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6947A -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947A
KR20060006947A KR1020057020336A KR20057020336A KR20060006947A KR 20060006947 A KR20060006947 A KR 20060006947A KR 1020057020336 A KR1020057020336 A KR 1020057020336A KR 20057020336 A KR20057020336 A KR 20057020336A KR 20060006947 A KR20060006947 A KR 2006000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sheave
elevator
mount
count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이즈미
간 가와사끼
이꾸오 아사미
다까시 이시이
다까노리 우라따
?? 후지무라
마사유끼 히가시
마사히로 구라미쯔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기 및 평형추의 승강에 수반하여 구동 장치나 상하 휨 시브에 발생하는 진동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승강로의 벽면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구동 장치(21) 및 상측 휨 시브(24)를 지지하고 있는 가대(30)와 각 가이드 레일(11R, 18R, 11L)의 각 지지 수단(36, 37, 38) 사이에 방진 수단(41, 42, 43)을 각각 개재 장착한다. 또한, 하측 휨 시브(22, 23)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50)의 세로 부재(51, 52)와 수평 부재(53) 사이에 방진 수단(54, 55)을 각각 개재 장착한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21), 상측 휨 시브(24) 및 하측 휨 시브(22, 23)로부터 승강로의 측벽에 이르는 진동 전달 경로를 도중에서 차단할 수 있다.
승강기, 휨 시브, 지지 수단, 가이드 레일, 구동 장치

Description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MACHINE ROOM-LESS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로의 상방에 기계실을 갖지 않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나 평형추의 승강에 수반하여 구동 장치나 휨 시브에 발생하는 진동이 승강로의 측벽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일조권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승강로의 상방에 기계실을 갖지 않는, 이른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제안되어 있지만, 본원의 출원인도 또한 도6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를 개발하여 선출원하고 있다.
이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카측(car side)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1)의 후방에 평형추(2)를 배치하는 동시에, 이 평형추(2)의 승강을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좌우 중 어느 한 쪽의 카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 사이에 가대(3)를 수평으로 가설하고, 또한 가대(3) 상에 설치한 구동 장치(4)에 의해 트랙션 시브(5)를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의 도시 우측의 내벽면에 따라 하측 휨 시브(6)를 배치하는 동 시에, 승강로의 후방측의 내벽면에 따라 상측 휨 시브(7)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권상 로프(8) 중 트랙션 시브(5)로부터 승강기(1)측으로 연장되는 부분(8a 내지 8c)은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a, 1b)를 거쳐서 승강기(1)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면서 그 선단부가 전방측 히치부(9f)에 계지되어 있다.
또한, 권상 로프(8) 중 트랙션 시브(5)로부터 하측 휨 시브(6), 상측 휨 시브(7), 방추측 시브(2a, 2b)를 거쳐서 평형추(2)측으로 연장되는 부분(8d 내지 8i)은 평형추(2)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면서 그 선단부가 전방측 히치부(9r)에 계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평형추(2)의 승강 스트로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상 로프(8)의 배열을 느슨하게 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승강기(1)의 상부에 있어서 보수 작업을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런데, 도6에 도시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카측 가이드 레일 및 방추측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여 가대(3)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이에 의해, 승강기(1)의 승강에 수반하여 구동 장치(4)나 상하의 휨 시브(6, 7)에 각각 발생하는 진동이 각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건물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측 휨 시브(7)를 배치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권상 로프(8)의 배열을 한층 더 느슨하게 하여, 권상 로프(8)의 내구성 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또한, 구동 장치(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CP)을 배치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이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공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상술한 구조를 갖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 및 상하의 휨 시브를 방진 지지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권상 로프의 내구성 및 승강기의 공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를 개량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1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카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의 후방에 있어서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면서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에 따라 승강하는 평형추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보다 상방이고 또한 상기 승강기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측에 배치된 트랙션 시브와,
상기 트랙션 시브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가 그 위에 적재되어 고정되는 가대와,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각각 고정된 상기 가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과,
상기 가대와 상기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 장착된 방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기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 장치를 작동시키면, 구동 장치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구동 장치를 그 위에 적재하여 고정하고 있는 가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방진 고무 등의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므로, 구동 장치에 발생한 진동이 카측 가이드 레일 및 방추측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이 때, 구동 장치와 가대 사이에 방진 고무를 직접 개재 장착하는 종래 기술과 같이 방진 수단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제한되는 일이 없으므로, 방진 수단의 용량을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각 방진 수단 사이의 스팬을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각 방진 수단의 상하 방향의 스프링 정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방진 수단의 