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6576B1 -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576B1
KR101636576B1 KR1020100000554A KR20100000554A KR101636576B1 KR 101636576 B1 KR101636576 B1 KR 101636576B1 KR 1020100000554 A KR1020100000554 A KR 1020100000554A KR 20100000554 A KR20100000554 A KR 20100000554A KR 101636576 B1 KR101636576 B1 KR 10163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count
user
video call
received
accou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374A (ko
Inventor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화를 위한 계정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화상 통화를 위한 복수의 계정들을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하여 로그인시키는 단계; 및 부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managing video communication accounts,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통신 장치에서 화상 통화를 계정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화상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사용자 계정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은, 화상 통화를 위한 복수의 계정들을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하여 로그인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장치는, 화상 통화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화상 통화를 위한 복수의 계정들을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계정들로 호출되는 화상 통화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 중 상기 주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해 응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상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통화를 위한 복수의 계정들을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해 로그인시켜 관리함으로써, 화상 통신 장치를 이용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수신 및 응답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통신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처리 및 송수신이 가능한 복수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호출 측(calling party) 및 피 호출측(called party)이 반대측에서 송신한 영상을 보면서 서로 대화할 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는 카메라(camera) 및 마이크(microphone) 등과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장치들(20 내지 6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신 장치(1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장치들(20 내지 60)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 사이의 화상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신 장치(10)와 화상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는 휴대폰(20),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30), PC(40), 다른 화상 통신 장치(5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신 장치(10)와 상기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화상 통신을 위한 통신 규격에 따른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토록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3 등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IEEE 802.11 등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는 VoBB(voice over broadband) 또는 레거시(legacy)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VoBB는 VoCM(voice over cable modem), VoDSL(voice over DS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FWA(fixed wireless access),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VoATM(voice over ATM)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거시 서비스는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셀룰러 또는 3G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무선 네트워크, 종래의 전화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 케이블 모뎀 시스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서로 간에 설정된 규격에 따라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코딩을 위한 H.261 표준,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통신을 H.221 표준 및 호출 설정 및 해제를 위한 H.242 표준 등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 통신 시스템의 경우, 영상 코딩을 위한 H.323, H.263 및 H264 표준과 음성 코딩을 위한 G723.1, G.711 및 G.729 등과 같은 화상 통신 표준에서 구현된 프로토콜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와 화상 통신하는 장치들(20 내지 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들(20 내지 6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이외에 SIP, RTP/RTCP 프로토콜과 같은 표준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화상 통신 장치는 통신부(100), 제어부(110), AV 처리부(120), 저장부(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부(100)는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스트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0)는 화상 통화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스트림을 상기 상태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100)는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와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3, IEEE 802.11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연결되어,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와 화상 통화에 따른 AV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V 처리부(120)는 사용자의 영상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format)의 영상 스트림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음성 스트림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 처리부(120)는 H.323, H.263, 및 H.264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기본 스트림, 즉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영상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AV 처리부(120)는 G.723.1, G.711, 및 G.729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음성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AV 처리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부호화 이외에,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거나 특정 목적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전처리 작업, 예를 들어 명암도 재조정, 노이즈(noise) 제거, 평활화(smoothing), 예리화(sharpening)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화상 통신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0)는 화상 통화를 위해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계정의 사용자 ID, 암호(password), 통화 내역, 부재중 수신 통화 및 메시지, 친구 목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와 관련된 입출력을 수행하며, 그를 위해 카메라(141), 마이크(142), 디스플레이부(143), 음성 출력부(144) 및 사용자입력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41)는 화상 통신 장치의 주변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41)는 웹 캠(Web Cam) 등과 같이 화상 통신 장치의 본체의 일 측에 장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의 정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42)는 화상 통신 장치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42)는 화상 통신 장치의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거나, 화상 통신 장치의 외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3)는 카메라(141)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즉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로 송신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3)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144)는 마이크(142)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며, 또한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5)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버튼들을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해 복수의 