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744A -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9744A KR20110079744A KR1020117011764A KR20117011764A KR20110079744A KR 20110079744 A KR20110079744 A KR 20110079744A KR 1020117011764 A KR1020117011764 A KR 1020117011764A KR 20117011764 A KR20117011764 A KR 20117011764A KR 20110079744 A KR20110079744 A KR 201100797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resin
- separator layer
- temperature
- filler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0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4
- 229910001593 boeh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FAHBNUUHRFUEAI-UHFFFAOYSA-M hydroxidooxidoaluminium Chemical compound O[Al]=O FAHBNUUHRFUEA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600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787 dendrit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809 inorganic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6244 ethylene-ethyl 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76425 Xiphophorus macul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242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42 ethylene-ethyl 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220 ion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50 melt-blown nonwov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AWXUBYGYWOOIX-SFHVURJKSA-N (2s)-2-[[4-[2-(2,4-diaminoquinazolin-6-yl)ethyl]benzoyl]amino]-4-methylidenepen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NC(N)=NC(N)=C2C=C1CCC1=CC=C(C(=O)N[C@@H](CC(=C)C(O)=O)C(O)=O)C=C1 NAWXUBYGYWOOIX-SFHVURJKSA-N 0.000 description 2
- VAYTZRYEBVHVLE-UHFFFAOYSA-N 1,3-dioxol-2-one Chemical compound O=C1OC=CO1 VAYTZRYEBVHV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GUUVPOWQJOLRAS-UHFFFAOYSA-N Diphenyl disulf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SSC1=CC=CC=C1 GUUVPOWQJOLR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63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82 conductive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3 crosslink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UOUZKKEUPVFJK-UHFFFAOYSA-N diphenyl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015 heat resistant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MRNHPUHPBOKKQT-UHFFFAOYSA-N indium;tin;hydrate Chemical compound O.[In].[Sn] MRNHPUHPBOK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4 layer-forming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31 mesocarbon micro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82 microporous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29 spin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TZKOQUCBOVLHL-UHFFFAOYSA-N tert-but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C1=CC=CC=C1 YTZKOQUCBOVL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ZXUZKXVROWEIF-UHFFFAOYSA-N 1,2-but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1COC(=O)O1 ZZXUZKXVROWE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SSPGSAQUIYDCN-UHFFFAOYSA-N 1,3-Propane sultone Chemical compound O=S1(=O)CCCO1 FSSPGSAQUIYD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XJIVFYUVYPPR-UHFFFAOYSA-N 1,3-dioxolane Chemical compound C1COCO1 WNXJIVFYUVYPP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HBNJHYFVUHQT-UHFFFAOYSA-N 1,4-Dioxane Chemical compound C1COCCO1 RYHBNJHYFVUH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ZKPQHFEMFIDNR-UHFFFAOYSA-N 2-hydroxyethyl hydrogen sulfite Chemical compound OCCOS(O)=O FZKPQHFEMFIDN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FPQDYSOPQHZAQ-UHFFFAOYSA-N 2-methoxy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OC(C)C#N SFPQDYSOPQHZ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195 BM-400B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9 Chlorinat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THFKEDIFFGKHM-UHFFFAOYSA-N Dim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OCCOC XTHFKEDIFFGK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33 L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015 LiAs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684 Li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275 LiMP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089 LiMn1/3Ni1/3Co1/3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848 LiMn3/5Ni1/5Co1/5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873 LiMn5/12Ni5/12Co1/6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716 LiN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513 LiSb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JUFJBKOKNCXHH-UHFFFAOYSA-N Methyl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C RJUFJBKOKNCXH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17 R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65 allo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3 alternating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6 apa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31 aramid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52 auxilia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YLGJCQECKOTOL-UHFFFAOYSA-L bar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F-].[Ba+2] OYLGJCQECKOTOL-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32 bar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WUKWITHWXAAZEY-UHFFFAOYSA-L calcium difluoride Chemical compound [F-].[F-].[Ca+2] WUKWITHWXAAZ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34 calc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0 cal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678 chain carbo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80 constant potential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7 constant-current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81 constant-current constant-voltage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MHQVHHXPFUNSP-UHFFFAOYSA-M copper(1+);methylsulfanylmethane;bromide Chemical compound Br[Cu].CSC PMHQVHHXPFUNS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8 core-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676 cyclic carbo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292 cyclic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JOJGAPFQRJSV-UHFFFAOYSA-N dialuminum;dioxosilane;oxygen(2-);hydrate Chemical compound O.[O-2].[O-2].[O-2].[Al+3].[Al+3].O=[Si]=O.O=[Si]=O.O=[Si]=O.O=[Si]=O GUJOJGAPFQRJ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BZXBUIDTXKZTM-UHFFFAOYSA-N diglyme Chemical compound COCCOCCOC SBZXBUIDTXKZ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ZHJGOXRZJKJNY-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Si]=O.O=[Al]O[Al]=O.O=[Al]O[Al]=O.O=[Al]O[Al]=O KZHJGOXRZJKJ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25 ethylene-methyl 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9 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NBVXSUQYWXRMNV-UHFFFAOYSA-N 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 NBVXSUQYWXRM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40 fur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8 graft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0 heat-resistant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96 lac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89 lithium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102 lithium manganese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LXXBCXTUVRROQ-UHFFFAOYSA-N lithium;oxido-oxo-(oxomanganiooxy)manganese Chemical compound [Li+].[O-][Mn](=O)O[Mn]=O VLXXBCXTUVRR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7219 methyl propi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YLWMHQQBFSUBP-UHFFFAOYSA-N monofluorobenzene Chemical compound FC1=CC=CC=C1 PYLWMHQQBFSU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1 montmorill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63 mu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0 oliv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9 oliv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6 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SIIXMUUUJUKCM-UHFFFAOYSA-D pentacalcium;fluoride;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F-].[Ca+2].[Ca+2].[Ca+2].[Ca+2].[Ca+2].[O-]P([O-])([O-])=O.[O-]P([O-])([O-])=O.[O-]P([O-])([O-])=O VSIIXMUUUJUKCM-UHFFFAOYSA-D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69 petroleum derived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81 petroleum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33 poly(alkylene ox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79 poly(divinylbenz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0 poly-cyclo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VSKHRXBFJPNKK-UHFFFAOYSA-N propi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FVSKHRXBFJPN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96 pyrolytic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UHZGEOKBKGPSW-UHFFFAOYSA-N tetraglyme Chemical compound COCCOCCOCCOCCOC ZUHZGEOKBKGP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9 thermoplastic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FNKIDBQEZZDLK-UHFFFAOYSA-N triglyme Chemical compound COCCOCCOCCOC YFNKIDBQEZZD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Diaphragms;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01M6/181—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the solu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포함하는 다공질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융점이 80 내지 130℃인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비수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은, 내열 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고온에서의 안전성이 우수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렴하고 고온시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안전한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리튬 2차 전지나 수퍼 커패시터로 대표되는 비수전해액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는,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특징때문에, 휴대전화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기기의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기기의 고성능화에 따라 전기화학소자의 고용량화가 더욱 진행되는 경향에 있어, 안전성의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
현행의 리튬 2차 전지에서는, 양극과 음극과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세퍼레이터로서, 예를 들면 두께가 20 내지 30㎛ 정도인 폴리올레핀계의 다공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또, 세퍼레이터의 소재로서는, 전지의 열폭주(이상 발열) 온도 이하에서 세퍼레이터의 구성 수지를 용융시켜 빈 구멍을 폐쇄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전지의 내부 저항을 상승시켜 단락시 등에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소위 셧다운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PE)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다공화와 강도향상을 위하여 1축 연신(延伸) 또는 2축 연신한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퍼레이터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막으로서 공급되기 때문에, 작업성 등의 점에서 일정한 강도가 요구되고, 이것을 상기 연신에 의하여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신 필름에서는 결정화도가 증대되어 있고, 셧다운 온도도, 전지의 열폭주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까지 높아져 있기 때문에, 전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마진이 충분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 상기 연신에 의하여 필름에는 변형이 생겨 있고, 이것이 고온에 노출되면, 잔류응력에 의하여 수축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수축온도는, 융점, 즉 셧다운 온도와 매우 가까운 곳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폴리올레핀계의 다공성 필름 세퍼레이터를 사용할 때에는, 충전 이상시 등에 전지의 온도가 셧다운 온도에 도달하면, 전류를 즉시 감소시켜 전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빈 구멍이 충분히 폐쇄되지 않아 전류를 즉시 감소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전지의 온도는 용이하게 세퍼레이터의 수축온도로까지 상승하므로, 내부 단락에 의한 이상 발열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열수축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성의 수지를 사용한 미다공막(微多孔膜)이나 부직포를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의 미다공막을 사용한 세퍼레이터가, 특허문헌 2에는 폴리이미드 다공막을 사용한 세퍼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폴리아미드 부직포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특허문헌 4에는 아라미드섬유를 사용한 부직포를 기재(基材)로 한 세퍼레이터, 특허문헌 5에는 폴리프로필렌(PP)부직포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특허문헌 6에는 폴리에스테르부직포를 사용한 세퍼레이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내열성의 수지나 내열성의 섬유를 사용한 세퍼레이터는,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박형화가 가능하나, 고온시에 구멍이 폐쇄되는 이른바 셧다운 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외부 단락이나 내부 단락이라는 전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이상시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7이나 특허문헌 8에는, 부직포를 기재로 하고, 이것에 열용융성의 폴리올레핀을 함유시킨 구성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기술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세퍼레이터에서는, 확실하게 고온시에 열수축되지 않고, 또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의 온도가 되면 폴리올레핀이 용융되어 셧다운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세퍼레이터에서는 폴리올레핀이 유연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리튬 전지의 양극(陽極)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무기산화물 입자를 활물질로 하는 양극을 병용하여 전지로 하면, 무기산화물 입자가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양극과 음극을 세퍼레이터를 거쳐 가압한 경우에, 양극의 무기산화물 입자의 돌기가 세퍼레이터를 꿰뚫고 나와 음극과 접하여 단락할 가능성이 있어, 전지의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9나 특허문헌 10에는, 상기한 단락을 방지할 목적으로, 부직포에 무기 필러를 함유시켜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셧다운 기능이 부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의 확보라는 점에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9나 특허문헌 10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는 무기 필러로서 단순한 입자형상의 미립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입자형상의 무기미립자로 이루어지는 다공질막은, 리튬 덴드라이트가 발생한 경우에 이 덴드라이트가 다공질막을 용이하게 꿰뚫고 나갈 가능성이 높고, 덴드라이트에 기인하는 내부 단락에 대한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9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는 무기 필러를 결착하기 위한 바인더를 이용하고 있지 않고, 한편, 특허문헌 10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는 무기 바인더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세퍼레이터에서는, 구부리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문제는 없으나, 리튬 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극과 음극과 세퍼레이터를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제작하는 권회체로 하면, 무기 필러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에 균열이 생기기 쉽고, 이 균열이 단락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굴곡부의 지름이 작은 권회체를 사용하는 각형(角形) 전지에서는, 세퍼레이터의 균열에 의한 단락 등의 문제가 현저하다.
