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289A -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2289A KR20110072289A KR1020090129149A KR20090129149A KR20110072289A KR 20110072289 A KR20110072289 A KR 20110072289A KR 1020090129149 A KR1020090129149 A KR 1020090129149A KR 20090129149 A KR20090129149 A KR 20090129149A KR 20110072289 A KR20110072289 A KR 201100722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eam
- stored
- content
- call
- video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신 장치에서 통화 내용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송신 내용 및 수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대상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 결과에 따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 스트림 및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부가 정보는 저장 대상 및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화 내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가 통화한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화상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은, 송신 내용 및 수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대상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 스트림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선택된 저장 대상 및 상기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장치는, 카메라;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AV 처리부; 상기 AV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스트림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 스트림을 수신하는 통신부; 송신 내용 및 수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대상으로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스트림 및 상기 수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매체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대상 및 종류에 따라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화상 통화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저장된 통화 내용을 효과적으로 편집 및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통신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처리 및 송수신이 가능한 복수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호출 측(calling party) 및 피 호출측(called party)이 반대측에서 송신한 영상을 보면서 서로 대화할 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는 카메라(camera) 및 마이크(microphone) 등과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장치들(20 내지 6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신 장치(1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장치들(20 내지 60)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 사이의 화상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신 장치(10)와 화상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는 휴대폰(20),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30), PC(40), 다른 화상 통신 장치(5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신 장치(10)와 상기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화상 통신을 위한 통신 규격에 따른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토록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3 등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IEEE 802.11 등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는 VoBB(voice over broadband) 또는 레거시(legacy)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VoBB는 VoCM(voice over cable modem), VoDSL(voice over DS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FWA(fixed wireless access),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VoATM(voice over ATM)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거시 서비스는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셀룰러 또는 3G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무선 네트워크, 종래의 전화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 케이블 모뎀 시스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서로 간에 설정된 규격에 따라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코딩을 위한 H.261 표준,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통신을 H.221 표준 및 호출 설정 및 해제를 위한 H.242 표준 등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 통신 시스템의 경우, 영상 코딩을 위한 H.323, H.263 및 H264 표준과 음성 코딩을 위한 G723.1, G.711 및 G.729 등과 같은 화상 통신 표준에서 구현된 프로토콜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와 화상 통신하는 장치들(20 내지 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들(20 내지 6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이외에 SIP, RTP/RTCP 프로토콜과 같은 표준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화상 통신 장치는 카메라(100), 마이크(110), AV처리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사용자입력부(150), 저장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주변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00)는 웹 캠(Web Cam) 등과 같이 화상 통신 장치(10)의 본체의 일 측에 장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의 정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1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1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거나, 화상 통신 장치(10)의 외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AV 처리부(120)는 카메라(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format)의 영상 스트림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으며, 마이크(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음성 스트림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 처리부(120)는 H.323, H.263, 및 H.264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기본 스트림, 즉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영상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AV 처리부(120)는 G.723.1, G.711, 및 G.729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음성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AV 처리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부호화 이외에, 카메라(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거나 특정 목적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전처리 작업, 예를 들어 명암도 재조정, 노이즈(noise) 제거, 평활화(smoothing), 예리화(sharpening)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AV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포함하는 송신 스트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화상 통신을 위한 서버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포함하는 수신 스트림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상기 외부 장치와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3, IEEE 802.11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와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을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의 본체에 장착된 키보드 