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6253A -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253A
KR20030006253A KR1020010041957A KR20010041957A KR20030006253A KR 20030006253 A KR20030006253 A KR 20030006253A KR 1020010041957 A KR1020010041957 A KR 1020010041957A KR 20010041957 A KR20010041957 A KR 20010041957A KR 20030006253 A KR20030006253 A KR 2003000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door
switch
door lock
switch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4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253A/ko
Publication of KR2003000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 구조를 단순화함과 더불어 도어 록(lock) 및 해제(release)시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위치 케이스(1)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에 결합되는 스위치 커버(2)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되는 래치홀더(3)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의 래치홀더(3)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홀더(3)의 힌지축(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래치홀더(3)를 구속 또는 석방하게 되는 슬라이드(4)와, 스위치 케이스(1) 중앙부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고정부(1a)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스위치 커버(2)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된 솔레노이드(5)와, 상기 솔레노이드(5) 온시 솔레노이드 내측으로 흡입되어 슬라이드(4)를 하강시키게 되는 플런저(6)와, 상기 플런저(6)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도록 플런저(6) 외주면상에 설치되는 원추형 스프링(7)과, 상기 슬라이드(4)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드(4)의 승강에 따른 단자의 시이소 작용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행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 일측과 슬라이드(4)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 록킹 상태에서 세탁 또는 탈수 진행시 세탁기의 과도진동에 따른 슬라이드(4) 하강에 의해 도어 록킹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device for securing slide at locking position in door lock switch assembly for drum-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함과 더불어 도어 록 및 해제시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일반적으로, 드럼세탁방식은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방식으로서, 세탁물의 포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기존의 드럼세탁기의 개략적 구조 및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 기술장치의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의 드럼세탁기 도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체(13) 내측에는 저수조인 터브(Tub)(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되고, 상기 터브 내측 중앙에는 드럼이 구동모터(도시는 생략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드럼세탁기는 본체(13) 전면에 세탁물 투입 및 인출을 위한도어(15)가 구비된다.
또한, 기존의 드럼세탁기는 세탁중에 도어(15)가 열릴 경우, 드럼 내의 세제·세탁수·세탁물이 빠져나와 주변을 더럽히게 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도어 록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 록 장치는 본체(13) 전면 내측에 구비되는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100)와, 도어(15)의 힌지 반대쪽 선단부에 구비되는 래치(latch)(16)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1)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에 결합되는 스위치 커버(2)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되는 래치홀더(3)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의 래치홀더(3)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홀더(3)의 힌지축(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래치홀더(3)를 구속 또는 석방하게 되는 슬라이드(4)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 중앙부에 고정되어 슬라이드(4)를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와, 상기 슬라이드(4)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드(4)의 승강에 따른 단자의 시이소 작용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래치홀더(3) 일측면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록킹시 도어 선단부의 래치(16)가 걸리는 후크(3a)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3a) 형성면 하단부에는 V자 형태의 요입홈(3c)을 갖는 걸림부(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4)의 일측에는 도어 록킹 해제시 래치홀더(3)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있다가, 도어 록킹시 래치(16)의 미는 힘에 의해 래치홀더(3)가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여 간섭 해제시 래치홀더(3)의 하단부의 요입홈(3c)에 형합되어 래치홀더(3)가 도어 오픈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래치홀더(3)를 구속하는 스톱퍼(4a)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스톱퍼(4a) 및 요입홈(3c)은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구속해제를 위한 슬라이드(4)의 하강시 마찰력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도어 록킹시 스톱퍼(4a)와 래치홀더(3)와의 구속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스톱퍼(4a)는 역(逆) V자형태를 이루게 되고 요입홈(3c)은 스톱퍼(4a)에 비해 보다 넓은 사이각을 갖는 V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는 시이소(seesaw) 작용을 하도록 스위치 케이스(1)의 슬라이드(4) 하부에 설치되는 가동접촉자(8)와, 상기 가동접촉자(8)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가동접촉자(8)의 가동접점에 대응하는 고정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9)와, 상기 고정접촉자(9)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가동접촉자(8) 타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10)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 록킹시 가동접촉자(8)와 고정접촉자(9)의 양 접점이 접촉하도록 가동접촉자(8)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11)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가동접촉자(8)에 회동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는 도시한 토션스프링(11)이 아닌 압축스프링 또는 인장스프링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도어 록킹시 가동접촉자(8)와 고정접촉자(9)의 접점이 온되는 방향으로 가동접촉자(8)에 회동력이 부여되도록 설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동접촉자(8)의 시이소 운동을 위한 지지 수단으로서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케이스(1) 하부에 고정되는 공통접점단자(8a)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공통접점단자(8a) 상단부 내측에는 가동접촉자(8)을 떠받치게 되는 지지턱(800)가 구비되고, 상기 공통접점단자(8a) 상단부의 지지턱(800) 외측에는 공통접점단자에 조립된 가동접촉자(8)가 공통접점단자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이탈방지돌기(805)가 구비되며, 상기 공통접점단자(8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공통접점단자(8a)를 스위치케이스(1)에 조립시 공통접점단자가 스위치케이스(1)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배플(baffle)에 걸려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절곡부(804) 및 요입홈(802)이 구비된다.
