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893A - 얼음저장고 - Google Patents
얼음저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6893A KR20170136893A KR1020160069021A KR20160069021A KR20170136893A KR 20170136893 A KR20170136893 A KR 20170136893A KR 1020160069021 A KR1020160069021 A KR 1020160069021A KR 20160069021 A KR20160069021 A KR 20160069021A KR 20170136893 A KR20170136893 A KR 201701368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crushing
- conveying
- discharge port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fectione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얼음저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경우에 따라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이송분쇄부; 및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분쇄부는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는 얼음이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 사이에 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경우에 따라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이송분쇄부; 및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분쇄부는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는 얼음이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 사이에 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얼음을 저장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얼음저장고는 제빙부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공급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얼음저장고는 냉장고 또는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되며, 냉장고 또는 얼음정수기에 구비된 제빙부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얼음저장고에는 저장된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여 얼음이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부재가 구비된다.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은 가공 없이 그대로, 예컨대 미분쇄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도 하나, 근래에는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분쇄하여 분쇄얼음으로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도 한다.
얼음을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얼음저장고에는 전술한 이송부재 이외에도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이 분쇄부재에 의해서 분쇄된다.
종래의 얼음저장고에는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이 이송부재와 분쇄부재 사이에 끼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송부재와 분쇄부재 사이에 얼음이 끼면, 얼음의 이송과 분쇄를 위해서, 이송부재와 분쇄부재를 각각 또는 함께, 예컨대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등의 작동에 많은 부하가 걸리거나, 작동이 멈추거나, 회전수단이 파손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얼음의 이송과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중지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얼음의 이송과 분쇄가 중지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이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 사이에 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되지 못하고 남는 얼음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저장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경우에 따라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이송분쇄부; 및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분쇄부는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는 얼음이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 사이에 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이 상기 분쇄부재에 의해서 분쇄되도록, 상기 분쇄부재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재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이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에는 이송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날개의 상기 토출구 측 단부에는 상기 분쇄부재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얼음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구부러질 수 있는 탄성변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날개는 상기 이송부재의 상기 토출구 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이송날개의 상기 토출구 측 단부가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소정 길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날개는 나선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부재는 회전하는 회전분쇄부재와, 상기 회전분쇄부재와 함께 얼음을 분쇄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분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분쇄부재는 상기 저장고본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분쇄부재 중 상기 이송부재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최외측 고정분쇄부재는 상기 이송부재와의 사이에 얼음이 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외측 고정분쇄부재 이외의 고정분쇄부재에는 얼음을 분쇄하는 고정분쇄날과, 상기 고정분쇄날에 의한 얼음의 분쇄시 얼음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최외측 고정분쇄부재에는 고정분쇄날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분쇄날은 상기 고정분쇄부재의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분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분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분쇄날 다음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분쇄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외측 고정분쇄부재의 중앙부는 다른 고정분쇄부재의 중앙부보다 높이가 낮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분쇄부재는 분쇄회전수단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분쇄부재는 복수개의 상기 고정분쇄부재 사이를 각각 통과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분쇄회전수단에 포함되는 분쇄회전축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분쇄부재에는 상기 고정분쇄날과 함께 얼음을 분쇄하는 회전분쇄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분쇄날은 상기 회전분쇄부재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회전분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이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 사이에 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의 이송과 분쇄가 중지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되지 못하고 남는 얼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이송분쇄부의 이송부재와 분쇄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도어부의 제1도어와 제1도어이동부재 및 도어이동부재 선회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5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에서 이송된 얼음이 분쇄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이송분쇄부의 이송부재와 분쇄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도어부의 제1도어와 제1도어이동부재 및 도어이동부재 선회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5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에서 이송된 얼음이 분쇄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저장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이송분쇄부의 이송부재와 분쇄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도어부의 제1도어와 제1도어이동부재 및 도어이동부재 선회수단의 분해사시도이며,도5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5와 같은 단면도이다.