또는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에 구비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정 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신 장치(10)에 구비된 내부 저장 매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화상 통신 장치(10)에 연결되는 외부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카메라(10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즉 외부 장치로 송신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즉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100), 마이크(110), AV처리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사용자입력부(150), 저장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통신 장치(1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60)는 화상 통신 장치(10)를 이용한 사용자의 통화 내용,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AV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스트림 또는 통신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스트림을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입력부(150)는 화상 통신 시 저장할 대상으로 송신 내용 및 수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다(200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이용해 송신 내용, 수신 내용 및 송수신 내용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저장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입력부(15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장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송신 스트림 및 수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와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시킨다(210 단계).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2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저장 대상을 확인하고, 외부 장치로 전송할 송신 스트림 및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스트림 중 상기 저장 대상에 대응되는 스트림을 저장부(1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송신 내용을 저장 대상으로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AV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저장부(1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송신 내용을 저장 대상으로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저장부(1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송수신 내용을 저장 대상으로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AV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선택된 저장 대상 및 상기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방법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입력부(150)는 송신 내용 및 수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대상으로 선택받고(300 단계), 저장할 스트림의 종류를 선택받는다(310 단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신 장치는 복수의 항목들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창(40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창(400)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화면 상에 표시되는 설정 창(400)에서 '화상 통화'를 선택하면, 화상 통화와 관련된 설정들, 예를 들어 통화 내용 저장 및 재생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서브 창(410)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서브 창(410)에서 '통화 녹화'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 즉 '통화 녹화 방법', '통화 녹화 대상' 및 '통화 녹화 종류'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녹화 방법' 항목을 선택하여, 화상 통화 시 통화 내용의 저장을 '자동'으로 할 것인지 또는 '수동'을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통화 녹화 방법'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입력없이 화상 통화 시마다 통화 내용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통화 녹화 방법'을 '수동'으로 선택하면, 사용자가 화상 통화 도중 '녹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만 통화 내용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브 창(410)에서 '통화 녹화 대상'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300 단계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저장 대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동(송신+수신)'을 선택하는 경우 송신 스트림 및 수신 스트림이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송신'을 선택하는 경우 송신 스트림이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수신'을 선택하는 경우 수신 스트림만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스트림은 AV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스트림은 엘리먼터리 스트림(ES) 형태로 부호화된 영상 스트림 또 는 음성 스트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 스트림은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스트림은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엘리먼터리 스트림(ES) 형태로 부호화된 후 수신되는 영상 스트림 또는 음성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브 창(410)에서 '통화 녹화 종류'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310 단계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저장할 스트림의 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동(영상+음성)'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이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선택하는 경우 영상 스트림이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선택하는 경우 음성 스트림만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화 녹화 대상" 중 '송신"을 선택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화 녹화 종류' 중 '자동(영상+음성)'을 선택하는 경우, AV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영상 스트림 및 송신 음성 스트림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통화 녹화 대상"으로 '수신"을 선택하고, '통화 녹화 종류'로서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림 중 수신 영상 스트림만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할 대상 및 종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입력부(150)는 상기 선택된 스트림을 저장할 저장 매체를 선택받는다(32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림이 저장될 저장 매체로서 화상 통신 장치에 구비된 내부 저장 매체와 화상 통신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320 단계에서 상기 내부 저장 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장 매체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내부 저장 매체가 외부 저장 매체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저장하고자 하는 스트림을 먼저 내부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내부 저장 매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내부 저장 매체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외부 저장 매체에 상기 스트림을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저장 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모두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저장 공간의 부족을 알리고 저장된 통화 내용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300 단계 및 310 단계에서의 사용자 선택 결과에 따라 AV처리부(120) 및 통신부(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저장할 스트림을 입력받아 획득한다(330 단계).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되는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340 단계), 상기 획득된 스트림을 상기 생성된 부가 정보와 함께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350 단계).
