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6692B1 -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692B1
KR101276692B1 KR1020060052131A KR20060052131A KR101276692B1 KR 101276692 B1 KR101276692 B1 KR 101276692B1 KR 1020060052131 A KR1020060052131 A KR 1020060052131A KR 20060052131 A KR20060052131 A KR 20060052131A KR 101276692 B1 KR101276692 B1 KR 10127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shing machine
hook
coating lay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909A (ko
Inventor
이윤상
여동복
윤성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69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형성된 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래치를 구속/해제하도록 세탁기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 래치와 도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도어 래치와 도어 스위치 상호간의 마찰이 줄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운전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세탁기, 도어, 도어 래치, 도어 스위치, 코팅층

Description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Door lock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의 도어가 분해되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가 도어를 록킹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가 도어를 록킹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의 안전 레버가 스위치의 접점을 해제시킨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12a: 래치 관통홀
14: 도어 래치 15: 후크
15a: 머리부 16: 핸들
40: 도어 스위치 50: 스위치 바디
54: 걸림부 60: 안전 레버
80: 슬라이더 150,160,170,180: 코팅층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래치와 도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가 용해된 물 또는 깨끗한 물(이하, '세탁수'라 칭함)의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 출입구(1)가 형성된 캐비닛(2)과, 상기 포 출입구(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와,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20)와, 상기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급수 밸브(22)를 포함한 급수장치(24)와, 상기 터브(20) 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도록 배수 펌프(26)를 포함하는 배수장치(28)와, 상기 터브(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포(m)가 수용되는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터브(20)에 설치된 모터(32)와, 상기 도어(10)를 록킹/해제시킴과 아울러 도어(10)의 열림시 상기 급수 밸브(22)와 배수 펌프(26)와 모터(32) 등(이하, 전기 구동 장치라 칭함)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도어 스위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캐비닛(2)에 힌지 부재(12)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힌지 부재(12)가 연결되는 맞은편측 배면에 상기 도어(10)의 록킹을 위한 도어 래치(14)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40)는 도어 래치(14)를 걸림/해제시키는 것으로서, 도어 스위치(40)가 도어 래치(14)를 구속하면 도어(10)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하고, 도어 스위치(40)가 도어 래치(14)를 구속하지 않으면 도어(10)가 열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도어(10)의 개폐시 도어 래치(14)와 도어 스위치 (40)의 마찰이 큰 경우 개폐 동작에 큰 힘이 소요될 수 있고, 세탁기의 동작 중에 마찰 소음이 과다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래치와 도어 스위치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은 힘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운전 중에 마찰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세탁기에 형성된 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래치를 구속/해제하도록 세탁기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 래치와 도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도어 래치의 표면 전체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래치는 상기 도어 스위치에 의해 걸림/해제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후크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래치는 상기 후크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후크와 핸들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세탁기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래치가 관통되어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도어 래치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스위치 바디와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 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안전 레버에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테프론 코팅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의 도어가 분해되어 도시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가 도어를 록킹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가 도어를 록킹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1 실시예의 안전 레버가 스위치의 접점을 해제 시킨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에 형성된 포 출입구(1)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10)와; 상기 도어(10)에 설치된 도어 래치(14)와; 상기 도어 래치(14)를 구속/해제하도록 세탁기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어 래치(14)와 도어 스위치(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호간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코팅층(150)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1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방 도어 프레임(11)과,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11)의 후방에 결합되고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 도어 프레임(12)과,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11)과 후방 도어 프레임(12)의 사이에 가장자리가 설치된 도어 글래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11)에는 상기 도어 래치(14)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홀(11a)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 도어 프레임(12)에는 상기 도어 래치(14)가 관통되는 래치 관통홀(12a)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 래치(14)는 상기 도어(10) 특히, 후방 도어 프레임(12)에 형성된 래치 관통홀(12a)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스위치(40)에 의해 걸림/해제되는 후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15)는 머리부(15a)가 머리부 이외 부분(15b) 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5a)는 머리부 이외의 부분(15b)과 직교하게 단턱진 수직면(15c)과, 상기 도어 스위치(40)로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도어 스위치(40)와 접촉되는 경사면(15d)과, 상기 도어 스위치(40)로 삽입된 후 상기 도어 스위치(40)에 걸림되도록 머리부 이외의 부분(15b)에서 연장되는 연장면(15e)을 갖는다.
