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80784A -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784A
KR20050080784A KR1020040008876A KR20040008876A KR20050080784A KR 20050080784 A KR20050080784 A KR 20050080784A KR 1020040008876 A KR1020040008876 A KR 1020040008876A KR 20040008876 A KR20040008876 A KR 20040008876A KR 20050080784 A KR20050080784 A KR 2005008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member
door
slid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왕석
장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784A/ko
Publication of KR2005008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7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도어를 강제 록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개시된다. 도어록킹장치는 도어에 설치된 걸쇠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걸쇠가 잠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케이스에는 걸쇠를 풀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는 록킹부재와, 록킹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록킹부재가 지지부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걸쇠를 강제로 록킹시키는 슬라이더가 설치된다. 슬라이더는 솔레노이드에 끼워져서 진퇴되는 플런저에 연결되어 플런저와 함께 전진한 위치에서 록킹부재를 지지부재로 밀게 됨으로써 지지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Door Locking Apparatus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척수 또는 세척실의 내부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도어를 강제로 록킹시켜서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한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여 세척실에 넣어진 식기들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는 식기들이 안치되어 세척실 공간에서 여러 방향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식기바스켓과 하부 식기바스켓이 각각 설치되며, 세척실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집수하는 집수통과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세척수 순환펌프, 그리고 세척수를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가 설치된다.
또한, 세척실에는 세척수 순환펌프와 연결된 분사덕트들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상부 및 하부 식기 바스켓들로 분사시켜서 식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배치되어 있으며, 배수펌프의 배출구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서 세척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세척수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분사덕트들을 통해 분사노즐들로 공급된 세척수가 분사노즐들에서 여러 방향으로 분사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식기바스켓에 안치된 식기들이 세척되게 되며, 세척이 완료되어 배수펌프가 작동하게 되면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에서는 세척작용과 살균작용을 높이기 위해 뜨거운 세척수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뜨거운 세척수를 사용하게 되면 식기들을 더욱 깨끗하고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식기들에 달라붙은 세균을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식기세척기에서 뜨거운 세척수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세척실에서 뜨거운 세척수로 식기들을 세척하는 도중에 도어를 개방시키기 못하게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한 동작에 의해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데, 종래의 식기세척기에서는 세척수 또는 세척실의 내부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도어가 강제로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킹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서 뜨거운 세척수를 사용하여 식기들을 세척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수 또는 세척실의 내부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도어를 강제로 록킹시켜서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한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며 세척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와, 상기 도어를 록킹/언록킹 시키는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록킹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걸쇠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걸쇠가 잠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걸쇠를 풀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걸쇠를 강제로 록킹시키는 슬라이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걸쇠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진입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진입홀을 사이에 두고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걸쇠가 진퇴됨에 따라 상기 걸쇠가 걸려지거나 풀려지게 한다.
상기 각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걸쇠와 연동하여 상기 각 지지부재를 상기 걸쇠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제 1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제 2 스프링에 의해 정상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진퇴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부재에는 상기 록킹부재를 향해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각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각 걸림홀이 상기 각 걸림돌기에 끼워지거나 빠지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잠그거나 풀리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록킹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드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걸쇠의 걸림동작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스위치 작동부재와,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를 원위치시키는 제 3 스프링과,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의 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개폐감지 스위치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위에 배치되는 제 4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와 제 3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진퇴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록킹부재를 가로질러서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는 대략 하트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후크가 배치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른 상기 플런저의 후진 동작시 상기 후크가 상기 홈의 제 1 단과 제 2 단에 반복적으로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교번적으로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록킹감지 스위치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솔레노이드는 세척수 또는 상기 세척실의 내부온도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강제 록킹시키거나 록킹 해제시키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를 구비하여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실(4)이 마련되어 있으며,이 세척실(4)에는 상부 식기바스켓(5)과 하부 식기바스켓(6)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세척실(2)의 하부에는 집수통(7)과 세척수 순환펌프(미도시), 그리고 배수펌프(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우징(2)의 내부에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실(4)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8)과, 세척수 순환펌프와 연결된 연결관(9)과, 상기 연결관(9)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관(8)을 통해 세척실(4)에 세척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세척수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집수통(7)에 수집된 물이 연결관(9)을 통해 분사노즐(10)로 공급되고, 분사노즐(10)에서 여러 방향으로 물이 분사됨으로써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식기의 세척작용과 살균작용을 높이기 위해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고온이 되도록 가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높은 온도의 세척수를 사용하게 되면 세척실(4)의 온도는 높게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가 작동됨에 따라 세척실(4)의 온도가 높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3)를 열지 못하게 하여 안전하게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식기세척기(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20)는 하우징(2)의 상부에 설치되는 걸쇠(21)와, 하우징(2)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 도어(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쇠(21)가 잠겨지게 하거나 풀려지게 하는 케이스(30)를 구비하여서 도어(3)가 하우징(2)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걸쇠(21)가 도어(3)에 설치되고, 케이스(30)가 하우징(2)에 설치되는 배치구조에 의해서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걸쇠가 케이스에 걸려지게 되는 것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걸쇠가 강제로 록킹되는 것을 보인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는 케이스 본체(31)와 케이스 커버(32)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그 내부에 걸쇠(21)를 잠겨지고 풀려지게 함과 동시에 강제 록킹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 즉 지지부재(40)들과 록킹부재(50), 스위치 작동부재(60)와 슬라이더(90) 등이 내장되게 된다.