또한,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에서 이송된 얼음이 분쇄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는 도2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200), 이송분쇄부(300) 및, 도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본체
저장고본체(200)에는 저장공간(S1)과 토출구(E)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에는 얼음(I)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공간(S1)은 도1과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공간(S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얼음(I)이 저장공간(S1)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S1) 위에 얼음(I)을 만드는 제빙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부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자중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I)이 저장공간(S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공간(S1)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에 얼음(I)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제빙부로부터 저장공간(S1)으로 얼음(I)이 이동하도록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의 하면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E) 측이 높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저장공간(S1)의 얼음(I)은 이송분쇄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만약, 저장공간(S1)의 하면이 토출구(E) 측이 높도록 경사지지 않는다면, 저장공간(S1)에서 얼음(I)이 토출구(E) 측에 몰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 측에 얼음(I)이 몰리면, 토출구(E)를 통한 얼음(I)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얼음(I)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녹아 얼음(I)이 서로 붙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의 하면이 토출구(E) 측이 높도록 경사지면, 토출구(E) 측에 소정 양 이상의 얼음(I)이 몰리는 경우, 일부 얼음(I)이 토출구(E) 반대측으로 자중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이 토출구(E) 측에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E)를 통한 얼음(I)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얼음(I)이 서로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를 통해서 얼음(I)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전술한 저장공간(S1)과 토출구(E) 이외에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과 토출구(E)를 연결하는 배출이동공간(S2)도 형성될 수 있다. 배출이동공간(S2)을 통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Ia) 또는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b)이 저장공간(S1)으로부터 토출구(E)로 이동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도1과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과 배출이동공간(S2)이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구멍(H)도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멍(H)을 통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에서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되었으나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Ia) 또는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b)이 배출이동공간(S2)에 유입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에는 드레인공간(S3)도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공간(S3)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이동공간(S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드레인공간(S3)에는 얼음(I)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얼음(I)이 녹은 물이 연통구멍(H)과 배출이동공간(S2)을 통해 드레인공간(S3)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공간(S3)에는 드레인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는 드레인구(TD)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공간(S3)에 저장된 얼음(I)이 녹은 물은 드레인구(TD)를 통해 드레인라인에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고본체(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재(210)와 제1보조부재(220) 및 제2보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부재(210)는 저장공간(S1)과 연통구멍(H)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부재(220)는 메인부재(210)에 연결되어 토출구(E)와 배출이동공간(S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보조부재(230)는 메인부재(210)와 제1보조부재(220)에 연결되어 배출이동공간(S2)과 드레인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고본체(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장공간(S1)이나 토출구(E), 배출이동공간(S2) 또는 드레인공간(S3)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저장고본체(200)에는 저장공간(S1)과 외부와의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도1과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열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에는 소음이 방지되도록 하는 소음방지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분쇄부
이송분쇄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분쇄부(300)는 저장공간(S1)의 얼음(I)을 토출구(E)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분쇄부(300)는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된 얼음(I)을 경우에 따라 분쇄할 수 있다.
이송분쇄부(3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10)와 분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와 분쇄부재(320)는 얼음(I)이 이송되면서 이송부재(310)와 분쇄부재(320) 사이에 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I)의 이송을 위해서, 예컨대 이송부재(310)를 회전시키는 후술할 이송회전수단(330)이나, 얼음(I)의 분쇄를 위해서, 예컨대 분쇄부재(320)에 포함되는 후술할 회전분쇄부재(321)를 회전시키는 후술할 분쇄회전수단(340)의 작동에 많은 부하가 걸리거나, 작동이 멈추거나, 이송회전수단(330)이나 분쇄회전수단(340)이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얼음(I)의 이송과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부재(310)는 얼음(I)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는 회전하여 저장공간(S1)의 얼음(I)이 토출구(E)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에는 이송날개(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날개(311)는 도2와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송날개(3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을 이송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송날개(311)는 이송부재(310)의 토출구(E) 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310)와 이송날개(311)의 토출구(E) 측 단부 사이에는 간극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저장공간(S1)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이송부재(310)와 이송날개(311)의 토출구(E) 측 단부 사이의 간극으로 빠져서 되돌아가지 않고, 이송부재(310)의 토출구(E) 측 단부까지 이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되지 못하고 저장공간(S1)에 남는 얼음(I)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송날개(311)의 토출구(E) 측 단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311a)는 분쇄부재(320)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얼음(I)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I)이 이송부재(310)와 분쇄부재(320) 사이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탄성변형부(311a)가 얼음(I)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구부러지기 때문에, 얼음(I)이 이송부재(310)와 분쇄부재(320) 사이에 끼지 않을 수 있다.