상기 부가 정보는 저장되는 스트림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된 저장 대상 및 스트림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 스트림에 대응되는 제1 부가 정보 및 수신 스트림에 대응되는 제2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스트림은 상기 제1 부가 정보와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수신 스트림은 상기 제2 부가 정보와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2는 부가 정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부가 정보는 저장 대상 및 스트림 종류 이외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부가 정보는 저장 대상을 나타내는 'STORED_STREAM_TYPE' 필드, 해당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STREAM_PID' 필드,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나타내는 'ES_PID' 필드, 통화 종류를 나타내는 'CALL_TYPE' 필드 및 통화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CALL_INFO'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TORED_STREAM_TYPE' 필드는 저장 대상이 송신 내용임을 나타내는 'TX_ONLY', 수신 내용임을 나타내는 'RX_ONLY' 및 송수신 내용임을 나타내는 'TX_RX_BOTH', 세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STREAM_PID' 필드는 해당 스트림이 송신 스트림임을 나타내는 'TX_STREAM' 및 수신 스트림임을 나타내는 'RX_STREAM', 두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ES_PID' 필드는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가 영상임을 나타내는 'VIDEO_ES', 음성임을 나타내는 'AUDIO_ES' 및 영상 및 음성 모두임을 나타내는 'PCR_ES', 세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CALL_TYPE' 필드는 저장되는 통화의 종류가 영상 통화임을 나타내는 'VIDEO_CALL' 및 음성 통화임을 나타내는 'AUDIO_CALL', 두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CALL_INFO' 필드는 스트림이 저장되는 파일의 명칭을 나타내는 'FILE NAME', 상기 스트림이 저장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SAVED_LOCATION', 통화한 일자를 나타내는 'CALL_TIME', 통화 시간을 나타내는 'CALL_DURATION' 및 통화 관련 기타 정보를 나타내는 'ETC_INFO'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대상으로 송수신 내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송신 스트림 및 수신 스트림은 하나의 파일로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하나의 통합 스트림으로 관리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트림 저장 정보를 가지는 부가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부가 정보를 해당 스트림과 함께 저장부(1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저장되는 스트림의 보존 기간 또는 삭제 방지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장되는 스트림 및 저장 매체의 저장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통화 설정을 위한 서브 창(410)에서 통화 재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장부(160)에 저장된 통화 내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이 재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이용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스트림들 중 재생을 원하는 통화 내용에 대응되는 스트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림이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통화 내용을 편집, 예를 들어 전체 또는 부분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이용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스트림들 중 편집을 원하는 통화 내용에 대응되는 스트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스트림에 대해 원하는 편집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장부(160)에 저장된 특정 스트림에 대한 삭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스트림을 저장부(16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통신 장치(10)를 구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 통신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으며, 그와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은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네트워크 TV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520), 서비스 제공자(530) 및 네트워크 TV(540)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510)는 네트워크 TV(540)에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54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520)에게 네트워크 TV(540)에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TV(540)의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510)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한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540)에 표시될 때 구성되는 메인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고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할 때마다 네트워크 TV(54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5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TV(54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TV(54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에는 컨텐츠 제공자(520) 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펌웨어는 네트워크 TV(54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TV(54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TV(54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5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5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520)가 화상 통신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통신 프로그램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및 네트워크 TV(540) 상호 간에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임의의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자(530)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 TV(54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안정적인 수신이 될 수 있도록 전송망의 유지 보수 관리를 수행하며, 그리고 컨텐츠 제공자(520)에게는 컨텐츠를 전송을 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자(530)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TV(540)는 네트워크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520)는 네트워크 TV(540)에 제공될 각종 컨텐츠를 만드는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52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TV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네트워크 TV(540)의 데이터 및 명령을 전송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통상적인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및 네트워크 TV(540)가 서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망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동시에, IP 주소 할당, 대역폭 조절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TV(5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네트워크 TV(54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는 네트워크 TV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 즉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네트워크 TV(54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TV(5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방송 수신부(541)를 통해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방송 수신부(541), 역다중화부(542), 영상신호 처리부(543), 디스플레이부(5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 OSD 생성부(546), 사용자 입력부(547), 저장부(548), 메모리부(549)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541), 역다중화부(542) 및 영상신호 처리부(54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544)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부(541)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어부(55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 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수신부(54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542)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 다.
역다중화부(542)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543)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544)에 표시된다.
이 경우, 영상신호 처리부(543)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4)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542)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부(48)를 통해 메모리부(49)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54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47)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5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51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51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이 수신될 수 있다.
