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629A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2629A KR20110072629A KR1020090129639A KR20090129639A KR20110072629A KR 20110072629 A KR20110072629 A KR 20110072629A KR 1020090129639 A KR1020090129639 A KR 1020090129639A KR 20090129639 A KR20090129639 A KR 20090129639A KR 20110072629 A KR20110072629 A KR 201100726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user
- information
- signal
- video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VUDQSRFCCHQIIU-UHFFFAOYSA-N DIF1 Natural products CCCCCC(=O)C1=C(O)C(Cl)=C(OC)C(Cl)=C1O VUDQSRFCCHQII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1100443238 Caenorhabditis elegans dif-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ZEUMRXJWIAEOK-UHFFFAOYSA-N 1-(3,5-dichloro-2,6-dihydroxy-4-methoxyphenyl)pentan-1-one Chemical compound CCCCC(=O)C1=C(O)C(Cl)=C(OC)C(Cl)=C1O VZEUMRXJWIAE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100420776 Arabidopsis thaliana SYN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01108 DIF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 통화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통화 상대를 효율적으로 선택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일한 방송 채널 등의 컨텐츠를 시청하는 다른 사용자들을 표시하여 화상 통화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상대를 보다 용이하게 선택하여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들 간의 화상 통화를 이용한 공통 관심사의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통신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처리 및 송수신이 가능한 복수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호출 측(calling party) 및 피 호출측(called party)이 반대측에서 송신한 영상을 보면서 서로 대화할 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는 카메라(camera) 및 마이크(microphone) 등과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에 대응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장치들(20 내지 6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신 장치(1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장치들(20 내지 60)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 사이의 화상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신 장치(10)와 화상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는 휴대폰(20), PDA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30), PC(40), 다른 화상 통신 장치(50) 및 디스플레이 장치(60)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신 장치(10)와 상기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화상 통신을 위한 통신 규격에 따른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토록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3 등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IEEE 802.11 등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는 VoBB(voice over broadband) 또는 레거시(legacy)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VoBB는 VoCM(voice over cable modem), VoDSL(voice over DS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FWA(fixed wireless access),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VoATM(voice over ATM)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거시 서비스는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셀룰러 또는 3G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무선 네트워크, 종래의 전화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 케이블 모뎀 시스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신 장치(10)와 외부 장치들(20 내지 60)은 서로 간에 설정된 규격에 따라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코딩을 위한 H.261 표준,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통신을 H.221 표준 및 호출 설정 및 해제를 위한 H.242 표준 등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 통신 시스템의 경우, 영상 코딩을 위한 H.323, H.263 및 H264 표준과 음성 코딩을 위한 G723.1, G.711 및 G.729 등과 같은 화상 통신 표준에서 구현된 프로토콜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 장치(10)와 화상 통신하는 장치들(20 내지 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들(20 내지 6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이외에 SIP, RTP/RTCP 프로토콜과 같은 표준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화상 통신 장치는 카메라(100), 마이크(110), AV처리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사용자입력부(150), 저장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주변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00)는 웹 캠(Web Cam) 등과 같이 화상 통신 장치(10)의 본체의 일 측에 장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 통신 장치(10)의 정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1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를 수집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 력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1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거나, 화상 통신 장치(10)의 외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AV 처리부(120)는 카메라(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format)의 영상 스트림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으며, 마이크(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음성 스트림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 처리부(120)는 H.323, H.263, 및 H.264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기본 스트림, 즉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영상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AV 처리부(120)는 G.723.1, G.711, 및 G.729 등의 표준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형태의 음성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AV 처리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부호화 이외에, 카메라(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거나 특정 목적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전처리 작업, 예를 들어 명암도 재조정, 노이즈(noise) 제거, 평활화(smoothing), 예리화(sharpening)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AV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포함하는 송신 스트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화상 통신을 위한 서버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포함하는 수신 스트림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상기 외부 장치와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3, IEEE 802.11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화상 통신 장치와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을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의 본체에 장착된 키보드 또는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10)에 구비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화상 통신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신 장치(10)에 구비된 내부 저장 매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화상 통신 장치(10)에 연결되는 외부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카메라(10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즉 외부 장치로 송신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영상, 즉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 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100), 마이크(110), AV처리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사용자입력부(150), 저장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통신 장치(1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14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70)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20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는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은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과 같 은 다양한 컨텐츠일 수 있으며, 그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실시간 방송, COD, 게임, 동영상, 사진, 날씨 정보, 뉴스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70)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방송 채널의 영상일 수 있으며, 그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하는 튜너(tuner)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00 단계에서, 통신부(14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서버(server)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서버는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거나 또는 메신저(massenger)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일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표시하고(210 단계), 사용자입력부(150)는 상기 표시된 동일 컨텐츠 시청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다(220 단계).