탄성변형부(311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날개(311)의 토출구(E) 측 단부가 이송부재(310)로부터 소정 길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변형부(311a)가 형성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구부러질 수 있다면 비교적 탄성변형이 잘 이루어지는 소재로 구성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송부재(310)는 모터나 기어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는 이송회전수단(33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회전수단(33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E) 반대측의 저장고본체(200)의 부분에 이송부재(3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쇄부재(320)는 얼음(I)을 분쇄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I)이 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되도록, 분쇄부재(3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 방향으로 이송부재(31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분쇄부재(320)는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부재(320)는 도어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1도어(410)에 의해서 개폐되지 않는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구멍(H)의 부분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분쇄부재(320)까지 이송되지 못한 얼음(I)은 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되지 못하여 미분쇄얼음(Ia)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미분쇄얼음(Ia)으로 연통구멍(H)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분쇄부재(320)까지 이송된 얼음(I)은 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되어 분쇄얼음(Ib)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얼음(Ib)으로 연통구멍(H)을 통과할 수 있다.
분쇄부재(320)는 회전분쇄부재(321)와 고정분쇄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분쇄부재(321)는 얼음(I)의 분쇄를 위해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분쇄부재(321)는 모터나 기어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는 분쇄회전수단(340)에 포함되는 분쇄회전축(341)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회전수단(34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E) 측의 저장고본체(2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분쇄부재(321)는 얼음(I)이 분쇄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부재(320)에 의한 얼음(I)의 분쇄시 분쇄위치로부터 이탈된 얼음(I)이 얼음(I)의 이송이나 분쇄를 방해하거나, 얼음저장고(100)를 파손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얼음(I)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분쇄부재(321)는 복수개가 분쇄회전수단(340)에 포함되는 분쇄회전축(341)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분쇄부재(321)는 도3과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3개일 수 있다. 그러나, 회전분쇄부재(32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 중 일부의 회전분쇄부재(321')는 다른 회전분쇄부재(321)와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일부의 회전분쇄부재(321')는 다른 회전분쇄부재(321)보다 분쇄회전축(341)의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앞설 수 있다.
예컨대, 도3과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 중 적어도 토출구(E)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최외측 회전분쇄부재(321')가 다른 회전분쇄부재(321)보다 분쇄회전축(341)의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앞설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회전분쇄부재(321,321') 위의 분쇄위치로 이송된 얼음(I)은 도9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 회전분쇄부재(321')에 의해서 다른 곳, 예컨대 이송부재(310) 쪽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얼음(I)은 회전분쇄부재(321,321')의 회전에 따라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분쇄부재(321,321')와 함께 회전하면서 분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I)이 최외측 회전분쇄부재(321')에 의해서 분쇄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분쇄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부재(320)에 의한 이송된 얼음(I)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의 회전분쇄부재(321')가 다른 회전분쇄부재(321)보다 분쇄회전축(341)의 회전방향으로 앞서는 소정 각도는, 예컨대 5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일부의 회전분쇄부재(321')가 다른 회전분쇄부재(321)보다 분쇄회전축(341)의 회전방향으로 앞서는 소정 각도가 5도 미만이면, 일부의 회전분쇄부재(321'), 예컨대 최외측 회전분쇄부재(321')가 얼음(I)이 회전분쇄부재(321,321') 위의 분쇄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부의 회전분쇄부재(321')가 다른 회전분쇄부재(321)보다 분쇄회전축(341)의 회전방향으로 앞서는 소정 각도가 30도를 초과하면, 얼음(I)이 일부의 회전부재(321')와 다른 회전분쇄부재(321) 사이를 통과하여 회전분쇄부재(321,321') 위의 분쇄위치로부터 이탈하거나, 회전분쇄부재(321,321')가 얼음(I)이 분쇄위치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일부의 회전부재(321'), 예컨대 최외측 회전분쇄부재(321')가 얼음(I)이 회전분쇄부재(321,321') 위의 분쇄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얼음(I)이 회전분쇄부재(321,321') 위의 분쇄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부의 회전분쇄부재(321')가 다른 회전분쇄부재(321)보다 분쇄회전축(341)의 회전방향으로 앞서는 소정 각도는 5도 내지 30도가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는 분쇄회전축(34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회전수단(340)의 분쇄회전축(341)은 축연결부재(MCE)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 사이에는 간극부재(MG)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축연결부재(MCE)가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와 간극부재(MC)에 각각 형성된 연결구멍(HC)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가 소정 간격으로 분쇄회전수단(340)의 분쇄회전축(34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가 소정 간격으로 분쇄회전수단(340)의 분쇄회전축(34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는 복수개의 후술할 고정분쇄부재(322) 사이를 각각 통과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부재(320)까지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I)은 분쇄회전수단(340)에 의한 회전분쇄부재(321)의 회전과 고정분쇄부재(322)에 의해서 분쇄될 수 있다.
