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61639A - 소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639A
KR20200061639A KR1020180147177A KR20180147177A KR20200061639A KR 20200061639 A KR20200061639 A KR 20200061639A KR 1020180147177 A KR1020180147177 A KR 1020180147177A KR 20180147177 A KR20180147177 A KR 20180147177A KR 20200061639 A KR20200061639 A KR 2020006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demagnetization
measureme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666B1 (ko
Inventor
허태훈
김세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를 이송하는 롤러부와, 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잔류 자기를 제거하는 탈자기부와, 탈자기부를 통과한 소재의 경도를 측정하여 하드 스팟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측정부의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탈자기부와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인라인 상에서 소재의 경도를 전수 검사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재 검사장치{INSPECTION DEVICE FOR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라인 상에서 소재의 경도를 전수 검사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 및 후판재를 생산한 후 강관으로 말아서 제작하는 과정에서 하드 스팟에 의해 제품 불량을 야기하므로, 경도 검사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기존에는 소재 일부를 절단한 후 절단된 샘플을 이용하여 경도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전수 검사 및 인라인 상에서 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1069호(2002.06.01.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경도시험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라인 상에서 소재의 경도를 전수 검사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 검사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는: 소재를 이송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잔류 자기를 제거하는 탈자기부; 상기 탈자기부를 통과한 상기 소재의 경도를 측정하여 하드 스팟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측정부의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탈자기부와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롤러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측정지지부; 및 상기 측정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크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자기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과한 상기 소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탈자기지지부; 상기 탈자기지지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탈자기가변부; 및 상기 탈자기가변부에 장착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소재의 잔류 자기를 제거하는 탈자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탈자기부를 통과한 상기 소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센서지지부; 상기 센서지지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센서가변부; 및 상기 센서가변부에 장착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소재의 와전류를 검사하는 센서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작동부는 상기 센서가변부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작동막대부; 및 상기 작동막대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소재의 와전류를 선택적으로 검사하는 작동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검사부는 다열 배치되어 상기 소재 전면적을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는: 상기 탈자기부와 상기 센서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는 센서부가 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의 경도를 측정하여 소재의 하드 스팟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는 탈자기부에 의해 소재의 잔류 자기가 제거된 후 센서부의 탐지가 실시되어 검사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는 작동검사부가 다열 배치되어 소재 전면적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는 소재의 종류에 따라 간격조절부가 탈자기부와 센서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작동부가 소재를 검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1)는 롤러부(10)와, 측정부(20)와,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롤러부(10)는 소재(100)를 이송한다. 일 예로, 롤러부(10)는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회전되면서 소재(100)를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측정부(20)는 롤러부(10)를 통해 이송되는 소재(100)의 크기를 측정한다. 일 예로, 측정부(20)는 소재의 x축 및 y축 길이를 측정하고, 소재(100)의 검사 범위를 제어부(50)에 전송할 수 있다.
탈자기부(30)는 롤러부(10)를 통해 이송되는 소재(100)의 잔류 자기를 제거한다. 일 예로, 탈자기부(30)는 측정부(20)를 통과한 소재(100)의 잔류 자기를 제거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탈자기부(30)를 통과한 소재(100)의 경도를 측정하여 하드 스팟 여부를 감지한다. 일 예로, 센서부(40)는 탈자기부(30)를 통과하여 잔류 자기가 제거된 소재(100)를 측정할 수 있으며, 와전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측정부(20)의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측정부(20)가 통과하는 소재(100)의 크기를 측정하여 설정된 검사 범위에 해당되는 소재(100)가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의 하방에 배치되면,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가 순차로 작동되어 소재(100)의 하드 스팟 (hard spot)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는 측정지지부(21)와 측정크기부(22)를 포함한다.
측정지지부(21)는 롤러부(1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측정지지부(21)는 롤러부(10)의 양측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측정지지부(211)와, 제1측정지지부(211)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롤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측정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크기부(22)는 측정지지부(21)에 장착되고, 소재(100)의 크기를 측정한다. 일 예로, 측정크기부(22)는 하방에서 이동되는 소재(100)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측정크기부(221)와, 하방에서 이동되는 소재(100)의 폭을 측정하는 제2측정크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측정크기부(222)는 2D 라인 레이저가 사용되어 소재(100)에 대한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신호를 통해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의 측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기부(30)는 탈자기지지부(31)와, 탈자기가변부(32)와, 탈자기작동부(33)를 포함한다.
