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3553A -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553A
KR20130033553A KR1020110097269A KR20110097269A KR20130033553A KR 20130033553 A KR20130033553 A KR 20130033553A KR 1020110097269 A KR1020110097269 A KR 1020110097269A KR 20110097269 A KR20110097269 A KR 20110097269A KR 20130033553 A KR20130033553 A KR 2013003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insulating member
battery
jelly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775B1 (ko
Inventor
김도균
김동명
이동섭
남상봉
정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9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775B1/ko
Priority to EP12837031.9A priority patent/EP2738859B1/en
Priority to JP2014528306A priority patent/JP5968440B2/ja
Priority to PCT/KR2012/007434 priority patent/WO2013048045A1/ko
Priority to CN201280042038.4A priority patent/CN103765654B/zh
Priority to TW101134240A priority patent/TWI459615B/zh
Publication of KR2013003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775B1/ko
Priority to US14/177,631 priority patent/US923663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ubular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젤리-롤이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젤리-롤의 상단에 판상 구조의 절연부재가 탑재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로서, 상기 절연부재는 미세 기공들이 종방향이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통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of Excellent Productivity and Safety}
본 발명은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젤리-롤이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젤리-롤의 상단에 판상 구조의 절연부재가 탑재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로서, 상기 절연부재는 미세 기공들이 종방향이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통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그 중 원통형 전지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크고 구조적으로 안정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복합 구조인 스택/폴딩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원통형 이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연부재가 도 2 및 도 3에 평면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원통형 이차전지(100)는 젤리-롤형(권취형) 전극조립체(120)를 전지케이스(130)에 수납하고, 전지케이스(130) 내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 케이스(130)의 개방 상단에 전극 단자(예를 들어, 양극 단자;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캡 어셈블리(140)를 결합하여 제작한다.
전극조립체(120)는 양극(121)과 음극(122) 및 이들 사이에 분리막(123)을 개재한 후 둥근 형태로 감은 구조로서, 그것의 권심(젤리-롤의 중심부)에는 원통형의 센터 핀(150)이 삽입되어 있다. 센터 핀(150)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재를 둥글게 절곡한 중공형의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센터 핀(150)은 전극조립체를 고정 및 지지하는 작용과 충방전 및 작동시 내부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를 방출하는 통로로서 작용한다.
또한, 전극조립체(120)의 상단면에는 판상형 구조의 절연부재(180a)가 장착되는 바, 가스가 배출될 수 있고 전극조립체(120)의 양극 탭(142)이 캡 어셈블리(140)의 캡 플레이트(145)에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앙에 센터 핀(150)의 관통구(151)와 연통되는 개구(18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젤리-롤 상단에 위치하는 절연부재(180a)는 전지의 주액 공정에서 전해액이 전지 내부로 침투하는 경로를 차단하고 있는 구조물이다. 그로 인해, 센터 핀(150)과 연통되는 개구(181a)와, 절연부재(180a)가 위치하지 않는 부위를 통해서만 전해액이 전지 내부로 침투하게 되므로, 주액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액 공정시 전해액의 침투 경로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3과 같이 일부 절연부재(180b)에는 개구(181b) 주변에 다수의 관통구(182b)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제안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전지의 안전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캡 어셈블리(140), 전지케이스(130) 등의 제조 및/또는 조립 과정에서 발생한 금속 분말 등과 같은 도전성 불순물 입자들이, 절연부재(180b)에 천공되어 있는 관통구들(182b)를 통해 전극조립체(120)로 유입되어, 단락을 유발시키거나 전지의 수명 특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단점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주액 공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전지의 조립공정 중 발생하는 이물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수명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들은 다양한 실험과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은 특정한 형태의 절연부재를 개발하게 되었고, 이러한 절연부재는 비딩공정과 같은 조립공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들이 젤리-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불량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해액 주액성을 크게 향상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젤리-롤이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젤리-롤의 상단에 판상 구조의 절연부재가 탑재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로서, 상기 절연부재는 미세 기공들이 종방향이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통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특정한 형태의 미세 기공들을 통해 전해액이 주액되는 결과 주액 경로가 분산되어 주액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주액성이 향상된다.
상기 다공성 구조에서 미세 기공들의 크기, 위치, 상호간의 간격, 개수 등은 이물 유입방지, 전해액 주액성 및 가스 배출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제한적이다.