키버튼들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화상 통신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45)는 화상 통신 장치(10)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버튼들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00), AV 처리부(120), 저장부(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통신 장치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계정들을 관리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 계정들을 로그인시켜 화상 통화를 위해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상기 등록된 복수의 계정들을 함께 로그인시켜 온-라인(On-line) 상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로그인된 복수의 계정들은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화상 통화를 위한 복수의 계정들을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하여 로그인시킨다(20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등록 계정들을 함께 로그인시켜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온-라인(On-line)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즉, 통신부(10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로그인되어 온-라인(On-line) 상태에 있는 복수의 계정들 각각에 대해 수신되는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계정들은 주사용자 계정과 부사용자 계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계정들 중 하나가 주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계정들은 부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상기 복수의 계정들 각각에 대해 주사용자 계정인지 또는 부사용자 계정인지 여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상기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등록된 사용자 계정들을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하여 로그인시켜 서로 다른 우선 순위 또는 사용 제한 조건을 두어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사용자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이 가능하나, 부사용자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해서는 수신 확인이 가능할 뿐 응답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화상 통화의 수신 및 그에 따른 수신 알림은 로그인된 복수의 계정들 각각에 대해, 주사용자 또는 부사용자에 관계없이, 모두 가능하나,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여 상대방과 실제 화상 통화를 진행하는 것은 주사용자 계정에 한하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한 응답 이외에 다른 기능들, 예를 들어 수신되는 메시지의 확인 등도 주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나머지 부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는 제한될 수 있다.
통신부(100)가 화상 통화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가 주사용자 계정으로 호출되는 것인지 또는 부사용자 계정으로 호출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210 단계).
만약, 부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5)를 통해 주사용자 계정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220 단계).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부사용자 계정으로 호출되는 화상 통화의 경우 통신부(100)를 통한 수신은 가능하나,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여 상대방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진행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부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화상 통화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부사용자 계정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여 상기 화상 통화에 응답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143) 또는 사용자 입력부(145)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45)를 통해 상기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부사용자 계정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부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를 진행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방법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화상 통화를 위해 등록된 복수의 계정들을 로그인시킨다(300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로그인되어 온-라인 상태로 제어부(110)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계정들은 하나의 주사용자 계정과 나머지 부사용자 계정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사용자 계정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를 위해 등록된 계정이 하나일 경우, 상기 계정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되어 로그인된다.
또한, 화상 통화를 위해 등록된 계정이 2 이상일 경우, 상기 계정들 중 화상 통신 장치(10)의 이전 동작시 가장 마지막으로 주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되어 있던 계정이 계속하여 주사용자 계정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주사용자 계정의 설정을 위한 메뉴(menu)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복수의 계정들 중 주사용자로 설정할 계정을 선택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43)를 통해 주사용자 계정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면(400) 상에는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계정들에 대한 정보,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각 계정의 명칭 또는 ID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현재 주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되어 있는 계정(예를 들어, 사용자 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400) 상에 표시된 복수의 계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변경 버튼(410)을 선택하여, 주사용자 계정을 원하는 계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3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400) 상에 표시된 복수의 계정들 중 상기 사용자 3을 선택한 후 변경 버튼(410)을 눌러 주사용자 계정을 변경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계정들 중 상기 사용자 3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되며, 나머지 계정들, 즉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4 및 사용자 5 계정들은 부사용자 계정으로 설정되어 제어부(11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계정들 각각이 주사용자 계정인지 또는 부사용자 계정인지 여부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의 계정들을 함께 로그인시켜 관리하기 위해, 제어부(110)는 주사용자 계정의 관리하기 위한 '주사용자 계정 타스크(task)'와 부사용자 계정들의 관리를 위한 '부사용자 계정 타스크'를 별도로 생성시켜, 각 타스크가 각각의 계정들의 로그인 및 그에 따흔 관리 등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용자 계정 타스크'가 먼저 주사용자 계정의 로그인을 수행한 후 상기 주사용자 계정의 상태(status)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사용자 계정 타스크'가 부사용자 계정들의 로그인을 수행한 후 상기 부사용자 계정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계정의 상태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개정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개정의 통화 내역, 부재중 수신 통화 및 메시지, 친구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계정들이 모두 로그인되면, 제어부(110)는 통신부(100)를 통해 화상 통화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31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인된 주사용자 계정 및 부사용자 계정들 각각에 대해 주기적으로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수신 여부가 상기 부사용자 계정에 대한 수신 여부보다 우선하여 확인 및 처리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주사용자 계정 타스크'를 이용해 상기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확인하며, 상기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에 대한 처리가 가장 우선 순위가 높으므로 상기와 같은 이벤트(event)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가장 먼저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은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주사용자 계정 타스크'는 상기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변경된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부사용자 계정 타스크'를 이용해 부사용자 계정에 대한 화상 통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은 우선 순위에 따라 주사용자 계정 및 부사용자 계정들 각각에 대한 화상 통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통화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가 주사용자 계정 및 부사용자 계정들 중 어떤 계정을 호출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320 단계).
