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19667A -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667A
KR20210019667A KR1020190098547A KR20190098547A KR20210019667A KR 20210019667 A KR20210019667 A KR 20210019667A KR 1020190098547 A KR1020190098547 A KR 1020190098547A KR 20190098547 A KR20190098547 A KR 20190098547A KR 20210019667 A KR20210019667 A KR 20210019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vent
route
vibration patter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225B1 (ko
Inventor
이시완
Original Assignee
이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완 filed Critical 이시완
Priority to KR102019009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2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패턴을 활용하여 길 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한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방향 이벤트 및 상기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BRATION PATTERN}
본 발명은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길 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기술은 서비스 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사용자에게 음성 및 시각 정보로 안내해주는 것이다.
다만,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들은 음성 및 시각 정보만을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청각 장애인 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는 일반 사용자도 길 안내 서비스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정확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21217호(2008.03.0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따른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과 같은 주요 이벤트에 대해 기 지정된 진동 패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음성 및 시각 정보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직관적이고, 안전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은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한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방향 이벤트 및 상기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은 상기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 획득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길 안내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각 분기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좌회전을 위한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경로 우회전을 위한 우회전 방향 이벤트의 상기 방향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상기 위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방향 이벤트 및 상기 위험 이벤트의 시간차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안내부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및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주기 및 횟수를 포함한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안내부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과 상기 제1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진동과 상기 제2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안내부는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과 상기 제3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4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제3 진동을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길 안내 정보에서 발생된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여 상기 정보 획득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동일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새로운 길인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가 경로를 되돌아가는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은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한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이벤트 및 상기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은 상기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길 안내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각 분기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좌회전을 위한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경로 우회전을 위한 우회전 방향 이벤트의 상기 방향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상기 위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및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주기 및 횟수를 포함한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과 상기 제1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진동과 상기 제2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과 상기 제3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4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제3 진동을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동일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새로운 길인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가 경로를 되돌아가는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따른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과 같은 주요 이벤트에 대해 기 지정된 진동 패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음성 및 시각 정보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직관적이고, 안전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회전, 우회전, 위험상황 및 경로이탈과 같은 4가지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각 이벤트에 서로 다르게 기 지정된 진동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상황을 한정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회전, 우회전, 위험상황 및 경로이탈과 같은 4가지의 각 이벤트에 서로 다른 진동 주기, 진동 세기 및 진동 횟수를 갖는 진동 패턴의 대비를 극명하게 하여 길 안내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은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길 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은 정보 획득부(110), 사용자 감지부(120), 이벤트 감지부(130) 및 진동 안내부(140)를 포함하며,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10)는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한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 또는 최소 거리를 제공하는 길 안내 정보 즉, 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획득부(110)는 기 저장된 지도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길 안내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서버는 운송수단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사용자 감지부(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생성하고, 컴퍼스(compass)와 같은 방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기일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기능 집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 또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므로 종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GPS 센서 및 상기 방향 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포함된 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 감지부(120)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30)는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벤트 감지부(130)는 사용자가 길 안내 정보를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길 안내 정보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각 분기점 즉, 사용자가 직진 방향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으로 회전해야하는 기점에서 경로 좌회전을 위한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경로 우회전을 위한 우회전 방향 이벤트의 방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감지부(130)는 길 안내 정보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 감지부(130)는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직진 방향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해야하는 분기점을 인식하여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우회전 방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벤트 감지부(130)는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계단, 구조물과 같은 장애물 또는 결빙, 건물 붕괴, 충돌 사고와 같은 사고발생의 위험상황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벤트 감지부(130)는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사용자가 길 안내 정보에서 벗어나는 즉, 경로이탈을 하는 경우에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의 이벤트 감지부(130)는 방향 이벤트 및 위험 이벤트의 시간차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우회전 방향 이벤트의 방향 이벤트와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위험 이벤트는 동시에 발생될 수 있으며, 짧은 시간차로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이벤트 감지부(130)는 방향 이벤트와 위험 이벤트를 각기 분리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은 방향 이벤트와 위험 이벤트가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차로 발생되는 경우에는 위험 이벤트에 더욱 높은 가중치를 부가하여 위험 이벤트에 대한 진동 패턴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안내부(140)는 방향 이벤트 및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한다.