이 밖에, 특허문헌 11에는 부직포와 무기 필러로 이루어지는 다공질막에 폴리올레핀 입자로 이루어지는 셧다운층을 설치하고, 셧다운 기능을 확보한 구성의 세퍼레이터가 나타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의 내열성을 확보하면서, 셧다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나, 기본이 되는 부직포와 무기 필러로 이루어지는 다공질막이, 특허문헌 10에 나타나 있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 즉 덴드라이트에 기인하는 내부 단락에 대한 내성이나 굴곡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5-33500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0-30656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9-25985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평11-40130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2001-291503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개2003-123728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개소60-136161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개평5-74436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특개2003-22843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국 특표2005-502177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국 특표2005-53685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상 발열하였을 때의 안전성과, 각종 원인에 의한 내부 단락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한 전기화학소자를 구성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는,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포함하는 다공질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로서,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융점이 80 내지 130℃인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비수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은, 내열 온도가 150℃ 이상의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는, 양극, 음극, 비수전해액 및 다공질의 세퍼레이터를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융점이 80 내지 130℃인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상기 비수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은, 내열 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 1 제조방법은, 융점이 80 내지 130℃인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비수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슬러리형상의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함유하는 슬러리형상의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공질 기체에 도포하여, 상기 수지 A 및 상기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다공질 기체에 도포하여, 상기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 2 제조방법은, 융점이 80 내지 130℃인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비수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슬러리형상의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함유하는 슬러리형상의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 1 다공질 기체에 도포하여, 상기 수지 A 및 상기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 2 다공질 기체에 도포하여, 상기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의 제조방법은, 융점이 80 내지 130℃인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비수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슬러리형상의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함유하는 슬러리형상의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활물질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활물질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하고, 도포한 조성물이 건조하기 전에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또는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수지 A 및 상기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 또는 상기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원인에 의한 내부 단락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또 단락이나 과충전 등에 의해 전지의 온도가 매우 상승하였을 때의 안전성도 우수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3의 리튬 2차 전지에서의 내부 저항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비교예 3의 리튬 2차 전지에서의 내부 저항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3의 리튬 2차 전지에서의 내부 저항의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이하, 단지「세퍼레이터」라고 한다.)는, 다공질의 제 1 세퍼레이터층과, 다공질의 제 2 세퍼레이터층을 구비한 다공질막이다.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하는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비수전해액(이하, 단지「전해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이하, 단지「수지 A 및/또는 수지 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고, 또한 105 ~ 135℃의 범위에서 셧다운을 일으키는 다공질층이다. 또한,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은, 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함과 동시에, 상기 필러를 고정하는 유기바인더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셧다운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이 수지 A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가 조립된 전기화학소자의 온도가, 수지 A의 융점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에, 수지 A가 용융하여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을 폐쇄하여, 전기화학반응의 진행을 억제하는 셧다운을 일으킨다. 한편,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이 수지 B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가 조립된 전기화학소자의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수지 B가 전기화학소자 내의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팽윤한 입자가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을 폐쇄함과 동시에,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 내부에 존재하는 유동 가능한 전해액이 감소함으로써, 셧다운을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제 1 세퍼레이터층에 수지 A가 함유되는 경우,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을 폐쇄함으로써 셧다운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고, 세퍼레이터의 표면에서 용융한 수지 A가 막을 형성하여 Li 이온의 전도를 저해하여, 셧다운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수지 A를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이 존재하고, 세퍼레이터 표면에서의 수지 A의 체적비율이 높은 경우에, 이와 같은 셧다운 기구를 일으키기 쉬워진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을 폐쇄하여 셧다운을 일으키기보다도, 셧다운의 응답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제 2 세퍼레이터층은, 세퍼레이터 원래의 기능, 주로 양극과 음극과의 직접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에 의하여, 그 기능을 확보하고 있다. 즉, 제 2 세퍼레이터층에 의하여, 전기화학소자가 통상 사용되는 온도역(溫度域)에서는, 세퍼레이터를 거쳐 양극과 음극을 가압하여 전극체를 구성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이 세퍼레이터를 꿰뚫고 나가 음극과 접촉함에 의한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기화학소자가 고온이 된 경우에는, 제 2 세퍼레이터층에 의하여, 세퍼레이터의 열수축을 억제하여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세퍼레이터가 열수축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양/음극의 직접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다공질 기체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내열온도가 150℃ 이상」이란, 적어도 150℃에서 연화(軟化) 등의 변형이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내열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이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제 1 세퍼레이터층,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이 판형상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세퍼레이터에서의 양극/음극 사이의 경로, 즉 소위 곡로율(曲路率)이 커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전기화학소자에서는, 덴드라이트가 생성된 경우에도, 이 덴드라이트가 음극에서 양극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어, 덴드라이트에 기인하는 내부 단락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 2 세퍼레이터층이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는, 이 판형상 입자가「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겸할 수 있어, 제 2 세퍼레이터층에 함유되는 필러의 적어도 일부를 판형상 입자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에서의「수지 A 및/또는 수지 B를 주체로 한다」란, 층 내의 고형분 비율(단, 뒤에서 설명하는 다공질 기체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공질 기체를 제외한 고형분 비율)이고, 수지 A 및/또는 수지 B가 50 체적%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에서의「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한다」란, 층 내의 고형분 비율(단, 뒤에서 설명하는 다공질 기체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공질 기체를 제외한 고형분 비율)이고, 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가 50 체적%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세퍼레이터층에 관한 수지 A는, 융점이 80 내지 130℃의 것이다. 수지 A의 융점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업규격(JIS)K 7121의 규정에 준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융해 온도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수지 A로서는, 전기절연성을 가지고 있고, 전기화학소자가 가지는 전해액에 대하여 안정되고, 또한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산화환원되기 어려운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공중합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 유도체(염소화 폴리에틸렌 등), 폴리올레핀 왁스, 석유 왁스, 칼나바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비닐 모노머 공중합체, 더욱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또는,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나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올레핀에서의 에틸렌 유래(由來)의 구조단위는, 85 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시클로올레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 A에는, 상기 예시의 수지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수지 A로서는, 상기 예시한 재료 중에서도, PE, 폴리올레핀 왁스, 또는 에틸렌 유래의 구조단위가 85 mol% 이상인 EVA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수지 A는, 필요에 따라, 수지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제 1 세퍼레이터층에 관한 수지 B로서는, 통상 전기화학소자가 사용되는 온도영역(약 70℃ 이하)에서는, 전해액을 흡수하지 않거나 또는 흡수량이 한정되어 있고, 따라서 팽윤의 정도가 일정 이하이나, 셧다운이 필요하게 되는 온도까지 가열되었을 때에는, 전해액을 흡수하여 크게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성질을 가지는 수지가 사용된다. 제 1 세퍼레이터층에 수지 B를 함유하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전기화학소자에서는, 셧다운 온도보다 저온측에서는, 수지 B에 흡수되지 않는 유동 가능한 전해액이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 내부의 Li(리튬) 이온의 전도성이 높아지고, 양호한 부하특성을 가지는 전기화학소자가 된다. 한편, 온도 상승에 따라 팽윤도가 증대하는 성질(이하, 「열팽윤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나타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에는, 수지 B는 전기화학소자 내의 전해액을 흡수하여 크게 팽윤하고, 팽윤한 수지 B가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을 폐쇄함과 동시에, 유동 가능한 전해액이 감소하여 전기화학소자가 액마름상태가 됨으로써, 셧다운이 생겨 전기화학소자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셧다운 온도를 넘는 고온이 된 경우, 열팽윤성에 의해 상기 액마름이 더욱 진행되어, 전기화학소자의 반응이 더욱 억제되게 되기 때문에, 셧다운 후의 고온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수지 B가 열팽윤성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온도는,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B가 열팽윤성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온도를 75℃ 이상으로 함으로써, Li 이온의 전도성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전지의 내부 저항이 상승하는 온도(이른바 셧다운 온도)를, 대략 80℃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의 하한이 높아질수록, 세퍼레이터의 셧다운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셧다운 온도를 대략 130℃ 이하로 설정하기 위하여, 수지 B의 열팽윤성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온도는, 12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5℃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가 너무 높으면, 전지 내의 활물질의 열폭주 반응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어, 전기화학소자의 안전성 향상 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없는 경우가 있고, 또,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가 너무 낮으면, 통상의 전기화학소자의 사용 온도역(약 70℃ 이하)에서의 Li 이온의 전도성이 너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수지 B는 전해액을 가능한 한 흡수하지 않고, 팽윤이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기화학소자의 사용온도영역, 예를 들면 실온에서는, 전해액은, 수지 B에 도입되기 보다도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쪽이, 전기화학소자의 부하특성 등의 특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이다.
상온(25℃)에서 수지 B가 흡수하는 전해액량은, 수지 B의 체적변화를 나타내는 하기 수학식 (1)에서 정의되는 팽윤도(BR)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단, 상기 식에서, Vo는, 전해액 중에 25℃에서 24시간 침지 후의 수지 B의 체적(㎤), Vi는,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수지 B의 체적(㎤)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상온(25℃)에서의 수지 B의 팽윤도(BR)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해액의 흡수에 의한 팽윤이 작은 것, 즉 BR은 가능한 한 0에 가까운 작은 값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보다 저온측에서는, 팽윤도의 온도변화가 가능한 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B를 바인더수지로 결착시킨 세퍼레이터에서는, 바인더수지와 함께 존재하는 상태에서 수지 B의 팽윤도가 작은 값이 되면 된다.
한편, 수지 B로서는,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의 하한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때는, 전해액의 흡수량이 커지고,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범위에서, 온도와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120℃에서 측정되는, 하기 수학식 (2)에서 정의되는 팽윤도(BT)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상기 식에서 Vo는, 전해액 중에 25℃에서 24시간 침지 후의 수지 B의 체적(㎤), Vl은, 전해액 중에 25℃에서 24시간 침지 후, 전해액을 120℃로 승온시키고, 120℃에서 1시간 경과후에 있어서의 수지 B의 체적(㎤)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상기 수학식 (2)에서 정의되는 수지 B의 팽윤도는, 너무 커지면 전기화학소자(예를 들면, 전지)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학식 (2)에서 정의되는 팽윤도는, 수지 B의 크기의 변화를, 광산란법이나 CCD 카메라 등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의 화상해석이라고 한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 측정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동일하게 정의되는, 25℃ 및 120℃에서의 팽윤도를 알고 있는 바인더수지를 사용하여, 그 용액 또는 에멀전에, 수지 B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조제하고, 이것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나 유리판 등의 기재 상에 도포하여 필름을 제작하고, 그 질량을 측정한다. 다음에, 이 필름을, 25℃의 전해액 중에 24시간 침지하여 질량을 측정하고, 다시 전해액을 120℃로 가열승온시켜, 120℃에서 1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질량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3) 내지 (9)에 의하여 팽윤도(BT)를 산출한다. 또한, 하기 수학식 (3) 내지 (9)에서는, 25℃에서 120℃까지 승온하였을 때의, 전해액 이외의 성분의 체적증가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3) 내지 (9)에서,
Vi :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수지 B의 체적(㎤),
Vo : 전해액 중에 25℃에서 24시간 침지 후의 수지 B의 체적(㎤),
VB : 전해액 중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지 후에, 필름에 흡수된 전해액의 체적(㎤),
Vc : 전해액 중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시점에서, 전해액을 120℃까지 승온시키고, 다시 120℃에서 1시간 경과하기까지의 사이에, 필름에 흡수된 전해액의 체적(㎤),
Vv :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바인더수지의 체적(㎤),
VD : 전해액 중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지 후의 바인더수지의 체적(㎤),
Mi :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필름의 질량(g),
Mo : 전해액 중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의 필름의 질량(g),
Ml : 전해액 중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전해액을 120℃까지 승온시키고, 다시 120℃에서 1시간 경과한 후에 있어서의 필름의 질량(g),
W :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필름 중의 수지 B의 질량비율,
PA :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수지 B의 비중(g/㎤),
PB : 상온에서의 전해액의 비중(g/cm),
Pc : 기설정된 온도에서의 전해액의 비중(g/㎤),
Pv : 전해액에 침지하기 전의 바인더수지의 비중(g/㎤),
BB : 전해액 중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지 후의 바인더수지의 팽윤도,
Bc : 상기 수학식 (2)에서 정의되는 승온시의 바인더수지의 팽윤도이다.
또,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상기 수학식 (3) 및 상기 수학식 (7)에서 구해지는 Vi 및 Vo로부터,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온에서의 팽윤도(BR)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비수전해액을 가지는 전기화학소자에 사용되는 것이나, 종래의 비수전해액을 가지는 전기화학소자에서는, 예를 들면 리튬염을 유기용매에 용해한 용액이 비수전해액으로서 사용되고 있다(리튬염이나 유기용매의 종류, 리튬염 농도 등의 상세는 뒤에서 설명한다.). 따라서 수지 B로서는, 리튬염의 유기용매 용액 중에서, 75 내지 125℃ 중 어느 하나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한 열팽윤성을 나타내기 시작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액 중에 있어서 팽윤도(BR, BT)가 상기의 값을 만족하도록 팽윤할 수 있는 것이 권장된다.
수지 B로서는, 내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고 있고, 전해액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또한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산화 환원되기 어려운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가 바람직하며, 그와 같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가교체를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티렌수지 [폴리스티렌(PS) 등],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아크릴수지[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등], 불소수지[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등] 및 이들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의 가교체 ; 요소수지 ; 폴리우레탄 ;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B에는, 상기 예시한 수지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또, 수지 B는, 필요에 따라, 수지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수지 B로서는, 예시한 재료 중에서도, 스티렌수지 가교체, 아크릴수지 가교체 및 불소수지 가교체가 바람직하고, 가교 PMMA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수지 가교체가, 온도 상승에 의하여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는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유리 전이점(Tg)과의 상관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수지는, 일반적으로 그 Tg까지 가열되었을 때에 유연해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수지는, Tg 이상의 온도에서 많은 전해액의 흡수가 가능해져 팽윤하는 것은 아닐까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수지 B로서는, 실제로 셧다운 작용이 생기는 온도가, 수지 B가 열팽윤성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온도보다 다소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75 내지 125℃의 범위에 Tg를 가지는 수지 가교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지 B인 수지 가교체의 Tg는, JIS K 7121의 규정에 준하여, DSC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수지 가교체에서는, 전해액을 함유하기 전의 소위 건조상태에서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팽창되어도, 온도를 내림으로써 다시 수축된다는 바와 같이, 온도변화에 따르는 체적변화에 어느 정도 가역성이 있고, 또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보다도 매우 높은 내열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열팽윤성을 나타내는 온도의 하한이 100℃ 정도이더라도, 200℃ 또는 그 이상까지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퍼레이터의 제작공정 등에서 가열을 행하여도, 수지가 용해되거나 수지의 열팽윤성이 손상되거나 하는 일이 없어, 일반 가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에서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수지 A 및 수지 B의 사용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미립자형상 그대로 사용하여도 되고, 그 밖에 예를 들면 뒤에서 설명하는 다공질 기체를 구성하는 섬유형상물을 코어재로 하여, 수지 A 또는 수지 B를 그 표면에 부착시키거나, 그 표면을 피복시키거나 하여, 제 1 세퍼레이터층에 함유시켜도 된다. 또, 뒤에서 설명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에서의「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 등을 코어로 하고, 수지 A 또는 수지 B를 쉘로 하는 코어 쉘구조의 형태로, 제 1 세퍼레이터층에 함유시켜도 된다. 또한 수지 A와 수지 B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예를 들면 수지 B의 표면에 수지 A를 부착시키거나, 수지 B의 표면을 수지 A로 피복시키거나 하여, 일체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형태에서, 수지 A 및 수지 B는, 특히 미립자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형상의 수지 A 및 수지 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시에 있어서의 이들 수지의 입자지름이 세퍼레이터의 두께보다 작으면 되나, 세퍼레이터의 두께의 1/100 내지 1/3의 평균 입자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A 및 수지 B의 평균 입자지름이 0.1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A나 수지 B의 입자지름이 너무 작은 경우는, 입자끼리의 간극이 작아지고, 이온의 전도 패스가 길어져 전기화학소자의 특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입자지름이 너무 크면, 제 1 세퍼레이터층의 두께가 커져, 전기화학소자의 에너지밀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미립자(수지 A, 수지 B, 뒤에서 설명하는 필러, 뒤에서 설명하는 판형상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은, 예를 들면, 레이저 산란 입도 분포계(예를 들면, HORIBA사제"LA-920")를 사용하고, 수지 A나 수지 B의 경우에는, 이들 수지를 팽윤시키지 않는 매체(예를 들면 물)에, 뒤에서 설명하는 필러나 판형상 입자의 경우에는, 이들을 용해하지 않은 매체에, 이들 미립자를 분산시켜 측정한 수평균 입자지름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수지 A 및 수지 B는, 각각 단독으로 제 1 세퍼레이터층에 함유시킬 수도 있고, 또, 양자를 병용할 수도 있다.