다만, 상기 미세 기공은 절연부재 본연의 기능인 전기적 절연 상태를 제공하면서 전해액의 주입시 전해액에 대한 높은 투과율을 갖고, 100 ㎛ 크기 이상의 이물들의 투과를 방지하도록 1 ㎛ 내지 10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해액 주입 시 100 ㎛ 크기 이상의 이물들이 젤리-롤 내로 유입될 염려가 없으므로, 이러한 이물들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제조 공정성이 크게 향상되고, 이물들의 유입으로 인한 쇼트 발생 염려가 없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미세 기공들은 100 ㎛ 크기 이상의 이물들의 유입을 방지하고, 전해액의 주액성 및 가스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절연부재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연부재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미세 기공들로 전해액이 주액되는 경우에는, 주액 경로가 더욱 분산될 수 있으므로 주액성이 향상되는 결과 주액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주액 속도가 일정하게 되므로 전해액이 젤리-롤을 고르게 함침시킬 수 있는 결과, 전지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부재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미세 기공들은, 예를 들어, 전해액의 분해로 인해 발생된 가스의 배출경로가 되고, 가스의 확산성을 고려할 때 분산된 배출경로를 통해서 배출되는 경우 배기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세 기공들이 "종방향이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는 것은, 미세 기공들이 적어도 종방향, 즉, 판상 구조의 절연부재에서 수직 방향인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절연부재의 상부에 주입한 전해액은 적어도 종방향으로 연통된 미세기공들을 경유하여 절연부재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세 기공들은, 앞서의 정의와 같이,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판상 구조의 절연부재에서 수평 방향인 방향)으로도 연통될 수 있다.
모든 미세 기공들이 반드시 연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미세 기공들이 연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들 미세 기공들은 일종의 개방형(open type) 기공들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통된 미세 기공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절연부재의 소재인 고분자 수지 또는 고분자 복합체 성형체의 제조를 위한 용융물 또는 용액물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 처리시키거나,용해성 필러를 첨가한 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통된 미세 기공들은 발포 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물리적 발포제로는 EPS(Expended Polystylene), EPP 등과 같은 제품에 사용되는 부탄, 펜탄 등을 들 수 있으며, 화학적 발포제로는 중조(NaHCO3) 등의 무기 발포제 및 ADAC(Azodicaronamide), OBSH(P,P'-Oxy bis(benzene sulfonyl hydrazide), TSH(P-Toluene sulfonyl hydrazine) 등과 같은 유기 발포제를 들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다공성이 커질수록 절연부재의 밀도가 낮아지면서 기계적 강성이 저하되므로, 고분자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복합체에 보강용 충진제를 첨가함으로써, 다공성을 유지하면서도 소망하는 기계적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용 충진제는 입자상일 수도 있고 섬유상일 수도 있으며, 그것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절연부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성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전기절연성 고분자 수지 또는 전기절연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PB),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의 두께는 0.1 mm 내지 0.5 mm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부재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절연부재 본연의 전기적 절연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동일 규격의 전지케이스에서 젤리-롤의 크기 감소를 유발하여 전지 용량이 줄어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절연부재는 전극단자의 관통을 위해 천공된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상기 젤리-롤에 리튬 함유 전해액을 함침시켜 제조되는 리튬 이차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과 선택적으로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등을 이 포함하는 양극 합제를 NMP 등의 용매에 혼합하여 만들어진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yMn2-yO4 (여기서, y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y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yMy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y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제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제;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상기 음극은, 예를 들어,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음극 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상기 음극 합제에는,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해액은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는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비수계 유기용매, 유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수계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FEC(Fluoro-Ethylene carbonate), PRS(Propene sultone), FPC(Fluoro-Propylene carbonate)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차전지를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우수한 수명 특성과 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이- 바이크(E-bike),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 장치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 이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및 디바이스의 구조와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이물들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치 않고, 전해액의 주액 경로를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이물들의 유입으로 인한 쇼트발생 염려가 없고 가스 배출성이 향상되므로 결과적으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젤리-롤이 전해액에 고르게 함침되므로 레이트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다공성을 유지하면서도 소망하는 기계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원통형 이차전지의 대표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전지에서 사용된 절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의 이차전지에서 사용된 또 다른 형태의 절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평면도가 모식적을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이차전지(100)는 양극(121), 분리막(123)음극(122) 구조의 젤리-롤(120)이 원통형 전지케이스(130)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서, 젤리-롤(120)의 상단에는 판상 구조의 절연부재(180c)가 탑재되어 있다.
