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456A -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1456A KR20120081456A KR1020110002799A KR20110002799A KR20120081456A KR 20120081456 A KR20120081456 A KR 20120081456A KR 1020110002799 A KR1020110002799 A KR 1020110002799A KR 20110002799 A KR20110002799 A KR 20110002799A KR 20120081456 A KR20120081456 A KR 201200814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panel
- frame
- formwork
- formwork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패널들을 길이방향을 상호 연결하고,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들을 앵글에 의하여 연결하여 형성된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체결수단의 체결압에 의하여 각 프레임의 연결면에 형성된 공간 쪽으로 프레임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의 연결면에 형성된 공간에 걸림부를 도입하여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압이 프레임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각 걸림부가 상호 지지하여 버팀으로써 각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소정의 형태와 치수가 설계대로 유지됨으로써 작업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거푸집의 조립 작업 시 작업자가 각 프레임이 변형될 것을 염려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구조물을 축조한 후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여 각 프레임들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패널들을 길이방향을 상호 연결하고,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들을 앵글에 의하여 연결하여 형성된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연결면에 형성된 공간에 걸림부를 도입하여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압이 프레임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각 걸림부가 상호 지지하여 버팀으로써 각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소정의 형태와 치수가 설계대로 유지됨으로써 작업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거푸집의 조립 작업 시 작업자가 각 프레임이 변형될 것을 염려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구조물을 축조한 후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여 각 프레임들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패널들 연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소정 형태와 치수로 제작되고, 이렇게 제작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구조물을 축조한 후 거푸집패널을 해체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패널은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및 강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패널과,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들의 각 연결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우 프레임들의 돌출부가 상호 맞닿아 그 내측 방향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 거푸집의 조립 시 타이볼트나 또는 플렛타이 등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각 프레임의 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작업 시 체결수단의 체결압이 프레임에 작용하게 되면 도 7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압이 가해지면서 각 프레임들은 재료의 성질에 따라 다르지만 소성 변형이나 탄성변형이 일어날 위험이 매우 높다.
상기 공간의 깊이는 3mm로 형성되므로, 두 프레임이 마주보고 밀착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이 총 6mm인 반면에 타이볼트 또는 플랫타이의 두께는 3mm정도 이므로, 잉여공간(3mm)이 생기게 되어 지나치게 큰 힘으로 체결수단을 조일 경우 프레임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다.
만약, 타이볼트나 또는 플렛타이 등이 불필요한 위치의 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프레임 변형이 발생된다.
특히, 원형핀(35)과 삼각쐐기핀(37)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볼트(31)와 너트(33)로 패널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마다 볼트(너트)를 죄는 힘이 제각기 달라 무리하게 조여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각 프레임들의 변형은 구조물의 소정의 형태와 치수가 달라지게 하여 시공하자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이러한 변형을 염두에 두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더 나아가 거푸집을 해체하여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프레임에 소성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수리하거나 또는 다른 프레임으로 대체하여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 프레임의 연결면에 형성된 공간에 걸림부를 도입하여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압이 프레임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각 걸림부가 상호 지지하여 버팀으로써 각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소정의 형태와 치수가 설계대로 유지됨으로써 작업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거푸집의 조립 작업 시 작업자가 각 프레임이 변형될 것을 염려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구조물을 축조한 후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여 각 프레임들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가 각 체결부에 인접하여 외주연에 형성되거나 또는 각 체결부를 잇는 연장선상에 형성되고, 또는 걸림부가 각 체결부와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압에 대하여 걸림부가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프레임의 변형 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인접한 위치에 배열된 패널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패널면과, 상기 패널면과 연결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와, 상기 각 체결부에 인접하여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패널들을 연결하기 위한 앵글을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앵글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와, 상기 각 체결부를 인접하여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널은 패널면과, 상기 패널면과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앵글의 돌기부, 체결부 및 걸림부에 대응하도록 돌기부, 체결부 및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부와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각 프레임의 연결면에 형성된 공간에 걸림부를 도입하여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압이 프레임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각 걸림부가 상호 지지하여 버팀으로써 각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소정의 형태와 치수가 설계대로 유지됨으로써 작업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거푸집의 조립 작업 시 작업자가 각 프레임이 변형될 것을 염려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구조물을 축조한 후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여 각 프레임들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가 각 체결부에 인접하여 외주연에 형성되거나 또는 각 체결부를 잇는 연장선상에 형성되고, 또는 걸림부가 각 체결부와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압에 대하여 걸림부가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프레임의 변형 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과 앵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과 앵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의 다른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종래에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간의 연결 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과 앵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과 앵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의 다른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종래에 거푸집 조립체의 패널들간의 연결 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거푸집 또는 거푸집 조립체는 상호 인접한 패널들을 연결하고,
이렇게 연결되는 패널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부어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와 치수로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를 의미한다.
이때 거푸집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해 모서리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패널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앵글이 구비되어 거푸집 조립체를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이하에서의 거푸집 조립체는 패널들과 앵글을 포함하는 광의적인 개념임을 밝힌다.
