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221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213B1
KR101652213B1 KR1020160039442A KR20160039442A KR101652213B1 KR 101652213 B1 KR101652213 B1 KR 101652213B1 KR 1020160039442 A KR1020160039442 A KR 1020160039442A KR 20160039442 A KR20160039442 A KR 20160039442A KR 101652213 B1 KR101652213 B1 KR 10165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opening
door
bi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881A (ko
Inventor
이승목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2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의 배면에 아이스 빈과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되고, 아이스 빈의 내부에는 고정 블레이드와 회전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얼음 토출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아이스 빈의 전면 사이에는 얼음 끼임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고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에는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이 포함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빈은, 상기 저장실 내부 또는 냉장고 도어에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아이스 빈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아이스 빈의 두께가 슬림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아이스 빈이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의 두께가 슬림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0):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1);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장착되는 아이스 빈(300);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 배치되는 얼음 토출 부재(400); 상기 도어(11)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토출 부재(400)와 연결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어셈블리(280)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빈(300)은, 전면을 정의하는 전면벽(311); 후면을 정의하고,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밀착되는 후면벽(312); 상기 전면벽(311)의 일 측단과 상기 후면벽(312)의 일 측단을 연결하는 제 1 측벽(313); 상기 전면벽(311)의 타 측단과 상기 후면벽(312)의 타 측단을 연결하는 제 2 측벽(313); 상기 전면벽(311), 후면벽(312), 제 1 측벽(313), 및 제 2 측벽(313)의 상단에 의하여 정의되는 개방부(310); 하면에 형성되는 토출구(510)를 포함하는 토출부(500); 상기 토출부(5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510)의 개도를 제어하는 개폐 부재(600); 상기 개폐 부재(6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회전한 후 상기 개폐 부재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640)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토출부재(400)는, 상기 토출구(510) 내에서 상기 도어(11)의 두께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420); 상기 회전축(42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 각각은 얼음 조각을 수용하는 공간부(411)를 가짐; 및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와 교번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 블레이드(48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 각각은, 상기 회전축(420)이 관통하는 관통홀(415)이 형성된 중심부(412)와, 상기 중심부(41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연장부(413)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연장부(413) 각각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얼음을 가압하는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의 반대 쪽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얼음을 가압하는 제 2 측면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얼음을 분쇄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파쇄부(418), 및 상기 제 2 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16)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얼음을 수용하는 상기 공간부(411)를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지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2 측면부가 얼음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상기 개폐 부재(600)로 전달되고, 상기 가압력은 상기 탄성 부재(640)의 탄성력보다 커서, 상기 토출구(510)의 단면적이 커지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600)가 회전하며,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얼음 끼임 방지부(3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스 빈에서의 얼음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아이스 빈 내부의 얼음이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블레이드에 의해서 이동 및 낙하되므로, 상기 아이스 빈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빈의 두께의 감소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얼음의 분리 방식에 따른 상기 제빙실 내에서의 아이스 빈의 위치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가 슬림해지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추가적으로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바스켓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가 슬림해지면, 상기 냉장고 도어 중에서 상기 저장실로 인입되는 부분의 부피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상기 저장실의 수납 가능한 용적이 커지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에서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아이스 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토출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상기 아이스 빈의 회전 블레이드의 정면도.
도 11은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토출부재와 고정블레이드 및 개폐부재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상기 아이스빈의 내부 정면도.
도 14는 상기 아이스빈의 저면도.
도 15는 상기 아이스빈의 평면도.