케이스 본체(31)에는 하우징(2)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3)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2)을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동작을 하게 됨에 따라 식기세척기(1)의 하우징(2)에 설치된 걸쇠(21)가 케이스(30)의 내부로 진입하게 하거나 빠져나가게 하는 진입홀(31a)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진입홀(31a)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배치되어 도어(3)가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걸쇠(21)가 케이스(30)의 내부에 잠겨지게 하거나 케이스(30)에서 풀려지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40)들을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케이스 본체(31)의 내면에는 사각형상의 리브(33)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리브(33)의 양측 단부와 각 지지부재(40) 사이에는 걸쇠(21)와 연동하여 각 지지부재(40)를 걸쇠(21)의 이동방향인 전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좌우방향)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제 1 스프링(41)이 배치되어 있다.
걸쇠(21)는 그 선단부가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양측면이 지지부재(40)들에 의해 걸려지게 되는 걸림턱(22)을 형성하게 된다(도 3 참조). 따라서, 도어(3)를 폐쇄하면 걸쇠(21)가 진입홀(31a)로 진입하게 되어 제 1 스프링(41)들을 압축하면서 지지부재(40)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도록 밀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턱(22)이 각 지지부재(40)를 통과하게 되면서 지지부재(40)들에 걸려져서 걸쇠(21)가 잠겨지게 되며, 도어(3)를 당기게 되면 걸림턱(22)이 지지부재(40)들을 밀어서 제 1 스프링(41)들이 압축되면서 걸림턱(22)이 진입홀(31a)을 빠져나와서 걸쇠(21)가 풀려지게 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각 지지부재(40)는 리브(33)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3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이 지지부재(40)들에는 후술하는 록킹부재(50)에 걸려질 수 있도록 케이스 커버(32)를 향해 돌출한 복수의 걸림돌기(4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40)들의 후방에는 지지부재(4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걸쇠(21)의 걸림턱(22)이 지지부재(4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강제로 억제하는 록킹부재(50)가 배치된다.
상기 록킹부재(50)는 지지부재(40)들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제 1 단(힌지단)(51)이 케이스 본체(31)에 형성된 힌지축(35)에 힌지 결합되어서 제 2 단(자유단)(52)이 제 1 단(51)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록킹부재(50)의 대략 중간지점과 제 2 단(52)에 인접한 지점에는 록킹부재(50)가 전후방향으로 진퇴되는 동작에 의해 지지부재(40)들의 걸림돌기(43)에 걸려지거나 빠지게 되는 복수의 걸림홀(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31)의 리브(33)의 내측과 록킹부재(50) 사이에는 제 2 스프링(54)이 배치되어 록킹부재(50)가 후방, 즉 케이스 커버(32)로 밀려지게 하는 탄성력을 작용시켜서 정상상태에서는 록킹부재(50)의 걸림홀(53)들이 각 지지부재(40)의 걸림돌기(43)에서 빠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록킹부재(50)의 후방에는 도어(3)의 폐쇄 동작시 걸쇠(21)가 진입홀(31a)을 통해 케이스 본체(31)로 진입할 때 걸쇠(21)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도록 배치되는 스위치 작동부재(60)가 설치되며, 케이스 본체(3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60)의 진퇴동작에 의해 온/오프되어서 도어(3)의 개폐를 감지하게 되는 개폐감지 스위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부재(60)는 걸쇠(21)의 진입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걸쇠(21)의 진입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밀림부(61)와,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개폐감지 스위치(70)의 스위치부(71)를 동작시키는 작동부(62)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록킹부재(50)의 후면을 받쳐주는 받침부(63)와, 하단부분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케이스 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리브(36)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6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스위치 작동부재(60)의 힌지축(64)들 중의 어느 하나에는 스위치 작동부재(60)가 전방, 즉 케이스 본체(31)를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 3 스프링(65)이 끼워져서 정상상태 즉, 걸쇠(21)가 케이스(30)에 걸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동부(62)가 개폐감지 스위치(70)의 스위치부(71)를 밀어서 개폐감지 스위치(70)가 온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도어(3)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게 한다.