한편, 공통접점단자(8a) 상단부 일측에는 플런저(6)의 전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스위치커버(2) 외측으로 노출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접속부(80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통접점단자(8a)에 조립되는 가동접촉자(8)의 중앙부 가장자리에는 공통접점단자(8a)에서 가동접촉자가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가동접촉자의 회동각을 한정해주기 위한 돌기(8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4) 하부면 상에는 플런저(6)와 동축상에 위치하여 슬라이드(4)의 하강시 스위칭부의 가동접촉자(8)를 눌러 접점을 개리시키게 되는 스위치 누름편(4b)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스위치 누름편(4b)의 하단면은 도어 록킹 해제시 가동접촉자(8)가 수평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와 대략 일치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는, 스위치 케이스(1) 중앙부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고정부(1a)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스위치 커버(2)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된 솔레노이드(5)와, 상기 솔레노이드(5) 온시 솔레노이드 내측으로 흡입되어 슬라이드(4)를 하강시키게 되는 플런저(6)와, 상기 플런저(6)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도록 플런저(6) 외주면상에 설치되는 원추형 스프링(7)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4)의 일측에는 도어의 록킹 상태를 수동 해제시, 슬라이드(4)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당김력이 가해지는 스트랩(12)이 연결되는 수동개폐놉(4c)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수동개폐놉(4c)은 스위치 커버(2)에 형성된 통공(2a)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아 도어 록킹 작용이 행해질 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오픈시의 상태에서는 래치홀더(3)의 하단면상에는 슬라이드(4)의 스톱퍼(4a) 상단면이 밀착되어 있어 슬라이드(4)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며, 이 때에는 스위칭부의 접점이 떨어져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오픈 상태에서 도어(15)를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게 되면, 도어 선단부에 구비된 래치(16)가 래치홀더(3)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홀더(3)는 토션스프링(19)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시, 래치홀더(3)의 회전각이 일정각 이상이 되어 래치홀더(3) 하단면과 슬라이드(4)의 스톱퍼(4a) 상단면과의 간섭이 해소되는 순간,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의 플런저(6)는 그 외주면에 설치된 원추형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플런저(6)가 미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4)가 래치홀더(3)의 축방향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슬라이드(4)의 V자형 스톱퍼(4a)가 래치홀더(3) 하단면의 걸림부(3b)에 형성된 V자형의 요입홈(3c) 내에 위치함에 따라 래치홀더(3)의 복귀를 차단하게 된다.
즉, 록킹시에는 도 4c에서와 같이 슬라이드(4)의 V자형 스톱퍼(4a)가 래치홀더(3)의 후크(3a) 형성면 쪽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 록킹시, 즉 슬라이드(4)가 상승하는 플런저(6)의 미는 힘에 의해 상승시 슬라이드(4) 하단부에 형성된 스위치 누름편(4b)에 의해 서로 개리(開離)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접점은 서로 맞닿게 된다.