도 1 및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에서, 상기 패널(10)은
패널면(10A)과, 상기 패널면(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13)와, 상기 돌기부(13)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15)와, 상기 각 체결부(15)에 인접하여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은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및 강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패널면(10A)과 연결되고,
상기 패널면(10A)은 상기한 바와 같은 소재 중 콘크리트의 측압을 고려하여 적합한 소재를 설계 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패널(10)의 프레임(11)은 상기 패널면(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1)은 상면부와 하면부, 그리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양측면부로 구성되며,
아울러 상기 프레임(10)은 알루미늄이나 강판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기부(13)는 상기 프레임(11)의 양측면부의 양측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인접한 패널(10)들을 연결하는 경우 상호 맞닿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5)는 상기 프레임(10)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각 돌기부(13) 사이에 갈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며,
상기 각 체결부(15)는 인접하여 연결되는 패널(10)들의 체결부(15)들과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어 체결수단(30)인 볼트(31)와 너트(33) 또는 원형핀(35)과 삼각쐐기핀(37)에 의하여 체결 고정된다.
이 경우 인접한 패널(10)들을 상기 체결수단(30)에 의하여 연결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13)들의 내측 방향, 즉 각 패널프레임(10)들의 본체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S)에는 거푸집 조립체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타이볼트나 플랫타이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부수적으로는 거푸집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C)를 부어 시공한 다음 거푸집의 해체 시 거푸집 해체용 공구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S)은 상기 각 패널(10)들을 연결하기 위해 체결부(15)에 체결수단(30)을 삽입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여 체결하는 경우 상기 체결수단(30)의 체결압에 의하여 상기 패널(10)들의 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패널(10)들의 변형은 거푸집의 형태를 변형시켜 구조물의 형태와 치수가 설계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또한 이러한 변형을 염두에 두고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지지 않아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이러한 변형이 재료에 따라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패널프레임의 재활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 걸림부(17)는
우선 상기 돌기부(13)들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15)에 인접하고, 체결부(15)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체결부(15)들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인접한 패널(10)들을 연결하기 위해 동일한 위치에 배열된 체결부(15)에 체결수단(30)을 삽입하여 조우는 경우
각 패널(10)들의 각 걸림부(17)가 맞닿아 지지하여 버팀으로써 체결수단(30)의 체결압에 의하여 패널(10)들이 변형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17)가 각 체결부(15)들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것은 상기 체결수단(30)에 의한 체결압은 상기 체결부(15)의 주위에 집중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상기 걸림부(17)를 각 체결부(15)들의 연장선상에 형성하여 각 체결부(15)들의 주위에 집중되는 응력에 보다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17)의 높이는 상기 돌기부(1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걸림부(17)의 높이가 돌기부(13)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걸림부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어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부(17)의 높이가 돌기부(13)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패널의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걸림부(17)의 높이를 돌기부(13)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17)는 상기 체결부(15)와 근접하거나 또는 연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걸림부(17)가 상기 체결부(15)와 멀리 떨어져 형성되는 경우 체결수단(30)에 의하여 체결압이 가해지는 각 체결부(15)의 주위를 걸림부(17)가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는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7)를 상기 체결부(15)와 가능한 근접시키거나 또는 연속되도록 형성하여 보다 완전하게 패널(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부 주변에 일정 영역에만 형성되어 분절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다만 패널을 인발이나 압출 가공을 통하여 성형하는 경우 걸림부를 역시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는 생산성 측면에서 다소 어려움이 있겠으나,
이러한 생산성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형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널(10)의 양측면부 내측면에는 보강부재(19)가 다단으로 연결되어 있어 거푸집의 설치 시 상호 연결되는 프레임(11)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하여 저항하고,
또한 상기 패널면(10A)에 작용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11)과 패널(10A)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FA)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모서리 부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때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0)들을 연결하기 위해 앵글(20)이 도입되고,
이하에서는 상기 앵글(20)과 이들에 의하여 연결되는 패널(10)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에서, 상기 앵글(20)은
직각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외측면 양측부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23)와,
상기 돌기부(23)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25)와,
상기 각 체결부(25)에 인접하여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20)은 'ㄴ'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거푸집 조립체(FA)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0)은 직교하는 하는 형태로 배열되고,
