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571A -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1571A KR20150061571A KR1020140160676A KR20140160676A KR20150061571A KR 20150061571 A KR20150061571 A KR 20150061571A KR 1020140160676 A KR1020140160676 A KR 1020140160676A KR 20140160676 A KR20140160676 A KR 20140160676A KR 20150061571 A KR20150061571 A KR 201500615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connector
- side connector
- stator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모터 케이스와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의 방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텍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모터용 커넥터는 모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와, 커넥터부와 감합하는 모터측 커넥터로 구성된다. 스테이터 프레임은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를 갖는 도체판부와, 결선부를 제외한 도체판부를 덮는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한다. 모터 케이스와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에는 방수기능부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는 모터용 커넥터와 모터측 커넥터와 감합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로 구성된다.
모터용 커넥터는 모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와, 커넥터부와 감합하는 모터측 커넥터로 구성된다. 스테이터 프레임은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를 갖는 도체판부와, 결선부를 제외한 도체판부를 덮는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한다. 모터 케이스와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에는 방수기능부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는 모터용 커넥터와 모터측 커넥터와 감합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3상 모터 등의 모터에 이용되는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2상 이상의 하이브리드형 스탭핑 모터 등과 같은 소형 모터에 이용되는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는 모터 내부의 각 여자(勵磁)권선의 단말부를 직접 접속하는 권선유지부를 갖는 도체부와, 외부 접속용 커넥터와의 감합 시에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접속부를 일체의 콘택트로 하여 갖는다.
그리고 상기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는 모터에 있는 인슐레이터의 소정 장소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에 의하면, 복수 개의 여자권선의 각 단말부와 외부전력 공급장치로부터의 케이블과의 접속을 다른 중계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모터의 방수구조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모터의 방수구조에 있어서는 모터 요우크와 엔드 하우징이 커넥터 감합부를 형성하는 형태로 모터에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감합부에는 외부접속용 커넥터와 감합할 수 있는 모터측 커넥터가 장착된다. 또한 외부접속용 커넥터의 패킹 장착부에는 모터 요우크 또는 엔드 하우징과 모터측 커넥터와의 이음새에 닿는 립부(Lip part)를 구비한 방수 패킹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당해 이음새에 방수 패킹의 립부가 닿아 커넥터 감합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모터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당해 다극형 커넥터가 모터의 인슐레이터에 장착되어 있으나, 모터측의 케이스와 당해 다극형 커넥터와의 사이의 방수성은 낮다. 케이스와 다극형 커넥터와의 사이에는 당해 다극형 커넥터의 접속부, 도체부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수지가 충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부재간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미세한 간극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수지에 의한 방수성은 기대할 수 없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모터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모터 요우크 또는 엔드 하우징과 모터측 커넥터와의 이음새에 외부접속용 커넥터에 장착된 방수 패킹이 닿아, 커넥터 감합부에서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모터측 커넥터에 감합하기까지는 모터 요우크 또는 엔드 하우징과 모터측 커넥터와의 이음새의 방수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감합하기 전단계에서는 모터 단일체로 커넥터 감합부(모터 케이스)와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를 방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 단일체로 모터 케이스와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의 방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텍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커넥터는 모터 스테이터(stator)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와 감합하는 모터측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이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를 갖는 도체판부와, 상기 결선부를 제외한 상기 도체판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에 장착되는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한 모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와 상기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에 방수기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능부가 상기 모터 케이스에 형성되는 방수면과, 상기 모터측 커넥터에 설치되는 O링을 구비하고, 상기 O링이 상기 방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를 봉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모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모터측 커넥터에 상기 모터측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부에 감합하는 때의 록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록기구는 상기 커넥터부에 설치된 돌기와, 상기 모터측 커넥터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잠그는 탄성 록편을 갖는 록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가 상기 도체판부의 일면에서 돌출하는 압착 단자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부의 면이 상기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의 하우징의 면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한 모터용 커넥터와 상기 모터용 커넥터의 상기 모터측 커넥터와 감합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모터용 커넥터는 모터 스테이터에 장착된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와, 커넥터부와 감합하는 모터측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 케이스와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에 방수기능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 단일체로 모터 케이스와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커넥터를 구비한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모터측 커넥터를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에 감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모터측 커넥터와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모터측 커넥터를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에 감합한 상태에 있어 록기구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록기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모터측 커넥터를 커넥터부에 감합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9-9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모터용 커넥터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나타내고, 스테이터에 스테이터 프레임을 장착하고, 결선부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결선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모터용 커넥터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나타내고, 결선부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압착한 후의 사시도이다. 