수치를 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구동 장치로부터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이르는 진동 전달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제1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평형추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안내하는 상측 휨 시브를 더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측 휨 시브를 상기 가대 상에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기 및 평형추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측 휨 시브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측 휨 시브를 지지하고 있는 가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방진 고무 등의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측 휨 시브에 발생한 진동이 카측 가이드 레일 및 방추측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측 휨 시브가 가대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권상 로프 중 이 상측 휨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하 방향 길이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측 휨 시브의 주위에 있어서의 권상 로프의 배열을 느슨하게 하여, 권상 로프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제1 또는 제2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상기 평형추측으로 안내하는 하측 휨 시브를 더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하측 휨 시브를 상기 가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 설치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3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기 및 평형추의 승강에 수반하여 하측 휨 시브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하측 휨 시브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이 가대에 연속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방진 고무 등의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므로, 하측 휨 시브에 발생한 진동이 가대로부터 카측 가이드 레일 및 방추측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또한, 하측 휨 시브가 가대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권상 로프 중 하측 휨 시브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하 방향 길이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측 휨 시브의 주위에 있어서의 권상 로프의 배열을 느슨하게 하여, 권상 로프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에 상기 권상 로프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4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상 로프와 지지 수단이 서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권상 로프 및 지지 수단을 가장 적합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5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승강로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의 측벽 근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연결 부재를 거쳐서 연결되어 지지된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5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이, 승강기의 배면과 승강로의 후방 벽 사이의 공간이며 승강로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의 측벽의 근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와 같이 승강기의 좌우 측벽과 승강로의 좌우 측벽 사이에 제어반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승강기의 수평 단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승강기의 수평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를 일정으로 하였을 때에, 승강로의 수평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공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대와 방추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고, 구동 장치나 휨 시브에 발생한 진동이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전달되는 일이 없으므로 정밀 기기인 제어반의 기능에 진동의 영향이 미치는 일은 없다.
또한, 제6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의 후방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면서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에 따라 승강하는 평형추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의 측벽 근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측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트랙션과,
상기 트랙션 시브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가 그 위에 적재되어 고정되는 가대와,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 근방에 각각 고정된, 상기 가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과,
상기 가대와 상기 지지 수단 사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재 장착된 방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6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기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 장치를 작동시키면 구동 장치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구동 장치를 적재하여 고정하고 있는 가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방진 고무 등의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므로, 구동 장치에 발생한 진동이 카측 가이드 레일 및 방추측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이 때, 구동 장치와 가대 사이에 방진 고무를 직접 개재 장착하는 종래 기술과 같이 방진 수단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제한되는 일은 없으므로 방진 수단의 용량을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를 트랙션 시브와 동축에 배치하면 구동 장치의 축선도 또 한 승강로의 측벽으로부터 후방 벽으로 연장되게 되므로, 구동 장치의 중량의 대부분을 예를 들어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과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측 방진 수단과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측의 방진 수단 사이의 스팬을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이들 방진 수단의 상하 방향의 스프링 정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의 방진 수단을 합쳐서 3개의 방진 수단에 의해 가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방진 수단 1개당 부하가 작다.
따라서, 각 방진 수단의 수치를 가장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구동 장치로부터 승강로의 벽면에 이르는 진동 전달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트랙션 시브의 회전 축선이 승강로의 측벽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카측 시브를 배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도 있다.