도 1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수직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서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분리되기 위하여 아이스 메이커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상기 아이스빈에서 조각 얼음이 토출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상기 아이스빈에서 통 얼음이 토출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1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2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중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11, 14)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기 위한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02)과, 상기 냉장실(102)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104)이 포함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 도어(11, 14)에는, 상기 냉장실(10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11)와, 상기 냉동실(104)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14)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12, 13)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12, 13)에는, 제 1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냉장실 도어(1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3)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4)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15, 16)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15, 16)에는, 제 1 냉동실 도어(15)와, 상기 제 1 냉동실 도어(15)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 2 냉동실 도어(16)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 13)는 회전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냉동실 도어(15, 16)는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7)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일 례로 제 1 냉장실 도어(12)에 상기 디스펜서(17)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에는 얼음을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후술함)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17) 및 제빙 어셈블리는, 제 1 냉장실 도어(12) 또는 제 2 냉장실 도어(13)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7) 및 제빙 어셈블리가 제 1 냉장실 도어(12) 및 제 2 냉장실 도어(13)를 통칭하는 냉장실 도어(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실에서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1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제빙실(ice compartment: 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빙실(120) 내에는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은 제빙실 도어(130)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제빙실 도어(130)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힌지(139)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제빙실(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되기 위한 핸들(14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가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결합부(128)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캐비닛(10)에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12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 공급 덕트(106)와 상기 제빙실(120)로부터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본체 회수 덕트(108)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 및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의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제빙실(120)의 냉기를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로 회수하는 도어 회수 덕트(124)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 및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도어 라이너(110)의 외측벽(113)에서 상기 제빙실(120)을 형성하는 내측벽(114) 까지 연장된다.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상기 냉장실(102)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와 정렬되어 연통되고,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와 정렬되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0)에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를 유동한 냉기를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29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에는 냉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덕트(290)를 유동한 냉기가 최종적으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에 의해서 냉기가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얼음의 신속한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커넥터(125)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커넥터(125)는 상기 제빙실(120)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26)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126)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실(120)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내측벽(114) 하측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개구부(1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의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127)와 연통되는 얼음 덕트(150)가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빙 어셈블리(200)는,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생성된 얼음을 지지하는 아이스 메이커(21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220)과, 상기 구동원(220)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224)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물이 공급될 때,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를 커버하는 커버(230)와, 상기 급수관(126)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24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5)가 구비되는 지지 기구(25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빈(300)과, 상기 아이스 빈(30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기(270)와, 상기 아이스 빈(3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모터 어셈블리(28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와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구동원(220)에 연결되는 전선은 제 2 커넥터(28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넥터(282)는 상기 제 1 커넥터(12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기구(250)에는, 제 1 지지부(252)와, 상기 제 1 지지부(252)와 결합되는 제 2 지지부(26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52)는 상기 제빙실(120)에 안착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52)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252)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에서 토출된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개구(2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252)는 상기 아이스 빈(300)을 지지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280)는 상기 아이스 빈(300)과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빙실(120)에 수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5)는 상기 제 2 지지부(260)에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일측에는 회전 샤프트(212)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212)는 상기 안착부(2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타측에는 상기 기어 박스(224)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지지부(26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만빙 감지기(270)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71)와, 상기 송신부(271)와 이격되며 상기 송신부(271)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7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271) 및 상기 수신부(272)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아이스 빈(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빈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측에 개방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은,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벽(313)을 포함한다.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는, 보관된 얼음을 지지하고, 보관된 얼음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미끌어져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면(32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벽(311)과, 후면벽(312), 양측벽(313), 및 상기 경사안내면(320)에 의해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저장공간(315)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면(320)은 제1경사안내면(321)과 제2경사안내면(3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은 양측벽(313) 중 어느 한 벽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는 양측벽(313) 중 다른 한 벽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의 사이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빈(300) 외부로 토출하는 얼음토출부재(40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좌우에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 경사안내면(322)이 위치된다.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411)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블레이드(410)가 포함된다. 얼음의 용이한 토출을 위해서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에 놓인 얼음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얼음토출부재(400) 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동작에 의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 사이에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시에, 얼음이 최종적으로 토출되는 토출구(510)를 구비하는 토출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는 상기 토출부(500)에 정역회전 가능하게(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설치된다.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하부 일측, 즉 상기 토출부(500)의 일측에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회전블레이드(410)와 함께 얼음을 파쇄시켜 조각얼음을 만드는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는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 사이 공간을 상기 회전블레이드(410)가 통과한다.
상기 고정블레이드(480)와 상기 회전블레이드(410) 사이에 얼음이 끼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얼음을 가압하면 얼음이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된다.