즉, 슬라이드(4)의 상승과 동시에 스위치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토션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접촉자(8)가 힌지점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8)와 고정접촉자(9)의 접점은 맞닿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접촉자(9)와 가동접촉자(8)의 접점이 맞닿아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세탁기의 구동부와 급수밸브 및 배수펌프에는 전원이 인가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 록 상태에서는 래치홀더(3)를 미는 힘이 제거되더라도 래치홀더(3)의 역전이 방지되어 래치(16)가 래치홀더(3)의 후크(3a)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래치홀더(3)가 슬라이드(4)의 스톱퍼(4a)에 걸려 도어 오픈시의 위치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됨에 따라, 도어(15)에 구비된 래치(16) 또한 래치홀더(3)의 후크(3a) 내측에서 빠져 나올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도어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도어 록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c와 같이 도어 록킹시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록 해제 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눌러, 솔레노이드(5)에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6)는 솔레노이드(5)의 흡인력에 의해 외주면상에 설치된 원추형 스프링(7)을 압축시키면서 래치홀더(3)의 축방향을 따라 도면상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하강하는 플런저(6)는 도 8a와 같이 슬라이드(4) 하부 측벽에 닿은 시점부터 상기 슬라이드(4)를 하부 방향으로 밀어 하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래치홀더(3)의 하단부에 형성된 V자형 요입홈(3c)에 래치홀더(3)의 힌지축(21)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드(4)의 스톱퍼(4a)는 일정시점에서 래치홀더(3) 하단면을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즉, 솔레노이드(5)의 흡입력에 의해 슬라이드(4)가 하강하여 도 4c 상태 및 도 4b 상태를 지나 상기 슬라이드(4)의 스톱퍼(4a)가 래치홀더(3)의 하단부를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래치홀더(3)는 토션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 록 해제 상태인 도 4a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요컨대,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플런저(6)의 하강시 슬라이드(4)는 플런저(6)가 미는 힘에 의해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일정시점을 지나면서 슬라이드(4)와 래치홀더(3)와의 간섭이 완전히 해소됨에 따라 래치홀더(3)는 도어 오픈이 가능한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 록킹 해제시, 슬라이드(4) 하단면에 구비된 스위치 누름편(4b)의 가동접촉자(8)의 접점 반대편을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접촉자(9)와 가동접촉자(8)의 접점은 개리된다.
이 때, 토션스프링(11)은 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래치홀더(3)가 회동하여 도어 오픈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면, 래치홀더(3)의 후크(3a)에 구속되어 있던 도어의 래치(16)는 래치홀더(3)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고정접촉자(9)와 가동접촉자(8)의 접점이 오프됨에 따라 세탁기의 구동부와 급수밸브 그리고 배수펌프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정전(停電) 또는 고장등으로 인해 세탁기에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드럼세탁기 본체 전면 하부 일측에 구비된 커버(20)를 열고, 커버(2) 내측에 설치된 스트랩(12)을 잡아당겨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도어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100)는 동작 신뢰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한 종래의 도어 록 어셈블리(100)는 도어(15)가 록킹된 상태에서 세탁/탈수 행정을 진행중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플런저(6)가 원추형 스프링(7)의 반발력을 이기고 슬라이드(4)를 때려 상기 슬라이드(4)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의 스톱퍼(4a)가 래치홀더(3)의 하단부를 벗어나게 되어 도어의 록킹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도어가 열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세탁 또는 탈수 진행시 언밸런스 등으로 인해 과도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도어 록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드럼세탁기의 도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종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래치홀더와 슬라이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종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스위칭부의 시이소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종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후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도 4a는 도어 오픈시의 상태도
도 4b는 도어 록킹시의 상태도
