되지는 않습니다. 클로르탈리돈은 사망률에 대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증거에 의해 가장 강력하게 뒷받침되는 티아자이드 약물입니다. ALLHAT 연구에서는 12.5mg의 클로르탈리돈 용량이 사용되었으며 혈압 조절을 달성하지 못한 피험자의 경우 12.5mg에서 최대 25mg의 적정이 이루어졌습니다. 클로르탈리돈은 반복적으로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보다 혈압을 낮추는 데 더 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와 클로르탈리돈은 일상적인 임상에서 처방되는 일반적인 용량에서 저칼륨혈증 및 기타 부작용의 위험이 유사합니다.[54] 저용량의 티아지드 이뇨제에 대한 과장된 저칼륨 반응을 보이는 환자는 이차성 고혈압의 흔한 원인인 고알도스테론증을 의심해야 합니다.[55]

다른 약들은 고혈압을 치료하는 역할을 합니다. 티아지드 이뇨제의 부작용으로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함께 내당능 장애가 있습니다. 티아지드 이뇨제는 또한 칼륨이 풍부한 이뇨제 또는 보충 칼륨과 결합되지 않는 한 순환 칼륨을 고갈시킵니다. 일부 저자들은 티아지드를 1차 치료제로 이의를 제기했습니다.[56][57][58] 그러나 머크 노인병 매뉴얼에서 언급하듯이, "티아지드형 이뇨제는 노인들에게 특히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59]

현재 영국 지침은 55세 이상의 환자와 아프리카/아프리카 민족의 모든 환자를 먼저 칼슘 채널 차단제 또는 티아지드 이뇨제로 시작할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다른 민족의 젊은 환자는 ACE 억제제로 시작해야 합니다. 그 후, 칼슘 채널 차단제 또는 (티아지드)이뇨제와 함께 ACE-억제제를 사용하기 위해 이중 요법이 필요한 경우. 트리플 테라피는 세 그룹 모두에 속하며, 네 번째 약제를 추가하여 추가 이뇨제(예: 스피로노락톤 또는 푸로세미드), 알파 차단제 또는 베타 차단제 중 하나를 고려해야 합니다.[60] 베타 차단제가 1차 제제로 강등되기 전, 영국 병용 요법 시퀀스는 약물 클래스의 첫 글자를 사용하여 "ABCD 규칙"으로 알려졌습니다.[60][61]

환자요인

약물 간의 선택은 처방되는 환자의 특성, 약물의 부작용 및 비용에 따라 크게 결정됩니다. 대부분의 약물은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때때로 다른 증상의 존재는 한 가지 특정한 항고혈압제의 사용을 보증할 수 있습니다.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나이는 약물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 영국 지침은 55세 이상의 환자에게 칼슘 채널 차단제 또는 티아지드 이뇨제를 먼저 투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나이와 다중 이환율은 약물 선택, 목표 혈압 및 치료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62]
  • 베타 차단제 사용으로 불안감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 천식베타 차단제 사용 시 증상이 악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베타 차단제는 건선, 건선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63]
  • 양성 전립선 비대증알파 차단제를 사용하면 개선될 수 있습니다.
  • 만성 콩팥병. ACE 억제제 또는 ARB는 인종 또는 당뇨병 상태에 관계없이 신장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치료 계획에 포함되어야 합니다.[7][17]
  • 치매의 동반 건강 상태를 위한 약물 적정성 도구(MATCH-D)에 따르면 말기 치매는 항고혈압제를 설명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64]
  • 당뇨병. ACE 억제제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당뇨병의 신장망막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losartan은 혈청 요산을 감소시키는 반면, thiazide 이뇨제에 의해 통풍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65]
  • 신장결석은 티아지드형 이뇨제 사용으로 개선될 수 있습니다
  • 하트 블록. β-차단제 및 비디히드로피리딘 칼슘 채널 차단제는 심장 블록이 1도 이상인 환자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JNC8은 고혈압 초기 치료제로 β-차단제를 권장하지 않습니다.[67]
  • 심부전은 비디히드로피리딘 칼슘 채널 차단제, 알파 차단제 독사조신, 알파-2 작용제인 moxonidine 및 clonidine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반면 β-차단제, 이뇨제,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는 결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8]
  • 임신. α-메틸도파가 일반적으로 1차 약제로 간주되지만, 라베탈롤과 메토프로롤도 허용됩니다. 아테놀롤은 자궁 내 성장 지연뿐만 아니라 임신 중 처방될 때 태반 성장과 체중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ACE 억제제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s)는 임신 중이거나 임신하려는 여성에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48]
  • 치주 질환은 항고혈압제의 효능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69]
  • 인종. JNC8 가이드라인은 특히 단독요법으로 사용했을 때 티아자이드 이뇨제와 칼슘채널 차단제가 β-차단제, ACE 억제제, ARB보다 흑색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낮추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합니다.[7]
  • 떨림은 베타 차단제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JNC8 지침은 특정 개별 환자에 대해 다른 약물보다 한 가지 약물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를 나타냅니다.[7]