OSD 생성부(546)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 즉, OSD 생성부(54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547)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2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은 배경 이미지(601) 및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메뉴 버튼들(6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이미지(601) 상에 표시된 메뉴 버튼들(612)은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들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메뉴 버튼들(612)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에 표시된 메뉴 버튼들(612)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메뉴 버튼 4(605)는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에 대응되는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에 표시된 머뉴 버튼들(612) 상기 메뉴 버튼 4(605)를 선택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한 후에는,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통화 내용 관리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단계들은 컨텐츠 제공자(520)의 서버, 서비스 제공자(530) 서버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510)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화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통화 내용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부가 정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 화상 통신 장치에서 통화 내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송신 내용 및 수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대상으로 선택받는 단계; 및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 스트림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선택된 저장 대상 및 상기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로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림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상기 화상 통신 장치에 구비된 내부 저장 매체, 상기 화상 통신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두어 상기 스트림을 저장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트림을 저장할 저장 매체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상기 송신 스트림과 대응되어 저장되는 제1 부가 정보 및 상기 수신 스트림과 대응되어 저장되는 제2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파일 명칭, 저장 위치, 통화 종류, 통화 일자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장 대상으로 송수신 내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송신 스트림 및 수신 스트림은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송신 스트림 및 수신 스트림은 부호화된 상태로 저장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장된 스트림의 보존 기간 및 삭제 방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장된 스트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상기 선택된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장된 스트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스트림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 내용 관리 방법.
- 카메라;마이크;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처리 하는 AV 처리부;상기 AV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스트림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 스트림을 수신하는 통신부;송신 내용 및 수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대상으로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 스트림 및 상기 수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매체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저장되는 스트림의 종류로 선택받는 화상 통신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송신 스트림 및 상기 수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 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시키며,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선택된 저장 대상 및 스트림의 종류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상기 화상 통신 장치에 구비된 내부 저장 매체 및 상기 화상 통신 장치에 연 결된 외부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인 화상 통신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파일 명칭, 저장 위치, 통화 종류, 통화 일자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149A KR20110072289A (ko) | 2009-12-22 | 2009-12-22 |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149A KR20110072289A (ko) | 2009-12-22 | 2009-12-22 |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289A true KR20110072289A (ko) | 2011-06-29 |
Family
ID=4440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149A KR20110072289A (ko) | 2009-12-22 | 2009-12-22 |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2289A (ko) |
-
2009
- 2009-12-22 KR KR1020090129149A patent/KR201100722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8911B1 (ko)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US8547413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473994B2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US9621943B2 (en) | Multimedia processing resource with interactive voice response | |
US20130014150A1 (en) | Method for providing previous watch list of contents provided by different sources, and display device which performs same | |
KR20110025416A (ko) | 네트워크 tv의 펌웨어 분할 업데이트 방법 | |
US20140380385A1 (en) |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KR101372904B1 (ko) | 인터넷전화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아이피티브이 셋톱박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049239A (ko) | 네트워크 tv에서 컨텐츠를 분할하여 제공하는 방법 | |
KR20120046988A (ko) | 영상 표시 기기 제어 방법, 음성 인식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
KR101692556B1 (ko) |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072289A (ko) |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120507A (ko) |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특징 정보 설정 방법 | |
KR20110117961A (ko) | 영상 전송 장치 및 영상 전송 방법 | |
JP2008011405A (ja) | 音声・映像通信制御装置、放送受信端末 | |
KR101636576B1 (ko) |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072135A (ko) | 화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 |
KR101462279B1 (ko) |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 |
KR20110051435A (ko) |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072629A (ko)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04674A (ko) | 클립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 |
KR101316218B1 (ko) |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연락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 |
KR20110095604A (ko) | 멀티미디어 기기 및 컨텐츠 재생 방법 | |
KR20110026685A (ko) | 메신저 기능을 수행하는 iptv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iptv | |
KR2012001932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