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93312A -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312A
KR20090093312A KR1020080018767A KR20080018767A KR20090093312A KR 20090093312 A KR20090093312 A KR 20090093312A KR 1020080018767 A KR1020080018767 A KR 1020080018767A KR 20080018767 A KR20080018767 A KR 20080018767A KR 20090093312 A KR20090093312 A KR 20090093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amper assembly
door
fastening memb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685B1 (ko
Inventor
장귀순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장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귀순 filed Critical 장귀순
Priority to KR102008001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6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어셈블리가 탄성을 가지는 체결부재에 의해 암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200)과;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며, 장착구(124)가 관통 형성되는 암(120)과; 상기 암(120)과 컵(2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300)와; 상기 암(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며,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댐퍼부(420)와, 상기 암(12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440)가 구비되는 댐퍼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는, 상기 암(120)에 걸어지는 체결부재(460)와,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결합부(44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48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어셈블리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힌지 { Door hinge }
본 발명은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어셈블리가 탄성을 가지는 체결부재에 의해 암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용 수납장과 장농 등의 가구에는 일렬로 배열된 여러 개의 도어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도어와 가구의 벽체는 도어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동작 된다.
이와 같은 도어힌지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이들 대부분은 상기 도어에 장착 고정되는 컵과 벽체에 장착되는 암, 그리고, 상기 암과 컵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도어힌지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순간 충격과 소음의 발생이 필연적이며, 이를 저감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가구의 일측에 별도의 댐퍼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댐퍼의 설치를 위한 작업 및 그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납시 댐퍼에 의해 간섭받을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댐퍼를 암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댐퍼 설치후 도어힌지를 도어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댐퍼에 의해 도어힌지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도어힌지의 장착이나 분리시 댐퍼가 간섭을 일으켜 작업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의 닫힘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장착되는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을 가지는 체결부재에 의해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장착되도록 하여, 댐퍼어셈블리의 분리가 보다 용이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과;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며,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는 암과; 상기 암과 컵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와; 상기 암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며,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댐퍼부와, 상기 암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댐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의 결합부에는, 상기 암에 걸어지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에는, 탄성을 가지는 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체결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장착되므로, 댐퍼어셈블리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댐퍼어셈블리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면, 도어힌지를 도어나 가구에 장착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되므로, 결국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의 일단은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댐퍼어셈블리에 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금속재질의 체결부재가 변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금속재질의 체결부재가 초기의 탄성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댐퍼어셈블리의 체결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요부구성인 댐퍼어셈블리의 외형을 보인 상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요부구성인 댐퍼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체결부재가 탈거된 상태의 댐퍼어셈블리 구성을 보인 상방 사시도 및 평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체결부재가 탈거된 상태의 댐퍼어셈블리 구성을 보인 하방 사시도 및 저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사시도 및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부재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부재 및 고정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댐퍼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댐퍼어셈블리의 하방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댐퍼어셈블리의 저면도.
도 20 및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체결부재가 댐퍼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암 200. 컵
300. 레버 400,400'. 댐퍼어셈블리
420. 댐퍼부 422. 케이스
424. 피스톤 440. 결합부
450. 안내돔 460,460'. 체결부재
480. 고정부재 486,486'. 지지돌기
810. 체결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어힌지는 크게 암(120)과 컵(200) 그리고 레버(300)로 구성되며, 상기 암(120)에는 댐퍼어셈블리(400)가 장착된다.
상기 암(120)은 도어힌지를 가구(600)의 일측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암(120)은 아래에서 설명할 마운팅플레이트(140)에 의해 가구(600)에 장착된다.