상기 제 3 스프링(65)은 토션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져서 양단이 각각 케이스 본체(31)와 스위치 작동부재(60)의 작동부(62)의 후면에 지지되어 스위치 작동부재(60)가 케이스 본체(31)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개폐감지 스위치(70)에 대향하는 케이스 본체(31)의 반대측 단부에는 일정조건에서 작동하여 록킹부재(50)가 지지부재(40)들을 움직이지 못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80)와 플런저(81), 그리고 슬라이더(90)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80)와 플런저(81)와 슬라이더(90)는 케이스 본체(31)의 내부에서 스위치 작동부재(60)와 함께 병렬을 이루어 배치되며, 도어(3)를 강제로 록킹시키지 않는 정상상태에서 슬라이더(90)의 일단부는 록킹부재(50)의 힌지단인 제 1 단(51) 부위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플런저(81)는 솔레노이드(80)의 중심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서 솔레노이드(8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면 솔레노이드(80)의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 플런저(81)의 외주위에는 제 4 스프링(84)이 감겨져서 플런저(81)를 솔레노이드(80)의 외측, 즉 록킹부재(50)를 향해 밀치게 하는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슬라이더(90)는 그 일단부에 플런저(81)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91)가 마련되어 플런저(81)와 일체로 좌우방향으로 진퇴되는 동작을 하게 되며, 슬라이더(90)의 타측 단부는 록킹부재(50)의 제 1 단부(51) 부위까지 연장하여 솔레노이드(80)의 작동에 따라 록킹부재(50)를 가로질러서 위치하게 되어 록킹부재(50)가 지지부재(40)들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92)로 기능하게 된다.
슬라이더(90)의 전면에는 대략 하트형상을 이루어 형성된 홈(9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31)의 내면에는 상기 홈(93)에 끼워지는 후크(94)가 배치되어 있어서, 솔레노이드(80)의 작동에 의해 플런저(81)가 후진하는 동작에 따라 후크(94)가 홈(93)의 제 1 단(93a)과 제 2 단(93b)에 교번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후크(94)가 홈(93)의 제 1 단(93a)에 걸려지게 되면 슬라이더(90)의 스토퍼(92)가 록킹부재(50)의 제 1 단(51)에 위치하게 되어 록킹부재(50)가 제 2 스프링(54)에 의해 후방으로 밀쳐져서 배치되게 되고, 후크(94)가 홈(93)의 제 2 단(93b)에 걸려지게 되면 스토퍼(92)가 록킹부재(50)의 제 2 단(52)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서 록킹부재(50)가 케이스 본체(31)를 향해 전진하여 록킹부재(50)의 걸림홀(53)들이 각 지지부재(40)의 걸림돌기(43)들에 끼워져서 지지부재(40)들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강제로 억제함으로써 걸쇠(21)가 케이스(30)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31)의 내부에서 슬라이더(90)의 이동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더(90)의 전면과 케이스 본체(31)에는 각각 복수의 가이드 돌기(95)(96)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90)의 후방에는 걸쇠(21)가 케이스(30)에 강제로 록킹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슬라이더(90)의 진퇴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록킹감지 스위치(9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감지 스위치(96)는 제 1 접점부(97)와 제 2 접점부(98)로 이루어져서 이 제 1 및 제 2 접점부(97)(98)가 서로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됨에 따라 록킹감지 스위치(96)가 온 또는 오프되게 됨으로써 강제 록킹 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9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 1 접점부(97)가 제 2 접점부(98)에 접촉되거나 서로 이격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슬라이더(90)의 후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부(97)(98)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이격돌기(99)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90)가 후퇴된 상태(제 1 위치)에서는 제 1 접점부(97)가 이격돌기(99)에 걸려져서 제 2 접점부(98)와 이격되어 록킹감지 스위치(96)가 오프된 상태로 유지되고(도 5 참조), 슬라이더(90)가 전진된 상태(제 2 위치)에서는 이격돌기(99)도 함께 전진하여 제 1 접점부(97)가 제 2 접점부(98)와 접촉되어 록킹감지 스위치(96)가 온된 상태로 유지되어 강제 록킹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90)가 전진되어 록킹부재(50)가 지지부재(40)들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더(90)를 후퇴시켜서 도어(3)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록킹해제 와이어(2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록킹해제 와이어(23)는 케이스(30)와 도어(3)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1 참조) 도어(3)의 외측에서 이 록킹해제 와이어(23)를 당기게 되면 슬라이더(90)가 전진된 상태에서 후퇴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서 지지부재(40)들이 움직일 수 있게 전환되게 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가 개방 가능하게 위치된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5의 선 V-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도 6은 도어가 개방되어 걸쇠가 지지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로 위치된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도어가 폐쇄되어 걸쇠가 지지부재에 걸려진 상태로 위치된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가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강제 록킹된 상태로 전환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 VIII-V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1)의 내부에서 진입홀(31a)의 양측에는 지지부재(40)들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지부재(40)들의 후방에는 록킹부재(50)와 스위치 작동부재(60)가 배치되며, 스위치 작동부재(60)의 좌측에는 슬라이더(90)와 플런저(81) 및 솔레노이드(8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감지 스위치(70)는 케이스 본체(31)의 우측단에 배치되어 스위치 작동부재(60)의 작동부(62)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록킹감지 