절연부재(180c)는 대략 0.4 m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개구(181c)가 천공되어 있고, 직경 10 내지 30 ㎛의 다수의 기공들(182c)이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절연부재(180c)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미세 기공들(182c)에 의해, 전해액의 주입시 절연부재(180c)의 전면에 걸쳐서 전해액이 침투하므로 주액성이 크게 향상되고, 쇼트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로서의 PET과 발포제로서 ADAC를 사용하여 두께가 0.4 mm이고, 도 4와 같이, 가로 6 mm, 세로 2.5 mm의 사각형 모양의 개구가 일측에 천공되어 있고, 직경이 10 내지 30 ㎛인 다수의 미세 기공들이 약 10 내지 30 ㎛의 균일한 간격으로 전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절연부재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센터 핀에 의해 양극/분리막/음극이 권취되어 있는 구조의 젤리-롤 상단에 상기 절연부재를 탑재하고, 전지의 조립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미세 금속 분말들을 상기 절연부재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18650 규격(직경 18 mm, 길이 65 mm)의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직경이 100 ㎛인 다수의 미세 기공들이 약 120 ㎛의 균일한 간격으로 전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절연부재를 준비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절연부재 및 이차전지를 각각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도 2와 같이, 다수의 기공들을 포함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절연부재 및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도 3과 같이, 다수의 미세 기공들 대신에 직경이 2.5 mm인 3개의 관통구들이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절연부재 및 이차전지를 각각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직경이 150 ㎛인 다수의 미세 기공들이 약 120 ㎛의 균일한 간격으로 전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절연부재를 준비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절연부재 및 이차전지를 각각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작된 이차전지에 대한 전해액 함침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전해액 함침 실험은 1M LiPF6의 카보네이트계 전해액을 상기에서 제작된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주입한 후 젤리-롤의 함침률이 100%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4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또한, 상기에서 제작된 이차전지의 개방 상단에 캡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각각 10 개씩을 제작하고, 충방전 실험을 진행하여 단락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전지들은 전해액의 함침 시간이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히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절연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미세 기공에 의해, 전해액이 효과적으로 투과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전지는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하여 함침성이 향상되지만 단락률이 상대적으로 커지며, 비교예 3의 전지 역시 실시예 1 및 2에 비견되는 함침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단락률이 상대적으로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큰 기공을 통해 금속 분말이 통과하여 젤리-롤의 내부에서 단락이 유발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전지는, 그것에 장착되는 절연부재에 실시예 1 및 2에서와 같은 미세 기공들이 천공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 및 2의 전지들에 비해 더 높은 단락률을 보여 준다. 이러한 높은 단락률은, 실시예 1 및 2의 전지들에서는 금속 분말들이 미세 기공 상에 걸치면서 이동이 억제됨에 반하여, 비교예 1의 전지에서는 절연부재의 매끈한 표면에서 이동이 자유로워, 개구 또는 절연부재의 외주면을 통해 젤리-롤로 이동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젤리-롤이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젤리-롤의 상단에 판상 구조의 절연부재가 탑재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로서, 상기 절연부재는 미세 기공들이 종방향이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통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공들은 절연부재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기계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위한 보강용 충진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고분자 수지 또는 고분자 복합체는 전기절연성 고분자 수지 또는 전기절연성 고분자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티렌,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두께는 0.1 mm 내지 0.5 mm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전극 단자의 관통을 위해 천공된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차전지를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이- 바이크(E-bik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10097269A 2011-09-27 2011-09-27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KR10127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69A KR101275775B1 (ko) 2011-09-27 2011-09-27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EP12837031.9A EP2738859B1 (en) 2011-09-27 2012-09-18 Secondary battery having a superior manufacturing process and stability
JP2014528306A JP5968440B2 (ja) 2011-09-27 2012-09-18 優れた製造工程性及び安全性の二次電池
PCT/KR2012/007434 WO2013048045A1 (ko) 2011-09-27 2012-09-18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CN201280042038.4A CN103765654B (zh) 2011-09-27 2012-09-18 具有优异的生产率和安全性的二次电池
TW101134240A TWI459615B (zh) 2011-09-27 2012-09-19 具優異產能及安全性之二次電池