한편,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하부 타측, 즉, 상기 토출부(500)의 타측에 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가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통 얼음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510)와 상기 얼음저장공간(315)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개폐부재(60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600)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600)의 동작범위를 제한하여, 통얼음 상태의 얼음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작제한부(650)가 마련된다.
상기 토출부(500)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궤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안내벽(520)이 포함된다. 상기 토출안내벽(520)의 하측에 상기 고정블레이드(480)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안내벽(500)은, 파쇄된 얼음조각이 상기 토출부(500)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와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 사이에 얼음이 끼여서 정체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얼음끼임방지부(330)가 마련된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블레이드(410)는 회전축(4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20)은 지지판(425)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도6의 280 참조)와 연결되는 연결판(428)을 관통한다. 상기 회전축(42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는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의 일측은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된다. 즉, 상기 회전축(420)은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를 관통한다. 상기 각 고정블레이드(480)에는, 상기 회전축(42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48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기 고정블레이드(48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관통공(481)의 크기는 상기 회전축(4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410)와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는 교번하여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의 타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안내벽(520)의 하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의 타측에는 고정부재(485)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485)가 상기 토출안내벽(520)에 형성된 홈(521)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6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 측방에 배치된다.
상기 개폐부재(600)는 상기 토출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자체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4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는 얼음에 의한 가압작용에 의하여 그 단부가 하부로 이동하였다가 얼음에 의한 가압 작용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얼음토출부재(400), 상기 고정블레이드(480), 개폐부재(600)가 상기 아이스 빈(300)에 장착된 후,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311a)가 장착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311a)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600)나 상기 고정블레이드(48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커버부재(318)가 설치될 수있다.
도 9는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토출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425)과 상기 연결판(428) 사이에는 상기 연결판(428)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29)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블레이드(410), 지지판(425), 연결판(428) 및 상기 탄성부재(429)가 상기 회전축(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420)의 전단부에 삽입부재21)가 삽입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도 6의 280참조)에는 상기 연결판(428)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320)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판(428)에는 상기 연결부재(320)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430)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아이스 빈(300)을 상기 제빙실(120)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430)와 상기 연결부재(320)의 양단부가 정렬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20)가 상기 돌출부(43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내판(428)이 상기 탄성부재(429)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425)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모터 어셈블리(도 6의 280참조)의 지속적인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320)의 양단부와 상기 돌출부(430)의 정렬이 해제되면, 상기 연결판(428)이 상기 탄성부재(429)에 의하여 상기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320)의 양단부가 상기 돌출부(430)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425)에는, 상기 지지판(425)의 측면에 위치하는 얼음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 측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426)이 포함된다.
도 10은 상기 아이스 빈의 회전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10)는, 상기 회전축(420)이 관통하는 중심부(412)와 상기 중심부(412)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412)에는 상기 회전축(420)이 관통하는 관통홀(415)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20)의 회전력이 상기 중심부(412)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415)은 비원형 또는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연장부(41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두 개의 연장부(413) 사이에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부(411)가 정의된다.
상기 각 연장부(413)는 전체적으로 상기 중심부(412)에서 외측부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진다. 상기 각 연장부(413)의 단부에는,상기 공간부(411)에 위치한 얼음이 이탈되거나 넘어가지 않도록 돌출된 걸림부(416)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411)에 얼음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410)가 회전되면, 상기 연장부(413)의 단부에 위치한 얼음은 상기 걸림부(416)에 걸려서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와 함께 움직인다.
상기 각 연장부(413)의 일측에는 상기 각 고정블레이드(480)와 상호 작용에 의해서 얼음을 파쇄하는 톱니형태의 파쇄부(418)가 구비된다.
상기 각 연장부(413)의 타측에는, 즉, 파쇄부(418)의 반대편에는 얼음이 통얼음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매끈한 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부(411)에서는 일 연장부의 파쇄부(418)가 타 연장부의 매끈한 면의 맞은편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토출부재와 고정블레이드 및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블레이드(410)가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는 완전하게 오버랩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약간씩 비틀리게 배치된다.