세퍼레이터에서의 수지 A 및 수지 B의 함유량은, 셧다운의 효과를 더욱 얻기쉽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에 있어서의 수지 A와 수지 B와의 합계 체적은, 10 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체적%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지 A와 수지 B와의 합계 체적이, 제 1 세퍼레이터층의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뒤에서 설명하는 다공질 기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공질 기체를 제외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 50 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체적%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체적%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빈 구멍율이 10 내지 50%이고, 또한 수지 A와 수지 B와의 합계 체적이,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전체 빈 구멍 체적의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A는, 발열시에 용융하여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빈 구멍을 폐쇄함으로써 셧다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수지 A의 체적은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전체 빈 구멍 체적에 대하여 일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 B는, 발열시에 세퍼레이터에 유지되어 있는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여 액마름을 일으킴으로써 셧다운 효과를 발휘하고, 또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전체 빈 구멍 체적이 수지 B의 팽윤에 사용할 수 있는 전해액의 양에 관계하기 때문에, 수지 B의 체적은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전체 빈 구멍 체적에 대하여 일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A와 수지 B와의 합계 체적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세퍼레이터의 고온시에 있어서의 형상 안정성 확보의 점에서, 세퍼레이터의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에서의 수지 A와 수지 B와의 합계 체적은, 8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체적%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세퍼레이터층에 관한 필러는, 내열온도가 150℃ 이상이고, 전기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해액이나 세퍼레이터 제조시에 사용하는 용매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또한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산화 환원되기 어려운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된 것이면, 유기입자이든 무기입자이든 상관없으나, 분산성 등의 점에서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안정성 등의 점에서 무기미립자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무기입자의 구성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철, SiO2, Al2O3, TiO2, BaTiO2, ZrO2 등의 무기산화물 ;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등의 무기질화물 ; 불화 칼슘, 불화 바륨, 황산 바륨 등의 난용성의 이온 결정 ; 실리콘, 다이아몬드 등의 공유결합성 결정 ;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점토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베마이트, 제올라이트, 아파타이트, 카올린, 뮬라이트, 스피넬, 오리빈, 마이카 등의 광물자원 유래물질 또는 이들의 인조물 등이어도 된다. 또, 금속 ; SnO2, 주석-인듐산화물(ITO) 등의 도전성산화물 ; 카본블랙, 그라파이트 등의 탄소질재료 등으로 예시되는 도전성재료의 표면을,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상기한 무기산화물 등으로 피복함으로써 전기절연성을 가지게 한 입자이어도 된다. 상기한 무기산화물 중에서도, Al2O3, SiO2 및 베마이트가 바람직하고, 리튬 덴드라이트의 발생에 기인하는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가장 높은 베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베마이트로서는, 입자지름이나 형상을 제어하기 쉽고, 전기화학소자의 특성에 악영향을 주는 이온성의 불순물을 저감할 수 있는 합성 베마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기미립자(유기분말)로서는, 가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가교 폴리스티렌, 가교 폴리디비닐 벤젠, 스티렌-디비닐 벤젠 공중합체 가교물, 폴리이미드,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등의 각종 가교 고분자 미립자(단, 수지 B에 해당하지 않는 것)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라미드, 폴리아세탈,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고분자 미립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이들 유기미립자를 구성하는 유기수지(고분자)는, 상기 예시한 재료의 혼합물, 변성체, 유도체, 공중합체(랜덤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가교체(상기한 내열성 고분자 미립자의 경우)이어도 된다.
필러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球)형상에 가까운 형상이어도 되고, 판형상이어도 되나, 단락방지의 점에서는, 판형상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상 입자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판형상의 Al2O3나 판형상의 베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필러의 입자지름은, 상기한 측정법으로 측정되는 수평균 입자지름으로,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필러의 함유량은, 내부 단락방지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세퍼레이터의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 20 체적%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체적%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세퍼레이터에서의 수지 A나 수지 B의 함유량을 확보하여 셧다운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퍼레이터의 전체 구성 성분 중에서의 필러의 함유량은, 80 체적%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섬유형상물이나 상기한 수지 A, 수지 B, 그 밖의 첨가 입자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세퍼레이터층은 주로 양/음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로서의 원래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필러의 함유량이 적으면, 이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에 있어서의 필러의 함유량은, 전체 고형분량(뒤에서 설명하는 다공질 기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질 기체를 제외한 전체 고형분량)의 전체 체적 중, 50 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체적%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80 체적%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에 판형상 입자를 함유시킨다. 제 2 세퍼레이터층이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판형상 입자가 제 2 세퍼레이터층에 관한 필러를 겸할 수 있다.
판형상 입자의 형태로서는, 종횡비가 2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또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입자의 평판면의 장축방향 길이와 단축방향 길이의 비(장축방향 길이/단축방향 길이)의 평균값은,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고, 1에 가까운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상 입자에서의 상기한 평판면의 장축방향 길이와 단축방향 길이의 비의 평균값은, 예를 들면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화상 해석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판형상 입자에서의 상기한 종횡비도, SEM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화상 해석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 판형상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으로서는, 세퍼레이터의 두께보다 작으면 되고, 한편, 세퍼레이터의 두께의 1/1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측정법으로 측정되는 수평균 입자지름으로,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세퍼레이터 중에서의 판형상 입자의 존재형태는, 평판면이 세퍼레이터의 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의 표면 근방에서의 판형상 입자에 대하여, 그 평판면과 세퍼레이터의 면과의 평균 각도가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균 각도가 0°, 즉, 세퍼레이터의 표면 근방에서의 판형상 입자의 평판면이, 세퍼레이터의 면에 대하여 평행인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표면 근방」이란, 세퍼레이터의 표면에서 전체 두께에 대하여 약 10%의 범위를 가리킨다. 판형상 입자의 존재형태가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전극 표면에 석출하는 리튬 덴드라이트나 전극 표면의 활물질의 돌기에 의해 내부 단락이 생기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판형상 입자의 재질로서는, 판형상의 필러의 구체예로서 위에서 예시한 무기미립자(대표적으로는, 판형상의 Al2O3나 판형상의 베마이트 등) 외에, 내열온도가 150℃ 이상인 수지재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판형상 입자의 구성재료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에 판형상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효과를 더욱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판형상 입자의 함유량은, 세퍼레이터의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단, 뒤에서 설명하는 다공질 기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질 기체를 제외한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판형상 입자는, 제 2 세퍼레이터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제 2 세퍼레이터층에서 필러를 판형상 입자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제 2 세퍼레이터층에는, 세퍼레이터의 형상 안정성의 확보 등을 위하여 유기 바인더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쪽만이어도 상관없으나, 각각의 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바인더로서는, EVA(아세트산 비닐 유래의 구조단위가 20 내지 35 mol%인 것),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등의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불소계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스(HEC), 폴리비닐 알콜(PVA), 폴리비닐 부티랄(PVB),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가교 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수지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150℃ 이상의 내열온도를 가지는 내열성의 바인더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 바인더는, 상기 예시한 것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상기 예시의 유기 바인더 중에서도, 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불소계 고무, SBR 등의 유연성이 높은 바인더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연성이 높은 유기 바인더의 구체예로서는, 미츠이 듀폰 폴리케미컬사의 EVA"에바프렉스시리즈", 니혼유니카사의 EVA, 미츠이 듀폰 폴리케미컬사의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에바프렉스 EEA 시리즈", 니혼유니카사의 EEA, 다이킨 고교사의 불소고무"다이엘라텍스시리즈", JSR사의 SBR"TRD-2001", 니혼제온사의 SBR"BM-400B" 등이 있다.
상기한 유기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세퍼레이터형성용의 조성물의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분산시킨 에멀전의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
또, 세퍼레이터의 형상 안정성이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섬유형상물 등을 필러나 수지 A, 수지 B와 혼재시켜도 된다. 섬유형상물로서는, 내열온도가 150℃ 이상으로서, 전기절연성을 가지고 있고,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되고, 또한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전해액이나, 세퍼레이터 제조시에 사용하는 용매에 안정적이면, 특별히 재질에 제한은 없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섬유형상물」이란, 종횡비[길이가 긴 방향의 길이/길이가 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폭(직경)]이 4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종횡비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형상물의 구체적인 구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및 그 변성체[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CMC),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HPC )등], 폴리올레핀[폴리프로필렌(PP),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등],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아라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 ; 유리,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실리카 등의 무기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구성재료를 2종 이상 병용하여 섬유형상물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 섬유형상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섬유형상물이 수지인 경우에는 산화방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상기 유기 바인더에 의하여 필러를 고정하는 경우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세퍼레이터의 기재로서 어느 정도는 기능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를 전극과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그 처리성은 그다지 문제로는 되지 않으나, 독립막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처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독립된 다공질 기체를 기재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기체는, 상기한 섬유형상물이 직포, 부직포(종이를 함유한다) 등의 시트형상물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내열온도가 150℃ 이상의 것으로, 시판의 부직포 등을 다공질 기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형태의 세퍼레이터에서는, 다공질 기체의 공극 내에 필러나 수지 A, 수지 B의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공질 기체와, 필러나 수지 A, 수지 B의 미립자를 결착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유기 바인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제 1 세퍼레이터층 및/또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전극과 일체화시키지 않고 독립막으로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다공질 기체를 사용함으로써 강도가 증가하여, 처리가 더욱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공질 기체의「내열성」은, 연화 등에 의한 실질적인 치수변화가 생기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대상물의 길이의 변화, 즉, 다공질 기체에서는, 실온에서의 길이에 대한 수축의 비율(수축율)이 5% 이하를 유지할 수 있는 상한온도(내열온도)가 셧다운 온도보다도 충분히 높은지의 여부로 내열성을 평가한다. 셧다운 후의 전기화학소자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공질 기체는, 셧다운 온도보다도 20℃ 이상 높은 내열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공질 기체의 내열온도는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열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공질 기체는, 수지 A 및/또는 수지 B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에 사용할 수도 있고,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양자에 다공질 기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이, 하나의 다공질 기체를 공유하여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제 1 세퍼레이터층, 제 2 세퍼레이터층마다 별도의 다공질 기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다공질 기체를 사용하여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수지 A, 수지 B, 필러 및 판형상 입자 등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다공질 기체의 공극 내에 존재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수지 A, 수지 B, 필러 및 판형상 입자 등의 작용을 더욱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섬유형상물(다공질 기체를 구성하는 섬유형상물, 그 밖의 섬유형상물을 함유한다)의 직경은, 세퍼레이터의 두께 이하이면 좋으나, 예를 들면 0.01 내지 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름이 너무 크면, 섬유형상물끼리의 얽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시트형상물을 형성하여 다공질 기체를 구성하는 경우에, 그 강도가 작아져 처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지름이 너무 작으면, 세퍼레이터의 공극이 너무 작아져 이온 투과성이 저하하는 경향에 있고, 전기화학소자의 부하특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의 섬유형상물의 함유량은,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 예를 들면 10 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체적% 이상이고, 90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 중에서의 섬유형상물의 존재상태는, 예를 들면 장축(길이가 긴 방향의 축)의, 세퍼레이터면에 대한 각도가 평균으로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섬유형상물을 다공질 기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질 기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세퍼레이터의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 10 체적% 이상 90 체적% 이하가 되도록, 다른 성분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화학소자에서의 단락방지 효과를 더욱 높이고, 세퍼레이터의 강도를 확보하여 처리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전기화학소자의 에너지밀도를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 1 세퍼레이터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그리고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율로서는, 전해액의 보액량을 확보하여 이온 투과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건조한 상태에서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세퍼레이터 강도의 확보와 내부 단락의 방지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율은, 건조한 상태에서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율 : P(%)는, 세퍼레이터의 두께, 면적당 질량, 구성성분의 밀도로부터, 하기 수학식 (10)을 이용하여 각 성분(i)에 대한 총합을 구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에서 ai : 질량%로 표시한 성분(i)의 비율, ρi : 성분(i)의 밀도(g/㎤), m : 세퍼레이터의 단위 면적당 질량(g/㎠), t : 세퍼레이터의 두께(cm)이다.