회전분쇄부재(321,321')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분쇄부재(322)에 형성되는 후술할 고정분쇄날(322a)과 함께 얼음(I)을 분쇄하는 회전분쇄날(321a,321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분쇄날(321a,321a')은 회전분쇄부재(321,321')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로부터 각각 회전분쇄부재(321,32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분쇄날(321a,321a')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을 분쇄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과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고정분쇄부재(322)는 회전분쇄부재(321)와 함께 얼음(I)을 분쇄하도록 저장고본체(200)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분쇄부재(322)는 저장고본체(2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구멍(H)의 양측에 각각 고정부재(MF)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MF)에는 소정 간격으로 고정구멍(HF)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분쇄부재(322) 각각의 일측과 타측이 고정부재(MF)의 고정구멍(HF)에 끼워지는 것으로, 복수개의 고정분쇄부재(322)가 저장고본체(2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고정분쇄부재(322)가 저장고본체(20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고정분쇄부재(322) 중 이송부재(310)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는 이송부재(310)와의 사이에 얼음(I)이 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 이외의 고정분쇄부재(322)에는 얼음(I)을 분쇄하는 고정분쇄날(322a)과, 고정분쇄날(322a)에 의한 얼음(I)의 분쇄시 얼음(I)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에는 고정분쇄날(322a')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예컨대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의 중앙부는 다른 고정분쇄부재(322)의 중앙부보다 높이가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에는 이탈방지부(322b)가 형성되지 않고 고정분쇄날(322a')만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송부재(310)와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 사이에는 얼음(I) 보다 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I)이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와 이송부재(310) 사이에 위치된다고 하더라도, 얼음(I)이 이송부재(310)와 최외측 고정분쇄부재(322') 사이에 끼지 않을 수 있다.
고정분쇄날(322a,322a')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분쇄부재(322,322')의 일측단부로부터 고정분쇄부재(322,3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분쇄날(322a,322a')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을 분쇄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과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탈방지부(322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분쇄부재(3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분쇄날(322a) 다음에 형성되고 고정분쇄날(322a) 보다 클 수 있다.
이탈방지부(322b)의 형상과 구성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의 분쇄시 얼음(I)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 및 고정분쇄날(322a) 보다 큰 크기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 및 크기라도 가능하다.
한편, 이송부재(310)와 회전분쇄부재(321)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분쇄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부재(310)만이 이송회전수단(330)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분쇄되는 경우에는, 이송부재(310)와 회전분쇄부재(321)가 이송회전수단(330)과 분쇄회전수단(340)에 의해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이송부재(310)와, 복수개의 회전분쇄부재(321)가 연결되는 분쇄회전수단(340)의 분쇄회전축(341)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부재(310)와 분쇄회전축(341)은 독립회전연결부(35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독립회전연결부(3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독립회전연결부재(351)와 제2독립회전연결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독립회전연결부재(351)는 이송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독립회전연결부재(351)에 형성된 끼워맞춤연결부(351a)가 이송부재(310)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독립회전연결부재(352)는 분쇄회전수단(340)의 분쇄회전축(341)이 연결되는 전술한 축연결부재(MCE)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축연결부재(MCE)의 단부가 제2독립회전연결부재(352)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독립회전연결부재(352)에는 원뿔대 형상의 독립회전부(35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독립회전연결부재(352)의 독립회전부(352a)는 제1독립회전연결부재(351)에 형성된 독립회전공간(도시되지 않음)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부재(310)와 분쇄회전축(341)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송부재(310)와 분쇄회전축(341)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이송분쇄부(300)는 이송부재(310)가 분쇄회전수단(340)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며 회전분쇄부재(321)가 이송부재(310)의 연장된 부분에 구비되어, 분쇄회전수단(340)에 의해서 회전분쇄부재(321)와 이송부재(310)가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송회전수단(330)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어부
도어부(400)는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Ia) 또는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b)으로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부(400)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410)와 제1도어이동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410)는 얼음(I)이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으로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에서 토출구(E)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도어이동부재(420)는 제1도어(410)가 가이드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이동부재(420)는 제1도어(410)가 각 가이드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도어(410)가 제1도어이동부재(420)에 의해서 각 가이드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도어(410)에 각 가이드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도록 하는 힘 이외의 외력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제1도어(410)가 각 가이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얼음(I)이 제1도어(410)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으로 제대로 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얼음(I)이 제대로 분쇄되지 않은 채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도어(410)는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가이드위치와,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도록 가이드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가이드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어이동부재(420)가 제1도어(410)에 연결되어, 제1도어(410)가 제1,2가이드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면서 제1도어(410)가 제1,2가이드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어이동부재(420)는 제1,2가이드위치에 대응되는 제1,2선회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제1도어(410)에는 이동가이드구멍(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구멍(411)은 장공일 수 있다. 