환언하면,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트랙션 시브의 회전 축선이 승강로의 측벽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카측 시브 사이에 권취한 권상 로프와 승강기의 무게 중심이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서로 포개지도록 권상 로프를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제7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제6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평형추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후방 벽의 근방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하는 상측 휨 시브를 더 구비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측 휨 시브를 상기 가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7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기 및 평형추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측 휨 시브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측 휨 시브를 지지하고 있는 가대와 각 지지 수단 사이에 방진 고무 등의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측 휨 시브에 발생한 진동이 카측 가이드 레일 및 방추측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측 휨 시브가 가대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권상 로프 중 이 상측 휨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하 방향 길이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측 휨 시브의 주위에 있어서의 권상 로프의 배열을 느슨하게 하여, 권상 로프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8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제6 또는 제7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상기 평형추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측벽의 근방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하는 하측 휨 시브와,
상기 하측 휨 시브를 상기 가대의 하방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더 구비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수단에 그들의 상단부가 각각 접속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 부재와, 이들 세로 부재의 하단부 사이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와, 이 수평 부재와 상기 세로 부재의 하단부 사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재 장착된 방진 수단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8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기 및 평형추의 승강에 수반하여 하측 휨 시브에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하측 휨 시브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의 세로 부재와 수평 부재 사이에 방진 고무 등의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므로, 하측 휨 시브에 발생한 진동이 카측 가이드 레일 및 방추측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이 때, 방진 수단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제한되는 일은 없으므로, 방진 수단의 용량을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방진 수단 사이의 스팬을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각 방진 수단의 상하 방향의 스프링 정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방진 수단의 수치를 가장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하측 휨 시브로부터 승강로의 측벽 및 후방 벽에 이르는 진동 전달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부재의 상하 방향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권상 로프 중 이 하측 휨 시브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하 방향 길이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측 휨 시브의 주위에 있어서의 권상 로프의 배열을 느슨하게 하여, 권상 로프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9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제6 내지 제8 중 어느 한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승강로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의 측벽 근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지지된 상기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9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이, 승강기의 배면과 승강로의 후방 벽과의 사이의 공간이며 승강로의 좌우 중 어느 한 쪽 측벽의 근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와 같이 승강기의 좌우의 측벽과 승강로의 좌우의 측벽 사이에 제어반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승강기의 수평 단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승강기의 수평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를 일정으로 하였을 때에, 승강로의 수평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공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대와 방추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방진 수단이 개재 장착되어 있어, 구동 장치나 휨 시브에 발생한 진동이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전달되는 일이 없으므로, 정밀 기기인 제어반의 기능에 진동의 영향이 미치는 일은 없다.
또한, 제10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가대가 상기 승강로의 측벽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 지지 빔과,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지지 빔과, 상기 트랙션 시브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동시에 그 위에 상기 구동 장치가 적재되어 고정되는 경사 지지 빔과, 이들 지지 빔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지지 빔 및 접속 부재를 개별적으로 승강로의 정상부에 반송하는 동시에, 볼트 너트 등에 의해 각 부재를 서로 접속하여 일체화하여 가대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설치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반송 및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1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측방 지지 빔, 상기 후방 지지 빔 및 상기 경사 지지 빔을 그 측면 혹은 그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강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각 지지 빔을 일체적으로 조립 부착하여 가대를 구축할 때에, 각 지지 빔의 내측에 공구 등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가대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형강을 이용함으로써 강성이 높은 가대를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2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경사 지지 빔의 양단부를 상기 측방 지지 빔 및 상기 후방 지지 빔 상에 각각 적재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경사 지지 빔을 강성이 높은 측방 지지 빔 및 후방 지지 빔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3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후방 지지 빔이 상기 권상 로프 중 상기 상측 휨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4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측방 지지 빔이 상기 권상 로프 중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삽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덧붙여 제15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지지 수단이 상기 권상 로프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입 관통하는 삽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대를 구성하는 각 지지 빔 및 각 지지 수단을 각 가이드 레일 사이의 소정 부위에 위치 결정하면서 권상 로프를 효율적으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및 평형추의 승강에 수반하여 구동 장치, 하측 휨 시브, 상측 휨 시브에 발생하는 진동이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승강로의 측벽에 전달되는 일이 없고, 또한 상측 휨 시브와 하측 휨 시브 사이의 권상 로프의 배열을 느슨하게 하여 권상 로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승강기의 공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를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는 도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4는 도3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6은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부호의 설명]
S : 승강로
1 : 승강기
2, 17 : 평형추
3, 30 : 가대
4, 21 : 구동 장치
5, 20 : 트랙션 시브
6, 7 : 휨 시브
8 : 권상 로프
9f, 9r : 히치부
10 : 승강기
11R, 11L : 카측 가이드 레일
12R, 12L : 도어
13 : 상부 빔
14R, 14L : 세로 빔
15 : 시브 지지 빔
16R, 16L : 카 상부 시브
17a, 17b : 방추측 시브
18L, 18R : 방추측 가이드 레일
22, 23 : 하측 휨 시브
24 : 상측 휨 시브
31 : 우측 지지 빔
32 : 후방 지지 빔
33 : 경사 지지 빔
36, 37, 38 : 지지 수단
41, 42, 43 : 방진 고무(방진 수단)
50 : 지지 프레임
51, 52 : 세로 부재
53 : 수평 부재
54, 55 : 방진 고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승강기의 도어가 개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하고, 승객이 승강기 내로부터 나가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승객이 승강기 내로 들어가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또한, 권상 로프에 대해서는 도6에 도시한 선 출원에 관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권상 로프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승강기(10)는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 11R)에 의해 안내되면서 건물에 설치한 승강로(S)의 내부를 승강한다.