다만, 도 12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모터용 커넥터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나타내고,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에 모터측 커넥터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다만, 도 13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 및 스테이터 코일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장착된 모터용 커넥터의 모터측 커넥터에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감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모터측 커넥터를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에 감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모터측 커넥터와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모터측 커넥터를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에 감합한 상태에 있어 록기구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록기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모터측 커넥터를 커넥터부에 감합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9-9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모터용 커넥터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나타내고, 스테이터에 스테이터 프레임을 장착하고, 결선부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결선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모터용 커넥터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나타내고, 결선부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압착한 후의 사시도이다. 다만, 도 12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모터용 커넥터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을 나타내고,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에 모터측 커넥터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다만, 도 13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 및 스테이터 코일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에 장착된 모터용 커넥터의 모터측 커넥터에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감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모터용 커넥터(4)를 구비한 모터(1)가 도시되어 있다. 모터(1)는 3상 모터이며, 스테이터(3)와 도시하지 않은 로우터와,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일(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3), 로우터 및 스테이터 코일은 케이스(2)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3)의 끝면에는 대략 원형의 스테이터 프레임(30)이 장착되어 있고, 이 스테이터 프레임(30)의 외주의 일부에 커넥터부(10)가 설치되어 있다(도 3참조). 커넥터부(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에는 모터측 커넥터(20)가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커넥터부(10)와 모터측 커넥터(20)로 모터용 커넥터(4)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프레임(30)은 도 1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와 절연성 하우징(32)을 구비하고 있다.
도체판부(3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판부(31g), U상 접속판부(31u), V상 접속판부(31v), W상 접속판부(31w) 및 중성점 접지판부(31n)를 구비하고,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지판부(31g), U상 접속판부(31u), V상 접속판부(31v), W상 접속판부(31w) 및 중성점 접지판부(31n)는 각각 서로 절연되어 있다.
U상 접속판부(31u)의 내주부에는 스테이터 코일 중 U상 코일(Wu)의 일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u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V상 접속판부(31v)의 내주부에는 V상 코일(Wv)의 일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va)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W상 접속판부(31w)의 내주부에는 W상 코일(Ww)의 일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w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성점 접지판부(31n)의 내주부에는 U상 코일(Wu)의 타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n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성점 접지판부(31n)의 내주부에는 V상 코일(Wv)의 타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nb)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중성점 접지판부(31n)의 내주부에는 W상 코일(Ww)의 타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n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의 일면에서 돌출하는 압착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2)은 도 1 내지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제외한 도체판부(31)를 덮듯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체판부(31)는 인서트 성형으로 하우징(32)에 덮여진다. 하우징(32)의 외주에 있어서의 대향부에는 하우징(32)을 스테이터(3)의 끝면에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장착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장착부(33)에는 장착용 나사(미도시)가 관통하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부(10)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프레임(30)의 외주부 일부에 설치되고,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의 외측에서 모터측 커넥터(20)가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부(10)는 절연성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장착된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를 구비하고 있다.
접지용 콘택트(12g)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의 접지판부(31g)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U상용 콘택트(12u)는 도체판부(31)의 U상 접속판부(31u)에서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V상용 콘택트(12v)는 도체판부(31)의 V상 접속판부(31v)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W상용 콘택트(12w)는 도체판부의 W상 접속판부(31)에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스테이터 프레임(30)의 하우징(32) 면 및 커넥터부(10)의 면은 동일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터측 커넥터(2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장착된 복수의 콘택트(2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1)은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1감합부(21a)와, 후술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7:도 14참조)가 감합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2감합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감합부(21a)와 제2감합부(21b)와의 사이에는 플런지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콘택트(22)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의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의 각각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22a)를 갖는다. 제1접촉부(22a)는 제1감합부(21a) 내에 돌출하고 있다. 또한 각 콘택트(22)는 외부접속용 커넥터(7)의 각 콘택트(미도시)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22b)를 갖는다. 제2접촉부(22b)는 제2감합부(21b) 내에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 케이스(2)에는 모터측 커넥터(20)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에,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1) 케이스(2)와 커넥터부(10)에 감합된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에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기능부(5)가 설치된다. 상기 방수기능부(5)는 모터(1) 케이스(2)의 개구(2a)에 형성되는 방수면(2b)과,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의 외주에 설치된 O링(24)을 구비하고 있다.