제1도어(410)의 이동가이드구멍(411)에는 제1도어이동부재(420)에 형성된 이동가이드돌기(421)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이동부재(420)가 제1,2선회위치사이에서 선회되면, 제1도어이동부재(420)의 이동가이드돌기(421)가 제1도어(410)의 이동가이드구멍(411)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제1도어(410)가 제1,2가이드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또한, 제1선회위치에서 제1도어이동부재(420)의 이동가이드돌기(421)는 제1도어(410)의 이동가이드구멍(411)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고, 제2선회위치에서 제1도어이동부재(420)의 이동가이드돌기(421)는 제1도어(410)의 이동가이드구멍(41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위치로 선회된 제1도어(410)가 제1가이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제2가이드위치로 선회된 제1도어(410)가 제2가이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제1도어(410)에는 걸림홈(4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412)에 의해서 제1도어(410)가 제1가이드위치에서 제1도어이동부재(420)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제1가이드위치로 선회된 제1도어(410)가 제1가이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제1도어(410)와 제1도어이동부재(420)는 저장공간(S1)과 토출구(E)를 연결하도록 저장고본체(200)에 형성된 배출이동공간(S2)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도어이동부재(420)의 전술한 이동가이드돌기(421)와, 배출이동공간(S2)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제1도어이동부재(420)에 형성된 선회축(422)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제1가이드위치로 선회된 제1도어(410)가 제1가이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제2가이드위치로 선회된 제1도어(410)가 제2가이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제1도어이동부재(420)에 의해서 제1가이드위치로 선회된 제1도어(41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의 분쇄부재(320)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은 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도어이동부재(420)에 의해서 제2가이드위치로 선회된 제1도어(4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의 분쇄부재(320)까지 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은 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될 수 있다.
제1도어(410)는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분쇄부(300)의 전술한 분쇄부재(320)는 제1도어(410)에 의해서 개폐되지 않은 연통구멍(H)의 다른 부분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도어(410)가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여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I)이 제1도어(410)에 의해서 이송분쇄부(300)의 분쇄부재(320)까지 이송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얼음(I)은 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Ia)으로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구멍(H)을 통과한다. 이와 같이 연통구멍(H)을 통과한 미분쇄얼음(Ia)은 제1도어(410)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로 이동된다.
또한, 제1도어(410)가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닫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가이드위치에서는 얼음(I)이 제1도어(410)에 의해서 분쇄부재(320)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얼음(I)은 분쇄부재(320)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얼음(Ib)으로 연통구멍(H)을 통과한다. 이와 같이 연통구멍(H)을 통과한 분쇄얼음(Ib)은 제1도어(410)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로 이동된다.
이 경우, 제1도어(410)는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구멍(H)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개폐면(413)과,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이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4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이동가드구멍(411)은 가이드면(41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410)의 개폐면(413)의 단면형상은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의 하면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S1)의 하면의 단면형상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인 경우, 제1도어(410)의 개폐면(413)의 단면형상도 아래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도어(410)의 개폐면(413)에 의한 얼음(I)의 분쇄부재(320)까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도어(410)의 가이드면(414)의 단면형상은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의 토출구(E)까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면(414)의 단면형상도 저장고본체(200)의 저장공간(S1)의 하면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도어(410)의 가이드면(414)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의 토출구(E)까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도어(410)의 가이드면(414)은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가이드위치에서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 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면(414)에 의한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의 토출구(E)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어(410)는 하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도어(410)의 개폐면(413)은 제1도어(410)의 상면을 이루고, 제1도어(410)의 가이드면(414)은 제1도어(410)의 일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제1도어(410)의 선회중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도어(410)의 어떠한 부분도 선회중심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도어이동부재(420)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도어이동부재 선회수단(440)에 연결되어 선회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도어이동부재(420)에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선회될 수도 있다.
도어부(400)는 제2도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어(430)는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를 개폐할 수 있다.
