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38B1 -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0838B1 KR102500838B1 KR1020160003323A KR20160003323A KR102500838B1 KR 102500838 B1 KR102500838 B1 KR 102500838B1 KR 1020160003323 A KR1020160003323 A KR 1020160003323A KR 20160003323 A KR20160003323 A KR 20160003323A KR 102500838 B1 KR102500838 B1 KR 102500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monitorable
- monitoring
- path
- rou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01C21/3694—Output thereof on a road ma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92—Multi-camera track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a suspension mem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7—Profiles; Strips
- E05Y2800/272—Profiles; Strips hollow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32—Surveill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시 장치들 각각에 의한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경로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시 장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의 중요성의 증가에 따라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각각의 감시 카메라가 담당하는 지역 또는 부분을 독립적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시스템에 저장하고 있을 뿐,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고 있지는 아니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이 설치된 지역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해주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감시 가능한 영역을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경로와 관련된 감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시 장치들 각각에 의한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경로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을 오버랩핑(overlapping)하고,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는 상기 감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및 줌 배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전도를 상향 결정하는 단계는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가장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기준으로 하고,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다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뒤, 합산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경로 안전도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경로 안전도 및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이 함께 표시된 복수의 후보 경로들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경로를 최종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주변 영역 내 위치한 차량 내 촬영 장치의 영상을 상기 감시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지정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감시 장치들 각각에 의한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 제1 사용자의 경로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감시 영상 획득부;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감시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해, 사용자에게 감시 가능한 영역을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경로와 관련된 감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일 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일 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는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 경로 생성부(120), 감시 영상 획득부(130) 및 감시 영상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한다.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감시 장치들 각각에 의한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는 감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및 줌 배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감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이 넓을수록, 프레임 레이트가 높을수록, 해상도가 높을수록, 및 줌 배율이 높을수록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는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감시 장치에 따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가, 제1 성능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해당 감지 장치에 따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매우 좋음', 제2 성능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해당 감지 장치에 따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좋음', 제3 성능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해당 감지 장치에 따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보통', 제4 성능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해당 감지 장치에 따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낮음', 및 제5 성능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해당 감지 장치에 따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매우 낮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을 오버랩핑(overlapping)하고,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안전도가 '좋음'인 두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이 오버랩된 경우, 해당 영역의 안전도를 '매우 좋음'으로 상향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가장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기준으로 하고,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다른 개별 감시 영역의 안전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뒤, 합산하여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안전도 '매우 좋음'을 5점, '좋음'을 4점, '보통'을 3점, '낮음'을 2점, 및 '매우 낮음'을 1점으로 수치화하고, 안전도가 '좋음'인 두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이 오버랩된 경우, 두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안전도인 '좋음'에 상응하는 4점을 기준으로 하고, 다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인 '좋음'에 상응하는 4점에 가중치 0.5배를 부여하여 2점으로 하고, 4점과 2점을 합산한 6점에 상응하는 '매우 좋음'을 해당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중치는 가장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경우, 기준으로서 1배, 두 번째로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경우 0.5배, 및 세 번째로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경우 0.25배일 수 있다.
경로 생성부(120)는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경로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경로 생성부(120)는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경로 안전도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 생성부(120)는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경로 안전도가 가장 높아지도록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안전도는 경로가 지나는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예컨대, 지나는 감시 가능 영역의 40%의 안전도가 4점이고, 경로가 지나는 감시 가능 영역의 60%의 안전도가 6점인 경우, 경로 안전도는 5.2점(4*0.4+6*0.6=5.2)일 수 있다.
경로 생성부(120)는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 생성부(120)는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감시 영상 획득부(130)는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감시 영상을 획득한다.
감시 영상 획득부(130)는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감시 영상 획득부(130)는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감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감시 영상 획득부(130)는 이벤트 발생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주변 영역 내 위치한 차량 내 촬영 장치의 영상을 감시 영상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에 예기치 못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감시 영상 획득부(130)는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지정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감시 영상 획득부(130)는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정지해 있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시 영상 제공부(140)는 감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즉, 경로 생성 요청을 하고 경로 정보를 제공 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감시 영상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는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은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도 1의 110 참조)가,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한다(S210).
단계(S210)에서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도 1의 110 참조)는 감시 장치들 각각의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을 오버랩핑하여 전체 감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은 경로 생성부(도 1의 120 참조)가,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한다(S220).
단계(S220)에서 경로 생성부(도 1의 120 참조)는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경로 안전도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은 감시 영상 획득부(도 1의 130 참조)가,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한다(S230).
단계(S230)에서 감시 영상 획득부(도 1의 130 참조)는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감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은 감시 영상 제공부(도 1의 140 참조)가, 감시 영상을 제공한다(S24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21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210)는 먼저,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도 1의 110 참조)가, 감시 장치의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의 안전도를 결정한다(S310).
단계(S310)에서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도 1의 110 참조)는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감시 장치에 따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210)는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도 1의 110 참조)가, 감시 영역들을 오버랩핑하고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한다(S320).