상기 화상 통화를 수신하는 계정이 주사용자 계정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도록 한다(35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5)를 통해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한 응답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사용자가 화상 통화 응답을 요청하는 경우 통신부(100)를 통해 상대방 화상 통신 장치와 화상 통신에 따른 AV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의 카메라(141) 및 마이크(14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AV 데이터를 획득한 후 통신부(100)를 통해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통신부(100)를 통해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AV 데이터를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부(143) 및 음성출력부(144)를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가 사용자들 사이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3)는 화면(400) 상에 주사용자 계정, 예를 들어 현재 주사용자로 설정된 사용자 1을 호출하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3)는 화면(400) 상에 상기 주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해 응답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45)를 통해 상기 화상 통화에 대한 응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45)를 통해 예 버튼(420)을 선택하는 경우, 화면(400) 상에 사용자의 영상(430) 및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440)이 함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화상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425)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한 응답이 거부될 수 있으며, 상기 거부된 수신 통화는 '부재중 통화'로 처리되어 해당 정보, 예를 들어 수신 날짜, 시간, 발신인 정보 등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통화를 수신하는 계정이 부사용자 계정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부사용자 계정의 화상 통화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린다(33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43) 등을 통해 부사용자 계정을 호출하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고 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부사용자 계정을 호출하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부사용자 계정 타스크'는 상기 부사용자 계정의 화상 통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주사용자 계정 타크스'로 전달하고, '부사용자 계정 타스크'는 디스플레이부(143)가 상기 부사용자 계정의 화상 통화 수신을 알리는 팝업창(popup window)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10)는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340 단계), 상기 호출받은 부사용자 계정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도록 한다(350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부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해서는 응답이 제한되므로,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해 응답하기 위해서는 상기 호출되는 부사용자 계정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기 위해 사용자입력부(145)를 통해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부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3)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화면(400) 상에 부사용자 계정, 예를 들어 사용자 3을 호출하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3)는 화면(400) 상에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해 응답하기 위해 주사용자를 사용자 3으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45)를 통해 상기 주사용자의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45)를 통해 예 버튼(450)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3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전의 주사용자 계정인 사용자 1은 부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경된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주사용자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변경될 주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암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가 저장부(130)에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요청된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3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여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400) 상에 상기 사용자 3에 대응되는 비밀 번호(password)를 입력하기 위한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45)를 통해 사용자 3의 비밀 번호를 올바르게 입력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여 상대방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한편, 주사용자 계정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를 부재중 통화로 처리한다(360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호출받은 부사용자 계정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여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할 것을 원치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주사용자 변경을 위해 입력된 암호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한 응답이 거부될 수 있으며, 상기 거부된 수신 통화는 '부재중 통화'로 처리되어 해당 정보, 예를 들어 수신 날짜, 시간, 발신인 정보 등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재중 통화'로 처리된 수신 통화 내역은 해당 부사용자 계정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후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화면(400) 상에서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455)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상 통화는 '부재중 통화'로 처리되어 그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30)에 저장되며, 그 이후 사용자 3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400) 상에 상기 사용자 3에 대한 '부재중 통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3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3과 관련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사용자 3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3)를 통해 이전 수신된 '부재중 통화' 정보, 예를 들어 수신 날짜, 시간, 발신인 정보 등을 화면(40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400) 상에서 확인 버튼(457)을 선택하는 경우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3에 대한 '부재중 통화'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은 화상 통화에 대해서 뿐 아니라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통신부(100)는 로그인된 복수의 계정들 각각에 대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나,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은 주사용자 계정에 한하여 가능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주사용자 계정, 예를 들어 사용자 1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43)를 통해 화면(400) 상에 상기 주사용자 계정(사용자 1)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예 버튼(460)을 선택하는 경우, 화면(400) 상에 상기 주사용자 계정(사용자 1)으로 수신된 메시지가 바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465)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주사용자 계정(사용자 1)으로 수신된 