스위치(96)는 케이스 본체(31)의 대략 중간지점에서 슬라이더(9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개방되어 걸쇠(21)가 케이스(30)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록킹부재(50)는 제 2 스프링(54)에 의해 후방으로 밀쳐져서 걸림홀(53)이 지지부재(40)의 걸림돌기(43)에 끼워져 있지 않게 되며, 스위치 작동부재(60)는 제 3 스프링(65)에 의해 전방으로 밀쳐져서 스위치 작도부재(60)의 작동부(62)가 개폐감지 스위치(70)의 스위치부(71)를 밀게 되어 개폐감지 스위치(70)가 도어(3)의 개방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90)는 케이스 본체(31)에 배치된 후크(94)가 슬라이더(90)의 전면에 형성된 홈(93)의 제 1 단(93a)에 걸려져서 후퇴된 위치(제 1 위치)에 배치되어서 슬라이더(90)의 스토퍼(92)가 힌지단인 록킹부재(50)의 제 1 단(51)에 접촉하게 되어서 록킹부재(50)가 자유롭게 진퇴할 수 있게 되며, 록킹감지 스위치(96)는 제 1 접점부(97)가 이격돌기(99)에 의해 제 2 접점부(98)와 이격되어 오프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식기세척기(1)를 작동시키기 위해 도어(3)를 닫게 되면 걸쇠(21)가 진입홀(31a)을 통해 케이스(3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제 1 스프링(41)의 신축동작에 의해 지지부재(40)들이 서로 벌어진 후 다시 원위치 되면서 걸쇠(21)의 걸림턱(22)이 지지부재(40)들에 의해 걸려지게 된다(도 3 참조).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21)에 의해 스위치 작동부재(60)의 밀림부(61)가 후방으로 밀려지면서 스위치 작동부재(60)가 힌지축(64)들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여 개폐감지 스위치(70)의 스위치부(71)가 후방으로 튀어나오게 되어 개폐감지 스위치(70)가 도어(3)의 폐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슬라이더(90)는 후퇴된 위치에 배치되어 록킹부재(50)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록킹부재(50)가 지지부재(40)들을 구속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3)를 잡아당기게 되면 지지부재(40)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서 걸쇠(21)가 진입홀(31a)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3)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폐쇄되어 걸쇠(21)의 걸림턱(22)이 지지부재(40)들에 걸려진 상태에서 식기세척기(1)가 작동되는 동안 세척실(4)(도 1 참조)의 내부온도 또는 세척수의 온도가 일정 값 예를 들면, 섭씨 50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사용자가 도어(3)를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걸쇠(21)가 강제로 록킹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작동부재(60)가 걸쇠(21)에 의해 후방으로 밀쳐진 상태에서 걸쇠(21)를 강제로 록킹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80)를 작동시키게 되면 플런저(81)가 솔레노이드(80) 측으로 당겨지면서 슬라이더(90)가 후퇴된 후에 다시 제 4 스프링(8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서 후크(94)가 홈(93)의 제 2 단(93b)에 맞물리게 됨과 동시에 슬라이더(90)의 스토퍼(92)가 록킹부재(50)의 중간부분까지 전진하여 록킹부재(50)를 지지부재(40)들을 향해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록킹부재(50)의 걸림홀(53)들에 각 지지부재(40)의 걸림돌기(43)들이 걸려지게 됨으로써 지지부재(40)들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3)를 당겨도 걸쇠(21)의 걸림턱(22)이 지지부재(40)들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게 되어 도어(3)가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이격돌기(99)도 슬라이더(90)와 함께 전진하게 되어 록킹감지 스위치(96)의 제 1 접점부(97)가 제 2 접점부(98)에 접촉되도록 하여서 록킹감지 스위치(96)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가 강제로 록킹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쇠(21)가 케이스(30)에 강제로 구속되어 도어(3)가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하우징(2)을 폐쇄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1)가 작동하게 됨으로써 세척실(4)에서 안전하게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록킹해제 와이어(23)를 잡아당기게 되면 슬라이더(90)가 후퇴된 위치(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3)를 개방시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록킹해제 와이어(23)는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식기세척이 완료되게 되면 다시 솔레노이드(80)가 작동되어 플런저(81)가 당겨졌다가 전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홈(93)의 제 1 단(93a)이 후크(94)에 위치하게 되면서 슬라이더(90)가 후퇴된 위치로 전환하게 되어서 스토퍼(92)가 록킹부재(50)의 제 1 단부(5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록킹부재(50)가 다시 제 2 스프링(54)에 의해 후방으로 밀쳐지면서 각 지지부재(40)의 걸림돌기(43)들이 록킹부재(50)의 대응하는 걸림홀(53)로부터 이격되게 되어서 지지부재(40)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3)를 잡아 당기게 되면 걸쇠(21)의 걸림턱(22)이 지지부재(40)들을 벌어지게 하면서 지지부재(40)들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서 도어(3)가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록킹장치가 식기세척기에 설치되어 세척실 또는 세척수의 온도에 따라 도어를 강제로 록킹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기와 같이 도어를 구비한 다른 제품들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세척실 또는 세척수의 온도 뿐만 아니라 다른 조건에 따라 도어를 강제로 록킹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는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세척수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경우와 같이 일정조건에서는 도어가 강제로 록킹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식기세척기 또는 드럼세탁기와 같이 이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된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대략적인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재에 걸쇠가 걸려지게 되는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록킹부재가 지지부재를 록킹시키게 되는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가 개방 가능하게 위치된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의 선 V-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도 6은 도어가 개방되어 걸쇠가 지지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로 위치된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도어가 폐쇄되어 걸쇠가 지지부재에 걸려진 상태로 위치된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킹장치가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강제 록킹된 상태로 전환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VIII-V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 도어 20: 도어록킹장치