상기 암(12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단이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암(12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상면(120')과, 상기 바디상면(120')의 좌우 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벤딩되어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측면(12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암(120)의 하측에는 상기 암(120)와 결합되는 마운팅플레이트(1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바디측면(120")의 하측에 마운팅플레이트(140)가 구비되며, 이러한 마운팅플레이트(140)의 좌우 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측면(120")의 하단 좌우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는, 상기 암(120)이 상기 가구(6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암(120)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의 양단부에는 제1스크류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크류홀(142)을 관통하는 스크류(500)에 의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는 상기 가구(6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암(12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상면(120')에는 결합나사(160)가 체결된다. 상기 결합나사(160)는 상기 암(120)와 마운팅플레이트(1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암(120)과 마운팅플레이트(140)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나사(160)가 장착되는 상기 바디상면(120')의 후단에는 조절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구(122)는 상기 결합나사(160)와 결합되는 상기 암(12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나사(160)가 장착되는 상기 바디상면(120')의 후반부(도 1에서 볼 때)에서 후단까지 절제(切除)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나사(160)는 상기 조절구(12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암(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힌지가 장착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암(120)의 장착위치를 미세조절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나사(160)가 체결된 상기 바디상면(120')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조절나사(180)가 체결된다. 상기 조절나사(180)는 상기 암(12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암(12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관통된 단부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체결된다.
한편, 상기 결합나사(160)와 조절나사(180)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암(120)의 바디상면(120')에는 장착구(12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124)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일측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암(12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컵(200)은 도어(700)의 배면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수용부(220)와 플렌지(24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컵(200)의 대략 중앙부가 내측(도 1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레버(300)가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240)는 상기 수용부(220)의 선단 및 좌우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240)의 양측에는 제2스크류홀(242)이 형성되어 상기 컵(200)이 도어(7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컵(200)을 관통하는 스크류(500)가 체결된다.
상기 수용부(220)의 우측(도 1에서 볼 때) 상단 둘레를 따라서는 반원형상으로 수직 하게 절곡 형성되는 단차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60)는 상기 플렌지(240)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컵(200)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700)의 배면에 상기 수용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함몰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도어(700)의 배면과 상기 플렌지(240) 및 단차부(260)가 면접촉하여 지지하게 되고, 스크류(500)에 의해 상기 컵(200)이 고정 장착된다.
한편, 상기 암(120)과 컵(200)은 레버(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레버(300)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00)는 상기 암(120)의 전단부와 상기 컵(200)의 수용부(220) 내측에 각각 2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이들 회전축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즉, 상기 레버(300)는 상기 암(120)과 컵(200)에 2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원호를 그리면서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도어힌지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암(120)의 일측에는 댐퍼어셈블리(400)가 장착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700)가 닫힐 때, 상기 도어(700)의 일측 또는 상기 도어(700)에 장착된 상기 컵(200) 또는 도어(700)의 일측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 댐퍼부(420)와 결합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구성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700)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다양한 방향의 뒤틀림에도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상면(120')과 바디측면(120")에 면접촉할 수 있게 모서리부분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이를 위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 암(120)의 모서리와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암(120)의 상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일측 즉,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는, 상기 결합나사(160)와 조절나사(180)의 사이 즉, 상기 장착구(124)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결합나사(160)와 조절나사(180)는 외측(도 1에서는 상방)에서 조작가능하도록 노출된다.
또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부재(480)가 안착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상방 및 하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부(420)는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도어(700)가 닫힐 때 상기 컵(200) 또는 도어(700)의 일측과 실질적으로 접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댐퍼부(42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422)와 상기 케이스(422)의 내측에 삽입되는 피스톤(42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22)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22)의 일면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장착시 상기 암(120)의 측면과 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422)의 우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부착면(422')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착면(422')이 상기 암(120)의 좌측 측면(120")에 밀착된다.