승강기(10)의 전방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도어(12L, 12R)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한다.
승강기(10)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은 승강기(10)의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13)과, 이 상부 빔(13)의 좌우 양단부에 접속되어 수직 하강하면서 승강기(10)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세로 빔(14L, 14R)을 갖고 있다.
승강기(10)와 상부 빔(13)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극 내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부 빔(13)에 대해 X자형을 이루도록 수평면 내에서 전후 좌우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시브 지지 빔(15)이, 승강기(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브 지지 빔(15)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의 상면이 상부 빔(13)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빔(1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브 지지 빔(15)이 연장되는 방향은 후술하는 카 상부 시브(16L, 16R)의 회전 축선과 트랙션 시브(20)의 회전 축선이 소정 범위의 각도(θ)를 이루도록 정해진다.
시브 지지 빔(15)의 좌우 양단부에는, 승강기(10)를 현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6L, 16R)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승강기(10)를 현가하기 위해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6L, 16R)에 작용하는 상향의 힘은 시브 지지 빔(15)으로부터 상부 빔(13) 및 좌우 한 쌍의 세로 빔(14L, 14R)을 거쳐서 승강기(10)의 바닥부에 전달된다.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6L, 16R)는 승강기(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전후 좌우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권상 로프(8)의 각 부분 중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6L, 16R)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8b)이,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승강기(10)의 무게 중심(G)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6L, 16R)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 11R)이 승강기(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승강기(10)를 경사시키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현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평형추(17)는 승강기(10)의 배면(10r)과 승강로(S)의 후방 벽(Sr) 사이의 공간 내에 있어서의 승강로(S)의 우측 벽(SR)측의 부분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 18R)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평형추(17)의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방추측 시브(17a, 17b)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동 장치(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CP)이 승강기(10)의 배면(10r)과 승강로(S)의 후방 벽(Sr) 사이의 공간이며 승강로(S)의 좌측 벽(SL)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반(CP)은 복수의 브래킷(B)에 의해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1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S)의 정상부에는 그 우측 벽(SR)의 근방이고 또한 우측 벽(SR)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트랙션 시브(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트랙션 시브(20)의 회전 축선은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우측 벽(SR)에 대해 각도(α)를 이루어 경사하면서 우측 벽(SR)으로부터 후방 벽(Sr)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트랙션 시브(20)의 후방에는, 트랙션 시브(2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21)가 트랙션 시브(20)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장치(21)는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 18R)의 상단부와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R)의 상단부 사이에 가설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대(30) 상에 적재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가대(30)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 빔(31, 32, 33)과 접속판(34)을 갖고 있다.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R)과 우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R)의 상단부 사이에 있어서 승강로(S)의 우측 벽(SR)의 근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 되는 우측 지지 빔(31)은 그 단면 형상이 역ㄷ자형의 형강으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 18R)의 상단부 사이에 있어서 승강로(S)의 후방 벽(Sr)의 근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방 지지 빔(32)은 단면 형상이 역요(凹)자형의 형강으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트랙션 시브(20)의 회전 축선과포개지도록 전후 좌우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경사 지지 빔(33)은 단면 형상 역요자형의 형강으로 제작되는 동시에, 그 양단부는 지지 빔(31, 32) 상에 적재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우측 지지 빔(31)의 후방 단부와 후방 지지 빔(32)의 우측 단부의 하면끼리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접속판(34)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가대(30)는 이들 지지 빔(31, 32, 33) 및 접속판(34)을 볼트 너트에 의해 서로 접속하여 일체화하는 구조이며, 엘리베이터 설치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승강로(S)의 정상부로의 반송 및 조립을 용이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 지지 빔(31, 32, 33)은 각각 하면 혹은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강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볼트 너트를 이용한 조립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한 것으로 하고 있다.