또, 상기 수학식 (10)에서, m을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g/㎠)으로 하고, t를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두께(cm)로 함으로써, 상기 수학식 (10)을 이용하여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빈 구멍율 : P(%)를 구할 수도 있다. 이 방법에 의하여 구해지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빈 구멍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B를 함유하는 세퍼레이터에서는, 전기화학소자의 조립 후에 있어서, 수지 B가 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율이 다소 저하하여도 문제는 없고, 세퍼레이터의 빈 구멍율이 10% 이상이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JIS P 8117에 준거한 방법으로 행하여지고, 0.879g/㎟의 압력 하에서 100 mL의 공기가 막을 투과하는 초수(秒數)로 나타내는 걸리값(Gurley Value)이, 10 내지 300 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기도가 너무 크면, 이온 투과성이 작아지고, 한편, 너무 작으면 세퍼레이터의 강도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강도로서는, 직경 1 mm의 니들을 이용한 돌자(piercing)강도로 5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돌자 강도가 너무 작으면, 리튬의 덴드라이트 결정이 발생한 경우에, 세퍼레이터의 찢어짐에 의한 단락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셧다운 특성은, 예를 들면 비수전해액의 공존 하에서, 전기화학소자의 내부 저항의 온도변화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화학소자를 항온조 중에 설치하고, 온도를 실온(25℃)에서 매분 1℃의 비율로 상승시켜, 전기화학소자의 내부 저항이 상승하는 온도를 구함으로써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150℃에서의 전기화학소자의 내부 저항은, 실온(25℃)의 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저항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종래의 PE제 다공질 필름으로 구성되는 세퍼레이터와는 달리, 강한 응력을 가하는 일 없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후의 잔류 응력이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고,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존재와 아울러, 열수축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다공질 기체를 사용하여 구성한 세퍼레이터에서는, 다공질 기체가 본질적으로 거의 열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열수축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제조방법의 면에서도, 고온 하에서의 전기화학소자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상기한 각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150℃에서의 열수축율을 1% 이하로 할 수 있다. 즉, 전기화학소자의 내부가 150℃ 정도가 되어도, 세퍼레이터의 수축이 거의 생기지 않기 때문에, 양/음극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어, 고온에서의 전기화학소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열수축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에 가까우면 가까울 수록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세퍼레이터에서의「150℃의 열수축율」이란, 세퍼레이터를 항온조에 넣고, 온도를 150℃까지 상승시켜 30분 방치한 후에 꺼내어, 항온조에 넣기 전의 세퍼레이터의 치수와 비교함으로써 구해지는 치수의 감소비율을 백분률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a) 내지 (d)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제조방법 (a)는, 다공질 기체에, 수지 A 및/또는 수지 B를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슬러리 등의 액상 조성물 등), 또는 내열온도가 150℃ 이상의 필러를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슬러리 등의 액상 조성물 등)을 도포한 후, 기설정된 온도로 건조하고, 그 후 다른쪽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나서 기설정된 온도에서 건조하는 제조방법이다. 이 경우의 다공질 기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시의 각 재료를 구성성분에 함유하는 섬유형상물의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는 직포나, 이들 섬유형상물끼리가 서로 얽힌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 등의 다공질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이, PP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PET 부직포, PEN 부직포, PBT 부직포 등), PAN 부직포 등의 부직포를 예시할 수 있다.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지 A 및/또는 수지 B(예를 들면, 미립자형상의 것) 외에, 필요에 따라 필러(판형상 입자로 할 수도 있다.), 유기 바인더 등을 함유하고, 이들을 용매(분산매를 함유하는, 이하 동일)에 분산시킨 것이다. 또한, 유기 바인더에 대해서는 용매에 용해시킬 수도 있다.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수지 A나 수지 B, 필러 등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고, 또, 유기 바인더를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것이면 되나, 예를 들면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푸란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 일반적으로 유기용매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들 용매에, 계면장력을 제어할 목적으로, 알콜(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 또는 모노메틸아세테이트 등의 각종 프로필렌옥사이드계 글리콜 에테르 등을 적절히 첨가하여도 된다. 또, 유기 바인더가 수용성인 경우, 에멀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서는, 물을 용매로 하여도 되고, 이 때에도 알콜류(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렌글리콜 등)를 적절히 가하여 계면장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은, 필러(판형상 입자로 할 수도 있다) 외에, 필요에 따라 수지 A나 수지 B(예를 들면, 미립자형상의 것), 유기 바인더 등을 함유하고, 이들을 용매에 분산시킨 것이다. 용매에는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용의 것으로서 예시한 각종 용매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적절하게 계면장력을 제어하는 성분으로서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관하여 예시한 상기한 각종 성분을 가하여도 된다.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지 A, 수지 B, 필러 및 유기 바인더를 함유하는 고형분 함량을, 예를 들면 10 내지 80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기체의 빈 구멍의 개구지름이 비교적 큰 경우, 예를 들면 5㎛ 이상의 경우에는, 이것이 전기화학소자의 단락이 요인이 되기 쉽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지 A나 수지 B, 필러, 판형상 입자 등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다공질 기체의 공극 내에 존재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기체의 공극 내에 수지 A나 수지 B, 필러, 판형상 입자 등을 존재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이들을 함유하는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공질 기체에 도포한 후에 일정한 갭을 통과시키고, 여분의 조성물을 제거한 후, 건조하는 등의 공정을 사용하면 된다.
세퍼레이터에 함유시키는 판형상 입자의 배향성을 높여 그 기능을 더욱 유효하게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공질 기체에 도포하여 함침시킨 후, 상기 조성물에 전단(shear)이나 자장을 인가한다는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판형상 입자를 함유하는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공질 기체에 도포한 후, 일정한 갭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조성물에 전단을 인가할 수 있다.
또, 수지 A나 수지 B, 필러, 판형상 입자 등, 각각의 구성물이 가지는 작용을 더욱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성물을 편재시켜, 세퍼레이터의 막면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상기 구성물이 층형상으로 모인 형태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다이코터나 리버스 롤 코터의 헤드나 롤을 2개 이용하여, 다공질 기체의 표리 양쪽 방향으로부터 각각의 조성물, 예를 들면,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과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b)는, 다공질 기체에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또는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한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에 다른쪽의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c)는,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다공질 기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수지 A 및/또는 수지 B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고, 다른 다공질 기체에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내열온도가 150℃ 이상의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고, 이들 2개의 세퍼레이터층을 겹쳐서 하나의 세퍼레이터로 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 독립된 구성으로서, 전기화학소자의 조립에 의하여, 전기화학소자 내에서 겹쳐진 상태에서 일체의 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d)는,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에, 또한 필요에 따라 섬유형상물을 함유시키고, 이것을 필름이나 금속박 등의 기판 상에 도포하고, 기설정된 온도에서 건조한 후에, 상기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방법이다. (d)의 방법에서도, (c)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수지 A 및/또는 수지 B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과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은, 각각 독립된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일체화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이 일체화된 구성으로 하는 경우는, (a)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고 건조한 후에 다른쪽의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여도 되고, 한쪽의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기 전에 다른쪽의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도 되며, 양자의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을 동시에 도포하는 소위 동시 중층 도포방식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 (d)의 방법에 의하여, 전기화학소자를 구성하는 양극 및 음극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표면에, 제 1 세퍼레이터층 또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여, 세퍼레이터와 전극을 일체화한 구조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양쪽의 세퍼레이터층을 양극 및 음극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에 형성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층을 양쪽의 전극에 형성할 수도 있고, 제 1 세퍼레이터층을 양극 또는 음극의 한쪽에 형성하고, 제 2 세퍼레이터층을 다른쪽의 전극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상기 (a) 내지 (d)의 방법으로 제조한 각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c)의 방법과 (d)의 방법을 조합시켜 형성되는 형태, 즉 제 1 세퍼레이터층 또는 제 2 세퍼레이터층 중 어느 한쪽에 다공질 기체를 사용하고, 다른쪽에 다공질 기체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제 1 세퍼레이터층 또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의 한쪽을 전극과 일체화한 구성으로 하고, 다른쪽을 독립된 세퍼레이터층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수지 A 및/또는 수지 B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과, 필러를 주체로 하여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은, 각각 1층씩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층이 세퍼레이터 중에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양면에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단, 층수를 늘림으로써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늘려, 내부저항의 증가나 에너지밀도의 저하를 초래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층수를 너무 많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세퍼레이터층의 층수는 5층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 A나 수지 B는, 입자형상으로 하나하나 독립하여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서로, 또는 섬유형상물 등에, 일부가 융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은, 일체화하여 독립막으로서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이외에, 각각 독립된 구성요소로 하고, 전기화학소자가 조립된 단계에서, 전기화학소자 내에서 겹쳐진 상태가 되어,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은 접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그것들의 사이에 별도의 층, 예를 들면, 다공질 기체를 구성하는 섬유형상물의 층 등이 개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전기화학소자는, 비수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튬 2차 전지 외에, 리튬 1차 전지나 수퍼 커패시터 등, 고온에서의 안전성이 요구되는 용도이면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는, 상기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면, 그 밖의 구성·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의 비수전해액을 가지는 각종 전기화학소자(리튬 2차 전지, 리튬 1차 전지, 수퍼 커패시터 등)가 구비하고 있는 각종 구성·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의 일례로서, 리튬 2차 전지에 대한 적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리튬 2차 전지의 형태로서는, 스틸캔이나 알루미늄캔 등을 외장 캔으로서 사용한 통형(각진 통형이나 원통형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금속을 증착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외장체로 한 소프트 패키지 전지로 할 수도 있다.
양극으로서는, 종래의 리튬 2차 전지에 사용하고 있는 양극, 즉 Li 이온을 흡장 방출 가능한 활물질을 함유하는 양극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로서, Li1+xMO2(-0.1<x<0.1, M:Co, Ni, Mn, Al, Mg 등)으로 나타내는 층형상 구조의 리튬함유 천이금속 산화물, LiMn2O4나 그 원소의 일부를 다른 원소로 치환한 스피넬구조의 리튬 망간 산화물, LiMPO4(M:Co, Ni, Mn, Fe 등)로 나타내는 오리빈형 화합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층형상 구조의 리튬함유 천이금속 산화물의 구체예로서는, LiCoO2나 LiNi1-xCox-yAlyO2(0.1≤x≤0.3, 0.01≤y≤0.2) 등 외에, 적어도 Co, Ni 및 Mn을 함유하는 산화물(LiMn1/3Ni1/3Co1/3O2, LiMn5/12Ni5/12Co1/6O2, LiMn3/5 Ni1/5Co1/5O2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에는, 도전조제로서 카본블랙 등의 탄소재료, 및 바인더로서 폴리불화 비닐리덴(PVDF) 등 불소수지가 첨가되어 양극합제가 조제된다. 이 양극합제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집전체의 위에 양극 활물질 함유층이 형성된다.
또, 양극의 집전체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펀칭메탈, 망, 익스팬드메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 두께가 10 내지 30㎛의 알루미늄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양극측의 리드부는, 통상, 양극 제작시에, 집전체의 일부에 양극 활물질 함유층을 형성하지 않고 집전체의 노출부를 남기며, 그곳을 리드부로 함으로써 설치된다. 단, 리드부는 반드시 당초부터 집전체와 일체화된 것은 요구되지 않고, 집전체에 알루미늄제의 박 등을 뒤에서 접속함으로써 설치하여도 된다.
음극으로서는, 종래의 리튬 2차 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음극, 즉, Li 이온을 흡장 방출 가능한 활물질을 함유하는 음극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로서, 흑연, 열분해 탄소류, 코크스류, 유리형상 탄소류, 유기고분자 화합물의 소성체,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MCMB), 탄소섬유 등의, 리튬을 흡장, 방출 가능한 탄소계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또, Si, Sn, Ge, Bi, Sb, In 등의 원소 및 그 합금, 리튬함유 질화물, 또는 리튬함유 산화물 등의 리튬금속에 가까운 저전압으로 충방전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리튬금속이나 리튬/알루미늄합금도 음극 활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음극 활물질에 도전조제(카본블랙 등의 탄소재료 등)나 PVDF 등의 바인더 등을 적절히 첨가한 음극합제를, 집전체를 코어재로 하여 성형체(음극 활물질 함유층)로 마무리한 것, 또는 상기 각종 합금이나 리튬금속의 박을 단독, 또는 집전체 위에 적층한 것 등이 음극으로서 사용된다.
음극에 집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집전체로서는, 구리제나 니켈제의 박, 펀칭메탈, 망, 익스팬드 메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 구리박이 사용된다. 이 음극 집전체는, 고에너지밀도의 전지를 얻기 위하여 음극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두께의 상한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한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음극측 리드부는, 양극측의 리드부와 동일하게 하여 형성하면 된다.
전극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을,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거쳐 적층한 전극 적층체나, 또한 이것을 권회한 전극 권회체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비수전해액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튬염을 유기용매에 용해한 용액이 사용된다. 리튬염으로서는, 용매 중에서 해리하여 Li+ 이온을 형성하고, 전지로서 사용되는 전압범위에서 분해 등의 부반응을 일으키기 어려운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LiClO4, LiPF6, LiBF4, LiAsF6, LiSbF6 등의 무기리튬염, LiCF3SO3, LiCF3CO2, Li2C2F4(SO3)2, LN(CF3SO2)2, LiC(CF3SO2)3, LiCnF2n+1SO3(2≤n≤5), LiN(RfOSO2)2[여기서 Rf는 플루오로알킬기] 등의 유기리튬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수전해액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로서는, 상기 리튬염을 용해하고, 전지로서 사용되는 전압범위에서 분해 등의 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비닐렌카보네이트 등의 고리형상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등의 사슬형상 카보네이트,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사슬형상 에스테르, γ-부틸올락톤 등의 고리형상 에스테르, 디메톡시에탄, 디에틸에테르, 1,3-디옥소란, 디그라임, 트리그라임, 테트라그라임 등의 사슬형상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고리형상 에테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에틸렌글리콜설파이트 등의 아황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 양호한 특성의 전지로 하기 위해서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사슬형상 카보네이트와의 혼합용매 등, 높은 도전율을 얻을 수 있는 조합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전해액에 안전성이나 충방전 사이클성, 고온 저장성이라는 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비닐렌카보네이트류, 1,3-프로판설톤, 디페닐디술피드, 시클로헥산, 비페닐, 플루오로벤젠, t-부틸벤젠 등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가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염의 비수전해액 중에서의 농도로서는, 0.5 내지 1.5 mol/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 내지 1.25 mol/L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양극 활물질 함유층을 가지는 양극이나, 음극 활물질 함유층을 가지는 음극은, 예를 들면 양극합제를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의 용매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양극 활물질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슬러리 등)이나, 음극합제를 NMP 등의 용매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슬러리 등)을 집전체 위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제작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을 집전체 위에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건조하기 전에, 상기한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적어도 한쪽을 도포함으로써, 양극과, 제 1 세퍼레이터층 및/또는 제 2 세퍼레이터층과의 일체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음극 활물질 함유층 형성용 조성물을 집전체 위에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이 건조하기 전에, 제 1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제 2 세퍼레이터층 형성용 조성물의 적어도 한쪽을 도포함으로써, 음극과, 제 1 세퍼레이터층 및/또는 제 2 세퍼레이터층과의 일체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예를 들면, 상기 리튬 2차 전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과 세퍼레이터층을 일체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는, 종래의 전기화학소자가 사용되고 있는 각종 용도와 동일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지 B의 팽윤도(BR, BT)는,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수학식 (1) 내지 (9)에 의거하여 구해진 팽윤도이다. 또, 각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제 2 세퍼레이터층에서의 각 성분의 체적 함유율은, 다공질 기체(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다공질 기체를 제외한 전체 구성 성분의 전체 체적 중의 체적 함유율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수지 A의 융점(융해 온도) 및 수지 B의 Tg는, 모두 JIS K 7121의 규정에 준하여,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 제조예 1(음극의 제작) >
음극 활물질인 흑연 : 95 질량부와, 바인더인 PVDF : 5 질량부를, NMP를 용제로 하여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음극합제 함유 페이스트를 조제하였다. 이 음극합제 함유 페이스트를, 집전체가 되는 두께 10㎛의 구리박의 양면에, 활물질 도포길이가 표면 320 mm, 이면 260 mm가 되도록 간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캘린더처리를 행하여, 전체 두께가 142㎛가 되도록 음극합제층의 두께를 조정하고, 폭 45 mm가 되도록 절단하여, 길이 330 mm, 폭 45 mm의 음극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 음극의 구리박의 노출부에 태브를 용접하여 리드부를 형성하였다.