상기 케이스(422)의 전면으로는 피스톤(424)이 돌출된다. 상기 피스톤(424)은 상기 도어(700) 또는 컵(200)의 일측과 접촉하여 눌려지게 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오일이 충진되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424)은 일반적인 오일댐퍼의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케이스(422)가 일반적인 댐퍼의 실린더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피스톤(424)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422)의 후면(도 3에서 좌측면)에는 스트로크조절수단(422")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스트로크조절수단(422")은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422)의 후면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42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피스톤(424)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422)의 일측면(도 2에서는 우측면) 상부에는 측방(우측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40)는, 상기 암(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고정 장착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암(120)의 상면와 면접촉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에서 볼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결합부(440)는 상기 케이스(422)의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측면(120")과 면접촉하는 상기 케이스(422)의 부착면(422') 상단에서 측방(우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장착시 상기 결합부(440)의 하면과 상기 케이스(422)의 부착면(422')이 상기 바디상면(120')과 바디측면(120")에 각각 동시에 접하게 되므로, 상기 암(120)의 좌측 모서리에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걸쳐지는 형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에는 체결부재(460)와 고정부재(480) 등이 구비된다. 즉,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는, 상기 암(120)에 걸어지는 체결부재(460)와,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결합부(44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48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46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부재(46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체결부재(460)는 자체 재질과 형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460)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되며, 이러한 체결부재(46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480)가 상기 체결부재(460)를 밀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60)와 고정부재(48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상기 체결부재(460)와 고정부재(480)가 분리된 상태의 댐퍼어셈블리(400) 구성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과 도 8에는 하방사시도 및 저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는, 상기 고정부재(480)가 안착되는 안착홈(442)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42)은 상기 고정부재(48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480)의 상하 두께와 대응되는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442)에 상기 고정부재(480)가 안착되면, 상기 결합부(440)와 고정부재(480)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안착홈(442)에는 탄성홀(444,446)과 돌기홀(448)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탄성홀(444,446)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부재(460)의 탄성부(470,472)가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된 부분이며, 상기 돌기홀(448)은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부재(480)의 지지돌기(486)가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된 부분이다.
상기 탄성홀(444,446)은 상기 안착홈(442)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전방탄성부(470)가 통과하는 전방탄성홀(444)과, 후방탄성부(472)가 통과하는 후방탄성홀(44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기홀(448)은 상기 후방탄성홀(446)의 좌측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탄성홀(446)의 중앙부분이 좌측으로 더 절개되어 상기 돌기홀(44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안착홈(442)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부재(46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돔(450)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돔(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홈(442)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결합부(440)에 장착되면, 이러한 안내돔(450)이 아래에서 설명할 돔홀(464)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돔(450)의 중앙에는 전후(도 6에서는 좌우)로 센터리브(452)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리브(452)는 상기 고정부재(480)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돔(450)의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42)의 좌우(도 6에서는 전후)에는 전후(도 6에서는 좌우)로 길게 위치리브홈(454)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리브홈(454)은 상기 안착홈(442)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며, 이러한 위치리브홈(45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부재(480)의 위치리브(488)가 삽입된다.
상기 위치리브홈(454) 및 아래에서 설명할 위치리브(488)는, 상기 센터리브(452)와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480)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 정위치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하단에는 한 쌍의 지지편(456)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편(456)은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형성되며,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길이방향(도 8에서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456)은 상기 암(120)의 장착구(124)에 삽입되어, 댐퍼어셈블리(4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44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암(120)의 바디상면(120') 두께보다 적어도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편(456)에 의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암(120)에 장착된 다음 좌우(도 8에서는 전후) 유동이 방지된다.
도 9와 도 10에는 상기 고정부재(480)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는 상기 고정부재(480)의 하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고정부재(480)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80)는 상기 안착홈(442)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442)에 수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고정부재(480)의 저면 중앙부에는 돔홈(482)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돔홈(482)은 상기 결합부(440)에 형성되는 안내돔(450)이 수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돔홈(482)의 중앙에는 좌우(도 9 및 도 10에서)로 센터리브홈(484)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센터리브홈(484)은 상기 센터리브(452)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센터리브홈(484)의 우측에는 지지돌기(486)가 소정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486)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부재(460)의 후방탄성부(47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탄성부(472)의 길이보다는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486)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후방탄성부(47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80)의 저면에는 한 쌍의 위치리브(488)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위치리브(488)는, 상기 고정부재(480)의 저면 전후단(도 9 및 도 10에서) 부근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하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위치리브(488)는 상기 결합부(440)의 안착홈(442)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리브홈(45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위치리브(488)는 상기 위치리브홈(45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위치리브(488)가 상기 위치리브홈(454)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480)의 장착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에는 상기 체결부재(460)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60)는 대략 'ㄷ'자 형상(도 11의 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부재(4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120)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460)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안착홈(442)에 밀착되는 장착부(462)와, 상기 암(12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탄성부(470,47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462)는, 상기 안착홈(442)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장착부(462)에는 돔홀(464)과 돌기관통홀(466)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돔홀(464)은 상기 결합부(440)의 안내돔(450)이 통고하는 부분이며, 상기 돌기관통홀(466)은 상기 고정부재(480)의 지지돌기(486)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돔홀(464)과 돌기관통홀(466)은 각각 상기 안내돔(450)과 지지돌기(486)의 단면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470,472)는, 상기 장착부(462)의 양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470,472)는, 상기 장착부(462)의 선단(도 11에서는 좌측단)과 후단(도 11에서는 우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부분이며, 전방탄성부(470)와 후방탄성부(4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탄성부(470)는, 상기 장착부(462)의 좌측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벤딩(bending)되어 좌측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탄성부(472)는 상기 장착부(462)의 우측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탄성부(470)는 상기 장착부(462)와 예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벤딩(bending)되고, 상기 후방탄성부(472)는 상기 장착부(462)와 수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벤딩(bending)된다.