탈자기지지부(31)는 측정부(20)를 통과한 소재(10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탈자기지지부(31)는 롤러부(10)의 양측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탈자기지지부(311)와, 제1탈자기지지부(311)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롤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탈자기지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탈자기가변부(32)는 탈자기지지부(31)에 장착되고, 길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탈자기가변부(32)는 제2탈자기지지부(312)에 장착되고,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탈자기작동부(33)는 탈자기가변부(32)에 장착되고, 소재(100)와 근접되어 소재(100)의 잔류 자기를 제거한다. 일 예로, 탈자기작동부(33)는 탈자기가변부(3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소재(100)에 근접 배치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소재(100)의 잔류 자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작동부가 소재를 검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40)는 센서지지부(41)와, 센서가변부(42)와, 센서작동부(43)를 포함한다.
센서지지부(41)는 탈자기부(30)를 통과한 소재(10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센서지지부(41)는 롤러부(10)의 양측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센서지지부(411)와, 제1센서지지부(411)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롤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센서지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가변부(42)는 센서지지부(41)에 장착되고, 길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센서가변부(42)는 제2센서지지부(412)에 장착되고,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센서작동부(43)는 센서가변부(42)에 장착되고, 소재(100)와 근접되어 소재(100)의 와전류를 검사한다. 이러한 센서작동부(43)는 작동막대부(431)와 작동검사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막대부(431)는 센서가변부(42)에 장착되고 소재(10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작동검사부(432)는 작동막대부(4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소재(100)와 근접되어 소재(100)의 와전류를 선택적으로 검사한다.
일 예로, 작동막대부(431)는 센서가변부(4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소재(10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작동막대부(43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작동검사부(432)가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검사부(432)는 소재(100)의 폭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작동검사부(432)는 다열 배치되어 소재(100) 전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검사부(432)는 작동막대부(43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검사몸체부(4321)와, 검사몸체부(4321)에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영역에 해당되는 검사측정부(4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사측정부(4322)의 가장자리와 검사몸체부(4321)의 가장자리는 이격되므로, 복수개의 작동검사부(432)가 연이어 배치되더라도 소재(100)의 전면적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러나, 작동검사부(432)가 2열 배치되는 경우, 1열에서 소재(100)의 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분이 2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소재(100)의 전범위에 대한 측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1)는 간격조절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60)는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일 예로,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 중 어느 하나는 소재(100)의 상방에서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간격조절부(60)는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 중 어느 하나를 수평 이동시켜 이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소재(100)의 종류에 따라 잔류 자기 제거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잔류 자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소재(100)의 와전류 검사를 비접촉식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러부(10)를 통해 소재(100)는 지속적으로 이동되고, 측정부(20)는 이동되는 소재(100)의 크기를 측정하여 제어부(50)에 측정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소재(100)가 검사 대상 크기에 도달하면, 제어부(50)의 제어로 탈자기부(30)는 소재(100)의 잔류 자기를 제거하고, 센서부(40)는 비접촉식 와전류 검사를 통해 소재(100)의 하드 스팟 여부를 탐지한다.
한편, 측정부(20)는 소재(100)의 두께 측정이 가능하고, 소재(100)의 두께에 따라 제어부(50)의 제어로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의 작동 높이가 조절된다.
센서부(40)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는 제어부(50)를 통해 영상화되어 작업자에게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하드 스팟이 감지된 경우 별도의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1)는 센서부(40)가 롤러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100)의 경도를 측정하여 소재(100)의 하드 스팟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1)는 탈자기부(30)에 의해 소재(100)의 잔류 자기가 제거된 후 센서부(40)의 탐지가 실시되어 검사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1)는 작동검사부(432)가 다열 배치되어 소재(100) 전면적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검사장치(1)는 소재(100)의 종류에 따라 간격조절부(60)가 탈자기부(30)와 센서부(4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롤러부 20 : 측정부
21 : 측정지지부 22 : 측정크기부
30 : 탈자기부 31 : 탈자기지지부
32 : 탈자기가변부 33 : 탈자기작동부
40 : 센서부 41 : 센서지지부
42 : 센서가변부 43 : 센서작동부
50 : 제어부 60 : 간격조절부

Claims (7)

  1. 소재를 이송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잔류 자기를 제거하는 탈자기부;
    상기 탈자기부를 통과한 상기 소재의 경도를 측정하여 하드 스팟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측정부의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탈자기부와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롤러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측정지지부; 및
    상기 측정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크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자기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과한 상기 소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탈자기지지부;
    상기 탈자기지지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탈자기가변부; 및
    상기 탈자기가변부에 장착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소재의 잔류 자기를 제거하는 탈자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탈자기부를 통과한 상기 소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센서지지부;
    상기 센서지지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센서가변부; 및
    상기 센서가변부에 장착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소재의 와전류를 검사하는 센서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검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작동부는
    상기 센서가변부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작동막대부; 및
    상기 작동막대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소재의 와전류를 선택적으로 검사하는 작동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검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검사부는 다열 배치되어 상기 소재 전면적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검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자기부와 상기 센서부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검사장치.