단계(S320)에서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도 1의 110 참조)는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가장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기준으로 하고,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다른 개별 감시 영역의 안전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뒤, 합산하여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2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20)는 먼저, 경로 생성부(도 1의 120 참조)가,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단계(S410)의 판단 결과,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20)는 경로 생성부(도 1의 120 참조)가, 안전도에 기초한 경로를 생성한다(S420).
단계(S420)에서, 경로 생성부(도 1의 120 참조)는 경로 안전도가 가장 높아지도록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410)의 판단 결과,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20)는 경로 생성부(도 1의 120 참조)가, 감시 가능 영역 비율에 기초한 경로를 생성한다(S425).
단계(S425)에서, 경로 생성부(도 1의 120 참조)는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3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30)는 먼저, 감시 영상 획득부(도 1의 130 참조)가,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감시 영상을 획득한다(S510).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30)는 감시 영상 획득부(도 1의 130 참조)가, 이동 경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감시 영상을 획득한다(S520).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30)는 먼저, 감시 영상 획득부(도 1의 130 참조)가, 이벤트 발생 위치의 주변 영역 내 위치한 차량 내 촬영 장치의 영상을 획득한다(S5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지도 상에 감시 가능 영역 및 해당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지도 화면(600)에는 감시 장치(610)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지도 화면(600)에는 감시 장치(610)들 각각의 감시 가능 영역(620)들이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감시 가능 영역(620)은 안전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감시 가능 영역(620)의 안전도는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낮음', 및 '매우 낮음'으로 결정될 수 있고, '매우 좋음' 안전도는 파란색, '좋음' 안전도는 초록색, '보통' 안전도는 노란색, '낮음' 안전도는 주황색, 및 '매우 낮음' 안전도 빨강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감시 가능 영역(620)들이 오버랩된 부분(630)은 안전도가 상향 결정되고, 상향 결정된 안전도에 따라, 오버랩되지 아니한 부분과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110)는 안전도 '매우 좋음'을 5점, '좋음'을 4점, '보통'을 3점, '낮음'을 2점, 및 '매우 낮음'을 1점으로 수치화하고, 안전도가 '좋음'인 두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이 오버랩된 경우, 두 개별 감시 가능 영역(620)들 중 어느 하나의 안전도인 '좋음'에 상응하는 4점을 기준으로 하고, 다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인 '좋음'에 상응하는 4점에 가중치 0.5배를 부여하여 2점으로 하고, 4점과 2점을 합산한 6점에 상응하는 '매우 좋음'을 해당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 감시 가능 영역(620)은 '좋음' 안전도에 상응하는 초록색으로 표시되고, 오버랩된 부분(630)은 '매우 좋음' 안전도에 상응하는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일 예다.
도 7은 지도 상에 감시 영역 기반 경로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지도 화면(700)에는 출발 지점(A)과 도착 지점(B)이 표시될 수 있다.
출발 지점(A)과 도착 지점(B)은 사용자로부터 각각 입력 받은 지점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출발 지점(A)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결정한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지도 화면(700)에는 출발 지점(A)과 도착 지점(B)을 잇는 경로(710)가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경로(710)는 도 6에 도시된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지도 화면(700)에는 경로(710)의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 및 안전도가 부가 정보(720)로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경로(710)의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이 100%이고, 경로(710)가 경유하는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의 평균 값이 5.2점인 경우, '감시 가능 영역: 100%, 안전도: 매우 높음'과 같은 부가 정보(72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110: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 120: 경로 생성부
130: 감시 영상 획득부 140: 감시 영상 제공부
110: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 120: 경로 생성부
130: 감시 영상 획득부 140: 감시 영상 제공부
Claims (20)
- 감시 장치들 각각에 의한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경로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을 오버랩핑(overlapping)하고,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는
상기 감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및 줌 배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경로 안전도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를 상향 결정하는 단계는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가장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기준으로 하고,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다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뒤, 합산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경로 안전도 및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이 함께 표시된 복수의 후보 경로들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경로를 최종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주변 영역 내 위치한 차량 내 촬영 장치의 영상을 상기 감시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지정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 감시 장치들 각각에 의한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전체 감시 가능 영역을 생성하는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
제1 사용자의 경로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상기 제1 사용자의 경로 이동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감시 영상 획득부; 및
상기 감시 영상을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감시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는
상기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결정하고, 상기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을 오버랩핑(overlapping)하고,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하고,
상기 감시 장치들 각각의 성능 지수는
상기 감시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화각,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및 줌 배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경로 안전도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감시 가능 영역만을 지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 삭제