O링(24)은 당해 방수면(2b)에 접촉하여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를 봉지한다. 또한 방수기능부(5)는 케이스(2)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수면(2c)과,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의 하면에 설치된 원형의 씰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씰부재(2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한 때에 케이스(2)의 상면에 형성된 방수면(2c)에 닿는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 하면과 케이스(2)의 방수면(2c)과의 사이를 봉지한다.
더욱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 및 모터측 커넥터(20)에는 모터측 커넥터(20)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의 록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기구(6)는 커넥터부(10)에 설치된 돌기(13a)와, 모터측 커넥터(20)에 설치되어, 돌기(13a)를 잠그는 탄성 록편(23d)을 갖는 록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13a)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의 하우징(11)에 인서트 성형되는 금속편(13)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13a)를 갖는 금속편(13)은 하우징(11)의 좌우방향 양측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돌기(13a)를 갖는 금속편(13)은 도체판부(31)를 인서트 성형하는 때에 동시에 인서트 성형된다.
또한 록부재(2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의 좌우방향에 제1감합부(21a)의 표면을 따라 연재하는 기판부(23a)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부(23a)의 좌우방향 양단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5에는 기판부(23a)의 좌우방향 한쪽 끝만을 도시), 기판부(23a)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절곡됨과 함께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판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판부(23b)의 상단에서 압입고정부(23c)가 연장되고, 압입고정부(23c)의 대략 중앙부의 하측둘레에서 하방으로 탄성 록편(23d)이 연장되어 있다. 탄성 록편(23d)에는 돌기(13a)가 파고 들어가는 록용 개구(23e)가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23)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록부재(2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고정부(23c)를 제1감합부(21a)에 형성된 압입용 구멍(21e)에 압입함으로써 제1감합부(21a)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모터(1)에 모터용 커넥터(4)를 장착하는 조립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1)에 모터용 커넥터(4)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프레임(30)을 스테이터(3)의 끝면에 장착한다.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30)의 스테이터(3)에 대한 장착 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장착용 나사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프레임(30)의 각 장착부(33)의 관통공(34)을 통해 행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루(41) 및 크림퍼(42;crimper)를 이용하여 U상 코일(Wu)의 일단말부에 결선부(31Ua)를, U상 코일(Wu)의 타단말부에 결선부(31na)를 압착한다. 마찬가지로 V상 코일(Wv)의 일단말부에 결선부(31Va)를, V상 코일(Wv)의 타단말부에 결선부(31nb)를 압착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W상 코일(Ww)의 일단말부에 결선부(31Wa)를, W상 코일(Ww)의 타단말부에 결선부(31nc)를 압착한다. 다음으로 모터(1) 케이스(2) 내에 스테이터(3)를 수용한다.
여기서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와 분리되어 있고, 나아가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스테이터 프레임(30)의 하우징(32) 면 및 커넥터부(10)의 면은 동일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루(41) 및 크림퍼(42)에 의한 압착 시에 스테이터 프레임(30) 및 커넥터부(10)가 방해가 되는 경우는 없다. 다시 말하면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와 당초부터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면, 모터측 커넥터(20)가 방해가 되어, 압착 단자를 모루(41) 근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스테이터 프레임(30)의 하우징(32) 면 및 커넥터부(10)의 면이 동일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커넥터부(10)가 방해가 되어 압착 단자를 모루(41) 근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하우징(32)이 방해가 되어 크림퍼(42)의 동작에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압착 단자를 구성하는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11에는 결선부(31Ua)만 도시),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35a) 및 돌기부(35b)를 구비하고 있다.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은 마그넷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각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의 단말부에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압착하면 돌기부(35b)가 마그넷 와이어의 에나멜 피복을 뚫고 심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압착 단자로 구성하여 압착 작업을 행함으로써, 마그넷 와이어의 피복 제거 작업이나 납땜 접속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결선 작업의 자동화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의 결선 작업이 완료된 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도체판부(31) 상에 겹치도록 되접어 꺽는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터(1) 케이스(2)와 커넥터부(10)와의 사이에 수지를 충진하여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사이의 절연을 확실하게 한다. 그 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에 모터용 커넥터(4)가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하면 모터측 커넥터(20)의 각 콘택트(22)가 커넥터부(10)의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의 각각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와 커넥터부(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에 설치된 탄성 록편(23d)이 돌기(13a)에 의해 일단 외측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감합 완료 시에는 돌기(13a)가 록용 개구(23e)에 파고들고, 탄성 록편(23d)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에 대해 잠겨진다. 이 때문에 스크류 클램프(screw clamp) 등을 행하지 않고 모터측 커넥터(20)의 커넥터부(10)에 대한 감합 해제를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록편(23d)이 돌기(13a)를 잠그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측 커넥터(20)를 커넥터부(10)에 대해 용이하게 잠글 수 있다.