한편, 상기 도어 래치(14)는 상기 후크(15)의 회전 여부 및 핸들(16)의 유무 여부에 따라 핸들 타입과 비핸들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핸들 타입은 후크(15)의 회전을 위한 핸들(16)이 구비되어, 핸들(16)의 조작과 도어 스위치(40)의 제어에 의해 도어(10)의 구속/해제가 결정되고, 상기 비핸들 타입은 후크(15)가 도어(10)에 고정 설치되어 도어(10)를 밀고 당기는 조작과 도어 스위치(40)의 제어에 의해 도어(10)의 구속/해제가 결정된다.
상기 도어 래치(14)가 핸들 타입일 경우 상기 핸들(16)이 상기 후크(15)와 별도로 성형되어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핸들(16)과 후크(15)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상기 후크(15)와 핸들(16)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17)와, 상기 도어(10)를 여닫을 때 후크(15)가 탄성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15)와 핸들(16)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16)는 상기 도어(10)에 형성된 지지부(11b)(11c)에 양단이 지지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40)는 세탁기 특히, 캐비닛(2)에 장착된 스위치 바디(50) 와, 상기 후크(15)가 상기 걸림부(5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바디(50)는, 상기 후크(15)가 후방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전방으로 걸리는 걸림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바디(50)는 캐비닛(2)의 전면부 배면에 스크류(53)로 체결된다.
상기 스위치 바디(50)는 상기 걸림부(54)가 형성된 리어 플레이트(55)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55)와 후크 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프론트 하우징(56)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바디(50)는 내부에 도어(10)의 강제 열림시 모터나 급수 밸브나 배수 펌프 등(이하, 전기 구동장치라 칭함)으로 전류가 입력되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전기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스위칭 회로를 구비된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전기 구동장치로 입력되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고정 단자(84)와, 상기 고정 단자(84)에 접점되는 가동 단자(8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단자(84)는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끼움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동 단자(86)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단자(84)와 접점/해제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위치 바디(50)에는 상기 슬라이더(80)가 상기 도어(10)의 후크(15)에 의해 옆 방향(도 3의 좌측)으로 밀릴 때 슬라이더(80)에 의해 압축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의 후크(15)가 상기 걸림부(54)에 관통되지 않을 때 인장되어 슬라이더(80)를 옆 방향(도 3의 우측)으로 밀어내는 복원 스프링 (58)이 장착된다.
상기 복원 스프링(58)은 일단이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형성된 걸림턱(59)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80)에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80)는, 상기 도어(10)의 후크(15)가 삽입되는 삽입홀부(81)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80)는 상기 슬라이더(80)가 상기 도어(10)의 후크(15)에 의해 밀리도록 상기 삽입홀부(81)의 일측 옆에는 제 1 돌출부(82)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80)는 상기 도어(10)의 후크(15)가 상기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 옆에 도어 열림 방향으로 걸릴 때 상기 도어(10)의 후크(15)의 좌우 이동을 제한되도록 상기 삽입홀부(81)의 타측 옆에 제 2 돌출부(83)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40)는 도어(10)의 강제 열림에 의해 상기 후크(15)가 걸림부(54)를 빠져 나갈 때 상기 가동 단자(86)를 고정 단자(84)에서 접점 해제시키는 안전 레버(60)와, 상기 도어(10)의 후크(15)가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에 걸리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80)를 구속하거나 상기 안전 레버(60)에 의해 눌림되어 고정 단자(84)와 가동 단자(86)를 접점 해제시키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전후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록킹 핀(90)과, 상기 가동 단자(86)를 고정 단자(84)에 접촉시키도록 설치된 바이메탈(100)과, 상기 바이메탈(100)을 가열하는 히터(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 레버(60)는 상기 스위치 바디(50)의 후방으로 회전 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일단이 힌지 연결부(51)(52)(61)(62)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 레버(60)는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전방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50)와 안전 스프링(63)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 레버(60)는 상기 힌지 연결부(51)(52)(61)(62)의 맞은편에 상기 도어(10)의 후크(15)에 접촉되는 접촉부(64)가 형성된다.