상기 탄성부(470,472)의 단부에는, 상기 암(120)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452,462)와, 상기 암(120)과의 체결을 안내하는 가이드(454,464)가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방탄성부(470)의 선단 좌측면에는 전방돌기(470a)가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방탄성부(470)의 선단은 다시 전방 우측으로 벤딩(bending) 연장되어 전방가이드(470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후방탄성부(472)의 선단 우측면에는 후방돌기(472a)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탄성부(472)의 선단은 다시 전방 좌측으로 벤딩(bending) 연장되어 후방가이드(472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방돌기(470a)와 후방돌기(472a)는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암(120)의 장착구(124)에 결합한 다음에 체결부재(460)가 암(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방가이드(470b)와 후방가이드(472b)는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장착구(124)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돌기(470a)와 후방돌기(472a)의 전면은, 상기 후방가이드(472b)와 전방가이드(470b)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장착구(124)에 보다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방돌기(470a)와 후방돌기(472a)의 후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탄성부(470)와 후방탄성부(472)의 측면과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암(120)에 체결된 다음,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본다.
우선, 상기 도어힌지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에 형성된 상기 제1스크류홀(142)에 스크류(500)를 체결하여 상기 가구(600)의 벽면에 상기 암(120)을 고정하게 되고, 상기 컵(200)의 플렌지(240)에 형성된 제2스크류홀(242)에 스크류(500)를 체결하여 상기 컵(200)을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암(120)에 체결된 상기 결합나사(160)와 조절나사(180)를 추가 조작하여 상기 암(120)의 전후위치와 상기 암(120)의 경사를 조절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도어힌지가 설치환경에서 최적의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암(120)과 컵(200)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암(120)에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장착하게 된다.
우선 이때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에 상기 체결부재(460)를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때의 과정을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80)와 체결부재(460)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460)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결합부(440)의 안착홈(442)에 근접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12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60)의 탄성부(470,472)가 상기 탄성홀(444,446)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470,472)의 가이드(470b,472b)가 상기 안착홈(442)의 좌우(도 12에서) 테두리에 각각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탄성홀(444,446)을 각각 통과한다. 즉, 상기 전방탄성부(470)는 상기 안착홈(442)의 전방탄성홀(444)을 통과하고, 상기 후방탄성부(472)는 상기 안착홈(442)의 후방탄성홀(446)을 통과한다.
물론, 이때 상기 전방탄성부(470)와 후방탄성부(472)가 상기 전방탄성홀(444)과 후방탄성홀(446)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하는 외에, 상기 전방탄성부(470)가 먼저 상기 전방탄성홀(444)을 통과하게 한 다음, 상기 후방탄성부(472)가 상가 후방탄성홀(446)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탄성부(470,472)가 탄성홀(444,446)을 각각 통과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460)의 장착부(462)는 상기 결합부(440)의 안착홈(442) 상면에 밀착되며, 이때 상기 체결부재(460)의 돔홀(464)에는 상기 안내돔(450)이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으로는 상기 고정부재(480)를 상기 안착홈(442)에 상방으로부터 화살표와 같이 밀어넣는다.
이때에는 먼저 상기 고정부재(480)의 지지돌기(486)가 상기 체결부재(460)의 돌기관통홀(466)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점차 상기 고정부재(480)의 저면이 상기 안착홈(442)의 상면에 밀착된다.