진동 안내부(140)는 좌회전 방향 이벤트, 우회전 방향 이벤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및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주기 및 횟수를 포함한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직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진동 패턴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안내부(140)에서 제공하는 진동 패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안내부(140)는 도 2(a)의 좌회전 방향 이벤트, 도 2(b)의 우회전 방향 이벤트, 도 2(c)의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및 도 2(d)의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좌회전 방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진동 안내부(140)는 비교적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210)과 제1 진동(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220)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진동(210)은 약 0.5호의 짧은 진동을 나타내며, 제2 진동(220)은 약 1초의 긴 진동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진동 안내부(140)는 좌회전 방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진동(210) 및 제2 진동(220)을 연속하여 약 3회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우회전 방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안내부(140)는 비교적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220)과 제2 진동(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210)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진동(220)은 약 1초의 긴 진동을 나타내고, 제1 진동(210)은 약 0.5초의 짧은 진동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진동 안내부(140)는 우회전 방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진동(220) 및 제1 진동(210)을 연속하여 약 3회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에서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우회전 방향 이벤트 시 제공되는 진동 패턴은 제1 진동(210) 및 제2 진동(220)의 순서만 바뀐 것으로, 심플한 진동 패턴만으로도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방향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이때, 우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좌회전 방향 이벤트에서 제공되는 제1 진동(210) 및 제2 진동(220)은 서로 다른 진동 시간을 나타내나, 동일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c)와 같이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안내부(140)는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230)과 제3 진동(2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4 진동(240)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진동(230)은 강한 진동을 나타내고, 제4 진동(240)은 제3 진동(230)에 비해 비교적 약한 진동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진동 안내부(140)는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강한 진동인 제3 진동(230)과 약한 진동인 제4 진동(240)을 연속하여 사이렌 형태의 진동으로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d)와 같이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안내부(140)는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230)을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진동 안내부(140)는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230)을 연속하여 약 3회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가 발생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사용자에게 잘못 온 경로를 다시 되돌아가는 리버스(revers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에서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시 제공되는 진동 패턴은 제3 진동(230) 및 제4 진동(240)을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제3 진동(230)만을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심플한 진동 패턴만으로도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방향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이때,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에서 제공되는 제3 진동(230) 및 제4 진동(240)은 서로 다른 진동 세기를 나타내나, 동일한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제1 진동(210), 제2 진동(220), 제3 진동(230) 및 제4 진동(240)의 가로 길이는 진동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 높이는 진동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은 좌회전, 우회전, 위험상황 및 경로이탈과 같은 4가지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각 이벤트에 서로 다르게 지정된 진동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상황을 한정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하며, 서로 다른 진동 주기, 진동 세기 및 진동 횟수를 갖는 진동 패턴의 대비를 극명하게 하여 길 안내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출발지 및 목적지에서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정보 획득부(110)에 제공한다.
제어부(150)는 위험 이벤트 발생 시, 길 안내 정보에서 발생된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을 해결하기 위해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여 정보 획득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에서 새로운 길인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으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가 지나온 길을 다시 돌아가는 길인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다.
일 예로,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출발지 및 목적지에서 위험 이벤트가 발생된 지역을 벗어나는 새로운 길인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으며, 재검색된 길 안내 정보를 정보 획득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길 안내 정보를 따라 이동한 사용자가 경로를 되돌아가는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A 지점의 출발지에서 B 지점의 목적지로 이동하는 도중에 C 지점에서 경로이탈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C 지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A 지점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으며, 재검색된 길 안내 정보를 정보 획득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C 지점에서 경로이탈한 경우에, A 지점을 목적지로하여 도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제어부(150)는 C 지점에서 A 지점을 향하도록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여 정보 획득부(110)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경로이탈한 C 지점을 벗어나 기존의 길 안내 정보에 위치하는 경우, 다시 해당 사용자의 위치에서 A 지점의 출발지에서 B 지점의 목적지로 이동하는 길 안내 정보를 정보 획득부(110)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청각 장애인 또는 시각 장애인들이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길이 아닌 돌아가는 길을 안내해주는 것이 보다 중요하며, 경로를 이탈한 지점에서 일정 거리만큼 돌아간 후에 기존의 길 안내 정보로 안내하는 것이 안전하다.