제2도어(430)가 토출구(E)를 닫으면, 제1도어(410)에 의해서 토출구(E)까지 이동한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이 토출구(E)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2도어(430)가 토출구(E)를 개방하면, 제1도어(410)에 의해서 토출구(E)까지 이동한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얼음(Ib)이 토출구(E)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제2도어(430)는 토출구(E)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토출구(E)를 열 수 있다.
또한, 제2도어(430)가 토출구(E)를 닫은 상태에서, 제2도어(430)는 토출구(E)에 형성된 멈춤턱(JS)에 닿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도어(430)가 토출구(E) 안쪽으로 선회하여 사용자의 손이 저장고본체(200)의 배출이동공간(S2)과 연통구멍(H)을 통해 분쇄부재(320), 즉 분쇄부재(320)의 회전분쇄부재(3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도어(430)가 토출구(E) 안쪽으로 선회하여 열리는 구조의 경우에는, 토출구(E)를 통한 얼음(I)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작동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2도어(430)가 열려 사용자의 손이 분쇄부재(320)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2도어(430)가 토출구(E) 바깥쪽으로 선회하여 토출구(E)를 열고 제2도어(430)가 토출구(E) 안쪽으로 선회하는 것이 방지되면, 사용자의 손이 회전분쇄부재(321)에 의해서 상처를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430)는 토출구(E)를 닫았을 때 저장고본체(200)의 드레인공간(S3) 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고본체(200)의 연통구멍(H)을 통해 제2도어(430) 또는 제1도어(410)를 따라 흐르는 얼음(I)이 녹은 물이 드레인공간(S3)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이 녹은 물이 저장고본체(200)의 토출구(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도어(430)는 상부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도어(430)의 선회중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도어(430)의 어떠한 부분도 선회중심이 될 수 있다.
제2도어(430)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제2도어 선회수단(450)에 연결되어 선회될 수 있다.
도어부(4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이 이송분쇄부(300)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Ia)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Ib)으로 토출구(E)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하나의 도어만을 포함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이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 사이에 끼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얼음의 이송과 분쇄가 중지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되지 못하고 남는 얼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저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얼음저장고 200 : 저장고본체
210 : 메인부재 220 : 제1보조부재
230 : 제2보조부재 240 : 단열부재
250 : 소음방지부재 300 : 이송분쇄부
310 : 이송부재 311 : 이송날개
311a : 탄성변형부 320 : 분쇄부재
321 : 회전분쇄부재 321' : 최외측 회전분쇄부재
321a,321a' : 회전분쇄날 322 : 고정분쇄부재
322' : 최외측 고정분쇄부재 322a, 322a' : 고정분쇄날
322b : 이탈방지부 330 : 이송회전수단
340 : 분쇄회전수단 341 : 분쇄회전축
350 : 독립회전연결부 351 : 제1독립회전연결부재
351a : 끼워맞춤연결부 352 : 제2독립회전연결부재
352a : 독립회전부 400 : 도어부
410 : 제1도어 411 : 이동가이드구멍
412 : 걸림홈 413 : 개폐면
414 : 가이드면 420 : 제1도어이동부재
421 : 이동가이드돌기 422 : 선회축
430 : 제2도어 440 : 도어이동부재 선회수단
450 : 제2도어 선회수단 I : 얼음
Ia : 미분쇄얼음 Ib : 분쇄얼음
S1 : 저장공간 S2 : 배출이동공간
S3 : 드레인공간 TD : 드레인구
E : 토출구 H : 연통구멍
MF : 고정부재 HF : 고정구멍
MCE : 축연결부재 MG : 간극부재
HC : 연결구멍 JS : 멈춤턱
210 : 메인부재 220 : 제1보조부재
230 : 제2보조부재 240 : 단열부재
250 : 소음방지부재 300 : 이송분쇄부
310 : 이송부재 311 : 이송날개
311a : 탄성변형부 320 : 분쇄부재
321 : 회전분쇄부재 321' : 최외측 회전분쇄부재
321a,321a' : 회전분쇄날 322 : 고정분쇄부재
322' : 최외측 고정분쇄부재 322a, 322a' : 고정분쇄날
322b : 이탈방지부 330 : 이송회전수단
340 : 분쇄회전수단 341 : 분쇄회전축
350 : 독립회전연결부 351 : 제1독립회전연결부재
351a : 끼워맞춤연결부 352 : 제2독립회전연결부재
352a : 독립회전부 400 : 도어부
410 : 제1도어 411 : 이동가이드구멍
412 : 걸림홈 413 : 개폐면
414 : 가이드면 420 : 제1도어이동부재
421 : 이동가이드돌기 422 : 선회축
430 : 제2도어 440 : 도어이동부재 선회수단
450 : 제2도어 선회수단 I : 얼음
Ia : 미분쇄얼음 Ib : 분쇄얼음
S1 : 저장공간 S2 : 배출이동공간
S3 : 드레인공간 TD : 드레인구
E : 토출구 H : 연통구멍
MF : 고정부재 HF : 고정구멍
MCE : 축연결부재 MG : 간극부재
HC : 연결구멍 JS : 멈춤턱
Claims (19)
-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고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하며, 경우에 따라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이송분쇄부; 및