< 제조예 2(양극의 제작) >
양극 활물질인 LiCoO2 : 85 질량부, 도전조제인 아세틸렌블랙 : 10질량부, 및 바인더인 PVDF : 5질량부를, NMP를 용제로 하여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양극합제 함유 페이스트를 조제하였다. 이 페이스트를, 집전체가 되는 두께 15㎛의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활물질 도포길이가 표면 319 내지 320 mm, 이면 258 내지 260 mm가 되도록 간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캘린더처리를 행하여, 전체 두께가 150㎛가 되도록 양극합제층의 두께를 조정하고, 폭 43 mm가 되도록 절단하여, 길이 330 mm, 폭 43 mm의 양극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 양극의 알루미늄박의 노출부에 태브를 용접하여 리드부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음극의 양면에, PE 미립자(평균 입자지름 1㎛, 융점 125℃)의 물분산체(고형분 농도 40질량%)[액형상 조성물(1-A)]를 블레이드 코터에 의하여 도포하여 건조하고, 두께가 5㎛가 되도록, 수지 A인 PE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였다. 또,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양극의 양면에도 마찬가지로, 두께 5㎛의,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였다. 양극 상 및 음극 상에 형성한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수지 A인 PE 미립자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1 세퍼레이터층에서의 수지 A의 체적 함유율은 100% 이다.
다음에, PE 미립자(평균 입자지름 1㎛, 융점 125℃)의 물분산액(고형분 농도 40질량%) 2000g과 에탄올 800g을 용기에 넣고, 디스퍼로 2800 rpm의 조건으로 1시간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또한 필러로서 실리카(SiO2)미립자(평균 입자지름 : 0.4 ㎛, 입도 분포 : 0.3 내지 0.7㎛) 2400g, 바인더로서 자기 가교성 아크릴수지 에멀전을 고형분량으로 하여 필러 100질량부에 대하여 3 질량부가 되도록 가하여 3시간 교반하여, 균일한 슬러리형상의 액상 조성물(2-A)을 얻었다. 이 액상 조성물(2-A) 중에, 다공질 기체가 되는 두께가 15 ㎛인 PP제 멜트브로운 부직포를 통과하고, 인상 도포에 의하여 액상 조성물(2-A)을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부직포의 공극 내에 수지 A(PE)및 필러(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고, 실리카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20㎛)을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실리카 미립자는, SEM 관찰에 의한 결과로부터 판형상입자를 25 체적% 함유하고 있다. 또, PE의 비중을 1.0g/㎤, 실리카의 비중을 2.2g/㎤, 아크릴수지의 비중을 1.2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실리카 미립자의 체적 함유률은, 58% 이다.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양극 및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음극과 함께,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을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제작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눌러 찌그러뜨려 편평형상으로 하고, 전지용기 내에 장전하였다. 또, 비수전해액으로서, 에틸렌카보네이트와 에틸메틸카보네이트를 체적비 1 : 2로 혼합한 용매에, LiPF6을 1.2 mol/L의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비수전해액을 상기 전지 내에 주입한 후, 밀봉을 행하여, 리튬 2차 전지로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세퍼레이터는, 상기 양극 상 및 상기 음극 상에 형성한 제 1 세퍼레이터층과, 부직포를 기재로 한 제 2 세퍼레이터층(다공질막)의 양쪽을 합친 전체를 가리킨다(뒤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2)
실리카 미립자 대신에, 판형상 알루미나(Al2O3)미립자 (평균 입자지름 2㎛, 종횡비 50)를 4400g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의 액상 조성물(2-A)과 동일하게 하여, 액상 조성물(2-B)을 조제하였다. 액상 조성물(2-B)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액상 조성물(1-A)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다이를 2개 구비한 다이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18㎛의 PET제 습식 부직포(다공질 기체)의 양면에 동시에 도포함으로써, 수지 A인 PE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과, 필러인 판형상 알루미나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다공질막을 얻었다.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두께는, 각각 약 10㎛ 이었다.
PE의 비중을 1.0 g/㎤, 알루미나의 비중을 4.0 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판형상 알루미나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58% 이다.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음극과, 상기 다공질막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양극을, 상기 다공질막의 제 2 세퍼레이터층측이 음극측이 되도록 겹쳐서,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제작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필러로서 판형상 베마이트(평균 입자지름 1㎛, 종횡비 10) 1000 g을 물 1000g에 분산시키고, 또한 바인더로서 SBR 라텍스 120 g를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액상 조성물(2-C)을 조제하였다. 액상 조성물(2-C) 중에 두께가 15㎛의 PP제 멜트브로운 부직포(다공질 기체)를 통과시키고, 인상 도포에 의해 액상 조성물(2-C)을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부직포의 공극 내에 필러(판형상 베마이트)를 함유하고, 이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20㎛)을 얻었다. 이 다공질막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액상 조성물(1-A) 중에 통과시키고, 인상 도포에 의해 액상 조성물(1-A)을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제 2 세퍼레이터층의 표리 양면에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다공질막을 얻었다.
SBR의 비중을 0.97 g/㎤, 베마이트의 비중을 3.0 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판형상 베마이트의 체적 함유율은, 87% 이다.
상기 다공질막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세퍼레이터에 대하여, 단독으로 150℃까지 가열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그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제 1 세퍼레이터층의 PE 미립자의 용융에 의해 형성된 박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조제한 액상 조성물(2-C)에, 다시 가교 PMMA(평균 입자지름 0.4㎛ BR=0.5, BT=4, Tg : 105℃)의 물분산체(고형분 비율 40질량%)를 330g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액상 조성물(2-D)로 하였다.
액상 조성물(2-C) 대신에 액상 조성물(2-D)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고, 또한 수지 B인 가교 PMMA를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의 표리 양면에,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다공질막을 얻었다. 이 다공질막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SBR의 비중을 O.97 g/㎤, 베마이트의 비중을 3.0 g/㎤, 가교 PMMA의 비중을 1.2 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판형상 베마이트의 체적 함유율은, 68% 이다.
(실시예 5)
수지 B인 가교 PMMA 미립자(평균 입자지름 0.1㎛, BR = 1.0, BT = 5, Tg : 85℃)의 물분산체(고형분 비율 40질량%) 1000 g에, 바인더로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SBR 라텍스 100g을 가하고,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켜 액상 조성물(1-B)로 하였다.
액상 조성물(1-A) 대신에 액상 조성물(1-B)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의 표리 양면에, 수지 B인 가교 PMMA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다공질막을 얻었다. 이 다공질막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SBR의 비중을 0.97 g/㎤, 가교 PMMA의 비중을 1.2 g/㎤로서 산출한 제 1 세퍼레이터층 중의 가교 PMMA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89% 이다.
(실시예 6)
필러로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판형상 베마이트와, 또한 다른 판형상 베마이트(평균 입자지름 0.8㎛, 종횡비 50)를, 질량비로 4:1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의 액상 조성물(2-C)과 동일하게 하여 액상 조성물(2-E)을 조제하였다. 이 액상 조성물(2-E) 중에, 다공질 기체가 되는 두께가 15㎛인 PET제 습식 부직포를 통과시키고, 인상 도포에 의해 액상 조성물(2-E)을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부직포의 공극 내에 필러(판형상 베마이트)를 함유하고, 이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20㎛)을 얻었다.
SBR의 비중을 0.97 g/㎤, 베마이트의 비중을 3.0 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판형상 베마이트의 체적 함유율은, 87% 이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음극의 양면에 액상 조성물(1-A)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음극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양극을 상기 다공질막을 거쳐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제작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필러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실리카 미립자 1000g을 사용하고, 이것을 물 1000g 중에 분산시켰다. 또한 바인더로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SBR 라텍스를 120g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액상 조성물(2-F)로 하였다. 이 액상 조성물(2-F)에 두께가 15㎛인 PP제 멜트브로운 부직포(다공질 기체)를 통과시키고, 인상 도포에 의해 액상 조성물(2-F)을 도포한 후, 건조하기 전에 액상 조성물(1-A)을 다이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하여,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과, 필러인 실리카 미립자(판형상의 것을 포함한다)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다공질막(두께 23㎛)을 얻었다.
SBR의 비중을 0.97 g/㎤, 실리카의 비중을 2.2 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실리카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90% 이다.
상기 다공질막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바인더인 EVA(아세트산 비닐유래의 구조단위가 34 mol%) 100g 및 톨루엔 6kg을 용기에 넣고, 균일하게 용해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또한, 수지 A로서, PE 미립자(평균 입자지름 5㎛, 융점 105℃) 1 kg을 가하고, 디스퍼로 2800 rpm의 조건으로 1시간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또한 알루미나 미립자(평균 입자지름 0.4㎛)를 1kg 가하고, 교반하여 액상 조성물(1-C)을 조제하였다. 액상 조성물(1-C)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음극의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가 10㎛의 수지 A인 PE를 주체로 하고, 또한 알루미나 미립자를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음극상에 형성하였다.
PE의 비중을 1.0 g/㎤, EVA의 비중을 0.94 g/㎤, 알루미나의 비중을 4.0 g/㎤로서 산출한 제 1 세퍼레이터층 중의 PE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74% 이다.
다음에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양극의 양면에, 액상 조성물(2-C)을 블레이드 코터를 이용하여 건조시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하여, 필러인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양극 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한 음극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한 양극을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제작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액상 조성물(1-A) 1kg에, 또한 알루미나 미립자(평균 입자지름 0.4㎛)를 400g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액상 조성물(1-D)을 조제하였다.
액상 조성물(2-D) 중에, 두께가 15㎛인 PET제 습식 부직포(다공질 기체)를 통과시키고, 인상 도포에 의하여 액상 조성물(2-D)을 도포한 후, 건조하기 전에, 다시 액상 조성물(1-D)을 다이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건조하고,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고, 또한 알루미나 미립자를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고, 또한 수지 B인 가교 PMMA를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다공질막(두께 20㎛)을 얻었다.
PE의 비중을 1.0 g/㎤, 알루미나의 비중을 4.0 g/㎤로서 산출한 제 1 세퍼레이터층 중의 PE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80% 이다.
상기 다공질막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알루미나 미립자(평균 입자지름 0.3㎛) 1kg을 물 1 kg 중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에, 또한 바인더로서 자기 가교성 아크릴수지 에멀전(고형분 비율 45질량%)을 100g 가하여 교반하고, 액상 조성물(2-G)을 조제하였다.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음극의 양면에, 액상 조성물(2-G)을 블레이드 코터에 의하여 도포하여 건조하고, 두께가 5㎛가 되도록, 필러인 알루미나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였다.
바인더의 비중을 1.2 g/㎤, 알루미나의 비중을 4 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알루미나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87% 이다.
또, 액상 조성물(1-A) 1kg에, 또한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판형상 베마이트 1 kg를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액상 조성물(1-E)을 조제하였다. 이 액상 조성물(1-E) 중에 두께가 15㎛인 PP제 멜트브로운 부직포(다공질 기체)를 통과시키고, 인상 도포에 의해 액상 조성물(1-E)을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부직포의 공극 내에 수지 A(PE 미립자) 및 판형상 입자(판형상 베마이트)를 함유하고,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20㎛)을 얻었다.
PE의 비중을 1.0 g/㎤, 베마이트의 비중을 3.0 g/㎤로서 산출한 제 1 세퍼레이터층 중의 PE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55%이고, 판형상 베마이트의 체적 함유율은 45% 이다.
상기 음극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양극을 상기 다공질막을 거쳐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제작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액상 조성물(2-C) 중에 두께 15㎛의 PET제 습식 부직포(다공질 기체)를 통과시키고, 인상 도포에 의해 액상 조성물(2-C)을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부직포의 공극 내에 필러(판형상 베마이트)를 함유하고,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20㎛)을 얻었다.
수지 B인 가교 PMMA(평균 입자지름 0.1㎛, BT = 1.0, BR = 5, Tg : 85℃)의 물분산체(고형분 비율 40질량%) 1 kg에, 바인더로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SBR 라텍스 100g을 가하여 교반하고, 액상 조성물(1-F)을 조제하였다. 이 액상 조성물(1-F)을,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양극의 양면에 블레이드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여 건조하고, 두께가 6㎛의, 수지 B인 가교 PMMA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하였다.
SBR의 비중을 0.97 g/㎤, 가교 PMMA의 비중을 1.2 g/㎤로서 산출한 제 1 세퍼레이터층 중의 가교 PMMA 미립자의 체적 함유율은, 89%이다.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음극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형성한 양극을 상기 다공질막을 거쳐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제작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액상 조성물(1-A)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20㎛, 다공질막 1)을 얻었다. 또, 액상 조성물(2-C)을 사용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20㎛, 다공질막 2)을 얻었다.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양극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음극을, 상기 다공질막 1 및 다공질막 2를 다공질막 2가 음극측이 되도록 개재시키면서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얻었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액상 조성물(1-A) 대신에 액상 조성물(1-D)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2에서의 다공질막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고, 또한 알루미나 미립자를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 3을 제작하였다. 또, 액상 조성물(2-C) 대신에 액상 조성물(2-D)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2에서의 다공질막 2와 동일하게 하여, 판형상 베마이트를 주체로 하고, 또한 수지 B인 가교 PMMA 미립자를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 4를 제작하였다.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양극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음극을, 상기 다공질막 3 및 다공질막 4를 다공질막 4가 음극측이 되도록 개재시키면서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얻었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4)
판형상 알루미나(평균 입자지름 2㎛, 종횡비 50) 1kg에, 물 1 kg, 바인더인 EVA의 에멀전(아세트산 비닐 유래의 구조단위가 20 mol%, 고형분 비율 50질량%) 100 g을 가하고, 디스퍼로 2800 rpm의 조건으로 1시간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다시 알루미나 섬유(평균 섬유지름 3㎛, 평균 섬유길이 10 cm) 300 g을 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여, 액상 조성물(2-H)을 얻었다. 액상 조성물(2-H)을, 다이코터를 사용하여, 도포 두께 50㎛로 PET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PET 기재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필러인 판형상 알루미나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되는 다공질막(두께 15㎛)을 얻었다.