메시지는 '부재중 메시지'로 처리되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수신 날짜, 시간, 발신인 및 메시지 내용 등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부사용자 계정, 예를 들어 사용자 3으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43)를 통해 화면(400) 상에 상기 부사용자 계정(사용자 3)으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3)는 화면(400) 상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을 위해 주사용자를 사용자 3으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45)를 통해 상기 주사용자의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45)를 통해 예 버튼(470)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3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전의 주사용자 계정인 사용자 1은 부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경된 주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주사용자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상기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3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 3에게 수신된 메시지가 화면(4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주사용자 계정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부재중 메시지'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부사용자 계정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주사용자 변경을 위해 입력된 암호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부재중 메시지'로 처리되어 해당 정보, 예를 들어 수신 날짜, 시간, 발신인 및 메시지 내용 등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재중 메시지'로 처리된 수신 메시지 내역은 해당 부사용자 계정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후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화면(400) 상에서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475)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부재중 메시지'로 처리되어 그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30)에 저장되며, 그 이후 사용자 3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400) 상에 상기 사용자 3에 대한 '부재중 메시지'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3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3과 관련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사용자 3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3)를 통해 이전 수신된 '부재중 메시지' 정보, 예를 들어 수신 날짜, 시간, 발신인 및 메시지 내용 등을 화면(40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통신 장치(10)를 구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 통신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으며, 그와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네트워크 TV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520), 서비스 제공자(530) 및 네트워크 TV(540)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510)는 네트워크 TV(540)에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54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520)에게 네트워크 TV(540)에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TV(540)의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510)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한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540)에 표시될 때 구성되는 메인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고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할 때마다 네트워크 TV(54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5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TV(54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TV(54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에는 컨텐츠 제공자(520) 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펌웨어는 네트워크 TV(54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TV(54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TV(54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5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5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520)가 화상 통신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통신 프로그램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및 네트워크 TV(540) 상호 간에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임의의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자(530)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 TV(54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안정적인 수신이 될 수 있도록 전송망의 유지 보수 관리를 수행하며, 그리고 컨텐츠 제공자(520)에게는 컨텐츠를 전송을 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자(530)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TV(540)는 네트워크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520)는 네트워크 TV(540)에 제공될 각종 컨텐츠를 만드는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52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TV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네트워크 TV(540)의 데이터 및 명령을 전송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통상적인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및 네트워크 TV(540)가 서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망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동시에, IP 주소 할당, 대역폭 조절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TV(5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네트워크 TV(54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는 네트워크 TV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 즉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5에 도시된 네트워크 TV(54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TV(5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방송 수신부(541)를 통해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방송 수신부(541), 역다중화부(542), 영상신호 처리부(543), 디스플레이부(5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 OSD 생성부(54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7), 저장 인터페이스부(548), 메모리부(549)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541), 역다중화부(542) 및 영상신호 처리부(54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544)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부(541)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어부(55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 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수신부(54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542)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역다중화부(542)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543)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544)에 표시된다.