상기 안전 레버(60)는 일측에는 상기 록킹 핀(90)을 누르기 위한 돌기(65)가 돌출된다.
상기 록킹 핀(90)은 상기 가동 단자(86)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전,후 걸이부(91,92)가 형성된다.
상기 바이메탈(100)은 열팽창율이 서로 다르고 밀착된 두 개의 금속판(101,102)으로 구성되고, 히터(110) 및 가동 단자(86)와 접하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110)는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설치된다.
상기 코팅층(150)은 도어 래치(14)와 도어 스위치(40)의 마찰을 줄여 도어(10)의 개폐 동작시나 세탁기의 진동시 도어 래치(14)가 도어 스위치(40)와 어느 정도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어 래치(14) 가 도어 스위치(40)에서 쉽게 분리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오히려 코팅층(150)이 형성되지 않아야 하나, 도어 래치(14)가 도어 스위치(4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리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코팅층(150)이 형성하여 마찰력을 줄이면, 열림력/닫힘력이 최소화됨과 아울러 마찰 소음이 최소화되게 된다.
상기 코팅층(150)은 상기 도어 래치(14)와 도어 스위치(40)의 둘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래치(14)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코팅층(150)은 상기 도어 래치(14)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도어 래치(14) 중에서 상기 후크(15)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도어 래치(14) 뿐만 아니라 상기 샤프트(17)와 스프링(18) 에도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코팅층(150)이 상기 후크(15)에만 형성될 경우, 코팅 재료의 소비량이 적어 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후크(15) 이외의 부분이 코팅층(150)의 건조 공정 등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는 바, 도어 래치(14)의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150)은 도막 두께 10㎛ ∼20㎛의 테프론(불소수지 PTFE: Poly Tetra Fluoro Ethylene) 코팅 특히, 테프론-S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회 코팅 후 컨베이어 타입의 건조로에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프론 코팅은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화학적 비활성 및 내열성, 비점착성, 우수한 절연 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등의 특성들을 갖는다.
상기 테프론 코팅층(150)의 건조는 대략 200℃에서 복수회 실시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참조 부호 57은 상기 안전 스프링(63)의 일단이 스위치 바디(50)에 걸리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50)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봉부(57)이다.
참조 부호 66은 상기 안전 스프링(63)의 타단이 안전 레버(60)에 걸리도록 상기 안전 레버(60)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봉부(66)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어 래치(14)의 후크(15)를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로 삽입시키면, 상기 후크(15)는 머리부(15a) 표면의 코팅층(150)이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와 접촉되면서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에 부드럽게 미끄러지고, 머리부(15a)가 상기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와 슬라이더(80)의 삽입홀부(81)를 차례로 관통한다.
상기 도어 래치(14)의 후크(15)는 머리부(15a)가 상기 슬라이더(80)의 삽입홀부(81)를 관통하면서 머리부(15a) 표면의 코팅층(150)이 상기 슬라이더(80)의 제 1 돌출부(82)와 접촉되어 부드럽게 미끄러지고, 상기 슬라이더(80)의 제 1 돌출부(82)를 옆(도 5 및 도 6의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슬라이더(80)는 상기 도어 래치(14)의 후크(15)에 의해 옆(도 5 및 도 6의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복원 스프링(58)을 압축시키고, 이때, 상기 슬라이더(80)의 제 2 돌출부(8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5)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L)에 이르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80)는 상기 제 2 돌출부(83)가 상기 후크(15)의 머리부(15a) 표면의 코팅층(150)과 접촉되어 상기 도어 래치(14)의 후크(15)를 구속하고, 상기 도어 래치(14)의 후크(15)는 머리부(15a) 표면의 코팅층(150)이 상기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의 옆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 열림 방향(즉, 전방 방향)으로 걸림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래치(14)의 후크(15) 삽입시, 상기 후크(15)는 머리부(15a) 표면의 코팅층(150)이 상기 안전레버(60)의 접촉부(64)와 접촉되어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상기 안전 레버(60)를 도어 닫힘 방향(즉, 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안전 스프링(63)은 안전 레버(60)에 의해 인장된다.