EVA의 비중을 0.94 g/㎤, 알루미나의 비중을 4.0 g/㎤로서 산출한 제 2 세퍼레이터층 중의 판형상 알루미나의 체적 함유율은, 66% 이다.
또, 액상 조성물(1-C)을 사용하여,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가 10 ㎛의,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고, 또한 알루미나 미립자를 함유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을 음극상에 형성하였다.
제 1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음극과 상기 다공질막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양극을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로 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5)
액상 조성물(2-H)을 사용하여, 실시예 14과 동일하게 PET 기재 위에 도포하고, 건조하기 전에, 다시 액상 조성물(1-A)을 블레이드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 두께 15㎛로 도포하고, 건조한 후에 PET 기재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수지 A인 PE 미립자를 주체로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층과, 필러인 판형상 알루미나를 주체로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을 가지는 다공질막을 얻었다.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양극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음극을, 상기 다공질막을 제 2 세퍼레이터층이 음극측이 되도록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로 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2에서 제작한 다공질막 2만을 세퍼레이터로서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2에서 제작한 다공질막 1만을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PE제 미다공막(두께 20㎛)을 사용하고,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음극과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양극을, 상기 PE제 미다공막을 개재시키면서 겹치고,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권회 전극체를 제작하였다. 이 권회 전극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의 세퍼레이터의 구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에서, 빈 구멍율은 상기한 수학식 (10)에 의하여 구한 것으로, 또 「수지체적/빈 구멍 체적」이란, 제 2 세퍼레이터층의 빈 구멍 체적을 100%로 하였을 때의, 제 1 세퍼레이터층에 함유되는 수지 A와 수지 B와의 합계 체적의 비율(%)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각 층의 구성에서는, 다공질 기체(부직포)나 바인더는 생략하고 있고, 구성 중의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이 없는 한 평균 입자지름이며, 그 밖의 사이즈는 평균값이다.
|
제 1 세퍼레이터층 | 제 2 세퍼레이터층 | ||
구성 | 수지체적/ 빈구멍체적(%) |
구성 | 빈구멍율(%) | |
실시예 1 | PE미립자(1㎛) | 100 | 실리카(0.4㎛) PE미립자(1㎛) |
25 |
실시예 2 | PE미립자(1㎛) | 143 | 알루미나(2㎛, 종횡비 50) PE미립자(1㎛) |
35 |
실시예 3 | PE미립자(1㎛) | 93 | 베마이트(1㎛, 종횡비 10) | 27 |
실시예 4 | PE미립자(1㎛) | 89 | 베마이트(1㎛, 종횡비 10) 가교PMMA(0.4㎛) |
28 |
실시예 5 | 가교PMMA(0.1㎛) | 93 | 베마이트(1㎛, 종횡비 10) | 27 |
실시예 6 | PE미립자(1㎛) | 38 | 베마이트(1㎛, 종횡비 10) 베마이트(0.8㎛,종횡비 50) |
33 |
실시예 7 | PE미립자(1㎛) | 72 | 실리카(0.4㎛) | 27 |
실시예 8 | PE미립자(5㎛) 알루미나(0.4㎛) |
100 | 베마이트(1㎛, 종횡비 10) | 40 |
실시예 9 | PE미립자(1㎛) 알루미나(0.4㎛) |
56 | 베마이트(1㎛, 종횡비 10) 가교PMMA(0.4㎛) |
28 |
|
제 1 세퍼레이터층 | 제 2 세퍼레이터층 | ||
구성 | 수지체적/빈 구멍체적(%) | 구성 | 빈 구멍율 (%) |
|
실시예10 | PE미립자(1㎛) 베마이트(1㎛, 종횡비 10) |
275 | 알루미나(0.3㎛) |
40 |
실시예11 | 가교PMMA(0.1㎛) | 56 | 베마이트(1㎛, 종횡비 10) | 27 |
실시예12 | PE미립자(1㎛) | 185 | 베마이트(1㎛, 종횡비 10) | 27 |
실시예13 | PE미립자(1㎛) 알루미나(0.4㎛) |
143 | 베마이트(1㎛, 종횡비 10) 가교PMMA(0.4㎛) |
28 |
실시예14 | PE미립자(5㎛) 알루미나(0.4㎛) |
53 | 알루미나(2㎛,종횡비 50) 알루미나(지름3㎛,섬유길이 10cm) |
50 |
실시예15 | PE미립자(1㎛) |
53 | 알루미나(2㎛,종횡비 50) 알루미나(지름3㎛,섬유길이 10cm) |
50 |
비교예 1 | 없음 | - | 베마이트(1㎛, 종횡비 10) | 27 |
비교예 2 | PE미립자(1㎛) |
- | 없음 | - |
비교예 3 | PE제 미다공막 |
또,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각 리튬 2차 전지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3의 리튬 2차 전지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전지에 사용한 세퍼레이터의 셧다운 온도를 구하였다. 전지를 항온조에 넣고, 30℃에서 150℃까지 매분 1℃의 비율로 온도 상승시켜 가열하고, 전지의 내부저항의 온도변화를 구하였다. 그리고, 저항값이 30℃에서의 값의 5배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의 온도를, 셧다운온도로 하였다. 또, 150℃에 도달한 상태에서 다시 30분간 온도를 유지하고, 전지의 표면온도 및 전지전압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전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내부저항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려고 하였으나, 전지 제작시에 내부단락이 생겨 있는 것이 밝혀져, 전지로서의 평가를 행할 수 없었다. 즉, 비교예 2의 세퍼레이터는, 필러를 함유하는 제 2 세퍼레이터층이 없기 때문에, 양면으로부터의 가압에 대한 강도가 약하여, 전지 제작시에 양극과 음극이 가압되어 내부단락을 일으킨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한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전지에서의 내부저항의 온도변화를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셧다운 온도(℃) | 150℃에서 30분간 유지하였을 때의 상황 | |
실시예 1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2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3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4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5 | 135 | 이상 없음 |
실시예 6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7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8 | 105 | 이상 없음 |
실시예 9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10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11 | 135 | 이상 없음 |
실시예 12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13 | 122 | 이상 없음 |
실시예 14 | 105 | 이상 없음 |
실시예 15 | 122 | 이상 없음 |
비교예 1 | - | 표면온도 상승 |
비교예 3 | 137 | 전압저하 |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의 세퍼레이터에서는, 셧다운 온도가 105 내지 135℃의 범위가 되고, 전지의 고온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적절한 온도범위에서 셧다운을 일으키는 것이 분명해졌다. 또, 실시예 1 내지 15의 전지에서는, 그 후 150℃에서 30분 유지하여도, 전지의 표면온도가 상승하거나, 전압이 저하한다는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또, 실시예 3의 전지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0℃에서 30분 유지하여도 내부저항이 저하하지 않고 셧다운의 상태가 유지되고, 셧다운 후의 안전성이 유지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의 세퍼레이터는, 셧다운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수지 A 및 수지 B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셧다운이 생기지 않았다. 또, 150℃에서 30분 유지함으로써, 전지의 표면온도가 매우 상승하였다. 이것은, 셧다운이 작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또, 비교예 3의 전지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0℃에서 30분 유지함으로써, 내부저항이 급격하게 저하하여 내부단락을 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세퍼레이터가 수축되어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3의 전지에서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0℃에서 30분 유지함으로써, 전지전압이 저하하는 이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5, 비교예 3의 리튬 2차 전지에 대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충전을 행하고, 충전용량 및 방전용량을 각각 구하여, 충전용량에 대한 방전용량의 비율을 충전효율로서 평가하였다. 충전은, 0.2 C의 전류값으로 전지전압이 4.2 V가 될 때까지 정전류 충전을 행하고, 이어서, 4.2 V에서의 정전압 충전을 행하는 정전류 - 정전압 충전으로 하였다. 충전 종료까지의 총 충전시간은 15시간으로 하였다. 충전 후의 전지는, 0.2 C의 방전전류로, 전지전압이 3.0 V가 될 때까지 방전을 행한 바, 실시예 1 내지 15의 전지는, 비교예 3의 전지와 마찬가지로, 충전효율이 대략 100%가 되고, 충전시의 리튬 덴드라이트의 생성이 억지되어 전지로서 양호하게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형태로서도 실시가 가능하다.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일례로서, 이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명세서의 기재보다도, 첨부되어 있는 청구의 범위의 기재를 우선하여 해석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원인에 의한 내부단락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또한 단락이나 과충전 등에 의해 전지의 온도가 매우 상승하였을 때의 안전성에도 우수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Ω: 전지의 내부저항 ℃ : 온도
Claims (7)
-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포함하는 다공질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하는 수지를 주체로 하여 포함하고, 또한, 105 ~ 135℃의 범위에서 셧다운을 일으키는 다공질층이며,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은, 내열 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주체로 하여 포함함과 함께, 상기 필러를 고정하는 유기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바인더는, 150℃ 이상의 내열온도를 가지는 내열성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입자의 존재형태는, 평판면과 세퍼레이터의 면과의 평균 각도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제 1 세퍼레이터층과, 제 2 세퍼레이터층을 포함하는 다공질의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은, 융점이 80 내지 130℃인 수지 A, 및 가열에 의해 비수전해액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또한 온도 상승과 함께 팽윤도가 증대하는 수지 B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포함하고,
세퍼레이터의 전체 체적 중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 A와 상기 수지 B와의 합계 체적은, 10 체적% 이상이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은, 내열 온도가 150℃ 이상인 필러를 주체로 하여 포함함과 함께, 상기 필러를 고정하는 유기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층 및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층의 적어도 한쪽은, 판형상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바인더는, 150℃ 이상의 내열온도를 가지는 내열성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입자의 존재형태는, 평판면과 세퍼레이터의 면과의 평균 각도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WOPCT/JP2005/022540 | 2005-12-08 | ||
PCT/JP2005/022540 WO2006062153A1 (ja) | 2004-12-08 | 2005-12-08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化学素子 |
JP2006281076 | 2006-10-16 | ||
JPJP-P-2006-281076 | 2006-10-16 | ||
PCT/JP2006/324581 WO2007066768A1 (ja) | 2005-12-08 | 2006-12-08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6484A Division KR101105748B1 (ko) | 2005-12-08 | 2006-12-08 |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와 그 제조방법, 및전기화학소자와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744A true KR20110079744A (ko) | 2011-07-07 |
KR101166091B1 KR101166091B1 (ko) | 2012-07-23 |
Family
ID=396243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1764A KR101166091B1 (ko) | 2005-12-08 | 2006-12-08 |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KR1020087016484A KR101105748B1 (ko) | 2005-12-08 | 2006-12-08 |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와 그 제조방법, 및전기화학소자와 그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6484A KR101105748B1 (ko) | 2005-12-08 | 2006-12-08 |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와 그 제조방법, 및전기화학소자와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405957B2 (ko) |
EP (1) | EP1965454B1 (ko) |
JP (4) | JP4151852B2 (ko) |
KR (2) | KR101166091B1 (ko) |
CN (3) | CN101218695B (ko) |
WO (1) | WO200706676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3182A (ko) * | 2011-12-23 | 2013-07-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KR20160081903A (ko) * | 2013-11-05 | 2016-07-08 | 소니 주식회사 | 전지, 세퍼레이터, 전극, 도료, 전지 팩, 전자 기기, 전동 차량, 축전 장치 및 전력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62153A1 (ja) * | 2004-12-08 | 2006-06-15 | Hitachi Maxell, Ltd.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化学素子 |
US8883354B2 (en) | 2006-02-15 | 2014-11-11 | Optodot Corporation |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
CN101512792B (zh) | 2006-09-07 | 2013-03-27 |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 电池用隔板及其制造方法、以及锂二次电池 |
JP4994054B2 (ja) * | 2007-02-06 | 2012-08-08 |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KR20090111342A (ko) | 2007-05-10 | 2009-10-26 |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화학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JP2009032677A (ja) | 2007-07-04 | 2009-02-12 | Hitachi Maxell Ltd | セパレータ用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池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
DE102007042554B4 (de) | 2007-09-07 | 2017-05-11 | Carl Freudenberg Kg | Vliesstoff mit Partikelfüllung |
KR20100051710A (ko) | 2007-10-03 | 2010-05-17 |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전해액 전지 |
JP4748136B2 (ja) * | 2007-10-03 | 2011-08-17 | ソニー株式会社 | 耐熱絶縁層付き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KR101002161B1 (ko) * | 2007-11-29 | 2010-1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KR101031880B1 (ko) * | 2008-01-08 | 2011-05-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
WO2009096451A1 (ja) * | 2008-01-29 | 2009-08-06 | Hitachi Maxell, Ltd. | 絶縁層形成用スラリー、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素子 |
JP2009199730A (ja) * | 2008-02-19 | 2009-09-03 | Panasonic Corp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CN101946344B (zh) | 2008-02-20 | 2014-12-17 | 卡尔·弗罗伊登伯格公司 | 具有交联材料的非织造材料 |
JP5334282B2 (ja) * | 2008-02-20 | 2013-11-06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 |
JP5334281B2 (ja) * | 2008-02-20 | 2013-11-06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 |
JP5297109B2 (ja) * | 2008-03-12 | 2013-09-25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5376622B2 (ja) * | 2008-04-18 | 2013-12-25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化学素子 |
JP4986166B2 (ja) * | 2008-05-08 | 2012-07-25 |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 |
CN102057518A (zh) * | 2008-06-09 | 2011-05-11 |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 隔膜用多孔质膜、电池用隔膜、电池用电极及这些的制造方法及二次锂电池 |
US8518577B2 (en) * | 2008-06-13 | 2013-08-27 | Samsung Sdi Co., Ltd.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
JP2010034024A (ja) * | 2008-06-25 | 2010-02-12 | Hitachi Maxell Ltd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KR20110031197A (ko) * | 2008-07-16 | 2011-03-24 |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 |
WO2010021248A1 (ja) * | 2008-08-19 | 2010-02-25 | 帝人株式会社 |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
KR20100024358A (ko) | 2008-08-25 | 2010-03-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US8895184B2 (en) * | 2008-08-29 | 2014-11-25 | Zeon Corporation | Porous film,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CN102150298B (zh) * | 2008-09-12 | 2014-10-29 | 日本韦琳株式会社 | 锂离子二次电池用隔板、其制造方法及锂离子二次电池 |
KR101091228B1 (ko) | 2008-12-30 | 2011-12-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US8771859B2 (en) | 2009-03-13 | 2014-07-08 | Hitachi Maxell, Ltd. | Separator for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same |
CN102341947A (zh) * | 2009-03-18 | 2012-02-01 | 日立麦克赛尔能源株式会社 | 电化学元件 |
KR101055536B1 (ko) | 2009-04-10 | 2011-08-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WO2010128548A1 (ja) * | 2009-05-08 | 2010-11-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池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
US20120094184A1 (en) * | 2009-06-10 | 2012-04-19 | Hiroshi Abe |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same |
JP5429811B2 (ja) * | 2009-07-21 | 2014-02-26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ES2949703T3 (es) * | 2009-09-29 | 2023-10-02 | Lg Energy Solution Ltd | Método para producir un separador |