이 경우, 영상신호 처리부(543)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4)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542)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 인터페이스부(48)를 통해 메모리부(49)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54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7)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5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51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51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이 수신될 수 있다.
OSD 생성부(546)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 즉, OSD 생성부(54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7)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2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은 배경 이미지(601) 및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메뉴 버튼들(6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이미지(601) 상에 표시된 메뉴 버튼들(612)은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들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메뉴 버튼들(612)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에 표시된 메뉴 버튼들(612)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메뉴 버튼 4(605)는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에 대응되는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에 표시된 머뉴 버튼들(612) 상기 메뉴 버튼 4(605)를 선택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한 후에는,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단계들은 컨텐츠 제공자(520)의 서버, 서비스 제공자(530) 서버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510)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화상 통화를 위한 복수의 계정들을 주사용자와 부사용자로 구분하여 로그인시키는 단계;
    상기 부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부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들로 호출되는 화상 통화를 수신 가능한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들 중 상기 주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해 응답 가능한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들은 하나의 주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자 계정으로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대한 응답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부사용자 계정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주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주사용자 계정의 변경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는 계정에 대응되는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자 계정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부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를 부재중 통화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가 수신된 부사용자 계정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부재중 통화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주사용자 계정으로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들은 하나의 주사용자 계정 및 2 이상의 부사용자 계정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사용자 계정들 각각에 대해 화상 통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자 계정에 대해 화상 통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용자 계정의 수신 여부가 상기 부사용자 계정의 수신 여부보다 우선하여 확인되는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들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수신 가능한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들 중 상기 주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해 확인 가능한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17.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화상 통화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화상 통화를 위한 복수의 계정들을 주사용자 계정과 부사용자 계정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부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되는 상기 화상 통화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부사용자 계정을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수신하는 화상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사용자 계정이 주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화상 통화를 부재중 통화로 처리하는 화상 통신 장치.
  20.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00554A 2010-01-05 2010-01-05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54A KR101636576B1 (ko) 2010-01-05 2010-01-05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54A KR101636576B1 (ko) 2010-01-05 2010-01-05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74A KR20110080374A (ko) 2011-07-13
KR101636576B1 true KR101636576B1 (ko) 2016-07-05

Family

ID=4491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554A KR101636576B1 (ko) 2010-01-05 2010-01-05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5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036A (ja) * 2006-06-20 2008-01-10 Canon Inc テレビ電話着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08046B1 (ko) * 2009-01-16 2009-07-15 오픈스택 주식회사 복수 계정을 갖는 VoIP/V2IP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통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036A (ja) * 2006-06-20 2008-01-10 Canon Inc テレビ電話着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08046B1 (ko) * 2009-01-16 2009-07-15 오픈스택 주식회사 복수 계정을 갖는 VoIP/V2IP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74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911B1 (ko) 화상 통화 연결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819989B2 (en) Remote control device signal distribution
US854741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21943B2 (en) Multimedia processing resource with interactive voice response
KR101596510B1 (ko) 네트워크 tv의 펌웨어 분할 업데이트 방법
EP239823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video call thereof
US9813759B2 (en) Smart phone as remote control device
US20090217356A1 (en) Electronic permission slips for controlling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US7907213B1 (en) Wireless multimedia content at television host device
US8352993B2 (en) Method for providing view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list of channels viewed by call recipients
KR101885377B1 (ko) 서비스 목록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20100161801A1 (en) Multimedia processing resource with distributed settings
US88987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KR10143931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636576B1 (ko) 화상 통화 계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050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특징 정보 설정 방법
KR20110049235A (ko)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17961A (ko) 영상 전송 장치 및 영상 전송 방법
KR101751997B1 (ko) 통화 포워딩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2289A (ko) 통화 내용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2135A (ko) 화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KR101316218B1 (ko)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연락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CN117412106A (zh) 一种基于dvb的数据处理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5644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채널 설정 방법
KR20110072629A (ko)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