가대(3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R)의 상단부 근방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지지 수단(36), 우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R)의 상단부 근방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지지 수단(37),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의 상단부 근방에 고정되어 있는 제3 지지 수단(38)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지지 수단(36, 37, 38)은 예를 들어 두꺼운 강판이나 형강 등을 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지지 빔(31)의 전방 단부와 제1 지지 수단(36) 사이에는 방진 수단으로서의 제1 방진 고무(41)가, 후방 지지 빔(32)의 우측 단부 및 접속판(34)과 제2 지지 수단(37) 사이에는 제2 방진 고무(42)가 후방 지지 빔(32)의 좌측 단부와 제3 지지 수단(38) 사이에는 제3 방진 고무(43)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재 장착되어, 가대(30)로부터 각 가이드 레일로의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지지 빔(31)의 연직 방향 하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각각 회전 가능한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50)은, 제1 지지 수단(36) 및 제2 지지 수단(37)에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50)은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수단(36)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세로 부재(51)와, 제2 지지 수단(37)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세로 부재(52)와, 이들 세로 부재(51, 52)의 하단부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53)를 갖고 있다.
또한, 이들 부재(51, 52, 53)는 강성이 높은 형강으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수평 부재(53)의 전방 단부 상면과 제1 세로 부재(51)의 하면 사이에는 제4 방 진 고무(54)가 수평 부재(53)의 후방 단부 상면과 제2 세로 부재(52)의 하면 사이에는 제5 방진 고무(55)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재 장착되어 있어, 수평 부재(53)로부터 각 세로 부재(51, 52)로의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수평 부재(53)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56)에 의해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가 수평 부재(53)의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대(30)를 구성하고 있는 후방 지지 빔(32)의 우측 단부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상측 휨 시브(24)가 브래킷(24a)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권상 로프(8) 중, 이 상측 휨 시브(24)에 권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8f, 8g)을 삽통하기 위해, 후방 지지 빔(32)의 우측 단부 근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통 구멍(32a)이 관통 마련되어 있고, 또한 접속판(34) 및 제2 지지 수단(37)에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통 구멍(34a, 37a)이 관통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대(30)의 후방 지지 빔(32)의 좌측 단부 상면에는, 권상 로프(8)의 일단부를 계지하기 위한 후방측 히치부(9r)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의 상단부 근방에는 권상 로프(8)의 타단부를 계지하기 위한 전방측 히치부(9f)가 브래킷(9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트랙션 시브(20)에는, 예를 들어 외경이 5 ㎜인 로프를 10개 평행하게 나열하여 이루어지는 권상 로프(8)가 권취되어 있다.
이 권상 로프(8)의 일단부측은 트랙션 시브(20)로부터 우측 지지 빔(31)의 전방 단부 근방을 통해 우측 카 상부 시브(16R)를 향해 수직 하강하는 부분(8a)과,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6L, 16R)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8b)과, 좌측의 카 상부 시브(16L)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전방측 히치부(9f)에 고정되는 부분(8c)으로 이루어져 승강기(10)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고 있다.
이 때,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우 한 쌍의 카 상부 시브(16R, 16L)가 승강기(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전후 좌우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 11R)이 승강기(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좌우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승강기(10)에 작용하는 중력과 승강기(10)를 상방으로 매달아 올리는 힘이 수평 방향으로 크게 오프셋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승강기(10)를 경사시키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현가하여, 승강기(10)를 진동시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권상 로프(8)의 타단부측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션 시브(20)로부터 전방의 하측 휨 시브(22)를 향해 수직 하강하는 부분(8d)과,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8e)과, 후방의 하측 휨 시브(23)로부터 상측 휨 시브(24)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8f)과, 상측 휨 시브(24)에 권취된 후에 우측의 방추측 시브(17a)를 향해 수직 하강하는 부분(8g)과, 좌우 한 쌍의 방추측 시브(17a, 17b)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8h)과, 좌측의 방추측 시브(17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후방측의 히치부(9r)에 고 정되는 부분(8i)으로 이루어져 평형추(17)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고 있다.