도 14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80)가 상기 결합부(440)의 안착홈(442)에 완전히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80)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480)의 위치리브(488)는 상기 안착홈(442)의 위치리브홈(454)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80)는 상기 결합부(440)에 정확하게 안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80)가 상기 결합부(440)의 안착홈(442)에 장착되면, 상기 고정부재(480)가 상기 체결부재(460)를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초음파용접이 수행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80)의 상방으로부터 초음파 용접이 수행되며, 이러한 초음파용접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460)와 고정부재(480)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 완전히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60)와 고정부재(480)의 결합이 완료되고 나면, 이윽고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상기 암(120)에 체결하게 된다.
이때의 과정이 도 15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상기 암(120)의 상방으로부터 근접시키면,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60)의 탄성부(470,472)가 상기 암(120)의 장착구(124)에 먼저 접하게 되다.
이때 먼저 상기 가이드(470b,472b)가 상기 장착구(124)의 양단(좌우)에 접촉되어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방탄성부(470)와 후방탄성부(472)의 선단(도 15에서는 하단)은 탄성에 의해 서로 근접하게 된다.(도 15의 화살표 참조)
계속하여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상기 암(120)에 밀착시키면, 상기 탄성부(470,472)는 상기 암(120)의 장착구(124)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470,472)의 돌기(470a,472a)가 상기 장착구(124)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도 16과 같이 상기 전방탄성부(470)와 후방탄성부(472)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상으로 복귀하여 서로 멀어지게 된다.(도 16의 화살표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470,472)의 하단(도 16에서)이 상기 장착구(124)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상기 돌기(470a,472a)가 도 16과 같이 상기 장착구(124)의 좌우 양단에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 암(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암(120)에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한 쌍의 지지편(456)과 체결부재(460)의 탄성부(470,472)가 각각 상기 암(120)의 장착구(124) 내부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외력에 의해 유동하지 않게 된다.
특히, 도어(700)의 개폐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피스톤(424)이 도어(700) 또는 상기 컵(200)의 플렌지(240)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에는 도 16의 경우에 좌측으로부터 힘(외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암(120)의 우측(도 16에서)으로 슬라이딩하려고 할 것이므로, 상기 체결부재(460)의 후방탄성부(472)는 휘어지려 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재(480)의 지지돌기(486)가 상기 후방탄성부(472)의 좌측(도 16에서)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후방탄성부(472)의 휘어짐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댐퍼어셈블리(400)의 고정이 견고하여 댐퍼어셈블리(400)의 댐핑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암(120)에 체결된 댐퍼어셈블리(4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체결의 역순에 의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견고하게 잡은 상태에서 상기 암(120)의 상방으로 강하게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서도 분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우측단(도 1에서)을 축으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회전하도록 댐퍼어셈블리(400)의 좌측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댐퍼어셈블리(400)는 시계방향(도 1의 전방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된다. 즉, 상기 암(120)의 장착구(124)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체결부재(460)의 탄성부(470,472)는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방탄성부(470)와 후방탄성부(472)의 좌측 하단부가 서로 근접하게 되어 상기 장착구(124)를 빠져나오게 되므로 댐퍼어셈블리(400)가 쉽게 분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460)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결합부(440)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이러한 결합부(440) 상측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480)가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460)를 압착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480)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 및 상기 체결부재(460)를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하방으로부터 결합부(440) 하부에 체결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도 17 내지 도 21에는, 이처럼 상기 체결부재(460)가 별도의 고정부재(480) 없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이하에서 설명할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댐퍼어셈블리(400)와 전체적으로는 그 구성이 유사하나 일부만 변경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만을 살펴본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댐퍼어셈블리(400')에는 상기 고정부재(480) 및 고정부재(480)가 안착되는 안착홈(442)이나 탄성홀(444,446)과 돌기홀(448) 등은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댐퍼어셈블리(400')에도 상기에서와 유사한 체결부재(460')가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부재(460')는 상기의 체결부재(460)와는 달리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하측으로부터 체결된다.
또한, 체결부재(460')에는 상기에서와 같은 돔홀(464) 대신 가이드홀(800)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홀(800)의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가이드턱(80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800)의 형상은 원형 외에도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가이드턱(802)은 별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상기 가이드홀(800)을 펀칭(상방으로 가압하여)에 의해 형성하면서 상기 체결부재(460')의 장착부(462)로부터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가이드턱(802)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턱(802)은, 체결부재(460')가 상기 결합부(440)의 저면 제 위치에 정확하게 체결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홈(812)에 삽입된다.