- 삭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가능 영역 생성부는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가장 안전도가 높은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를 기준으로 하고, 오버랩된 개별 감시 가능 영역들 중 다른 개별 감시 가능 영역의 안전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뒤, 합산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역의 안전도를 상향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 삭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경로 안전도 및 감시 가능 영역의 비율이 함께 표시된 복수의 후보 경로들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경로를 최종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 획득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의 상기 감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 획득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주변 영역 내 위치한 차량 내 촬영 장치의 영상을 상기 감시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지정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경로 이동 중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323A KR102500838B1 (ko) | 2016-01-11 | 2016-01-11 |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15/350,308 US10247572B2 (en) | 2016-01-11 | 2016-11-14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ute based on surveillance zo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323A KR102500838B1 (ko) | 2016-01-11 | 2016-01-11 |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3879A KR20170083879A (ko) | 2017-07-19 |
KR102500838B1 true KR102500838B1 (ko) | 2023-02-16 |
Family
ID=5927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3323A KR102500838B1 (ko) | 2016-01-11 | 2016-01-11 |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247572B2 (ko) |
KR (1) | KR1025008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31895B2 (en) * | 2017-02-03 | 2019-03-1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ath calculator for users with mobility limitations |
WO2022108022A1 (ko) * | 2020-11-23 | 2022-05-27 | 라온피플 주식회사 | 카메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IT202200024288A1 (it) * | 2022-11-25 | 2024-05-25 | Tetraktis S R L | Sistema di navigazione lungo percorsi ad alto coefficiente di sicurezza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08192A3 (en) * | 2004-04-16 | 2014-01-01 | James A. Aman | Multiple view compositing and object tracking system |
KR100968024B1 (ko) | 2008-06-20 | 2010-07-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감시 시스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객체의 이동 경로 추적방법 및 시스템 |
KR20120040347A (ko) * | 2010-10-19 | 2012-04-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동 정보 제공 방법 |
KR101205458B1 (ko) * | 2010-11-18 | 2012-11-28 |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
US20140309919A1 (en) * | 2013-04-15 | 2014-10-16 | Flextronics Ap, Llc | Detection and reporting of individuals outside of a vehicle |
US9384609B2 (en) * | 2012-03-14 | 2016-07-05 | Autoconnect Holdings Llc | Vehicle to vehicle safety and traffic communications |
KR101838147B1 (ko) | 2012-07-03 | 2018-03-14 |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
US9535878B1 (en) * | 2012-12-19 | 2017-01-03 | Allstate Insurance Company | Driving event data analysis |
KR101392628B1 (ko) | 2013-10-04 | 2014-05-07 | 안양시 |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
KR20150085760A (ko) | 2014-01-16 | 2015-07-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개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안전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
WO2015134311A1 (en) * | 2014-03-03 | 2015-09-11 | Inrix Inc | Traffic obstruction detection |
US9489581B2 (en) * | 2014-08-11 | 2016-11-08 | Nokia Technologies Oy | Vehicle counting and emission estimation |
US9733097B2 (en) * | 2014-10-31 | 2017-08-15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Classifying routes of travel |
US9679420B2 (en) * | 2015-04-01 | 2017-06-13 | Smartdrive Systems, Inc. | Vehicle even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
US10001379B2 (en) * | 2015-09-01 | 2018-06-19 | Inrix Inc. | Itinerary generation and adjustment system |
US10748010B2 (en) * | 2015-09-01 | 2020-08-18 | Nec Corporation | Surveillance information generation apparatus, imaging direction estimation apparatus, surveillance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imaging direction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
US9965696B2 (en) * | 2015-12-31 | 2018-05-08 | James Alves | Digital camera control system |
EP3411863A4 (en) * | 2016-01-29 | 2019-11-27 | Memoreyes, LLC | SYSTEM FOR MONITORING A COMMUNITY WITH LIMITED ACCESS |
US10341617B2 (en) * | 2016-03-23 | 2019-07-02 | Purdue Research Foundation | Public safety camera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2016
- 2016-01-11 KR KR1020160003323A patent/KR1025008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14 US US15/350,308 patent/US1024757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3879A (ko) | 2017-07-19 |
US10247572B2 (en) | 2019-04-02 |
US20170199052A1 (en) | 2017-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30792B2 (ja) | WiFi情報を利用した位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装置 | |
US20150185022A1 (en) | Stereoscopic indoor route provi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US10523639B2 (en) | Privacy preserving wearable computing device | |
KR102500838B1 (ko) |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JP6751732B2 (ja) | 設備状態診断装置、設備状態診断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設備状態表示方法 | |
CN104469324A (zh) | 一种基于视频的移动目标追踪方法和装置 | |
US2018002524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20160134810A1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 |
KR20210019667A (ko) |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9948897B2 (en) | Surveillance camera management device, surveillance camera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JP6653507B2 (ja) | 情報端末、位置推定方法、および位置推定プログラム | |
JP7272449B2 (ja) | 通行可否判断方法、通行可否判断装置、及び移動経路生成システム | |
US1106252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notifying access to dangerous areas in workplace using image processing and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 |
JPWO2019187288A1 (ja) | 情報処理装置、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Ranasinghe et al. | Pedestrian navigation and GPS deteriorations: User behavior and adaptation strategies | |
KR102667876B1 (ko) | 객체의 추적 영상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
US20190137297A1 (en) | Map display system and map display program | |
WO2011141990A1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KR101939096B1 (ko) |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WO2019187290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 |
KR20150060044A (ko) | Cctv 영상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cctv 영상 제공 방법 | |
US20180097991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KR20170046390A (ko) | 이미지 기반 객체 카운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70053896A (ko) | 카메라 설치 인증 시스템 | |
CN112533031B (zh) | 轨迹视频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