KR1020180147177A 2018-11-26 2018-11-26 소재 검사장치 KR10212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77A KR102122666B1 (ko) 2018-11-26 2018-11-26 소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77A KR102122666B1 (ko) 2018-11-26 2018-11-26 소재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39A true KR20200061639A (ko) 2020-06-03
KR102122666B1 KR102122666B1 (ko) 2020-06-12

Family

ID=7108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77A KR102122666B1 (ko) 2018-11-26 2018-11-26 소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2036A (zh) * 2020-07-27 2020-11-24 安徽地平线建筑设计事务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生产的板材质量检测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251A (ja) * 1985-05-17 1986-11-22 Hitachi Metals Ltd 渦流探傷方法及び装置
JPH064663U (ja) * 1992-06-23 1994-01-21 愛知製鋼株式会社 棒鋼材の残留磁気検出装置
KR20100132740A (ko) * 2009-06-10 2010-12-20 송우곤 베어링 내·외륜 열처리경도 및 치수검사장치
JP2011257223A (ja) * 2010-06-08 2011-12-22 Ntn Corp 焼入れ品質検査装置
KR20130074962A (ko) *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휜 강선의 결함 탐상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001310A (ko) * 2013-06-27 2015-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결함 탐상장치
KR20180138035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검사대상물의 이동경로 상에 다중 검사영역이 적용된 연속생산 공정의 이물질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251A (ja) * 1985-05-17 1986-11-22 Hitachi Metals Ltd 渦流探傷方法及び装置
JPH064663U (ja) * 1992-06-23 1994-01-21 愛知製鋼株式会社 棒鋼材の残留磁気検出装置
KR20100132740A (ko) * 2009-06-10 2010-12-20 송우곤 베어링 내·외륜 열처리경도 및 치수검사장치
JP2011257223A (ja) * 2010-06-08 2011-12-22 Ntn Corp 焼入れ品質検査装置
KR20130074962A (ko) *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휜 강선의 결함 탐상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001310A (ko) * 2013-06-27 2015-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결함 탐상장치
KR20180138035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검사대상물의 이동경로 상에 다중 검사영역이 적용된 연속생산 공정의 이물질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2036A (zh) * 2020-07-27 2020-11-24 安徽地平线建筑设计事务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生产的板材质量检测装置
CN111982036B (zh) * 2020-07-27 2023-12-26 安徽地平线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生产的板材质量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666B1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0146B1 (en) Sensor head for ACFM based crack detection
JP5036714B2 (ja) 研削盤のための独立測定装置
US8552718B2 (en) Method for the nondestructive testing of pipes
EP2574912B1 (en) Arrangement for crack detection in metallic materials
JP5263178B2 (ja) 軌道用鋼製レールの非破壊検査方法
US41264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blanks, in particular steel slabs, which at least in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have substantially no defects
SE8303874L (sv) Apparat for detektering av sprickor
US5551906A (en) Caliper assembly for grinder
KR102122666B1 (ko) 소재 검사장치
KR101175384B1 (ko) 회로 패턴 검사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RU134132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рельсов
CN209372045U (zh) 用于镀锡板表面粗糙度检测装置
US20230258598A1 (en) Sensitivity calibration method, inspection device, and magnetic sensor group
KR101867704B1 (ko) 초음파 탐상 장치
US10619995B2 (en) Dimens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JPH10288605A (ja) 磁気探傷装置及び方法
JPH0628690Y2 (ja) 金属板の欠陥検出装置
CN104034793A (zh) 一种臂架再制造毛坯的磁记忆探头检测装置及方法
JP3573054B2 (ja) 幅長さ計のオンライン測定精度検査方法
JP3656181B2 (ja) 超音波探触子の校正方法及び超音波探傷装置
JPS618610A (ja) 鋼板表面検査装置
KR101246061B1 (ko) 철도차량 차축 손상 검출 장치
KR20150062623A (ko) 롤 결함 탐상 장치
JP3950372B2 (ja) 鋼帯の耳割れ検出方法及び装置
JP5011056B2 (ja) 渦流検査プローブ及び渦流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