그런데, 승강기(10) 및 평형추(17)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 장치(21)를 작동시키면, 구동 장치(21)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구동 장치(21)를 적재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는 가대(30)는 각 방진 고무(41, 42, 43)에 의해 각 지지 수단(36, 37, 38) 상에 방진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21)에 발생한 진동이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R) 및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 18R)을 거쳐서 승강로(S)의 우측 벽(SR) 및 후방 벽(Sr)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이 때, 구동 장치와 가대 사이에 방진 고무를 직접 개재 장착하는 종래 기술과 같이, 방진 고무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제한을 받는 일이 없으므로, 각 방진 고무(41, 42, 43)의 용량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각 방진 고무(41, 42, 43) 사이의 스팬을 충분히 취할 수 있으므로, 각 방진 고무(41, 42, 43)의 상하 방향의 스프링 정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21)에 발생한 진동을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해, 각 방진 고무(41, 42, 43)의 수치를 가장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장치(21)를 트랙션 시브(20)와 동축에 배치한 것에 수반하여, 구동 장치(21)도 또한 승강로(S)의 우측 벽(SR)으로부터 후방 벽(Sr)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구동 장치(21)의 중량의 대부분을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R) 및 좌 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방진 고무(41)와 제3 방진 고무(43) 사이의 스팬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이들 방진 고무(41, 43)의 상하 방향의 스프링 정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R)측의 제2 방진 고무(42)를 추가하여 3개의 방진 고무(41, 42, 43)에 의해 가대(3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방진 고무 1개당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장치(21)에 발생한 진동이 승강로의 우측 벽(SR) 및 후방 벽(Sr)에 전달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승강기(10) 및 평형추(17)의 승강에 수반하여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가 회전하기 때문에, 이들 하측 휨 시브(22, 23)에도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권상 로프(8)를 거쳐서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에 작용하는 상향의 외력은, 승강기(10) 및 평형추(17)의 승강 및 정지에 수반하여 변동한다.
그러나,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50)의 수평 부재(53)는, 전후 한 쌍의 방진 고무(54, 55)를 거쳐서 전후의 세로 부재(51, 52)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에 발생한 진동 및 외력의 변동이,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R) 및 우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R)을 거쳐서 승강로(S)의 우측 벽(SR) 및 후방 벽(Sr)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승강기(10) 및 평형추(17)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측 휨 시브(24)가 회전하기 때문에, 이 상측 휨 시브(4)에도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권상 로프(8)를 거쳐서 상측 휨 시브(24)에 작용하는 하향의 외력은, 승강기(10) 및 평형추(17)의 승강 및 정지에 따라서 변동한다.
그러나, 상측 휨 시브(24)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는 가대(30)는 각 방진 고무(41, 42, 43)에 의해 각 지지 수단(36, 37, 38)에 방진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측 휨 시브(24)에 발생한 진동이 우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R) 및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 18R)을 거쳐서 승강로(S)의 우측 벽(SR) 및 후방 벽(Sr)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측 휨 시브(24)가 가대(30)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측 휨 시브(24)와 하측 휨 시브(22, 23)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전후 한 쌍의 하측 휨 시브(22, 23)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지지 프레임(50)을 구성하고 있는 전후의 세로 부재(51, 52)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측 휨 시브(24)와 하측 휨 시브(22, 23)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 로프(8) 중 트랙션 시브(20)로부터 하측 휨 시브(22, 23) 및 상측 휨 시브(24)를 통해 방추측 시브(17a, 17b)에 연장되는 부분(8d, 8e, 8f, 8g)의 배열을 보다 느슨하게 할 수 있으므로, 권상 로프(8)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권상 로프(8)의 각 부분에 장력의 차가 생기지 않으므로, 승강기(10)의 승강 개시시에 승강기(10)에 상하 진동이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각 시브의 로프 홈과 권상 로프(8)의 접촉에 수반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휨 시브(24)가 가대(30)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측 휨 시브(24)와 평형추(17)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평형추(17)의 승강 스트로크를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CP)이 승강기(10)의 배면(10r)과 승강로(S)의 후방 벽(Sr) 사이의 공간이며 승강로(S)의 좌측 벽(SL)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6에 도시한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와는 달리, 승강기(10)의 좌우 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승강기(10)의 수평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를 일정으로 하였을 때에, 승강로(S)의 수평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반(CP)을 지지하고 있는 좌측의 가이드 레일(18L)에는 구동 장치(21)나 상하의 휨 시브(22, 23, 24)에 발생한 진동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정밀한 기기인 제어반(CP)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덧붙여,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의 좌측에 제어반(CP)이 배치되는 동시에, 우측에 구동 장치(21) 및 가대(30) 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어반(CP)의 중량이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에 미치는 구부러짐 모멘트의 방향과, 구동 장치(21) 및 가대(30)의 중량이 제3 지지 수단(38)을 거쳐서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에 미치는 구부러짐 모멘트의 방향이 정반대가 되어 서로 없어지므로, 구동 장치(21) 및 가대(30)의 중량에 의해 좌측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18L)이 만곡하는 정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일실시 형태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방진 수단으로서 방진 고무를 이용하고 있지만,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요소와 오일 댐퍼 등의 감쇠 요소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측 휨 시브(22, 23)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50)이 제1 지지 수단(36) 및 제2 지지 수단(37)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제1 세로 부재(51) 및 제2 세로 부재(52)와 수평 부재(53) 사이에 제4 방진 고무(54) 및 제5 방진 고무(55)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 지지 프레임(50)의 제1 세로 부재(51) 및 제2 세로 부재(52)의 상단부를 가대(30)의 하면에 직접 연결하는 동시에, 제4 방진 고무(54) 및 제5 방진 고무(55)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1. 카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의 후방에 있어서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면서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에 따라 승강하는 평형추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보다 상방이고 또한 상기 승강기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측에 배치된 트랙션 시브와,