US14/177,631 US9236630B2 (en) 2011-09-27 2014-02-11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insulator and reinforcing fi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69A KR101275775B1 (ko) 2011-09-27 2011-09-27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553A true KR20130033553A (ko) 2013-04-04
KR101275775B1 KR101275775B1 (ko) 2013-06-17

Family

ID=4799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269A KR101275775B1 (ko) 2011-09-27 2011-09-27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36630B2 (ko)
EP (1) EP2738859B1 (ko)
JP (1) JP5968440B2 (ko)
KR (1) KR101275775B1 (ko)
CN (1) CN103765654B (ko)
TW (1) TWI459615B (ko)
WO (1) WO20130480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78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절연부재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8793B (zh) * 2017-04-27 2022-05-31 株式会社Lg化学 绝缘构件、制造该绝缘构件的方法以及制造包括该绝缘构件的圆柱形电池的方法
KR20210061779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0826A1 (de) * 1998-11-04 2000-05-11 Basf Ag Als Separatoren in elektrochemischen Zellen geeignete Verbundkörper
CN1330019C (zh) * 1998-11-06 2007-08-01 株式会社杰士汤浅 非水二次电解质电池
JP4200589B2 (ja) * 1999-06-02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686368B2 (ja) * 2000-11-28 2005-08-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207451B2 (ja) * 2002-04-19 2009-0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円筒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0317886A (pt) * 2003-01-04 2005-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lemento isolante para um conjunto de bateria, montagens de elemento isolante e de conjunto de bateria, veìculo, e, métodos para isolar um conjunto de bateria em um veìculo e para manter um conjunto de bateria em um veìculo dentro de uma faixa de temperatura
JP4522123B2 (ja) * 2004-03-29 2010-08-11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53101B2 (en) * 2005-12-29 2011-11-08 Samsung Sdi Co., Ltd.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KR100779001B1 (ko) * 2005-12-29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JP4795177B2 (ja) * 2005-12-29 2011-10-19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778980B1 (ko) * 2005-12-29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JP4747859B2 (ja) * 2006-01-27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WO2008029922A1 (fr) * 2006-09-07 2008-03-13 Hitachi Maxell, Ltd. Séparateur de batterie,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batterie secondaire au lithium
KR101066022B1 (ko) * 2006-10-02 2011-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리-롤과 센터 핀의 유동을 방지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원통형 이차전지
JP4748193B2 (ja) * 2008-09-0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絶縁板、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絶縁板の製造方法
JP5268673B2 (ja) * 2009-01-21 2013-08-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094937B1 (ko) * 2009-02-16 201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US8383255B2 (en) * 2009-02-24 2013-02-2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losur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ce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78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절연부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8045A1 (ko) 2013-04-04
US20140178725A1 (en) 2014-06-26
CN103765654B (zh) 2016-08-24
EP2738859B1 (en) 2015-04-22
TW201334266A (zh) 2013-08-16
TWI459615B (zh) 2014-11-01
JP5968440B2 (ja) 2016-08-10
CN103765654A (zh) 2014-04-30
KR101275775B1 (ko) 2013-06-17
JP2014527705A (ja) 2014-10-16
EP2738859A4 (en) 2014-06-11
EP2738859A1 (en) 2014-06-04
US9236630B2 (en)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564B1 (ko) 미세 기공들이 형성된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160701B1 (ko) 천공 구조의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722996B1 (ko) 전해액과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
KR101542055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KR101380116B1 (ko)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KR10145516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86600B1 (ko) 전해액 함침용 홀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60074963A (ko) 양극 탭과 음극 탭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1275775B1 (ko) 우수한 제조 공정성과 안전성의 이차전지
KR20220023516A (ko) 음극의 전리튬화 장치 및 음극의 전리튬화 방법
US9276286B2 (en) Secondary battery with excellent productivity and safety
KR20180081228A (ko) 단위셀의 위치에 따라 기공률이 상이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150015306A (ko) 출력 및 사이클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170068793A (ko) 일면에 강화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130121276A (ko)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