도 18과 도 19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하부사시도와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저면에는 상기에서와 같은 한 쌍의 지지편(456)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한 쌍의 지지편(456) 사이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체결홈(8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810)은 상기 체결부재(460')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홈(810)은 전후(도 19에서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810)에는 지지돌기(486')가 하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486')는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부재(480)의 지지돌기(486)와 같은 구성 및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486)가 상기 고정부재(480)에 일체로 형성되나, 여기에의 지지돌기(486')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810)의 중앙 부분에는 가이드홈(812)이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812)은 상기 가이드턱(802)과 대응되는 형상(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가이드홈(812)에 상기 가이드턱(802)이 삽입되어 수용된다.
도 20과 도 21에는 상기와 같은 댐퍼어셈블리(400')에 상기 체결부재(460')가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60')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440)의 지지돌기(486')는 상기 체결부재(460')의 돌기관통홀(466)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460')의 가이드턱(802)은 상기 결합부(440)의 체결홈(810)에 형성된 가이드홈(8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하측에 밀착된 상태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열융착이나 초음파용접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460')의 장착부(462)는 상기 결합부(440)의 체결홈(8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열융착이나 초음파용접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방법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체결부재(460')가 열융착이나 초음파용접과 같은 방법 외에 다른 접착수단이나 체결부재 등에 의해 상기 결합부(44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60')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결합부(440) 하측에 고정된 다음 상기 암(120)에 착탈되는 과정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Claims (8)

  1.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과;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며,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는 암과;
    상기 암과 컵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와;
    상기 암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며,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댐퍼부와, 상기 암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댐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의 결합부에는,
    상기 암에 걸어지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암의 장착구를 통해 삽입되어 암의 상면에 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댐퍼어셈블리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암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는,
    상기 암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와,
    상기 암과의 체결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6.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과;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며,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는 암과;
    상기 암과 컵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와;
    상기 암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며,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지는 댐퍼부와, 상기 암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댐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댐퍼어셈블리의 결합부에는,
    상기 암의 장착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댐퍼어셈블리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암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KR1020080018767A 2008-02-29 2008-02-29 도어힌지 KR100972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67A KR100972685B1 (ko) 2008-02-29 2008-02-29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67A KR100972685B1 (ko) 2008-02-29 2008-02-29 도어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12A true KR20090093312A (ko) 2009-09-02
KR100972685B1 KR100972685B1 (ko) 2010-07-27

Family

ID=4130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767A KR100972685B1 (ko) 2008-02-29 2008-02-29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119B1 (ko) * 2015-01-28 2016-07-15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댐퍼어댑터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35B1 (ko) * 2006-08-18 2007-06-21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힌지의 도어완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119B1 (ko) * 2015-01-28 2016-07-15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댐퍼어댑터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685B1 (ko) 201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502B2 (en) Door device
US8585165B2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rawer
JP2009507147A (ja) 蝶番を有した構造体
JP4998380B2 (ja) 建具用ステー及び該ステーを備えた建具
KR100972685B1 (ko) 도어힌지
KR101250886B1 (ko) 두 개의 측면 프레임 및 한 개의 덮개를 포함하는 서랍
JP4895910B2 (ja) サンルーフ用デフレクタ装置
KR20090090837A (ko) 도어힌지
JP6570560B2 (ja) 丁番
JP3416108B2 (ja) 蝶 番
JP2014080733A (ja) 窓用ステー及び辷り出し窓
KR100774422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처짐 방지장치
US9217268B2 (en) Furniture hinge
KR101061365B1 (ko) 도어힌지
CA2728522C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rawer
JP4932445B2 (ja) 扉の取付構造
KR100875756B1 (ko) 도어힌지
JPH08144611A (ja) 扉等開閉器
JP2001182424A (ja) 回動部材における枢着部構造
JP3150225U (ja) 包丁差しユニット
JPH08210009A (ja) スライド式ヒンジ
JP4026021B2 (ja) フロアヒンジ
JP4930342B2 (ja) 窓開閉装置
JPH09129025A (ja) 埋込型照明器具
JP3352618B2 (ja) 引き出しの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