그리고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에는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케이스(2)에 형성된 개구(2a)를 통과하여 커넥터부(10)에 감합한다. 이 때 방수기능부(5)를 구성하는 모터측 커넥터(20)측의 O링(24)이 케이스(2)의 방수면(2b)에 접촉하여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를 봉지한다. 이에 따라 모터(1)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기능부(5)로서 모터측 커넥터(20)에 O링(24)을 이용하므로 범용품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방수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한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의 하면에 있는 씰부재(25)가 케이스(2)의 상면에 형성된 방수면(2c)에 닿는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의 하면과 케이스(2)의 방수면(2c)과의 사이를 봉지한다. 이 때문에 모터(1)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용 커넥터(4)를 장착한 모터(1)에 있어서의 모터용 커넥터(4)의 모터측 커넥터(20)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접속용 커넥터(7)가 감합된다. 외부접속용 커넥터(7)는 모터측 커넥터(20)의 제2감합부(21b)와 감합하는 커넥터 감합부(7a)와, 도시하지 않은 전력 공급 장치에 접속된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7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전력 공급 장치에 접속된 외부접속용 커넥터(7)를 모터측 커넥터(20)에 감합함으로써 모터(1)측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용 커넥터(4)와 모터용 커넥터(4)의 모터측 커넥터(20)와 감합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7)로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8)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기능부(5)는 모터(1)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와의 사이를 방수할 수 있으면 좋고, 반드시 방수면(2b), O링(24), 방수면(2c) 및 씰부재(25)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커넥터부(10) 및 모터측 커넥터(20)에 모터측 커넥터(20)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의 록기구(6)를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더욱이 커넥터부(10)의 면은 스테이터 프레임(30)의 하우징(32)의 면과 동일 평탄면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하우징(32)의 면보다 돌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목하게 패여있어도 좋다.
또한 스테이터 프레임(30)은 모터(1) 스테이터(3)가 아니라 케이스(2)에 장착되어도 좋다.
1 모터
2 케이스
2b 방수면(방수기능부)
3 스테이터
4 모터용 커넥터
5 방수기능부
6 록기구
7 외부접속용 커넥터
8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10 커넥터부
13a 돌기(록기구)
20 모터측 커넥터
23 록부재(록기구)
23d 탄성 록편
24 O링(방수기능부)
30 스테이터 프레임
31 도체판부
31ua, 31va, 31wa, 31na, 31nb, 31nc 결선부
32 하우징
Wu U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Wv V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Ww W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2 케이스
2b 방수면(방수기능부)
3 스테이터
4 모터용 커넥터
5 방수기능부
6 록기구
7 외부접속용 커넥터
8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10 커넥터부
13a 돌기(록기구)
20 모터측 커넥터
23 록부재(록기구)
23d 탄성 록편
24 O링(방수기능부)
30 스테이터 프레임
31 도체판부
31ua, 31va, 31wa, 31na, 31nb, 31nc 결선부
32 하우징
Wu U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Wv V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Ww W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Claims (6)
- 모터 스테이터(stator)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감합하는 모터측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이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를 갖는 도체판부;
상기 결선부를 제외한 상기 도체판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에 장착되는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한 모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와 상기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에 방수기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능부가 상기 모터 케이스에 형성되는 방수면과, 상기 모터측 커넥터에 설치되는 O링을 구비하고,
상기 O링이 상기 방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모터측 커넥터와의 사이를 봉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모터측 커넥터에 상기 모터측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부에 감합하는 때의 록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기구는 상기 커넥터부에 설치된 돌기와, 상기 모터측 커넥터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잠그는 탄성 록편을 갖는 록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가 상기 도체판부의 일면에서 돌출하는 압착 단자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부의 면이 상기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의 하우징의 면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용 커넥터와, 상기 모터용 커넥터의 상기 모터측 커넥터와 감합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245317 | 2013-11-27 | ||
