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90837A -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837A
KR20090090837A KR1020080016339A KR20080016339A KR20090090837A KR 20090090837 A KR20090090837 A KR 20090090837A KR 1020080016339 A KR1020080016339 A KR 1020080016339A KR 20080016339 A KR20080016339 A KR 20080016339A KR 20090090837 A KR20090090837 A KR 2009009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amper assembly
door
door hing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귀순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장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귀순 filed Critical 장귀순
Priority to KR102008001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837A/ko
Publication of KR2009009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에 장착되는 댐퍼어셈블리의 각 단부를 이용하여 댐퍼어셈블리의 체결이 보다 견고하도록 구성되는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200)과;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100)과; 상기 암(100)과 컵(2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300)와; 상기 암(100)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암(100)의 측면 하단과 댐퍼어셈블리(400)의 측면 하단에는, 서로 결합되어 댐퍼어셈블리(400)가 암(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구(150) 및 체결수단(4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어셈블리의 착탈이 용이하고, 장착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힌지, 댐퍼, 도어, 고정, 체결

Description

도어힌지 { Door hinge }
본 발명은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에 장착되는 댐퍼어셈블리의 각 단부를 이용하여 댐퍼어셈블리의 체결이 보다 견고하도록 구성되는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용 수납장과 장농 등의 가구에는 일렬로 배열된 여러 개의 도어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도어와 가구의 벽체는 도어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어힌지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이들 대부분은 상기 도어에 장착 고정되는 컵과 벽체에 장착되는 암, 그리고, 상기 암과 컵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도어힌지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순간 충격과 소음의 발생이 필연적이며, 이를 저감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가구의 일측에 별도의 댐퍼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댐퍼의 설치를 위한 작업 및 그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납시 댐퍼에 의해 간섭받을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댐퍼어셈블리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암에 장착 가능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댐퍼어셈블리의 상하단이 암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과;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과; 상기 암과 컵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와; 상기 암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암의 측면 하단과 댐퍼어셈블리의 측면 하단에는, 서로 결합되어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구 및 체결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에는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댐퍼어셈블리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댐퍼어셈블리를 암에 밀착하는 과정에 의해 자동적으로 체결이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로 댐퍼어셈블리를 도어에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힌지를 구성하는 댐퍼어셈블리는, 상단부에는 상방결합부가 형성되어 암의 모서리를 감싸게 되며, 하단부에는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암의 하단에 체결된다. 따라서,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댐퍼어셈블리의 유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어힌지는 크게 암(100)과 마운팅플레이트(140) 그리고, 컵(200)과 레버(30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100)에는 댐퍼어셈블리(400)가 장착된다.
상기 암(10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양측단이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면과 양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암(100)의 하측에는 마운팅플레이트(140)가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의 좌우 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100)의 하단 좌우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암(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는, 상기 암(100)이 가구(6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암(100)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의 양단부에는 제1스크류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크류홀(142)을 관통하는 스크류(500)에 의 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는 상기 가구(6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암(100)의 상면에는 결합나사(160)가 체결된다. 상기 결합나사(160)는 상기 암(100)과 마운팅플레이트(1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암(100)과 마운팅플레이트(140)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나사(160)가 장착되는 상기 암(100)의 상면 후단에는 조절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구(122)는 상기 결합나사(160)와 결합되는 암(10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나사(160)가 장착되는 상기 암(100)의 상면 후반부(도 1에서 볼 때)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나사(160)는 상기 조절구(12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암(1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어힌지가 장착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암(100)의 장착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나사(160)가 체결된 상기 암(100)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조절나사(180)가 체결된다. 상기 조절나사(180)는 상기 암(10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암(100)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관통된 단부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체결된다.
상기 컵(200)은 도어(700)의 배면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수용부(220)와 플렌지(24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컵(200)의 대략 중앙부가 내측(도 1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레버(300)가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240)는 상기 수용부(220)의 선단 및 좌우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240)의 양측에는 제2스크류홀(242)이 형성되어 상기 컵(200)이 도어(7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컵(200)을 관통하는 스크류(500)가 체결된다.
상기 수용부(220)의 우측(도 1에서 볼 때) 상단 둘레를 따라서는 반원형상으로 수직 하게 절곡 형성되는 단차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60)는 상기 플렌지(240)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컵(200)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700)의 배면에 상기 수용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함몰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도어(700)의 배면과 상기 플렌지(240) 및 단차부(260)가 면접촉하여 지지하게 되고, 스크류(500)에 의해 상기 컵(200)이 고정 장착된다.
한편, 상기 암(100)과 컵(200)은 레버(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레버(300)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00)는 상기 암(100)의 전단부와 상기 컵(200)의 수용부(220) 내측에 각각 2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이들 회전축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즉, 상기 레버(300)는 상기 암(100)과 컵(200)에 2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원호를 그리면서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도어힌지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암(100)의 일측(도 1에서는 좌측)에는 댐퍼어셈블리(400)가 장착 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700)가 닫힐 때, 상기 도어(700) 또는 컵(200)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 댐퍼부(420)와 체결수단(440), 걸림후크(48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구성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어힌지의 좌측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100)의 좌측면 선단 부근 하단에는 체결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150)는 상기 체결수단(44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암(100)의 하단부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하방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체결구(150)가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구(150)에 상기 체결수단(440)의 일단이 체결된다.
도 3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부(420)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댐핑(damping)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도어(700)가 닫힐 때 상기 컵(200) 또는 도어(700)의 일면과 실질적으로 접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상기 댐퍼부(42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422)와, 상기 케이스(422)의 내측에 삽입되는 피스톤(42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22)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422)의 전면으로는 피스톤(424)이 돌출된다. 상기 피스톤(424)은 상기 도어(700) 또는 컵(200)의 일측과 직접 접촉하여 눌려지게 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오일이 충진된다.