    상기 트랙션 시브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가 그 위에 적재되어 고정되는 가대와,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각각 고정된 상기 가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과,
    상기 가대와 상기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 장착된 방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평형추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안내하는 상측 휨 시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측 휨 시브가 상기 가대 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상기 평형추측으로 안내하는 하측 휨 시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측 휨 시브는 상기 가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 설치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권상 로프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승강로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의 측벽 근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연결 부재를 거쳐서 연결되어 지지된,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6.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의 후방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면서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에 따라 승강하는 평형추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좌우 어느 한 쪽의 측벽 근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연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측벽을 향해 연장 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트랙션 시브와,
    상기 트랙션 시브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가 그 위에 적재되어 고정되는 가대와,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 근방에 각각 고정된 상기 가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과,
    상기 가대와 상기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가대를 방진 지지하는 방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평형추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후방 벽의 근방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하는 상측 휨 시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측 휨 시브는 상기 가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및 상기 평형추를 현가하는 권상 로프 중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상기 평형추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측벽 근방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하는 하측 휨 시브와,
    상기 하측 휨 시브를 상기 가대의 하방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수단에 그들의 상단부가 각각 접속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 부재와, 이들 세로 부재의 하단부 사이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와, 이 수평 부재와 상기 세로 부재의 하단부 사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재 장착된 방진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승강로의 좌우 중 어느 한 쪽 측벽의 근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방추측 가이드 레일에 연결 부재를 거쳐서 연결되어 지지된, 상기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대는,
    상기 승강로의 측벽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 지지 빔과,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지지 빔과,
    상기 트랙션 시브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동시에 그 위에 상기 구동 장치가 적재되어 고정되는 경사 지지 빔과,
    이들 지지 빔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 빔은 그 양단부가 상기 측방 지지 빔 및 상기 후방 지지 빔에 각각 적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 빔은 상기 권상 로프 중 상기 상측 휨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빔, 상기 후방 지지 빔 및 상기 경사 지지 빔은 그 측면 혹은 그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지지 빔은 상기 권상 로프 중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15.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권상 로프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삽통하는 삽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KR1020057020336A 2003-07-14 2004-07-07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KR20060006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6637 2003-07-14
JP2003196637A JP4350988B2 (ja) 2003-07-14 2003-07-14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947A true KR20060006947A (ko) 2006-01-20

Family

ID=3405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336A KR20060006947A (ko) 2003-07-14 2004-07-07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83924B2 (ko)
JP (1) JP4350988B2 (ko)
KR (1) KR20060006947A (ko)
CN (1) CN100572250C (ko)
MY (1) MY136723A (ko)
TW (1) TWI260305B (ko)
WO (1) WO20050053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451B1 (ko) * 2013-10-21 2014-08-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3486A1 (de) * 2001-01-04 2002-07-11 Wittur Ag Getriebeloser seilaufzug mit doppelt umschlungenen treibscheibenantrieb
EP1757553B1 (en) * 2004-06-01 2011-07-27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Machine room-less elevator
JP5046489B2 (ja) * 2005-03-01 2012-10-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06264862A (ja) * 2005-03-23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2007246194A (ja) * 2006-03-14 2007-09-27 Toshiba Elevator Co Ltd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CN101074078A (zh) * 2006-05-19 2007-11-21 沈阳博林特电梯有限公司 电梯轿架系统
CN100417583C (zh) * 2006-08-11 2008-09-10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