JP2013245317A JP6185826B2 (ja) | 2013-11-27 | 2013-11-27 | モータ用コネクタ及びモータ用コネクタ組立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571A true KR20150061571A (ko) | 2015-06-04 |
KR102207662B1 KR102207662B1 (ko) | 2021-01-26 |
Family
ID=5304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0676A KR102207662B1 (ko) | 2013-11-27 | 2014-11-18 |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45359A1 (ko) |
JP (1) | JP6185826B2 (ko) |
KR (1) | KR102207662B1 (ko) |
CN (1) | CN104682613B (ko) |
DE (1) | DE10201411722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7377A (ko) * | 2020-09-17 | 2022-03-24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 접지용 부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66080B2 (en) * | 2013-12-30 | 2018-01-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ressor, motor included there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otor |
TWI536715B (zh) * | 2014-12-02 | 2016-06-0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一種電機集電裝置 |
WO2017073649A1 (ja) * | 2015-10-28 | 2017-05-04 | デンソートリム株式会社 | 内燃機関用回転電機 |
JP6444928B2 (ja) | 2016-04-14 | 2018-12-26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電動機の防水構造 |
JP6150925B1 (ja) * | 2016-05-18 | 2017-06-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回転電機 |
JP6674847B2 (ja) * | 2016-06-02 | 2020-04-01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モータのステータ組立方法および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 |
KR102694119B1 (ko) | 2018-09-12 | 2024-08-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모터 |
EP3637594B1 (de) * | 2018-10-10 | 2024-02-21 | Vitesco Technologies GmbH | Stator für einen elektromotor |
JP2024051191A (ja) * | 2022-09-30 | 2024-04-1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回転電機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9349U (ko) * | 1988-09-27 | 1990-04-05 | ||
JPH0734568U (ja) * | 1993-11-30 | 1995-06-23 | 株式会社小松ライト製作所 | モータのコネクタ構造 |
JP2001145325A (ja) | 1999-11-18 | 2001-05-25 | Japan Servo Co Ltd | 多励磁巻線型小型モータ及びモータ用多極コネクタ |
JP2005333748A (ja) | 2004-05-20 | 2005-12-02 | Yazaki Corp | モータの防水構造 |
JP2005341640A (ja) * | 2004-05-24 | 2005-12-08 | Koyo Seiko Co Ltd | 電動機のステータ |
JP2006296147A (ja) * | 2005-04-14 | 2006-10-26 | Favess Co Ltd | コネクタ付きモータ |
KR20080007063A (ko) * | 2006-07-14 | 2008-01-17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모터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03623A (en) * | 1974-09-12 | 1977-01-18 | Amp Incorporated | Wire securing member with varying serrations |
JPH0720858Y2 (ja) * | 1987-08-18 | 1995-05-15 | 市光工業株式会社 | パワ−ユニットの電線接続構造 |
JP2512432Y2 (ja) * | 1987-12-16 | 1996-10-02 | 愛三工業株式会社 | ステップモ―タ |
JP3292407B2 (ja) * | 1993-07-19 | 2002-06-17 |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 壁 体 |
WO2000007865A1 (fr) * | 1998-08-07 | 2000-02-17 | Mitsuba Corporation | Moteur et dispositif de direction assistee electrique |
AU1099401A (en) * | 1999-10-21 | 2001-04-30 | Emerson Electric Co. | Shroud for covering a stator winding head |
JP3972598B2 (ja) * | 2001-04-27 | 2007-09-0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ブラシレスモータとそのターミナル構造 |
JP2007080669A (ja) * | 2005-09-14 | 2007-03-29 | Tyco Electronics Amp Kk | かしめリング部材 |
JP2008029138A (ja) * | 2006-07-21 | 2008-02-07 | Showa Corp | 回転電機用ターミナル |
US8384257B2 (en) * | 2007-05-25 | 2013-02-2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Brushless motor |
JP2009033786A (ja) * | 2007-07-24 | 2009-02-12 | Mabuchi Motor Co Ltd | バスバーを内蔵したインナーロ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 |
JP2009033849A (ja) * | 2007-07-26 | 2009-02-12 | Keihin Corp | ブラシレスモータ |