상기 피스톤(424)은 일반적인 오일댐퍼의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케이스(422)가 일반적인 댐퍼와 같이 실린더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피스톤(424)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422)의 일면(도 3에서는 우측면)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암(100)에 장착되면, 암(100)의 측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댐퍼어셈블리(400)의 케이스(422) 우측면에는 상기 암(100)의 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면(430)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암(100)의 측면과 대응되는 밀착면(4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면(4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암(100)의 상면을 감싸는 상방결합부(432)가 우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케이스(422)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방결합부(432)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방결합부(432)는 상기 암(100)의 상단 모서리를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암(100)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상방결합부(432)를 형성하는 이유는,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암(1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700)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향의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 암(1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 서, 상기 상방결합부(432)는, 상기 암(100)의 모서리와 완전하게 밀착하여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면(430)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수단(440)의 일단이 장착되는 장착홈(434)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밀착면(430)의 선단 부근에는 장착홈(434)이 좌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장착홈(434)의 우측방과 하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434)에는 상기 체결수단(440)의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상기 체결수단(4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수단(44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암(100)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수단(440)은, 상기 장착홈(434)에 밀착되는 장착부(442)와, 상기 암(100)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탄성부(450,4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442)는, 상기 장착홈(434)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장착부(442)에는 한 쌍의 체결공(44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44)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단(476)이 관통되는 부분으로, 체결단(476)의 단면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450,460)는, 상기 장착부(442)의 양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450,460)는, 상기 장착부(442)의 좌측단과 우측단으로부터 벤딩(bending)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부분이며, 우탄성부(450)와 좌탄성부(4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탄성부(450)는, 상기 장착부(442)의 우측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탄성부(460)는 상기 장착부(442)의 좌측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벤딩(bending)되어 좌측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우탄성부(450)는 상기 장착부(442)와 수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벤딩(bending)되고, 상기 좌탄성부(460)는 상기 장착부(442)와 예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벤딩(bending)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450,460)의 단부에는, 상기 암(100)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452,462)와, 상기 암(100)과의 체결을 안내하는 가이드(454,464)가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우탄성부(450)의 선단 우측면에는 우측돌기(452)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탄성부(450)의 선단은 다시 전방 좌측으로 벤딩(bending) 연장되어 우측가이드(45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좌탄성부(460)의 선단 좌측면에는 좌측돌기(462)가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좌탄성부(460)의 선단은 다시 전방 우측으로 벤딩(bending) 연장되어 좌측가이드(464)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우측돌기(452)와 좌측돌기(462)는 상기 체결수단(440)이 상기 암(100)의 체결구(150)에 결합한 다음에 체결수단(440)이 암(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우측가이드(454)와 좌측가이드(464)는 상기 체결수단(440)이 상기 체결구(15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우측돌기(452)와 좌측돌기(462)의 전면은 상기 우측가이드(454)와 좌측가이드(464)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수단(440)이 상기 체결구(150)에 보다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우측돌기(452)와 좌측돌기(462)의 후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탄성부(450)와 좌탄성부(460)의 측면과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수단(440)이 상기 암(100)에 체결된 다음,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440)은, 고정부재(470)에 의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체결수단(440)이 별도의 부재 없이 직접 상기 장착홈(434)에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470)에 의해 상기 체결수단(440)이 상기 장착홈(434)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470)는, 상기 장착부(442)와 밀착되는 장착고정부(472)와, 상기 탄성부(450,460)와 밀착되는 밀착고정부(474)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장착고정부(472)는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착고정부(472)는 상기 장착부(442)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착고정부(474)는 상기 우탄성부(450)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장착고정부(472)의 우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70)의 장착고정부(472)에는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체결단(476)이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476)은 상기에서 설명한 체결공(44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444)을 관통하게 되며, 좌측면은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장착홈(434)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470)의 체결단(476)이 상기 체결수단(440)의 체결공(444)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홈(434)에 부착 고정되면, 상기 체결수단(440)은 상기 장착홈(434)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후단에는, 상기 암(100)의 후단에 걸어지는 걸림후크(48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밀착면(430)의 후단 중앙 부분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후크(hook)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후크(48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480)는, 상기 밀착면(430)의 후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482)와, 상기 지지부(482)의 우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벤딩된 걸림부(48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후크(480)는 상기 암(100)의 좌측면 후단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면(430)과 상기 걸림부(48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암(100)의 좌측면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체결수단(440)이 장착된 댐퍼어셈블리(40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체결수단(440)이 댐퍼어셈블리(400)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440)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장착홈(434)에 고정되면, 상기 우탄성부(450)와 좌탄성부(460)는 화살표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좌우(도 5에서)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도어힌지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70)의 체결단(476)이 상기 체결수단(440)의 체결공(444)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단(476)을 상기 장착홈(434)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440)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장착홈(434)에 고정된 다음, 우선적으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상기 암(100)의 좌측면 후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걸림후크(480)가 상기 암(100)의 좌측면 후단에 걸어진다. 즉, 상기 암(100)의 좌측면 후단은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밀착면(430)과 상기 걸림후크(480)의 걸림부(484) 사이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도 6과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선단을 상기 암(100)의 좌측면에 근접시킨다.(도 6의 화살표 참조)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수단(440)의 탄성부(450,460)가 상기 암(100)의 체결구(150)에 삽입된다. 이때 먼저 상기 가이드(454,464)가 상기 체결구(150)의 양단에 접촉되어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우탄성부(450)와 좌탄성부(460)의 선단은 탄성에 의해 서로 근접하게 된다.(도 7의 화살표 참조)
계속하여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를 상기 암(100)에 밀어넣게 되면, 상기 탄 성부(450,460)는 상기 암(100)의 체결구(15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450,460)의 돌기(452,462)가 상기 체결구(15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상기 우탄성부(450)와 좌탄성부(460)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상으로 복귀하여 서로 멀어지게 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450,460)의 선단이 상기 체결구(15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상기 돌기(452,462)가 도 8과 같이 상기 체결구(150)의 양단에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상기 암(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암(100)에 체결된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가 상기 암(100)에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댐퍼어셈블리(400)의 상방결합부(432)는 상기 암(100)의 좌측 상단 모서리를 감싸게 되고, 상기 체결수단(440)은 상기 암(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후크(480)는 상기 암(100)의 후단에 걸어지므로, 상기 댐퍼어셈블리(400)는 좌우 및 상하 유동은 물론, 비틀림에 의한 유동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구성을 보인 좌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어셈블리의 일부를 보인 평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체결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암에 댐퍼어셈블리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암 200. 컵
300. 레버 400. 댐퍼어셈블리
420. 댐퍼부 440. 체결수단
470. 고정부재