도 4c는 도어 록킹 후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보여주기 위해 후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도 6a는 도어 오픈시의 상태도
도 6b는 도어 록킹 후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절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스위치 케이스1a:솔레노이드 고정부
1b:하부배플2:스위치 커버
3:래치홀더3a:후크
3b:걸림부3c:요입홈
4:슬라이드4a:스톱퍼
4b:스위치 누름편4c:수동개폐놉
5:솔레노이드6:플런저
7:원추형 스프링8:가동접촉자
8a:공통접점단자800:지지턱
801:돌기802:고정홈
803:전선접속부804:절곡부
805:이탈방지돌기9:고정접촉자
10:전원공급단자11:토션스프링
13:본체15:도어
16:래치50:탄성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결합되는 스위치 커버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되는 래치홀더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래치홀더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홀더의 힌지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래치홀더를 구속 또는 석방하게 되는 슬라이드와, 스위치 케이스중앙부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고정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스위치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 온시 솔레노이드 내측으로 흡입되어 슬라이드를 하강시키게 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도록 플런저 외주면상에 설치되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드의 승강에 따른 스위칭단자의 시이소 작용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서 된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 일측과 슬라이드 사이에,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세탁 및 탈수시의 과도진동에 의해 슬라이드 하강하여 도어 록킹이 해제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탄성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종래 기술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후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도 6a는 도어 오픈시의 상태도이고, 도 6b는 도어 록킹 후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100)는, 스위치 케이스(1)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에 결합되는 스위치 커버(2)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되는 래치홀더(3)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의 래치홀더(3)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홀더(3)의 힌지축(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래치홀더(3)를 구속 또는 석방하게 되는 슬라이드(4)와, 스위치 케이스(1) 중앙부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고정부(1a)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스위치 커버(2)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된 솔레노이드(5)와, 상기 솔레노이드(5) 온시 솔레노이드 내측으로 흡입되어 슬라이드(4)를 하강시키게 되는 플런저(6)와, 상기 플런저(6)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도록 플런저(6) 외주면상에 설치되는 원추형 스프링(7)과, 상기 슬라이드(4)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드(4)의 승강에 따른 단자의 시이소 작용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행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 일측과 슬라이드(4)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 록킹 상태에서의 세탁 또는 탈수 진행시 세탁기의 과도진동에 따른 슬라이드(4)의 하강을 방지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탄성부재(50)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1)의 솔레노이드 고정부(1a)와 슬라이드(4)의 상측벽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어(15)가 록킹된 상태에서 세탁/탈수 행정을 진행중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플런저(6)가 원추형 스프링(7)의 반발력을 이기고 슬라이드(4)를 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100)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1)의 솔레노이드 고정부(1a)와 슬라이드(4)의 상측벽 사이에 탄성부재(50)인 압축스프링이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의 과도 진동에 의해 플런저(6)가 슬라이드(4)를 칠 경우, 탄성부재(50)인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이 플런저(6)가 슬라이드(4)를 치는 힘을 상쇄시킴으로써 슬라이드(4)의 하강이 방지된다.
즉, 상기 압축스프링은 솔레노이드(4)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런저(6)에 대한 흡인력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슬라이드(4)의 하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므로써 세탁 또는 탈수시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경우 1개의 압축스프링만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평면도로서, 도어 록킹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50)로서 인장스프링이 적용된 경우이다.