21: 걸쇠 30: 케이스
40: 지지부재 50: 록킹부재
60: 스위치 작동부재 70: 개폐감지 스위치
80: 솔레노이드 81: 플런저
90: 슬라이더 96: 록킹감지 스위치

Claims (19)

  1. 걸쇠와 상기 걸쇠가 잠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걸쇠를 풀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걸쇠를 강제로 록킹시키는 슬라이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걸쇠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진입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진입홀을 사이에 두고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걸쇠가 진퇴됨에 따라 상기 걸쇠가 걸려지거나 풀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걸쇠와 연동하여 상기 각 지지부재를 상기 걸쇠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제 1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제 2 스프링에 의해 정상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진퇴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에는 상기 록킹부재를 향해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각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걸림홀이 상기 각 걸림돌기에 끼워지거나 빠지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잠그거나 풀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록킹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드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걸쇠의 걸림동작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스위치 작동부재와,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를 원위치시키는 제 3 스프링과,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의 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개폐감지 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위에 배치되는 제 4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와 제 3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진퇴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록킹부재를 가로질러서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는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는 대략 하트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후크가 배치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른 상기 플런저의 후진 동작시 상기 후크가 상기 홈의 제 1 단과 제 2 단에 반복적으로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교번적으로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록킹감지 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10. 전면이 개방되며 세척실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록킹/언록킹 시키는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록킹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걸쇠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걸쇠가 잠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걸쇠를 풀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걸쇠를 강제로 록킹시키는 슬라이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걸쇠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진입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진입홀을 사이에 두고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걸쇠가 진퇴됨에 따라 상기 걸쇠가 걸려지거나 풀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걸쇠와 연동하여 상기 각 지지부재를 상기 걸쇠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제 1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제 2 스프링에 의해 정상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진퇴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에는 상기 록킹부재를 향해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각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각 걸림홀이 상기 각 걸림돌기에 끼워지거나 빠지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잠그거나 풀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록킹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드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걸쇠의 걸림동작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스위치 작동부재와,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를 원위치시키는 제 3 스프링과, 상기 스위치 작동부재의 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개폐감지 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위에 배치되는 제 4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와 제 3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진퇴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록킹부재를 가로질러서 배치되어 상기 록킹부재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는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는 