EP2134637B1 (en) * 2007-03-12 2014-07-23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 mounting in a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JP2009051598A (ja) * 2007-08-24 2009-03-1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機器取付ブラケ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機器組立体
JP5511816B2 (ja) * 2008-08-01 2014-06-0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装置の振動絶縁アセンブリ
CN102232050B (zh) 2008-12-05 2014-04-09 奥的斯电梯公司 包括支承于电梯机器支承件上的控制电子器件的电梯系统
KR101216428B1 (ko) 2008-12-05 2012-12-2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
JP5518892B2 (ja) * 2008-12-05 2014-06-11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のマシン支持部
US20110101198A1 (en) * 2009-10-30 2011-05-05 Thyssenkrupp Northern Elevator Corporation "l" shaped support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in a machine roomless elevator
JP5805508B2 (ja) * 2011-11-30 2015-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3190342A1 (en) 2012-06-20 2013-12-27 Otis Elevator Company Actively damping vertical oscillations of an elevator car
JP5827182B2 (ja) * 2012-06-27 2015-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US10246299B2 (en) 2012-11-05 2019-04-02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including structurally independent elevator machine guiderail mounts
ES2702151T3 (es) * 2013-02-21 2019-02-27 Otis Elevator Co Unidad de impulsión de bajo perfil para sistema de ascensor
WO2014137345A1 (en) * 2013-03-07 2014-09-12 Otis Elevator Company Active damping of vertical oscillation of a hovering elevator car
EP2842902B1 (en) * 2013-08-26 2016-02-0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EP2921446A1 (en) * 2014-03-18 2015-09-2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EP3085656A1 (de) * 2015-04-20 2016-10-26 Inventio AG Trägereinheit für eine aufzuganlage
US10329123B2 (en) 2015-07-09 2019-06-25 Otis Elevator Company Vibration damper for elevator linear propulsion system
WO2017029533A1 (en) * 2015-08-17 2017-02-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uffer system
CN105129572A (zh) * 2015-09-11 2015-12-09 戈尔电梯(天津)有限公司 一种电梯轿架对重绳头板安装结构
JP6703904B2 (ja) * 2016-06-16 2020-06-0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エレベータロープ制振構造
CN105905755B (zh) * 2016-06-20 2019-01-22 舒马克电梯(张家港)有限公司 无机房电梯
CN106395579A (zh) * 2016-12-08 2017-02-15 巨人通力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顶层排布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123B1 (ko) * 1997-09-26 2002-12-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엘리베이터
WO1999033742A1 (de) * 1997-12-23 1999-07-08 Inventio Ag Seil-aufzug mit treibscheibe
JP3704960B2 (ja) * 1998-07-31 2005-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JP4157631B2 (ja) * 1998-11-19 2008-10-01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KR100351275B1 (ko) 1999-07-19 2002-09-09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머신룸 레스 엘리베이터
WO2001027015A1 (de) * 1999-10-11 2001-04-19 Inventio Ag Seilaufzug
CN1231411C (zh) 1999-12-06 2005-12-1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519979B2 (ja) 2000-03-08 2010-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巻上装置
EP1327596B1 (en) * 2000-08-28 2010-02-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JP4849712B2 (ja) * 2000-11-08 2012-01-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FI4928U1 (fi) * 2001-01-25 2001-05-23 Kone Corp Hissi
JP4825368B2 (ja) 2001-07-10 2011-11-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04657A (ja) * 2001-09-28 2003-04-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4401069B2 (ja) 2002-12-06 2010-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451B1 (ko) * 2013-10-21 2014-08-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장치
WO2015060593A1 (ko) * 2013-10-21 2015-04-3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장치
CN105658566A (zh) * 2013-10-21 2016-06-08 现代电梯株式会社 电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4812A (en) 2005-08-01
WO2005005303A1 (ja) 2005-01-20
TWI260305B (en) 2006-08-21
US7383924B2 (en) 2008-06-10
US20070170003A1 (en) 2007-07-26
CN1774384A (zh) 2006-05-17
JP2005029344A (ja) 2005-02-03
MY136723A (en) 2008-11-28
CN100572250C (zh) 2009-12-23
JP4350988B2 (ja)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6947A (ko)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KR100769386B1 (ko)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KR2004001784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8821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6101154A1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US7413055B2 (en) Elevator
EP1757553B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270831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KR200500517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16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0124033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780499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WO200505645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35087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491300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支持装置
JPWO20050827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6864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4006817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17935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060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24599A (ko)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KR20030003288A (ko) 권양기의 설치방법
KR20070065322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