이와 같이 인장스프링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장스프링이 스위치 케이스(1) 상측벽과 슬라이드(4) 상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세탁기의 과도 진동에 의해 플런저(6)가 슬라이드(4)를 하강하는 방향으로 칠 경우, 상기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이 플런저(6)가 슬라이드(4)를 하강하는 방향으로 치는 힘을 상쇄시킴으로써 슬라이드(4)의 하강이 방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절개 평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도어 록킹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50)로서 압축스프링이 적용되며, 상기 압축스프링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1)의 슬라이드(4) 하부에 형성되어 슬라이드의 하강거리를 한정하는 하부 배플(1b)(lower baffle)과 상기 슬라이드(4)의 하측벽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1) 및 슬라이드(4)의 탄성부재 설치위치에는, 상기 압축스프링 또는 인장스프링 설치시 이들의 설치 위치를 안내함과 더불어 설치 위치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전술한 기존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종래의 도어 록 어셈블리는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세탁/탈수 행정을 진행중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플런저가 슬라이드를 쳐서 이동시키므로써 도어의 록킹 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는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세탁 또는 탈수 행정 진행중 발생하는 과도 진동에 의해 플런저가 슬라이드를 치더라도 그 힘이 상기 슬라이드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쇄되어 슬라이드의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는 세탁 및 탈수시 세탁기의 진동에 의해 도어의 록킹이 유지되지 않고 개방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므로써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결합되는 스위치 커버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되는 래치홀더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래치홀더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홀더의 힌지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래치홀더를 구속 또는 석방하게 되는 슬라이드와, 스위치 케이스 중앙부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고정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스위치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 온시 솔레노이드 내측으로 흡입되어 슬라이드를 하강시키게 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도록 플런저 외주면상에 설치되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드의 승강에 따른 스위칭단자의 시이소 작용에 의해 스위칭 작용을 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서 된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 일측과 슬라이드 사이에,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세탁 및 탈수시의 과도 진동에 의해 슬라이드가 하강하여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솔레노이드 고정부와 슬라이드의 상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 상측벽과 슬라이드 상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슬라이드 하부에 형성되어 슬라이드의 하강거리를 한정하는 하부배플과 상기 슬라이드의 하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와 슬라이드의 탄성부재 설치 위치에는, 탄성부재의 설치시 이들의 설치 위치를 안내함과 더불어 설치된 후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나 가이드 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KR1020010041957A 2001-07-12 2001-07-12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KR20030006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957A KR20030006253A (ko) 2001-07-12 2001-07-12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957A KR20030006253A (ko) 2001-07-12 2001-07-12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253A true KR20030006253A (ko) 2003-01-23

Family

ID=2771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957A KR20030006253A (ko) 2001-07-12 2001-07-12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25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784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0697223B1 (ko) * 2005-01-12 2007-03-21 (주)엔티텍 드럼세탁기의 도어로커장치
KR100762339B1 (ko) * 2006-05-30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후크모듈 지지 구조
KR100856683B1 (ko) * 2008-05-28 2008-09-0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KR100861062B1 (ko) * 2007-08-10 2008-09-3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 록 및 도어 록 스위치
KR101276692B1 (ko) * 2006-06-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KR101431448B1 (ko) * 2008-10-29 2014-08-2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467779B1 (ko) * 2008-04-30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US20160016574A1 (en) * 2014-07-17 2016-0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 brake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784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0697223B1 (ko) * 2005-01-12 2007-03-21 (주)엔티텍 드럼세탁기의 도어로커장치
KR100762339B1 (ko) * 2006-05-30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후크모듈 지지 구조
KR101276692B1 (ko) * 2006-06-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KR100861062B1 (ko) * 2007-08-10 2008-09-3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 록 및 도어 록 스위치
KR101467779B1 (ko) * 2008-04-30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100856683B1 (ko) * 2008-05-28 2008-09-0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KR101431448B1 (ko) * 2008-10-29 2014-08-2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20160016574A1 (en) * 2014-07-17 2016-0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 brak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3377B2 (en) Door lock switch assembly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8026686B (zh) 门锁定装置以及具有该门锁定装置的洗衣机
KR100457586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EP2141277A1 (en)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items, in particular a washing machine
KR201000543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030006253A (ko)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CN110241563B (zh) 小型化的门锁装置
CN112112500B (zh) 一种用于电器的门锁机构及具有该门锁机构的洗碗机
KR10060669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
KR20070002458A (ko) 도어 어셈블리
KR10213953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391333Y1 (ko) 도어 힌지
KR10033511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
CN213366418U (zh) 一种门开关及电器
KR10069095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로커장치
CN113969491B (zh) 衣物处理装置
KR10071984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207654B1 (ko)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KR20060120937A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KR20000001781U (ko)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KR20070036468A (ko) 드럼 세탁기
KR102496579B1 (ko) 의류처리장치
KR19990030944U (ko) 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36631Y1 (ko) 세탁기의도어장치
KR930003704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