즉, 상기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후크(15)가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 슬라이더(80), 안전 레버(60)와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 옆에 도어 열림 방향으로 걸림되며,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도어(10)를 닫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 닫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세탁기는 상기 히터(110)에 전류를 인가시키고, 상기 히터(110)는 전류 인가시 발열되어 상기 바이메탈(100)을 가열시키며, 상기 바이메탈(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금속(101,102)의 열팽창 차에 의해 열팽창이 작은 금속의 방향으로 휘게 되며, 이때 상기 가동 단자(86)는 상기 바이메탈(100)과 같이 휘면서 고정 단자(84)에 접점된다.
상기 가동 접촉자(84)와 고정 접촉자(86)의 접점시 상기 세탁기의 모터나 급 수 밸브나 배수 펌프 등의 전기 구동장치는 전류 공급부로부터 전류 인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가동 단자(86)는 그 휨에 의해 상기 고정 단자(84)와 접점되어 있는 동안 상기 록킹 핀(90)을 슬라이더 걸림 위치(L′)로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더(80)가 록킹 핀(90)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도어(10)의 후크(15)는 상기 슬라이더(80) 특히 제 2 돌출부(83)의 구속에 의해 상기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를 통해 빠져나오지 못하며, 상기 도어(10)는 록킹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와 같이 도어(10)가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등의 전기 구동장치가 구동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세탁,헹굼,탈수,건조 등의 각종 행정이 진행된다.
한편, 상기 세탁기는 상기와 같은 각종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후크(15)가 진동 등에 의해 미세하게 흔들릴 수 있고, 이때 상기 후크(15)는 상기 코팅층(160)이 스위치 바디(50) 등과 어느 정도 미끄러지고, 상기 후크(15)의 흔들림에 따른 마찰 소음은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와 같은 각종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핸들(16)을 잡으면서 상기 도어(10)를 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상기 후크(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5a)가 상기 슬라이더(80)의 제 2 돌출부(83)를 상기 후크(15) 삽입시의 반대 방향으로 밀면서 그 표면의 코팅층(150)이 상기 안전 레버(60)의 접촉부(64)와, 슬라이더(80)의 삽입홀부(81)와, 스위치 바디(50)의 걸 림부(54)를 차례로 미끄러지고, 상기 도어(10)의 후크(15)는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를 빠져나온다.
즉, 상기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후크(15)가 안전 레버(60), 슬라이더(80),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와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 옆에 도어 열림 방향으로 걸림된다.
이때, 상기 안전 레버(60)는 상기 안전 스프링(63)의 압축력에 의해 도어 열림 방향(즉, 전방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돌기(6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핀(90)을 눌러 상기 록킹 핀(9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가동 단자(86)는 상기 록킹 핀(90)에 의해 고정 단자(84)와의 접점이 해제되고, 상기 세탁기의 모터나 급수 장치나 배수 장치 등의 전기 구동장치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게 되어, 그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세탁기는 상기와 같은 각종 행정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히터(110)에 인가되던 전류는 차단되고, 상기 바이메탈(100)은 상기 열팽창에 의해 휘었던 금속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가동 단자(86)가 고정 단자(84)에서 접점해제 되게 하며, 가동 단자(86)는 록킹 핀(90)을 슬라이더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더(80)는 록킹 핀(90)에 의해 구속되지 않게 되고, 상기 도어(10)는 록킹 상태가 해제, 즉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16)을 잡으면, 상기 후크(15)는 핸들(16)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머리부(15a) 표면의 코팅층(150)이 슬라이더(80)의 제 2 돌출부(83) 및 안 전 레버(60)의 접촉부(64)와 부드럽게 미끄러지고, 그 머리부(15a)가 상기 슬라이더(80)의 제 2 돌출부(83)를 상기 후크(15) 삽입시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16)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를 전방으로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후크(16)는 그 표면의 코팅층(150)이 슬라이더(80)의 삽입홀부(81)와,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를 차례로 미끄러지고, 상기 도어(10)의 후크(15)는 스위치 바디(50)의 걸림부(54)에서 부드럽게 빠져나오게 되며, 상기 도어(10)는 전방으로 열리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160)이 도어 래치(14) 중에서 도어 스위치(40)와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인 후크(15)의 표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160)이 후크(15)의 표면에만 형성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경우 보다 코팅층(160)의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170)이 도어 스위치(40)에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170)이 도어 스위치(40)에 형성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팅층(170)은 도어 스위치(40) 중에서 후크(15)와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인 스위치 바디(50)와 슬라이더(80)와 안전 레버(6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코팅층(170)이 세탁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도어 스위치(40)에 형성되므로, 그 외관이나 색상 등을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코팅 작업이 용이하고 코팅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180)이 도어 스위치(40) 중에서 후크(15)가 가장 많이 접촉되는 스위치 바디(50)에만 형성되고, 그 중에서도 특히 후크(15)가 직접적으로 