얼음이 상기 이송분쇄부에 의해서 분쇄되지 않은 미분쇄얼음 또는 분쇄된 분쇄얼음으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분쇄부는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는 얼음이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부재와 분쇄부재 사이에 끼지 않도록 구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된 얼음이 상기 분쇄부재에 의해서 분쇄되도록, 상기 분쇄부재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재 다음에 위치하는 얼음저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얼음이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얼음저장고.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에는 이송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날개의 상기 토출구 측 단부에는 상기 분쇄부재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얼음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구부러질 수 있는 탄성변형부가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날개는 상기 이송부재의 상기 토출구 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얼음저장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이송날개의 상기 토출구 측 단부가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소정 길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날개는 나선형상인 얼음저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재는
회전하는 회전분쇄부재와,
상기 회전분쇄부재와 함께 얼음을 분쇄하도록 상기 저장고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분쇄부재를 포함하는 얼음저장고.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쇄부재는 상기 저장고본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되는 얼음저장고.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분쇄부재 중 상기 이송부재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최외측 고정분쇄부재는 상기 이송부재와의 사이에 얼음이 끼지 않도록 구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고정분쇄부재 이외의 고정분쇄부재에는 얼음을 분쇄하는 고정분쇄날과, 상기 고정분쇄날에 의한 얼음의 분쇄시 얼음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최외측 고정분쇄부재에는 고정분쇄날만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쇄날은 상기 고정분쇄부재의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분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차례로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분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분쇄날 다음에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분쇄날 보다 큰 얼음저장고.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고정분쇄부재의 중앙부는 다른 고정분쇄부재의 중앙부보다 높이가 낮은 얼음저장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쇄부재는 분쇄회전수단에 의해서 회전하는 얼음저장고.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쇄부재는 복수개의 상기 고정분쇄부재 사이를 각각 통과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분쇄회전수단에 포함되는 분쇄회전축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결되는 얼음저장고.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쇄부재에는 상기 고정분쇄날과 함께 얼음을 분쇄하는 회전분쇄날이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쇄날은 상기 회전분쇄부재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회전분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차례로 형성되는 얼음저장고.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9021A KR102568701B1 (ko) | 2016-06-02 | 2016-06-02 | 얼음저장고 |
CN201780032812.6A CN109312972B (zh) | 2016-06-02 | 2017-06-01 | 储冰器 |
US16/305,662 US10982894B2 (en) | 2016-06-02 | 2017-06-01 | Ice storage |
PCT/KR2017/005744 WO2017209543A1 (ko) | 2016-06-02 | 2017-06-01 | 얼음저장고 |
EP17807036.3A EP3467407B1 (en) | 2016-06-02 | 2017-06-01 | Ice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9021A KR102568701B1 (ko) | 2016-06-02 | 2016-06-02 | 얼음저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6893A true KR20170136893A (ko) | 2017-12-12 |
KR102568701B1 KR102568701B1 (ko) | 2023-08-21 |
Family
ID=6047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9021A KR102568701B1 (ko) | 2016-06-02 | 2016-06-02 | 얼음저장고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982894B2 (ko) |
EP (1) | EP3467407B1 (ko) |
KR (1) | KR102568701B1 (ko) |
CN (1) | CN109312972B (ko) |
WO (1) | WO20172095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28688B (zh) | 2018-06-19 | 2020-02-07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储冰盒以及具有其的冰箱 |
CN113631877B (zh) * | 2019-04-17 | 2022-10-28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制冰系统及制冷设备 |
CN115013895B (zh) * | 2022-06-14 | 2023-05-26 | 河北工程大学 | 一种横向换热冰蓄能换热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55148U (ko) * | 1977-05-13 | 1978-12-06 | ||
KR20050082827A (ko) * | 2004-02-20 | 2005-08-24 | 주식회사 대창 | 얼음 분쇄 및 마쇄기용 공급장치 |