대략 하트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후크가 배치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른 상기 플런저의 후진 동작시 상기 후크가 상기 홈의 제 1 단과 제 2 단에 반복적으로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교번적으로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록킹감지 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세척수 또는 상기 세척실의 온도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강제 록킹시키거나 록킹 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40008876A 2004-02-11 2004-02-11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20050080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76A KR20050080784A (ko) 2004-02-11 2004-02-11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76A KR20050080784A (ko) 2004-02-11 2004-02-11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784A true KR20050080784A (ko) 2005-08-18

Family

ID=3726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876A KR20050080784A (ko) 2004-02-11 2004-02-11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7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456A (zh) * 2018-08-23 2018-11-06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门体锁止组件及洗碗机
CN112842213A (zh) * 2021-03-25 2021-05-28 瀚乐电子机械(南京)有限公司 一种安全门锁及带有安全门锁的洗碗机
KR20210151409A (ko) * 2020-06-05 2021-12-14 두얼파워전자(주)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668A (en) * 1989-04-13 1991-11-05 Ellenberger & Poensgen Gmbh Safety lock for the doors of electrical applicances
JPH0842214A (ja) * 1994-07-29 1996-02-13 Rokugo Denki Kk 扉等のラッチ式解錠装置
KR960038080U (ko) * 1995-05-29 1996-12-18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록 장치
JPH10272293A (ja)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スイッチ装置
KR200167596Y1 (ko) * 1997-07-23 2000-02-01 윤종용 금전등록기의 서랍 개폐장치
KR20020001084A (ko) * 2000-06-24 2002-01-09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도어잠금장치
KR20030006253A (ko) * 2001-07-12 2003-0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KR100457580B1 (ko) *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668A (en) * 1989-04-13 1991-11-05 Ellenberger & Poensgen Gmbh Safety lock for the doors of electrical applicances
JPH0842214A (ja) * 1994-07-29 1996-02-13 Rokugo Denki Kk 扉等のラッチ式解錠装置
KR960038080U (ko) * 1995-05-29 1996-12-18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록 장치
JPH10272293A (ja)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スイッチ装置
KR200167596Y1 (ko) * 1997-07-23 2000-02-01 윤종용 금전등록기의 서랍 개폐장치
KR20020001084A (ko) * 2000-06-24 2002-01-09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도어잠금장치
KR20030006253A (ko) * 2001-07-12 2003-01-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KR100457580B1 (ko) *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잠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456A (zh) * 2018-08-23 2018-11-06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门体锁止组件及洗碗机
CN108742456B (zh) * 2018-08-23 2024-03-22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门体锁止组件及洗碗机
KR20210151409A (ko) * 2020-06-05 2021-12-14 두얼파워전자(주)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CN112842213A (zh) * 2021-03-25 2021-05-28 瀚乐电子机械(南京)有限公司 一种安全门锁及带有安全门锁的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419B1 (ko) 식기세척기
EP2740830B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US9259137B2 (en) Mid-level spray arm assembly for dishwasher appliances
US20130228202A1 (en) Dishwasher with transforming door
EP2451334B1 (en) A dishwasher with automatically opening door
CN101694055A (zh) 门锁定开关及利用门锁定开关的衣物处理装置
KR20050080784A (ko) 도어록킹장치 및 이 도어록킹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2328247B1 (ko) 식기 세척기
CN108661445B (zh) 一种洗碗机自动门锁装置及洗碗机
KR100441020B1 (ko) 식기세척기
US9307886B2 (en) Indexing passive diverter for an appliance
KR100892672B1 (ko) 식기 세척기용 디스펜서
CN101991396B (zh) 洗碗机、尤其家用洗碗机
KR200464138Y1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KR20070078131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US7552738B2 (en) Dishwasher and door locking device for the same
JP2002017642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3088488A (ja) 食器洗い機
KR20170137523A (ko)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JP5263950B2 (ja) 食器洗浄機
KR101141640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래칭장치
KR102378131B1 (ko)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112680922A (zh) 超声波装置和衣物处理设备
KR101294777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CN219691306U (zh) 一种用于家用电器的门锁结构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