즉,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완전히 겹쳐지는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앞쪽의 회전블레이드에 비하여, 뒷쪽의 회전블레이드가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전후 방향으로 완전하게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면, 얼음을 파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얼음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분산되어 얼음의 파쇄가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가 순차적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면, 얼음이 첫번째 회전블레이드(410)의 파쇄부(418)와 접촉하여 파쇄된 후, 그 다음 두번째 회전블레이드(410)의 파쇄부(418), 그리고 세번째 회전블레이드(410)의 파쇄부(418)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회전력이 각각의 파쇄부(418)에 집중될 수 있어서, 얼음에 대한 파쇄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블레이드(480)에도 얼음의 파쇄를 위하여 톱니모양의 파쇄부(4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레이드(480)의 측방에는, 상기 개폐부재(60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600)는 상기 아이스 빈(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605)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부(605)는 토션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640)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540)의 일단부는 상기 아이스 빈(3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폐부재(600)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부재(60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개폐부재(600)는 라운드지는 제1안내면(610)과, 상기 제1안내면(610) 및 상기 회전부(605)와 연결되는 제2안내면(612)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안내면(612)은 상기 제2경사안내면(도 7의 322참조)과 연속적인 면을 이룬다.
도 12는 도 11의 개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6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폐부재(600)는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만약에 단일의 개폐부재(600)가 상기 아이스 빈(300)에 제공되는 경우, 얼음이 개폐부재(600)의 제1안내면(610)의 일부에만 걸쳐진 상태에서 토출되지 않고 정체되었다면, 얼음이 위치하지 않은 틈새로 다른 얼음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복수의 개폐부재(600)가 상기 아이스 빈(300)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개폐부재(600)에 얼음이 걸리게 되어 그 개폐부재(600)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그 얼음이 걸리지 않은 다른 개폐부재(600)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어, 의도치 않은 다른 얼음의 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640)는 상기 복수의 개폐부재(60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개폐부재(600)에는 상기 각 개폐부재 폐쇄 작용 시에 상기 개폐부재(600)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610) 사이에 끼어있는 얼음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615)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615)은 상기 제1안내면(610)의 상면 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아이스빈의 내부 정면도이고, 도 14는 상기 아이스빈의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은 상기 복수의 고정블레이드(480)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은 통얼음이 토출되는 개폐부재(60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토출부(5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과 연결되는 토출안내벽(520)이 포함된다.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이는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을 타고 상기 얼음토출부재(400)로 이동하는 얼음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통얼음 상태의 얼음이 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은 상기 아이스 빈(300)의 측벽(313)에서 연결되는 외측경사안내면(322b)과, 상기 외측경사안내면(322b)과 연결되고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내측경사안내면(322a)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경사안내면(322a)의 경사도는 상기 외측경사안내면(322b)의 경사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경사안내면(322b)을 타고 내려온 얼음의 이동속도가 상기 내측경사안내면(322a)에서 감소된다. 상기 내측경사안내면(322a)의 단부 측에는 상기 개폐부재(600)의 제2안내면(612)이 배치되어, 상기 내측경사안내면(322a)과 연속면을 구성한다.
상기 개폐부재(600)가 상기 토출구(510)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안내면(612)과 상기 내측경사안내면(322a)이 연속면을 구성하여, 얼음의 이동속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부재(600)가 상기 토출구(510)를 개방하면, 상기 제2안내면(612)이
아래로 움직여서, 얼음을 상기 토출구(510) 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의 경사종료점(321a)은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회전축(420)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는 상기 고정블레이드(480)가 위치한 지점에서 파쇄되는 얼음의 파편이 다시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파쇄된 얼음의 파편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안내벽(520)의 곡률은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궤적에 의한 곡률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통 얼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의 경사도는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의 경사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경사면(322)의 내측안내경사면(322b)의 경사도와 상기 개폐부재(600)의 제2안내면(612)의 경사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경사면(322)의 경사도가 상기 제1안내경사면(321)의 경사도보다 작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600)의 회동부(605)는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회전축(420)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개폐부재(600)의 하방에는 상기 개폐부재(600)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작동제한부(650)가 배치된다.