WO2011040562A1 (ja) | 2009-09-30 | 2011-04-07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二次電池用多孔膜及び二次電池 |
JP2011100635A (ja) * | 2009-11-06 | 2011-05-19 | Sumitomo Chemical Co Ltd | 積層フィルム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5648284B2 (ja) * | 2009-12-24 | 2015-01-07 | 住友化学株式会社 | 積層フィルム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US9786888B2 (en) | 2010-01-13 | 2017-10-10 | Sony Corporation | Separat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
JP5824645B2 (ja) | 2010-04-27 | 2015-11-2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シート状繊維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断熱材、防水シート、および細胞培養用の足場 |
JP2012003938A (ja) * | 2010-06-17 | 2012-01-05 | Hitachi Maxell Ltd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DK2596538T3 (en) | 2010-07-19 | 2019-04-01 | Optodot Corp |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
WO2012023199A1 (ja) | 2010-08-19 | 2012-02-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5690832B2 (ja) * | 2010-09-30 | 2015-03-25 | 三菱樹脂株式会社 | 積層多孔フィル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
WO2012060604A2 (ko) | 2010-11-01 | 2012-05-10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내열성 분리막,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그 제조방법 |
JP5768359B2 (ja) | 2010-11-17 | 2015-08-26 | ソニー株式会社 | 耐熱性微多孔膜、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WO2012070154A1 (ja) * | 2010-11-26 | 2012-05-3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KR101883512B1 (ko) | 2011-01-20 | 2018-07-30 |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 다공질 적층 필름,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 및 축전 디바이스 |
JP5832915B2 (ja) * | 2011-02-24 | 2015-12-1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
WO2012120608A1 (ja) | 2011-03-07 | 2012-09-13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池 |
CN103460445A (zh) * | 2011-04-04 | 2013-12-18 | 巴斯夫欧洲公司 | 包含离子交换器的电化学电池 |
CN102290245B (zh) * | 2011-04-29 | 2012-11-21 | 深圳市惠程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聚酰亚胺电容电池及其制作方法 |
KR101446162B1 (ko) * | 2011-05-13 | 2014-10-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JP5838042B2 (ja) * | 2011-05-17 | 2015-12-2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
JP5796367B2 (ja) | 2011-06-22 | 2015-10-21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耐熱絶縁層付セパレータ |
JP5934878B2 (ja) | 2011-07-25 | 2016-06-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9287544B2 (en) | 2011-10-03 | 2016-03-15 | Hitachi Maxell, Ltd. | Heat-resistant porous film, separator for nonaqueous battery, and nonaqueous battery |
JP6336703B2 (ja) | 2011-10-05 | 2018-06-0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耐熱絶縁層付セパレータ |
US10461358B2 (en) * | 2011-10-11 | 2019-10-29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
WO2013058421A1 (ko) * | 2011-10-20 | 2013-04-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JP2013127857A (ja) * | 2011-12-16 | 2013-06-27 | Hitachi Ltd |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4137300A (zh) | 2012-03-09 | 2014-11-05 | 帝人株式会社 | 非水系二次电池用隔膜、其制造方法及非水系二次电池 |
JP6273688B2 (ja) * | 2012-04-18 | 2018-02-07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素子、捲回装置、および捲回方法 |
US10096810B2 (en) | 2012-05-10 | 2018-10-09 | Samsung Sdi Co., Ltd. | Sepa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
KR101865944B1 (ko) * | 2012-05-16 | 2018-06-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열전도도 제어용 스마트 복합재 |
CN104303335B (zh) * | 2012-05-23 | 2017-03-01 | 三菱制纸株式会社 | 锂离子电池用隔板 |
JP6016466B2 (ja) * | 2012-06-13 | 2016-10-26 | 三菱製紙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セパレータ用塗液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セパレータ |
JP5664930B2 (ja) | 2012-06-29 | 2015-02-0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KR102107364B1 (ko) | 2012-06-29 | 2020-05-07 |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 적층 다공 필름,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
JP5984051B2 (ja) | 2012-07-12 | 2016-09-06 | 株式会社Gsユアサ | 電極体 |
ITMI20121345A1 (it) * | 2012-07-31 | 2014-02-01 | Io F I A M M Spa In Forma Abbreviata Fiamm Spa | Batteria al piombo acido ad elevata efficienza al ciclaggio stop&start |
KR102183257B1 (ko) * | 2012-08-07 | 2020-11-27 | 셀가드 엘엘씨 | 리튬 이온 배터리용의 개선된 세퍼레이터 막 및 관련 방법 |
KR20150043423A (ko) | 2012-09-19 | 2015-04-22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US20150188107A1 (en) * | 2012-09-27 | 2015-07-02 | Sanyo Electric Co., Ltd.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CN104685673B (zh) * | 2012-10-10 | 2017-09-22 | 日本瑞翁株式会社 | 二次电池用正极的制造方法、二次电池、以及二次电池用叠层体的制造方法 |
CN103078076B (zh) * | 2013-01-11 | 2015-08-26 | 宁波晶一新材料科技有限公司 | 复合隔离膜及使用此隔离膜的锂离子电池 |
JP2014179321A (ja) | 2013-03-13 | 2014-09-25 | Samsung Sdi Co Ltd | セパレ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JP6135258B2 (ja) * | 2013-04-05 | 2017-05-3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二次電池多孔膜用スラリー、二次電池用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
CN110591131B (zh) | 2013-04-29 | 2023-01-24 | 奥普图多特公司 | 具有增加的热导率的纳米多孔复合分隔物 |
US9412986B2 (en) * | 2013-07-31 | 2016-08-09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Porous composite structures for lithium-ion battery separators |
KR101724009B1 (ko) * | 2013-08-14 | 2017-04-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WO2015037522A1 (ja) * | 2013-09-11 | 2015-03-19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非水二次電池 |
US20150136301A1 (en) * | 2013-11-13 | 2015-05-21 | R.R. Donnelley & Sons Company | Adhesive material composition and method |
US10276858B2 (en) | 2013-12-20 | 2019-04-30 | Sanyo Chemical Ltd. | Electrode for lithium-ion cell, lithium-ion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lithium-ion cell |
JP6693689B2 (ja) * | 2013-12-24 | 2020-05-13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 リチウムイオン(lithiumion)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separator)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US10903467B2 (en) * | 2013-12-24 | 2021-01-26 | Samsung Sdi Co., Ltd. |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
JP2015130292A (ja) * | 2014-01-08 | 2015-07-16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蓄電装置 |
JP5756192B2 (ja) * | 2014-01-23 | 2015-07-29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JP6343468B2 (ja) * | 2014-03-19 | 2018-06-13 |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化学素子 |
CN106163807B (zh) | 2014-04-09 | 2018-04-24 | 住友化学株式会社 | 层叠多孔膜及非水电解液二次电池 |
CN104051692B (zh) * | 2014-06-09 | 2016-01-06 | 常州大学 | 一种锂离子电池用聚烯烃微孔膜及其制备方法 |
JP6340925B2 (ja) * | 2014-06-09 | 2018-06-13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蓄電装置 |
CN106463675B (zh) * | 2014-06-27 | 2019-04-19 | 日本瑞翁株式会社 | 非水系二次电池功能层用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用功能层和非水系二次电池 |
JP6318919B2 (ja) * | 2014-07-01 | 2018-05-09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積層多孔フィルム、積層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
DE102014219451A1 (de) * | 2014-09-25 | 2016-03-31 | Robert Bosch Gmbh | Galvanisches Element |
US11283136B2 (en) | 2014-09-29 | 2022-03-22 | Gs Yuasa International Ltd. |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energy storage device |
JP5973675B1 (ja) | 2014-10-10 | 2016-08-23 | 住友化学株式会社 | 積層体、積層体を含む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
WO2016056289A1 (ja) | 2014-10-10 | 2016-04-14 | 住友化学株式会社 | 積層体、積層体を含む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
KR101795541B1 (ko) * | 2014-11-17 | 2017-11-08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JP6002353B1 (ja) | 2014-12-10 | 2016-10-05 | 三菱樹脂株式会社 | アルミナスラリー |
CN107112479B (zh) * | 2015-03-19 | 2019-06-07 | 日产自动车株式会社 | 锂离子二次电池的制造方法 |
US10381623B2 (en) | 2015-07-09 | 2019-08-13 | Optodot Corporation | Nanoporous separators for batteri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
US20170098857A1 (en) * | 2015-04-15 | 2017-04-06 | Optodot Corporation | Coated stacks for batteri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
US12040506B2 (en) | 2015-04-15 | 2024-07-16 | Lg Energy Solution, Ltd. | Nanoporous separators for batteri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
CN112993411A (zh) * | 2015-04-15 | 2021-06-18 | 奥普图多特公司 | 用于电池的经涂覆的堆叠以及相关的制造方法 |
JP6669174B2 (ja) * | 2015-08-27 | 2020-03-18 | 東レ株式会社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6380306B2 (ja) * | 2015-09-07 | 2018-08-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6288015B2 (ja) * | 2015-09-10 | 2018-03-0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6376171B2 (ja) * | 2016-05-25 | 2018-08-2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極体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
US10978766B2 (en) | 2016-08-26 | 2021-04-13 | Lg Chem, Ltd. |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109661737B (zh) | 2016-09-08 | 2022-12-20 | 三菱制纸株式会社 | 锂离子电池隔板用基材和锂离子电池隔板 |
JP6536524B2 (ja) * | 2016-10-03 | 2019-07-0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セパレータ一体電極板、及びこれを用いた蓄電素子 |
WO2018068034A1 (en) | 2016-10-07 | 2018-04-12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Stabilization coatings for solid state batteries |
US11411281B2 (en) | 2016-11-14 | 2022-08-09 | Shanghai DINHO New Material Technology Co., Ltd. | Multi-layered composite functional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y |
JP6472822B2 (ja) | 2017-03-03 | 2019-02-20 | 住友化学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
WO2018180145A1 (ja) * | 2017-03-28 | 2018-10-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11223038B2 (en) | 2017-07-03 | 2022-01-11 | Vehicle Energy Japan Inc. |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JP6936670B2 (ja) | 2017-09-14 | 2021-09-22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セパレータ |
EP3695447B1 (en) * | 2017-10-13 | 2024-09-11 | LG Energy Solution, Ltd. | Multilayer nanoporous separator |
CN107994183B (zh) * | 2017-10-27 | 2022-09-13 | 桑顿新能源科技(长沙)有限公司 | 一种锂电池专用复合涂层隔膜制作方法 |
US12080843B2 (en) * | 2017-11-16 | 2024-09-03 | Apple Inc. | Battery cell with multiple separator layers that include adhesive and ceramic material |
JP7108960B2 (ja) * | 2018-02-23 | 2022-07-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US11870037B2 (en) | 2018-04-10 | 2024-01-09 | Apple Inc. | Porous ceramic separator materials and formation processes |
CN110364662B (zh) * | 2018-04-11 | 2022-07-05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隔离膜和电化学装置 |
WO2019242016A1 (en) * | 2018-06-22 | 2019-12-26 | Shanghai Energy New Materials Technology Co., Ltd. | Separators, electrochemical devices comprising separators, and methods for making separators |
CN108627387B (zh) * | 2018-06-28 | 2020-12-04 | 桑顿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隔膜抗穿刺能力的测试方法和测试组合装置 |
KR102259218B1 (ko) * | 2018-07-03 | 2021-05-3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KR102259219B1 (ko) | 2018-07-03 | 2021-05-3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2611025B1 (ko) | 2018-10-11 | 2023-12-08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가교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 |
CN115172070A (zh) * | 2018-10-11 | 2022-10-11 | 旭化成株式会社 | 蓄电装置用分隔件及其制造方法 |
KR102323950B1 (ko) | 2018-12-12 | 2021-11-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JP7225846B2 (ja) * | 2019-01-28 | 2023-02-21 | 株式会社リコー | インクセット、絶縁膜の形成方法、セパレータ一体型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 |
CN109904374B (zh) * | 2019-03-19 | 2022-07-12 | 北京卫蓝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防过充隔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
JP7085149B2 (ja) | 2019-04-09 | 2022-06-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7085147B2 (ja) * | 2019-04-09 | 2022-06-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7277234B2 (ja) | 2019-04-16 | 2023-05-18 | 住友化学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積層セパレータ |
KR102425513B1 (ko) | 2019-05-03 | 2022-07-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2492831B1 (ko) | 2019-05-03 | 2023-01-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2425515B1 (ko) | 2019-05-03 | 2022-07-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2492832B1 (ko) | 2019-05-03 | 2023-01-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2487628B1 (ko) | 2019-05-03 | 2023-01-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2425514B1 (ko) | 2019-05-03 | 2022-07-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TWI761785B (zh) * | 2019-05-22 | 2022-04-21 | 聚和國際股份有限公司 | 多孔性載體以及電化學裝置隔離膜 |
CN111987277B (zh) * | 2019-05-22 | 2022-11-08 | 聚和国际股份有限公司 | 多孔性载体以及电化学装置隔离膜 |
WO2021141391A1 (ko) * | 2020-01-07 | 2021-07-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JP7340148B2 (ja) * | 2020-01-14 | 2023-09-0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樹脂多孔質体の製造方法 |
JP7088969B2 (ja) * | 2020-01-21 | 2022-06-21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lithium ion)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separator)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KR20210105199A (ko) * | 2020-02-18 | 2021-08-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1293262A (zh) * | 2020-03-18 | 2020-06-16 |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 降低锂电池热失控风险的复合隔膜、制备方法和锂电池 |
US12021258B2 (en) * | 2020-07-07 | 2024-06-25 | Sk Innovation Co., Ltd. | Separator having inorganic composite layer including inorganic particles and one-dimensional inorganic material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
US11990643B2 (en) | 2020-07-07 | 2024-05-21 | Sk Innovation Co., Ltd. | Separator having inorganic composite layer including inorganic particles and one-dimensional inorganic material without polymer-based organic binder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8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36161A (ja) | 1983-12-26 | 1985-07-19 | Japan Vilene Co Ltd | リチウム電池用セパレ−タ材 |