그 후, 통신부(140)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를 연결한다(230 단계).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10)는 화면(300) 상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 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컨텐츠를 시청하는 다른 사용자들, 즉 사용자 A, 사용자 B 및 사용자 C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300) 상의 특정 영역에 동일 컨텐츠 시청 사용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표시창(3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정보 표시창(310)에 현재 재생되는 제1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표시창(310)에 표시된 사용자들 중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들 중 사용자 B를 선택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300) 상에 화상 통화를 위한 통화창(320)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통화창(320)을 이용해 상기 선택한 사용자 B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화면(300)에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 컨텐츠 시청 사용자 보기'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일 컨텐츠 시청 사용자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컨텐츠 정보 표시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면(300)의 특정 영역에 제1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창(3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정보창(330)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컨텐츠 정보창(330)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시청하는 다른 사용자들인 사용자 A, 사용자 B 및 사용자 C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창(330)에 표시된 사용자 A, 사용자 B 및 사용자 C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가 연결되면, 사용자들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 예를 들어 제1 컨텐츠를 공통 관심사로 하여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300) 상에 표시되는 동일 컨텐츠 시청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게 관심 사용자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다른 사용자들을 관심 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관심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등록된 관심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정보, 좀더 구체적으로는 시청 중인 컨텐츠, 예를 들어 시청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사용자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 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사용자들 중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자들을 화면(3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는 원하는 사용자들을 '친구'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는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 통신 서버 또는 메신저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및 상기 '친구' 등록된 사용자들 각각이 현재 시청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시청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는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친구' 등록된 사용자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현재 재생되는 방송 채널과 동일한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자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동일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친구'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친구' 등록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시청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정 보를 이용하여 화면(300)에 '친구' 등록된 사용자들 중 동일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인 'CH. 1'의 영상을 화면(300)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화면(300)의 특정 영역에는 현재 방송 채널인 'CH. 1'과 동일한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친구'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300) 상에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친구 정보 표시창(34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채널과 동일한 방송 채널, 즉 'CH. 1'을 을 시청하는 '친구 1' 및 '친구 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 표시된 현재 채널 친구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화상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선택된 친구와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 표시된 현재 채널 친구들 중 '친구 1'을 선택하고 화상 통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300)에 화상 통화를 위한 통화창(320)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상기 통화창(320)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친구 1'과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서 '모든 친구 보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로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이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는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채널과 동일한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현재 채널 친 구'와 상이한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다른 채널 친구'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현재 재생되는 'CH. 1'을 시청하는 '친구 1' 및 '친구 3'이 '현재 채널 친구'로 표시되며, 상기 'CH. 1'이 아닌 다른 채널을 시청하는 '친구 2' 및 '친구 5'는 '다른 채널 친구'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채널 친구'로 표시되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방송 채널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든 친구 보기'를 선택하는 경우, '친구'로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현재 시청 채널 및 로그인 여부가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1 내지 사용자 6이 '친구'로 등록되어 있으며, 친구 1, 2, 3, 및 5는 현재 로그인되어 방송 채널을 시청하고 있으며, 친구 4 및 6은 현재 로그인되어 있지 않음이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친구'들 각각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방송 채널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친구 정보 표시창(340)에서,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채널 친구'에 포함된 사용자 뿐 아니라 '다른 채널 친구'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상 통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현재 시청하는 방송 채널, 예를 들어 'CH. 1'에 대한 정보의 표시를 요청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면(300)의 특정 영역에 상기 'CH. 1'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창(3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 정보창(350)은 현재 재생되는 방송 채널과 동일한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친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정보창(350)에는 상기 'CH. 1'을 시청하는 '현재 채널 친구'로 '친구 1' 및 '친구 3'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그램 정보창(350)에 표시된 '모든 친구 보기'를 이용하여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친구 목록을 화면(300)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튜너(420), 제2 튜너(425), 외부신호입력부(428), 제1 복조부(430), 제2 복조부(435),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40), 인터페이스부(450), 제어부(460),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 저장부(475), 디스플레이부(480) 및 음성 출력부(4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너(42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1)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로 변환한다. 즉, 제1 튜너(420)는 디지털방송 신호와 아날로그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제1 튜너(4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는 바로 제어부(46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튜너(42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튜너(425)는 제1 튜너(420)과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제2 튜너(425)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기억 기능을 통해 기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저장된 다른 채널의 영상도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썸 네일 형태로 도시하므로, 이에 따라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튜너(4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 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제2 튜너(425)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서브 RF 방송 신호) 또는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복조부(430)는 제1 튜너(42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1)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튜너(4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ATSC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430)는 8-VSB (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4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복조부(43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튜너(4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DVB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43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4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복조부(43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428)는 외부 장치와의 신호 입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외부신호입력부(428)는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428)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영상 신호, 외부 입력 음성 신호 및 외부 입력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제어부(4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460) 내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와의 영상/음성 신호의 입/출력을 입력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신호 입력부(428)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 신호는 후술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에 입력되어 썸네일 영상추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에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없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에 바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신호 입력부(42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외부신호입력부(428)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 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4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46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 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를 거쳐 제어부(460)에서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제1 복조부(43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의 스트림 신호(TS 1)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 1)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1)는 제어부(460)에 입력되어,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이 수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460)에 입력되기 전에,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에 입력되어 채널 브라우징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 채널 브라우징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제1 복조부(43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복조부(435)는 제2 튜너(42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2)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2)를 출력한다. 