각 패널(10)들의 인접면 역시 직교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20)의 각 면이 상기 각 패널(10)들의 인접면과 연결되어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각 패널들을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0)들에는 패널면과, 상기 패널면(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프레임(11)과, 상기 앵글(20)의 돌기부(23), 체결부(25) 및 걸림부(27)에 대응하도록 돌기부(13), 체결부(15) 및 걸림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앵글프레임(2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앵글(20)과 상기 패널(10)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10)들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연결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FA)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패널(10)들을 다단으로 쌓아 거푸집 조립체(FA)를 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패널(10)들의 상면부 또는 하면부, 또는 이들 모두에 돌기부(13), 체결부(15) 및 걸림부(17)를 형성하여 패널(10)들을 높이 방향으로 쌓아 상호간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패널(10)과 앵글(20)은 인발이나 압출 가공을 통하여 성형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 유리하고,
이때 상기 프레임(11)(21), 돌출부(13)(23) 및 걸림부(17)(27)는 연속하여 성형되며,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15)(25)를 드릴링가공이나 보오링가공을 통하여 패널 및 앵글을 천공하고,
상기 체결부(15)(25)의 천공 후에는 트리밍가공과 같은 작업을 통하여 체결부와 그 주변을 다듬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조립체(FA)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패널(10)들 중에서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0)들은 앵글(20)에 의하여 연결되고,
거푸집 조립체(FA)의 내측부에 위치하는 패널(10)들 중에서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10)들은 인코너부재(IC)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거푸집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A : 거푸집 조립체 C : 콘크리트
IC : 인코너부재 S : 공간
10 : 패널 10A : 패널면
11 : 프레임 13 : 돌기부
15 : 체결부 17 : 걸림부
19 : 보강부재
20 : 앵글 21 : 프레임
23 : 돌기부 25 : 체결부
27 : 걸림부
30 : 체결수단 31 : 볼트
33 : 너트 35 : 원형핀
37 : 삼각쐐기핀
IC : 인코너부재 S : 공간
10 : 패널 10A : 패널면
11 : 프레임 13 : 돌기부
15 : 체결부 17 : 걸림부
19 : 보강부재
20 : 앵글 21 : 프레임
23 : 돌기부 25 : 체결부
27 : 걸림부
30 : 체결수단 31 : 볼트
33 : 너트 35 : 원형핀
37 : 삼각쐐기핀
Claims (4)
- 인접한 위치에 배열된 패널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패널면과,
상기 패널면과 연결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와,
상기 각 체결부에 인접하여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푸집 조립체. -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패널들을 연결하기 위한 앵글을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앵글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와,
상기 각 체결부를 인접하여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푸집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패널면과,
상기 패널면과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앵글의 돌기부, 체결부 및 걸림부에 대응하도록 돌기부, 체결부 및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부와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799A KR20120081456A (ko) | 2011-01-11 | 2011-01-11 | 거푸집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799A KR20120081456A (ko) | 2011-01-11 | 2011-01-11 | 거푸집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456A true KR20120081456A (ko) | 2012-07-19 |
Family
ID=4671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799A KR20120081456A (ko) | 2011-01-11 | 2011-01-11 | 거푸집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81456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713B1 (ko) | 2016-03-08 | 2016-12-09 |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 조립식 거푸집 |
KR20180086673A (ko) | 2017-01-23 | 2018-08-01 | (주)혜성산업개발 | 거푸집 프레임 |
WO2018143534A1 (ko) * | 2017-01-31 | 2018-08-09 | 유대식 | 거푸집 조립체 |
KR20200002382U (ko) * | 2019-04-19 | 2020-10-28 | 최진기 | 모듈형 콘크리트거푸집 |
-
2011
- 2011-01-11 KR KR1020110002799A patent/KR201200814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713B1 (ko) | 2016-03-08 | 2016-12-09 |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 조립식 거푸집 |
KR20180086673A (ko) | 2017-01-23 | 2018-08-01 | (주)혜성산업개발 | 거푸집 프레임 |
WO2018143534A1 (ko) * | 2017-01-31 | 2018-08-09 | 유대식 | 거푸집 조립체 |
KR20200002382U (ko) * | 2019-04-19 | 2020-10-28 | 최진기 | 모듈형 콘크리트거푸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05644B (zh) | 对模板和配件的改进 | |
KR20120081456A (ko) | 거푸집 조립체 | |
KR101083698B1 (ko) |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 |
KR101617608B1 (ko) | 덱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 |
JP2015105552A (ja) | 型枠支持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 |
KR100918042B1 (ko) |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 |
CN104790653A (zh) | 一种复合材料平面建筑模板 | |
KR100732048B1 (ko) | 건축 골조 콘크리트 이음부 거푸집 체결장치 | |
CN108979146B (zh) | 建筑模板的对接连接件以及建筑模板的对接连接方法 | |
KR101854653B1 (ko) |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CN215511560U (zh) | 一种通用型叠合板模具 | |
KR102477572B1 (ko) | 무해체 보 거푸집 | |
KR200403876Y1 (ko) | 사각 맨홀 거푸집 | |
KR200462050Y1 (ko) | 거푸집 판넬 | |
KR101870436B1 (ko) | 보관 및 운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알폼용 거푸집의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알폼용 거푸집 조립방법 | |
CN202064626U (zh) | 一种建筑模具 | |
KR100478731B1 (ko) | 기둥프레임 연결장치 | |
KR101284846B1 (ko) | 간편 분리구조를 갖는 맨홀블럭용 거푸집 장치 | |
CN104790654A (zh) | 一种组合式平面建筑模板结构 | |
CN104763146A (zh) | 一种新型角模板系统 | |
KR101310843B1 (ko) |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 |
CN221920247U (zh) | 模板组合结构 | |
CN214696877U (zh) | 一种连接便捷的系统化建筑模板 | |
CN221920248U (zh) | 模板组合结构和结合组件 | |
CN204691241U (zh) | 一种新型角模板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