Claims (8)

  1.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과;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과;
    상기 암과 컵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와;
    상기 암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암의 측면 하단과 댐퍼어셈블리의 측면 하단에는, 서로 결합되어 댐퍼어셈블리가 암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구 및 체결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어셈블리에는, 상기 암의 측면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면의 상단부에는, 상기 암의 상면을 감싸는 상방결합부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암의 측면 하단이 일정 부분 절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수단의 일단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장착홈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고정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장착홈에 밀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암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는,
    상기 암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와,
    상기 암과의 체결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댐퍼어셈블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어셈블리의 일단에는,
    상기 암의 일단에 걸어지는 걸림후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 지.
KR1020080016339A 2008-02-22 2008-02-22 도어힌지 KR20090090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39A KR20090090837A (ko) 2008-02-22 2008-02-22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39A KR20090090837A (ko) 2008-02-22 2008-02-22 도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837A true KR20090090837A (ko) 2009-08-26

Family

ID=4120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339A KR20090090837A (ko) 2008-02-22 2008-02-22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8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20B1 (ko) * 2010-04-28 2012-04-24 (주)삼우 도어힌지
KR101489822B1 (ko) * 2014-07-16 2015-02-11 (주)문주하드웨어 착탈가능한 댐퍼 유닛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20B1 (ko) * 2010-04-28 2012-04-24 (주)삼우 도어힌지
KR101489822B1 (ko) * 2014-07-16 2015-02-11 (주)문주하드웨어 착탈가능한 댐퍼 유닛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502B2 (en) Door device
KR200432780Y1 (ko) 댐퍼부착형 도어힌지
JP6340726B2 (ja) 部品の締結構造
JP2016008623A5 (ko)
KR20180055937A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100808521B1 (ko) 댐퍼부착형 도어힌지
KR20090090837A (ko) 도어힌지
KR20180086171A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101250886B1 (ko) 두 개의 측면 프레임 및 한 개의 덮개를 포함하는 서랍
JP6570560B2 (ja) 丁番
JP4648432B2 (ja) 開き戸用反り防止矯正器具
JP4205619B2 (ja) 扉の取付構造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JP3555474B2 (ja) 扉付きキャビネットのヒンジ装置
JP7286236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2010065479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の扉取付構造
KR100972685B1 (ko) 도어힌지
KR100774422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처짐 방지장치
US9217268B2 (en) Furniture hinge
JP4932445B2 (ja) 扉の取付構造
US20060260207A1 (en) Door assembly for a cabinet
KR20070019424A (ko) 냉장고용 힌지어셈블리
JP5336104B2 (ja) 扉への施錠装置の取付構造
JP7083725B2 (ja) 扉改装ユニット
JP7301461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