제2 복조부(435)의 동작은 상술한 제1 복조부(430)의 동작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한편, 제2 튜너(425)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신호(CVBS 2)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40)에서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작업 이 필요하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4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되는 신호가 영상 신호인 경우, 샘플링 및 양자화가 수행되어 디지털 영상 신호(DV)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부호화되지 않은 신호일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DV)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에 입력되어 처리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4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제어부(4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4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4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49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46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49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46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사용자 입력 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 예를 들어 MPEG-2 TS 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6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80)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6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6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485), 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되어 음성 출력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6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6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49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80)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신호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48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생성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 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는 수신되는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 및 외부 신호입력부(4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입력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브라우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조부(430, 135)에서 복조 및 채널 복호화된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입력받거나, 외부입력신호입력부(428)에서의 스트림 신호를 입력받거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4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DV)를 입력받아,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들 중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새로운 스트림 신호(TS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a 또는 TSb)는 MPEG 2 TS 일 수 있다.
또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는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중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메인 스트림 신호(TSb)는 별도의 처리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중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서브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서브 스트림 신호(TS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를 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를 통해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을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른 채널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는 외부 신호 입력부(4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는 상술한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상술한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 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 및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채널 및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저장부(475)는 제어부(4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75)는 외부 신호 입력부(42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475)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해 해당하는 방송 채널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저장부(475)가 제어부(46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460) 내에 포함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475)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80)는 제어부(4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신호입력부(428)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485)는 제어부(4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85)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 제어 장치(490)는 사용자 입력을 인터페이스부(4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49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490)는 인터페이스부(450)로부터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490)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일 수 있으며,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90)를 이용해 화면 상에 표시된 포인터(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2개의 튜너들(420, 12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 개 또는 3 이상의 튜너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며,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도 13은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채널 브라우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300)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브라우저가 복수의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채널들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되는 채널 브라우저는 편집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메뉴는 선택된 썸네일 영상을 편집 불가능하도록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 항목, 선택된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편집" 항목, 썸네일 영상을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정렬" 항목, 표시되는 썸네일 영상외의 이전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이전"항목, 표시되는 썸네일 영상외의 다음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다음" 항목 및 "영상 채널 목록"에서 다른 메뉴 항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나가기"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널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해당 채널에서 현재 수신되는 컨텐츠의 영상 또는 미리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47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채널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이 화면(3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브라우저 내에서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은 채널 번호, 기설정된 선호 채널, 최근 시청 채널, 및 기설정된 삭제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브라우저에 포함된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해, 각 채널을 현재 시청하고 있는 '친구'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H 1'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CH 1'을 현재 시청하고 있는 '친구'들, 즉 '친구 1' 및 '친구 3'이 표시될 수 있으며, 'CH 3'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CH 3'을 현재 시청하고 있는 '친구 2'가 표시될 수 있고, 'CH 4'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CH 4'를 현재 시청하고 있는 '친구 5'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채널 브라우저에 표시된 '친구'의 시청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친구'와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CH 1'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어 표시된 '친구 1'을 선택하여 현재 'CH. 1'을 시청하고 있는 '친구 1'과의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화상 통화를 통해 'CH. 1'의 프로그램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채널 브라우저 상에 표시된 객관적인, 즉 방송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 정보 뿐 아니라,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친구'의 주관적인 평가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통신 장치(40)를 구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 통신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으며, 그와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은 통화 내용 관리 방법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네트워크 TV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520), 서비스 제공자(530) 및 네트워크 TV(540)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510)는 네트워크 TV(540)에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54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520)에게 네트워크 TV(540)에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TV(540)의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510)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한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540)에 