JP2009033848A (ja) * | 2007-07-26 | 2009-02-12 | Keihin Corp | ブラシレスモータ |
DE202009000415U1 (de) * | 2008-02-12 | 2009-06-18 |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
JP5239413B2 (ja) * | 2008-03-13 | 2013-07-17 | 日本電産株式会社 | モータ |
JP2010154701A (ja) * | 2008-12-26 | 2010-07-08 | Showa Corp | 回転電機用ターミナル |
KR101163475B1 (ko) * | 2010-03-08 | 2012-07-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모터용 터미널 장치 |
GB201120177D0 (en) * | 2011-11-22 | 2012-01-04 |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 Connecting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
JP5308546B2 (ja) * | 2012-01-11 | 2013-10-09 | 日立電線株式会社 | コネクタ |
FR2996072B1 (fr) * | 2012-09-26 | 2016-07-29 | Sonceboz Automotive Sa | Ensemble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moteur sans balai |
JP6098920B2 (ja) * | 2012-10-19 | 2017-03-22 | 日本電産株式会社 |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
-
2013
- 2013-11-27 JP JP2013245317A patent/JP6185826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11-18 KR KR1020140160676A patent/KR1022076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1-25 DE DE102014117229.9A patent/DE102014117229A1/de active Pending
- 2014-11-26 US US14/554,528 patent/US2015014535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11-27 CN CN201410694619.7A patent/CN10468261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9349U (ko) * | 1988-09-27 | 1990-04-05 | ||
JPH0734568U (ja) * | 1993-11-30 | 1995-06-23 | 株式会社小松ライト製作所 | モータのコネクタ構造 |
JP2001145325A (ja) | 1999-11-18 | 2001-05-25 | Japan Servo Co Ltd | 多励磁巻線型小型モータ及びモータ用多極コネクタ |
JP2005333748A (ja) | 2004-05-20 | 2005-12-02 | Yazaki Corp | モータの防水構造 |
JP2005341640A (ja) * | 2004-05-24 | 2005-12-08 | Koyo Seiko Co Ltd | 電動機のステータ |
JP2006296147A (ja) * | 2005-04-14 | 2006-10-26 | Favess Co Ltd | コネクタ付きモータ |
KR20080007063A (ko) * | 2006-07-14 | 2008-01-17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모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7377A (ko) * | 2020-09-17 | 2022-03-24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 접지용 부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45359A1 (en) | 2015-05-28 |
CN104682613A (zh) | 2015-06-03 |
KR102207662B1 (ko) | 2021-01-26 |
CN104682613B (zh) | 2018-04-17 |
JP6185826B2 (ja) | 2017-08-23 |
JP2015104283A (ja) | 2015-06-04 |
DE102014117229A1 (de) | 2015-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7662B1 (ko) |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 |
JP5467850B2 (ja) | L字型コネクタ | |
JP6419126B2 (ja) | 電線接続構造、ノイズ低減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 |
EP2672117B1 (en) | Motor-driven compressor | |
US9124024B2 (en) | Connector having inner conductive member | |
US7722372B2 (en) | Direct mounting connector | |
CN110233549B (zh) | 电子控制模块一体型电机组件 | |
TWI674735B (zh) | 用於馬達之母連接器 | |
KR20150061595A (ko) |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 |
KR102327471B1 (ko) | 접속 장치 및 전기 모터 | |
KR102173360B1 (ko) |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 |
JP4246131B2 (ja) | 電線と素子内蔵ユニットとの接続構造 | |
CN109417336B (zh) | 旋转电机的定子构造、以及旋转电机的定子构造的组装方法 | |
JP2019003906A (ja) | コネクタ | |
CN107925307B (zh) | 旋转电机的端子台 | |
JP6630315B2 (ja) | ノイズ低減ユニット | |
JP2004119294A (ja) | シール材の固定構造 | |
JP4313290B2 (ja) | 接続端子 | |
JP4493652B2 (ja) | 電動機固定子 | |
JP2023005221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JP2013232367A (ja) | コネクタの防水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22260038A1 (ja) | 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 |
JP2010067476A (ja) | シールド接続構造 | |
KR102587104B1 (ko) | 수밀 구조가 개선된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그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 |
WO2023286136A1 (ja) | 回転電機におけるアルミニウム巻線とリード線との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