KR20080014553A (ko) * | 2006-08-11 | 2008-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0820816B1 (ko) * | 2006-10-24 | 2008-04-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KR101415760B1 (ko) * | 2007-05-28 | 2014-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얼음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24949A (en) * | 1951-03-10 | 1955-11-29 | Kattis Theodore | Flake ice machine |
US5056688A (en) * | 1990-01-02 | 1991-10-15 | Amana Refrigeration Inc. | Ice cube and crushed ice dispenser |
US6109476A (en) * | 1998-07-30 | 2000-08-29 | Maytag Corporation | Ice dispensing system |
KR100713284B1 (ko) * | 2005-03-25 | 2007-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의 얼음 엉김 방지 구조 |
EP1705438B1 (en) * | 2005-03-25 | 2017-02-22 | LG Electronics Inc. | Ice bank of refrigerator |
KR100710713B1 (ko) | 2005-04-28 | 2007-04-24 | 주식회사 대창 | 냉장고용 얼음 배출 장치 |
JP4195473B2 (ja) | 2005-05-03 | 2008-12-10 | 三星電子株式会社 | 冷蔵庫 |
KR20060115306A (ko) | 2005-05-03 | 2006-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480460B1 (ko) | 2008-06-23 | 2015-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980540B1 (ko) * | 2012-01-06 | 2019-05-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463907B1 (ko) | 2012-10-18 | 2014-11-26 | 정휘동 | 분쇄 얼음 및 미분쇄 얼음을 토출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 |
DE102012223623A1 (de) * | 2012-12-18 | 2014-06-18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Eisstücken |
KR101652213B1 (ko) | 2016-03-31 | 2016-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16
- 2016-06-02 KR KR1020160069021A patent/KR1025687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6-01 WO PCT/KR2017/005744 patent/WO2017209543A1/ko unknown
- 2017-06-01 US US16/305,662 patent/US10982894B2/en active Active
- 2017-06-01 EP EP17807036.3A patent/EP3467407B1/en active Active
- 2017-06-01 CN CN201780032812.6A patent/CN10931297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55148U (ko) * | 1977-05-13 | 1978-12-06 | ||
KR20050082827A (ko) * | 2004-02-20 | 2005-08-24 | 주식회사 대창 | 얼음 분쇄 및 마쇄기용 공급장치 |
KR20080014553A (ko) * | 2006-08-11 | 2008-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0820816B1 (ko) * | 2006-10-24 | 2008-04-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KR101415760B1 (ko) * | 2007-05-28 | 2014-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얼음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982894B2 (en) | 2021-04-20 |
US20200278144A1 (en) | 2020-09-03 |
EP3467407A4 (en) | 2019-05-22 |
EP3467407B1 (en) | 2021-11-24 |
KR102568701B1 (ko) | 2023-08-21 |
WO2017209543A1 (ko) | 2017-12-07 |
CN109312972A (zh) | 2019-02-05 |
CN109312972B (zh) | 2021-09-10 |
EP3467407A1 (en) | 2019-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13960B2 (en) | Ic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EP1707906B1 (en) | Shutter mechanism for open ice bin | |
US8677776B2 (en) |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 |
US7422168B2 (en) | Ice bin of refrigerator | |
CN101573572B (zh) | 包括冰块分配器及对应组件的制冷装置 | |
KR20170136893A (ko) | 얼음저장고 | |
KR101988948B1 (ko) | 얼음저장고 | |
KR20170112212A (ko) | 얼음저장고 | |
KR20170136873A (ko) | 얼음저장고 | |
KR20170138662A (ko) | 얼음저장고 | |
KR20170136755A (ko) | 얼음저장고 | |
KR101177462B1 (ko) |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 |
KR101177439B1 (ko) |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 |
KR20170138665A (ko) | 얼음저장고 | |
KR102475544B1 (ko) | 얼음저장고 | |
KR20170136752A (ko) | 얼음저장고 | |
KR100799997B1 (ko) | 얼음분쇄기와 이를 이용한 얼음공급장치 및 냉장고 | |
KR20170051910A (ko) | 얼음저장고 | |
KR100525416B1 (ko) |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 |
KR20170029070A (ko) | 얼음저장고 | |
KR20110079968A (ko) |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 |
KR100777293B1 (ko) | 얼음 저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 |
KR20060041512A (ko) |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구조 | |
KR100590796B1 (ko) | 복합식 토출관을 구비한 얼음 디스펜서 | |
JPS5937655Y2 (ja) | 自動給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