임신 1기 고혈압약 복용

임신 중 고혈압 장애는 산모와 태아 결과에 중요한 위험 요소를 구성하므로 항고혈압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재 고혈압 치료제에 대한 자궁 내 노출의 안전성에 관한 데이터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약제의 투여를 권장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태아 발달에 미칠 수 있는 부작용을 강조합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중 고혈압은 a-메틸도파, β-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가 1차 또는 2차 치료제입니다. 그러나 ACEI, ARB 및 이뇨제는 대부분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잠재적인 위험이 투여의 이점을 능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여러 약물을 피해야 합니다.[70] 여성들은 항고혈압제의 안전성에 대해 종종 우려하고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처방대로 치료를 받지 않습니다. 공유 의사 결정 보조제는 항고혈압제 복용에 대한 여성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처방대로 복용하는 여성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1][72]

역사

티아지데스의 역사

클로로티아지드는 1957년에 발견되었지만, 효과적인 항고혈압 치료의 첫 번째 사례는 1947년에 항말라리아제인 프리마퀸을 사용한 것입니다.[73]

칼슘 통로 차단제의 역사

1883년 링거는 고립된 심장에서 세포 활동을 위한 칼슘의 관여를 발견했습니다.[74] 그 후 1901년에 스틸즈는 근육 수축에 있어서 같은 활동을 보고했습니다.[74] 1940년대 초, 카마다(일본)와 헤이브런(미국)은 칼슘이 근육 수축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주목했습니다.[74] 1964년 고드프렌드의 실험실에서 관상동맥 확장기의 스크리닝을 통해 칼슘 통로 차단제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칼슘이 동맥세포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혈관이 이완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74]

조사.

혈압 백신

예방접종은 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향후 고혈압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CYT006-AngQb는 연구에서 중간 정도만 성공했지만 유사한 백신이 조사되고 있습니다.[75]

노인들의 항고혈압제

최신 증거는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중단하거나 노인의 심장 질환 예방에 사용되는 약물을 중단하거나 지속하는 것이 모든 경우의 사망률과 심장마비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거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76] 이 연구 결과는 항고혈압제를 중단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낮은 품질의 증거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러나 노인들은 의료 전문가와 이야기하지 않고는 어떤 약물도 중단해서는 안 됩니다.[76]