US4741979A (en) * | 1986-05-19 | 1988-05-03 | Eastman Kodak Company | Battery separator assembly |
JPH01258358A (ja) | 1988-04-06 | 1989-10-16 | Japan Vilene Co Ltd | リチウム電池用セパレータ |
JP2745308B2 (ja) | 1988-09-20 | 1998-04-28 | 日本無機株式会社 | 蓄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法 |
JPH04340972A (ja) | 1991-05-17 | 1992-11-27 | Minolta Camera Co Ltd |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
JPH0574436A (ja) | 1991-09-13 | 1993-03-26 | Asahi Chem Ind Co Ltd | 電池用セパレーター |
JPH05335005A (ja) | 1992-06-02 | 1993-12-17 | Asahi Chem Ind Co Ltd | セパレータ |
WO1996030954A1 (en) | 1995-03-31 | 1996-10-03 |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 Non-woven fabric for separator of non-aqueous electrolyte cell, and non-aqueous electrolyte cell using the same |
JPH08287949A (ja) | 1995-04-07 | 1996-11-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
WO1997008763A1 (en) * | 1995-08-28 | 1997-03-06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Cel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JP3376191B2 (ja) | 1995-11-08 | 2003-02-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
JP3549661B2 (ja) | 1996-03-19 | 2004-08-04 | 株式会社クラレ | 電池用セパレ−タ |
JPH1140130A (ja) | 1997-07-18 | 1999-02-12 | Oji Paper Co Ltd | 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
JPH11185773A (ja) | 1997-12-18 | 1999-07-09 | Sony Corp | ゲル状電解質電池 |
US6153337A (en) | 1997-12-19 | 2000-11-28 | Moltech Corporation |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
EP0971430B9 (en) * | 1998-01-19 | 2010-07-07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Secondary battery with adhesive resin layer structure |
US6811928B2 (en) * | 1998-01-22 | 2004-11-0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Battery with adhesion resin layer including filler |
JP4270411B2 (ja) | 1998-03-09 | 2009-06-03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非水電解液電池並びに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 |
US6200708B1 (en) * | 1998-03-30 | 2001-03-13 | Worldwid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rporation |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djustments for stepping photolithography exposures |
JP3175730B2 (ja) | 1998-04-27 | 2001-06-11 |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 非水電解質電池セパレーターとリチウム二次電池 |
TW460505B (en) * | 1998-04-27 | 2001-10-21 | Sumitomo Chemical Co |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made from the same |
JP2000048639A (ja) * | 1998-07-29 | 2000-02-18 | Asahi Chem Ind Co Ltd | 複合構造ゲル電解質シート積層体 |
DE19850826A1 (de) * | 1998-11-04 | 2000-05-11 | Basf Ag | Als Separatoren in elektrochemischen Zellen geeignete Verbundkörper |
EP1088356A1 (en) | 1999-03-31 | 2001-04-04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icroporous electrode or separator for use in a non-aqueous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JP4075208B2 (ja) | 1999-04-23 | 2008-04-16 | 宇部興産株式会社 | 多孔質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用セパレータ |
US20030129379A1 (en) * | 1999-04-23 | 2003-07-10 | Shigeru Yao | Porous insulating film and its laminates |
JP4538866B2 (ja) | 1999-06-07 | 2010-09-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非水電解液電気化学装置 |
KR20010053640A (ko) * | 1999-06-22 | 2001-06-25 |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 전지용 세퍼레이터, 전지, 및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
JP2001084987A (ja) | 1999-09-14 | 2001-03-30 | Toshiba Corp | 電気化学デバイス |
JP4812919B2 (ja) | 1999-09-24 | 2011-11-09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 |
JP4470248B2 (ja) | 1999-11-10 | 2010-06-02 | 宇部興産株式会社 | 電池用セパレータ |
US6627346B1 (en) * | 1999-11-10 | 2003-09-30 | Ube Industries, Ltd. | Battery separa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
JP4470288B2 (ja) | 2000-07-07 | 2010-06-02 | 宇部興産株式会社 | 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JP2001266828A (ja) | 2000-03-17 | 2001-09-28 | Nippon Muki Co Ltd | 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 |
JP2001291503A (ja) | 2000-04-05 | 2001-10-19 | Japan Vilene Co Ltd | 電池用セパレータ |
US6432586B1 (en) * | 2000-04-10 | 2002-08-13 | Celgard Inc. |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
KR100362280B1 (ko) * | 2000-04-11 | 2002-11-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2차 전지의 세퍼레이타 및 그 제조방법 |
JP2002042867A (ja) | 2000-07-31 | 2002-02-08 | Sanyo Electric Co Ltd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TW595035B (en) | 2000-08-30 | 2004-06-21 | Sumitomo Chemical Co |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JP4712251B2 (ja) | 2000-09-22 | 2011-06-29 | 帝人株式会社 | 両面同時塗工方法 |
JP2002151040A (ja) | 2000-11-13 | 2002-05-24 | Kuraray Co Ltd | セパレータ |
JP2002237332A (ja) | 2001-02-08 | 2002-08-23 | Oji Paper Co Ltd | ポリマー電池用不織布複合化ゲル状電解質 |
JP4060562B2 (ja) * | 2001-05-02 | 2008-03-12 | 日本碍子株式会社 | 電極体の評価方法 |
JP4981220B2 (ja) | 2001-06-21 | 2012-07-18 | 帝人株式会社 |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
US20040244675A1 (en) * | 2001-08-09 | 2004-12-09 | Mikio Kishimoto | Non-magnetic particles having a plate shap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brasive material, polishing article and abrasive fluid comprising such particles |
DE10142622A1 (de) | 2001-08-31 | 2003-03-20 |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 Elektrischer Separator,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
JP4424581B2 (ja) | 2001-09-26 | 2010-03-03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非磁性板状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粒子を用いた研磨材、研磨体、研磨液 |
JP2003123728A (ja) | 2001-10-17 | 2003-04-25 | Oji Paper Co Ltd |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
JP4204231B2 (ja) * | 2001-11-08 | 2009-01-07 | 日本碍子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 |
JP4163894B2 (ja) | 2002-04-24 | 2008-10-08 | 帝人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
JP2004014127A (ja) | 2002-06-03 | 2004-01-15 | Mitsubishi Heavy Ind Ltd | 耐熱性セパレータ及び二次電池 |
DE10238945B4 (de) * | 2002-08-24 | 2013-01-03 | Evonik Degussa Gmbh | Elektrischer Separator mit Abschaltmechanismus,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Verwendung des Separators in Lithium-Batterien und Batterie mit dem Separator |
JP2004111157A (ja) | 2002-09-17 | 2004-04-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DE10255121B4 (de) * | 2002-11-26 | 2017-09-14 | Evonik Degussa Gmbh | Separator mit asymmetrischem Porengefüge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
JP4368114B2 (ja) * | 2003-02-03 | 2009-11-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法 |
JP2004273282A (ja) | 2003-03-10 | 2004-09-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池の製造方法 |
JP4045989B2 (ja) * | 2003-03-25 | 2008-02-1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 |
WO2004112183A1 (en) * | 2003-06-17 | 2004-12-23 | Samshin Creation Co., Ltd. | A complex membrane for electrochem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the same |
KR100470314B1 (ko) | 2003-06-17 | 2005-02-07 | (주)삼신크리에이션 | 전기화학소자용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전기화학소자 |
DE10347566A1 (de) * | 2003-10-14 | 2005-05-12 | Degussa | Keramischer Separator für elektrochemische Zellen mit verbesserter Leitfähigkeit |
US8255514B2 (en) * | 2003-11-04 | 2012-08-28 | Covenant Eyes, Inc. | Internet u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KR100647966B1 (ko) * | 2004-02-24 | 2006-11-23 |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
JP4495516B2 (ja) | 2004-05-14 | 2010-07-07 | 株式会社巴川製紙所 | 電子部品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
US20050208383A1 (en) | 2004-03-19 | 2005-09-22 | Hiroki Totsuka | Electronic component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JP4974448B2 (ja) | 2004-04-07 | 2012-07-11 | 株式会社巴川製紙所 | 電子部品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
DE102004018930A1 (de) | 2004-04-20 | 2005-11-17 | Degussa Ag | Verwendung eines keramischen Separators in Lithium-Ionenbatterien, die einen Elektrolyten aufweisen, der ionische Flüssigkeiten enthält |
JP4531444B2 (ja) | 2004-05-26 | 2010-08-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
JP4581547B2 (ja) * | 2004-08-05 | 2010-11-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KR100659820B1 (ko) | 2004-11-17 | 2006-12-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JP2006164596A (ja) * | 2004-12-03 | 2006-06-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二次電池およびその多孔膜の製造方法 |
KR100939585B1 (ko) * | 2004-12-07 | 2010-02-01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세퍼레이터 및 이것을 이용한 비수전해액 2차전지 |
WO2006062153A1 (ja) | 2004-12-08 | 2006-06-15 | Hitachi Maxell, Ltd.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化学素子 |
KR100775310B1 (ko) * | 2004-12-22 | 2007-11-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
KR100659854B1 (ko) * | 2005-04-28 | 2006-12-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JP4992203B2 (ja) | 2005-06-24 | 2012-08-08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JP2006032359A (ja) * | 2005-08-19 | 2006-02-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
JP4946006B2 (ja) | 2005-11-04 | 2012-06-06 | 東レ株式会社 | 複合多孔質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149507A (ja) | 2005-11-28 | 2007-06-14 | Sanyo Electric Co Ltd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5196780B2 (ja) | 2005-12-22 | 2013-05-15 |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 多層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1512792B (zh) * | 2006-09-07 | 2013-03-27 |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 电池用隔板及其制造方法、以及锂二次电池 |
KR101281568B1 (ko) * | 2007-03-15 | 2013-07-03 |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전기 화학 소자용 전극 및 전기 화학 소자 |
-
2006
- 2006-12-08 CN CN2006800248797A patent/CN101218695B/zh active Active
- 2006-12-08 EP EP06834336.7A patent/EP1965454B1/en active Active
- 2006-12-08 JP JP2007522324A patent/JP4151852B2/ja active Active
- 2006-12-08 US US11/919,652 patent/US8405957B2/en active Active
- 2006-12-08 KR KR1020117011764A patent/KR10116609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12-08 CN CN2011101597321A patent/CN102244220A/zh active Pending
- 2006-12-08 KR KR1020087016484A patent/KR1011057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12-08 CN CN2011101597406A patent/CN102244221A/zh active Pending
- 2006-12-08 WO PCT/JP2006/324581 patent/WO200706676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
- 2008-02-25 JP JP2008043512A patent/JP5038186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9-03 JP JP2012192759A patent/JP2013008690A/ja active Pending
- 2012-09-13 JP JP2012201365A patent/JP5477985B2/ja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3182A (ko) * | 2011-12-23 | 2013-07-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KR20160081903A (ko) * | 2013-11-05 | 2016-07-08 | 소니 주식회사 | 전지, 세퍼레이터, 전극, 도료, 전지 팩, 전자 기기, 전동 차량, 축전 장치 및 전력 시스템 |
US10665841B2 (en) | 2013-11-05 | 2020-05-26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Battery, separator, electrode, coating material, battery pack, electronic apparatus, electrically driven vehicle,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electric power system |
US11532853B2 (en) | 2013-11-05 | 2022-12-20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Transparent particle-containing resin layer, separator, electrode,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coating material for mak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7066768A1 (ja) | 2007-06-14 |
EP1965454A4 (en) | 2011-10-05 |
CN102244220A (zh) | 2011-11-16 |
US8405957B2 (en) | 2013-03-26 |
US20090067119A1 (en) | 2009-03-12 |
JP2013008690A (ja) | 2013-01-10 |
KR101166091B1 (ko) | 2012-07-23 |
EP1965454B1 (en) | 2019-12-25 |
JPWO2007066768A1 (ja) | 2009-05-21 |
JP5038186B2 (ja) | 2012-10-03 |
CN101218695B (zh) | 2011-07-20 |
KR20080073371A (ko) | 2008-08-08 |
JP4151852B2 (ja) | 2008-09-17 |
KR101105748B1 (ko) | 2012-01-17 |
JP2012238621A (ja) | 2012-12-06 |
JP2008305783A (ja) | 2008-12-18 |
CN101218695A (zh) | 2008-07-09 |
EP1965454A1 (en) | 2008-09-03 |
JP5477985B2 (ja) | 2014-04-23 |
CN102244221A (zh) | 201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6091B1 (ko) |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 |
JP5193998B2 (ja)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電気化学素子用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 |
JP5093882B2 (ja)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電気化学素子および電気化学素子の製造方法 | |
JP4184404B2 (ja)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化学素子 | |
KR100911742B1 (ko) | 세퍼레이터용 다공질 기재,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전기화학 소자 | |
CA2586062C (en) |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 |
JP5158678B2 (ja) | 非水電解質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 | |
JP5937776B2 (ja)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池 | |
JP5611505B2 (ja)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
JP5575537B2 (ja) | 非水電解質電池 | |
JP2008041581A (ja) | 巻回体電極群、角形二次電池およびラミネート形二次電池 | |
JP2008027839A (ja) | ライナー付き多孔質膜、多孔質膜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 |
JP2008066094A (ja)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
JP5148360B2 (ja) | セパレータ用多孔質基体、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 |
JP2008004442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14022051A (ja) |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化学素子 | |
JP2008004440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