주로 접촉되는 걸림부(54)에만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180)이 걸림부(54)에 형성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 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코팅층(180)이 스위치 바디(50)에 중에서 걸림부(54)에만 형성되어 코팅층(180)의 재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테프론 코팅층 이외의 다른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손잡이홀(11a)을 통해 도어(10)의 내부가 보이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별도의 도어 데코가 도어(10)에 설치됨과 아울러 도어 데코에 상기 샤프트(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도어 래치와 도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상호간의 마찰이 줄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운전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는, 코팅층이 도어 래치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코팅층을 도어 래치의 일부에 형성할 때 보다 코팅 작업이 용이하고, 일부에 코팅층을 형성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다른 부분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세탁기에 형성된 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래치에 배치된 후크; 및
    상기 도어 래치를 구속/해제하도록 상기 후크를 걸림/해제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도어 래치의 표면 전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후크의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는 상기 후크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후크와 핸들의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위치는 세탁기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래치가 관통되어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도어 래치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스위치 바디와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 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안전 레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테프론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KR1020060052131A 2006-06-09 2006-06-09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KR10127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31A KR101276692B1 (ko) 2006-06-09 2006-06-09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31A KR101276692B1 (ko) 2006-06-09 2006-06-09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909A KR20070117909A (ko) 2007-12-13
KR101276692B1 true KR101276692B1 (ko) 2013-06-19

Family

ID=3914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131A KR101276692B1 (ko) 2006-06-09 2006-06-09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188B1 (ko) * 2016-07-05 202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CN111691133A (zh) * 2019-03-12 2020-09-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门锁防呆安装结构及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206U (ko) * 1994-09-09 1996-04-15 전자동 세탁기의 모터 방진장치
KR20030006253A (ko) * 2001-07-12 2003-0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206U (ko) * 1994-09-09 1996-04-15 전자동 세탁기의 모터 방진장치
KR20030006253A (ko) * 2001-07-12 2003-0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909A (ko)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070B2 (en) Door power interruption safety switch of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8026686B (zh) 门锁定装置以及具有该门锁定装置的洗衣机
JP4898787B2 (ja) 家庭用機器のための閉鎖部材
KR100656273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US87202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053624B1 (ko) 의류처리장치
US8256249B2 (en) Laundry machine
KR20030071523A (ko) 가전제품의 도어 래치, 가전제품의 도어 래치용 유닛과 그작동 방법, 가전제품의 도어 래치용 컨트롤 유닛 및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894453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closing of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washing machine, such as a dishwasher
KR20090115018A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JP2001204991A (ja) ドラム洗濯機のドアロックスイッチアセンブリ
KR101276692B1 (ko) 세탁기의 도어 록 기구
KR20100082662A (ko) 도어 잠금 스위치 및 그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EP0965677B1 (en) A door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101054410B1 (ko) 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JP2003190691A (ja) ドアロック装置を備えた洗濯機
KR100883413B1 (ko) 세탁기용 도어 록 및 도어 록 스위치
KR101063529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70867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176134B1 (ko) 세탁기용 도어 스위치
KR100461689B1 (ko) 세탁기의 도어 록킹장치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20070070779A (ko) 세탁기용 도어 스위치
US20110101840A1 (en) Door-locking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arrangement comprising a door-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20100081225A (ko) 드럼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