상기 작동제한부(650)는 상하로 마련되는 제1리브(651)와, 상기 제1리브(65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리브(651)의 높이보다 높은 제2리브(652)와, 상기 제1리브(651)의 상부와 상기 제2리브(652)의 상부를 연결하며, 경사지게 배치되는 접촉부(653)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600)는 상기 접촉부(653)에 접촉하게 되어 정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6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개폐부재(600) 별로 최대개방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5는 상기 아이스빈의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의 내측에는 상기 얼음끼임방지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얼음끼임방지부(330)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끼임방지부(330)는,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 중 가장 앞쪽에 배치된 회전블레이드(410)와 상기 전면벽(311)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얼음끼임방지부(330)는 파쇄된 조각얼음이 토출되는 부분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아이스 메이커에서 얼음이 분리되기 위하여 아이스 메이커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실(120)에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은 실질적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수직 하방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빈(300)의 개방부(310)의 입구(301a)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제빙실(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사이 영역(A)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배치되지 않는다. 즉, 상기 아이스 빈(300)은 상기 제빙실(120)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제빙실 도어(13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 사이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회전 동작에 의해서 뒤집어지고, 얼음(I)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 분리되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빈(300)으로 낙하되므로, 상기 영역(A)에는 상기 아이스 빈(300)이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이 상기 영역(A)을 지나지 않으므로, 상기 아이스 빈(300)이 상기 영역(A)에 위치될 필요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영역(A)에 상기 아이스 빈(300)이 위치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전체 두께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냉장고 도어(11)가 슬림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회전 샤프트(212)는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회전축(420)과 교차된다. 그 이유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회전 샤프트(212)가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의 회전축(420)과 나란한 경우, 상기 제빙실의 용적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전후 폭(W) 범위 내에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부터 얼음(I)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가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다수의 얼음 중 일부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블레이드로 직접 낙하된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I)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고, 낙하되는 얼음(I) 들 중 하나 이상의 얼음(I)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블레이드(410)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의 낙하 방향은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의 낙하 방향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회전될 때 그리는 가상의 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회전축(212) 까지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서 상기 토출구(510)까지의 최단 수평 거리보다 크다.
이하에서는 제빙 어셈블리에서 생성된 얼음이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상기 아이스빈에서 조각 얼음이 토출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9는 상기 아이스빈에서 통 얼음이 토출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얼음이 생성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원으로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원이 동작된다. 상기 구동원의 동력은 상기 기어박스(224)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로 전달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 전체가 회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트위스팅 동작에 의해서 분리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트위스팅 동작 시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일단과 타단이 상대 운동하여 비틀림이 발생하여,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의 트위스팅 동작 원리는 공지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빈(300)의 개방부(310)의 입구(301a)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빈(300)으로 낙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210)에서 분리된 얼음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로 낙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으로 낙하되고,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으로 낙하될 수 있다.