참고문헌

  1. ^ 항고혈압+미 국립의학도서관 의료과목 제목(MeSH)의 에이전트
  2. ^ Law M, Wald N, Morris J (2003). "Lowering blood pressure to prevent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 new preventive strategy".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7 (31): 1–94. doi:10.3310/hta7310. PMID 14604498.
  3. ^ a b Nelson M. "Drug treatment of elevated blood pressure". Australian Prescriber (33): 108–1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10. Retrieved August 11, 2010.
  4. ^ Nelson MR, McNeil JJ, Peeters A, Reid CM, Krum H (June 2001). "PBS/RPBS cost implications of trends and guideline recommendations in the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Australia, 1994-1998".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74 (11): 565–8. doi:10.5694/j.1326-5377.2001.tb143436.x. PMID 11453328. S2CID 204078909.
  5. ^ Wright JM, Musini VM, Gill R (April 2018). Wright JM (ed.). "First-line drugs for hypertensio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8 (4): CD001841. doi:10.1002/14651858.CD001841.pub3. PMC 6513559. PMID 29667175.
  6. ^ "Hypertension: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adults in primary care Guidance NICE" (PDF). 28 June 200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2-01-07. Retrieved 2012-01-09."Hypertension: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adults in primary care Guidance NICE" (PDF). 28 June 200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2-01-07. Retrieved 2012-01-09.p19
  7. ^ a b c d e f g h James PA, Oparil S, Carter BL, Cushman WC, Dennison-Himmelfarb C, Handler J, et al. (February 2014).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JAMA. 311 (5): 507–20. doi:10.1001/jama.2013.284427. PMID 24352797.
  8. ^ Zillich AJ, Garg J, Basu S, Bakris GL, Carter BL (August 2006). "Thiazide diuretics, potassium, and the development of diabetes: a quantitative review". Hypertension. 48 (2): 219–24. doi:10.1161/01.HYP.0000231552.10054.aa. PMID 16801488.
  9. ^ Wang TJ, Ausiello JC, Stafford RS (April 1999). "Trends in antihypertensive drug advertising, 1985-1996". Circulation. 99 (15): 2055–7. doi:10.1161/01.CIR.99.15.2055. PMID 10209012.
  10. ^ Heran BS, Chen JM, Wang JJ, Wright JM, et al. (Cochrane Hypertension Group) (November 2012). "Blood pressure lowering efficacy of potassium-sparing diuretics (that block the epithelial sodium channel) for primary hypertensio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CD008167. doi:10.1002/14651858.CD008167.pub3. PMID 23152254.
  11. ^ Elliott WJ, Ram CV (September 2011). "Calcium channel blockers".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13 (9): 687–689. doi:10.1111/j.1751-7176.2011.00513.x. PMC 8108866. PMID 21896151.
  12. ^ "Calcium Channel Blockers". LiverTox: Clinical and Research Information on Drug-Induced Liver Injury.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2. PMID 31643892. Retrieved 2023-12-22.
  13. ^ Bakris GL, Weir MR, Secic M, Campbell B, Weis-McNulty A (June 2004). "Differential effects of calcium antagonist subclasses on markers of nephropathy progression". Kidney International. 65 (6): 1991–2002. doi:10.1111/j.1523-1755.2004.00620.x. PMID 15149313.
  14. ^ a b Elliott WJ, Ram CV (September 2011). "Calcium channel blockers".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13 (9): 687–689. doi:10.1111/j.1751-7176.2011.00513.x. PMC 8108866. PMID 21896151.
  15. ^ Spiller HA (January 2005). "ACE Inhibitors". In Wexler P (ed.). Encyclopedia of Toxicology (Second ed.). New York: Elsevier. pp. 9–11. doi:10.1016/b0-12-369400-0/00006-5. ISBN 978-0-12-369400-3. Retrieved 2024-03-13.
  16. ^ a b Wu HY, Huang JW, Lin HJ, Liao WC, Peng YS, Hung KY, et al. (October 2013).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renin-angiotensin system blockers and other antihypertensive drugs in patients with diabetes: systematic review and bayesian network meta-analysis". BMJ. 347: f6008. doi:10.1136/bmj.f6008. PMC 3807847. PMID 24157497.
  17. ^ a b Wright JT, Bakris G, Greene T, Agodoa LY, Appel LJ, Charleston J, et al. (November 2002). "Effect of blood pressure lowering and antihypertensive drug class on progression of hypertensive kidney disease: results from the AASK trial". JAMA. 288 (19): 2421–31. doi:10.1001/jama.288.19.2421. PMID 12435255.
  18. ^ a b Furberg CD, Wright Jr JT, Davis BR, Cutler JA, Alderman M, Black H, et al. (The Allhat Officers And Coordinators For The Allhat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December 2002). "Major outcomes in high-risk hypertensive patients randomized to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or calcium channel blocker vs diuretic: The Antihypertensive and Lipid-Lowering Treatment to Prevent Heart Attack Trial (ALLHAT)". JAMA. 288 (23): 2981–97. doi:10.1001/jama.288.23.2981. PMID 12479763.
  19. ^ Leenen FH, Nwachuku CE, Black HR, Cushman WC, Davis BR, Simpson LM, et al. (September 2006). "Clinical events in high-risk hypertensive patients randomly assigned to calcium channel blocker versu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in the antihypertensive and lipid-lowering treatment to prevent heart attack trial". Hypertension. 48 (3): 374–84. doi:10.1161/01.HYP.0000231662.77359.de. PMID 16864749.
  20. ^ Borghi C, Soldati M, Bragagni A, Cicero AF (December 2020). "Safety implications of combining ACE inhibitors with thiazides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ve patients". Expert Opinion on Drug Safety. 19 (12): 1577–1583. doi:10.1080/14740338.2020.1836151. PMID 33047990. S2CID 222320206.
  21. ^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 Uses for ACE inhibitors". Mayo Clin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8-01. Retrieved 2016-07-27. 페이지 업데이트 : 2016년 6월 29일
  22. ^ Barreras A, Gurk-Turner C (January 2003).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Proceedings. 16 (1): 123–126. doi:10.1080/08998280.2003.11927893. PMC 1200815. PMID 16278727.
  23. ^ Verma S, Strauss M (November 2004).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and myocardial infarction". BMJ. 329 (7477): 1248–9. doi:10.1136/bmj.329.7477.1248. PMC 534428. PMID 15564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