표시될 때 구성되는 메인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고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할 때마다 네트워크 TV(54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5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TV(54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TV(54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에는 컨텐츠 제공자(520) 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펌웨어는 네트워크 TV(54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TV(54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TV(54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5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5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520)가 화상 통신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통신 프로그램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및 네트워 크 TV(540) 상호 간에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임의의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자(530)는 컨텐츠 제공자(5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 TV(54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안정적인 수신이 될 수 있도록 전송망의 유지 보수 관리를 수행하며, 그리고 컨텐츠 제공자(520)에게는 컨텐츠를 전송을 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자(530)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TV(540)는 네트워크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520)는 네트워크 TV(540)에 제공될 각종 컨텐츠를 만드는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52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TV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네트워크 TV(540)의 데이터 및 명령을 전송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서비스 제공자(530)는 통상적인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530)는 네트워크 운영자(510), 컨텐츠 제공자(520) 및 네트워크 TV(540)가 서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망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동시에, IP 주소 할당, 대역폭 조절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TV(5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네트워크 TV(54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는 네트워크 TV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 즉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4에 도시된 네트워크 TV(54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TV(5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방송 수신부(541)를 통해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TV(540)는 방송 수신부(541), 역다중화부(542), 영상신호 처리부(543), 디스플레이부(5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 OSD 생성부(546), 사용자 입력부(547), 저장부(548), 메모리부(549)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541), 역다중화부(542) 및 영상신호 처리부(54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544)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부(541)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어부(55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 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수신부(54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542)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역다중화부(542)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543)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544)에 표시된다.
이 경우, 영상신호 처리부(543)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44)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542)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부(548)를 통해 메모리부(549)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부(54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47)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5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51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51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이 수신될 수 있다.
OSD 생성부(546)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 즉, OSD 생성부(54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4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547)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네트워크 운영자(5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52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은 배경 이미지(601) 및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메뉴 버튼들(6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이미지(601) 상에 표시된 메뉴 버튼들(612)은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들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메뉴 버튼들(612)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에 표시된 메뉴 버튼들(612)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메뉴 버튼 4(605)는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에 대응되는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TV(540)의 메뉴 화면에 표시된 머뉴 버튼들(612) 상기 메뉴 버튼 4(605)를 선택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한 후에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화상 통화 연결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단계들은 컨텐츠 제공자(520)의 서버, 서비스 제공자(530) 서버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510)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화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화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화상 통화 연결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화상 통화 연결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3)
-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 통화에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표시하는 단계;상기 표시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상기 선택된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단계는관심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며,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 및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상기 시청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사용자들 중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상기 관심 사용자들 중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과 나머지 사용자들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상기 관심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상기 관심 사용자들 중 시청 정보 미표시가 설정된 사용자들은 표시하지 않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관신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의 표시를 요청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 요청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표시를 요청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 요청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인 화상 통화 연결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통화 연결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639A KR20110072629A (ko) | 2009-12-23 | 2009-12-23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639A KR20110072629A (ko) | 2009-12-23 | 2009-12-23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629A true KR20110072629A (ko) | 2011-06-29 |
Family
ID=4440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639A KR20110072629A (ko) | 2009-12-23 | 2009-12-23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262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9034A1 (ko) * | 2012-01-16 | 2013-07-25 | 유엔젤주식회사 |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
2009
- 2009-12-23 KR KR1020090129639A patent/KR201100726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9034A1 (ko) * | 2012-01-16 | 2013-07-25 | 유엔젤주식회사 | 콘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6714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728911B1 (ko)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850719B1 (ko) |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1781861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1571396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585692B1 (ko) |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 |
KR101632879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20056917A (ko) |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 |
KR101586293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10024198A (ko) |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
KR20120099328A (ko)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북마킹 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 |
KR20120046988A (ko) | 영상 표시 기기 제어 방법, 음성 인식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
KR101608649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10072629A (ko) | 화상 통화 연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590355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683116B1 (ko) |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 |
KR101575594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2001932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 |
KR101585685B1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브라우저 제공 방법 | |
KR101622976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20001927A (ko) |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30057611A (ko) | 타임 테이블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053624A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브라우저 제공 방법 | |
KR101731390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10095604A (ko) | 멀티미디어 기기 및 컨텐츠 재생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