한편, 파쇄된 조각 얼음을 취출을 위해서, 상기 얼음취출부재(400)가 제1방향(도 18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파쇄부(418)가 상기 고정블레이드(480)의 파쇄부(488)와 점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공간부(411)에 위치되었던 얼음이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블레이드(480)의 위에 놓이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부(411)에 위치되었던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로 직접 낙하된 얼음이거나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에서 미끄러진 얼음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지속적으로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파쇄부(418)와 상기 고정블레이드(480)의 파쇄부(488) 사이에 끼인 얼음이 부서지게 된다. 그리고, 부서진 조각 얼음은 상기 토출구(510) 방향으로 떨어져서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조각얼음이 토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개폐부재(600)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에 놓인 통얼음이 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통 얼음의 취출을 위해서, 상기 얼음취출부재(400)가 제2방향(도 18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공간부(411)에 위치되었던 얼음이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재(6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공간부(411)에 위치되었던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로 직접 낙하된 얼음이거나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에서 미끄러진 얼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지속적으로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10)의 연장부(413)가 상기 개폐부재(600) 위에 놓인 얼음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회전블레이드(410)의 가압력이 상기 얼음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개폐부재(600)에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얼음과 회전블레이드(410)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600)는 아랫방향(도 19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410)의 연장부(413)의 단부와 상기 개폐부재(600) 단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으로 통 얼음이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통 얼음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얼음토출부재(400)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개폐부재(600)로 가해지는 압력은 제거되므로, 상기 개폐부재(600)는 탄성부재(6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 빈(300)에서의 얼음의 이동에 대해서 정리하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로 직접 낙하된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과정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안내면(321)으로 낙하된 얼음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제1방향 회전시 상기 공간부(411)로 이동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과정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경사안내면(322)으로 낙하된 얼음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제2방향 회전 시 상기 공간부(411)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의 회전 과정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각 경사안내면(321, 322) 상의 얼음은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41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움직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아이스 빈(300)의 내부에는 별도의 이송 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41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저장된 얼음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서의 얼음은, 얼음 들 간의 상호 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입구(301a)에서 상기 토출구(510)까지 상측에서 하측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빈(300)의 입구(301a)와 상기 아이스 빈(300)의 토출구(510), 상기 제 1 지지부(252)의 얼음 개구(253),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개구부(127), 상기 얼음 덕트의 입구(152) 및 출구(154)는 서로 중첩시켰을 때, 오버랩되는 공통 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얼음의 이동 경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한 본 실시 예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빈에서의 얼음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아이스 빈 내부의 얼음이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에 의해서 이동 및 낙하되므로, 상기 아이스 빈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스 빈(300)의 두께는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으로의 상기 아이스 빈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아이스 빈의 두께 감소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얼음의 분리 방식에 따른 상기 제빙실 내에서의 아이스 빈의 위치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는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면, 상기 냉장실 도어에 추가적으로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바스켓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면, 상기 냉장실 도어 중에서 상기 냉장실로 인입되는 부분의 부피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상기 냉장실의 수납 가능한 용적이 커지게 된다.
도 20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냉장고의 종류 및 제빙 어셈블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70)는 냉동실(712)과 냉장실(714)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동실(712)는 냉동실 도어(720)에 의해서 개폐되고, 상기 냉장실(714)은 냉장실 도어(730)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냉장고(70)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740)가 포함된다.
상기 제빙 어셈블리(740)에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750)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750)에서 분리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760)이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아이스 빈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의 구조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750)는 상기 냉동실(712)에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빈(760)은 상기 냉동실 도어(7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720)가 상기 냉동실(712)을 닫으면, 상기 아이스 빈(7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750)의 하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개선된 아이스 빈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냉동실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도 21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빙 어셈블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동실 도어(770)에는 제빙실(774)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772)가 포함된다. 상기 제빙실(774)에는, 제빙 어셈블리(780)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780)의 구조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 1 실시 예에서 언급한 아이스 메이커의 동작 방식 및 개선된 아이스 빈의 구조에 의해서 냉동실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빙 어셈블리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80)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냉장실 도어(820, 830) 중 하나에는, 아이스 빈(860)이 장착되고, 냉장실(812)에는 아이스 빈(860)을 제외한 제빙 어셈블리의 나머지 구성(아이스 메이커(850) 등)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812)에는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과 냉장실(812) 사이의 단열을 위한 제 1 단열 케이스(870)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850) 등은 상기 제 1 단열 케이스(87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850)에서 생성된 얼음이 하방으로 낙하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단열 케이스(870)의 하면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아이스 빈(860)을 수용하는 제 2 단열 케이스(88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단열 케이스(880)는 얼음을 받기 위하여 상면이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가 상기 냉장실을 닫으면, 상기 제 2 단열 케이스가 상기 제 1 단열 케이스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제 1 단열 케이스(870)의 하면과 상기 제 2 단열 케이스(880)의 상면 사이의 실링을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단열 케이스(870, 880) 중 하나 이상에는 도시되지 않은 실링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개선된 아이스 빈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0):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1);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장착되는 아이스 빈(300);
    상기 아이스 빈(300) 내부에 배치되는 얼음 토출 부재(400);
    상기 도어(11)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토출 부재(400)와 연결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어셈블리(280)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빈(300)은,
    전면을 정의하는 전면벽(311);
    후면을 정의하고,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밀착되는 후면벽(312);
    상기 전면벽(311)의 일 측단과 상기 후면벽(312)의 일 측단을 연결하는 제 1 측벽(313);
    상기 전면벽(311)의 타 측단과 상기 후면벽(312)의 타 측단을 연결하는 제 2 측벽(313);
    상기 전면벽(311), 후면벽(312), 제 1 측벽(313), 및 제 2 측벽(313)의 상단에 의하여 정의되는 개방부(310);
    하면에 형성되는 토출구(510)를 포함하는 토출부(500);
    상기 토출부(5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510)의 개도를 제어하는 개폐 부재(600);
    상기 개폐 부재(6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회전한 후 상기 개폐 부재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640)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토출부재(400)는,
    상기 토출구(510) 내에서 상기 도어(11)의 두께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420);
    상기 회전축(42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 각각은 얼음 조각을 수용하는 공간부(411)를 가짐; 및
    상기 회전축(420)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와 교번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 블레이드(48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410) 각각은,
    상기 회전축(420)이 관통하는 관통홀(415)이 형성된 중심부(412)와,
    상기 중심부(41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연장부(413)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연장부(413) 각각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얼음을 가압하는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의 반대 쪽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얼음을 가압하는 제 2 측면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얼음을 분쇄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파쇄부(418), 및
    상기 제 2 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16)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얼음을 수용하는 상기 공간부(411)를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지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410)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2 측면부가 얼음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상기 개폐 부재(600)로 전달되고,
    상기 가압력은 상기 탄성 부재(640)의 탄성력보다 커서, 상기 토출구(510)의 단면적이 커지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600)가 회전하며,
    상기 아이스 빈(300)의 전면벽(311)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얼음 끼임 방지부(3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끼임 방지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 블레이드들 중 맨 앞쪽의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전면벽 사이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끼임 방지부는, 상기 토출구 영역 중 파쇄된 얼음 조각이 토출되는 부분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들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홀들은, 상기 아이스 빈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장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지나는 장변부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과 상기 다수의 연장부들 각각의 단부를 이등분하는 지점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39442A 2016-03-31 2016-03-31 냉장고 KR10165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42A KR101652213B1 (ko) 2016-03-31 2016-03-3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42A KR101652213B1 (ko) 2016-03-31 2016-03-31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256A Division KR101631322B1 (ko) 2009-12-22 2009-12-2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81A KR20160041881A (ko) 2016-04-18
KR101652213B1 true KR101652213B1 (ko) 2016-08-29

Family

ID=5591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442A KR101652213B1 (ko) 2016-03-31 2016-03-3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701B1 (ko) * 2016-06-02 2023-08-21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102338471B1 (ko) 2016-12-29 202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16B1 (ko)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080134709A1 (en) 2006-12-08 2008-06-12 Whirlpool Corporation Ice dispensing and detec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93B1 (ko) * 2004-11-09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구조
KR100611490B1 (ko) * 2004-12-27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얼음 취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16B1 (ko)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080134709A1 (en) 2006-12-08 2008-06-12 Whirlpool Corporation Ice dispensing and detec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81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322B1 (ko) 냉장고
US9109826B2 (en) Bladed ice dispensing system for an ice compartment in a refrigeration chamber
KR101718995B1 (ko) 냉장고
EP3062048B1 (en) Refrigerator
JP5571746B2 (ja) 冷蔵庫
CN103196270B (zh) 冰箱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101929517B1 (ko) 냉장고
EP2808627B1 (en) Refrigerator
KR20130028324A (ko) 냉장고
KR101776297B1 (ko) 냉장고
KR20170116872A (ko) 얼음 분리 성능이 개선된 아이스 빈 및 그 아이스 빈이 구비된 냉장고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101639443B1 (ko) 냉장고
KR101691226B1 (ko) 냉장고
KR101639441B1 (ko) 냉장고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101639444B1 (ko) 냉장고
KR20200131118A (ko) 냉장고
KR20240051633A (ko) 냉장고
KR2011007242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