제어부(150)는 이벤트 감지부(130)에서 방향 이벤트와 위험 이벤트를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차로 감지하는 경우,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보다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에 더욱 높은 가중치를 부가하여 위험 이벤트에 대한 진동 패턴을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진동 안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D 분기점에서 발생된 우회전 방향 이벤트에 따라 우회전하였을 때, 우회전한 사용자의 경로 전면에 계단이 위치하는 경우, 이벤트 감지부(130)는 우회전 방향 이벤트와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를 짧은 시간차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진동 안내부(140)를 통해 우회전 방향 이벤트에 대한 진동 패턴이 우선하여 제공되고 있던 상황이라도, 제어부(150)는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가하여 우회전 방향 이벤트에 따른 진동 패턴을 멈추고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에 대한 진동 패턴을 제공하도록 진동 안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진동 안내부(140)는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에 대한 진동 패턴을 우선하여 제공한 후에, 우회전 방향 이벤트에 대한 진동 패턴 및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에 대한 진동 패턴을 연속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면이 아닌 우회전하는 경우에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한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단계 3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 또는 최소 거리를 제공하는 길 안내 정보 즉, 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계 310은 기 저장된 지도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길 안내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서버는 운송수단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단계 32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생성하고, 컴퍼스(compass)와 같은 방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기일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기능 집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 또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므로 종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GPS 센서 및 상기 방향 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포함된 센서일 수 있으며, 단계 320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한다.
단계 330은 사용자가 길 안내 정보를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길 안내 정보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각 분기점 즉, 사용자가 직진 방향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으로 회전해야하는 기점에서 경로 좌회전을 위한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경로 우회전을 위한 우회전 방향 이벤트의 방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단계 330은 길 안내 정보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방향 이벤트 및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한다.
단계 340은 좌회전 방향 이벤트, 우회전 방향 이벤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및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주기 및 횟수를 포함한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은 사용자가 직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진동 패턴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단계 340은 좌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과 제1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우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과 제2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 340은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과 제3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4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을 반복하는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위험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단계 350은 출발지 및 목적지에서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31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단계 35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동일한 출발지 및 목적지에서 새로운 길인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으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길 안내 정보를 따라 이동한 사용자가 경로를 되돌아가는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한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방향 이벤트 및 상기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안내부
    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 획득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길 안내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각 분기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좌회전을 위한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경로 우회전을 위한 우회전 방향 이벤트의 상기 방향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상기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방향 이벤트 및 상기 위험 이벤트의 시간차 감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안내부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및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주기 및 횟수를 포함한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안내부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과 상기 제1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진동과 상기 제2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안내부는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과 상기 제3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4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제3 진동을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길 안내 정보에서 발생된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여 상기 정보 획득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동일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새로운 길인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가 경로를 되돌아가는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10.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에 있어서,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한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 이벤트 및 위험상황 또는 경로이탈의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이벤트 및 상기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길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길 안내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각 분기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좌회전을 위한 좌회전 방향 이벤트 또는 경로 우회전을 위한 우회전 방향 이벤트의 상기 방향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또는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상기 위험 이벤트를 감지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및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의 각 이벤트에 따른 서로 다른 진동 주기 및 횟수를 포함한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좌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진동과 상기 제1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우회전 방향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긴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진동과 상기 제2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진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3 진동과 상기 제3 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제4 진동을 연속하여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비교적 강한 진동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제3 진동을 반복하는 상기 진동 패턴을 제공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전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사고발생에 따른 위험상황 위험 이벤트 발생 시, 동일한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서 새로운 길인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이탈하는 경로이탈 위험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가 경로를 되돌아가는 상기 재설정된 길 안내 정보를 재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방법.
KR1020190098547A 2019-08-13 2019-08-13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47A KR102269225B1 (ko) 2019-08-13 2019-08-13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47A KR102269225B1 (ko) 2019-08-13 2019-08-13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67A true KR20210019667A (ko) 2021-02-23
KR102269225B1 KR102269225B1 (ko) 2021-06-24

Family

ID=7468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47A KR102269225B1 (ko) 2019-08-13 2019-08-13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2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484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진동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성범죄자의 거주 지역에 대한 위험 알림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09073A (ko)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알엔씨 청각 장애인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FR3144343A1 (fr) * 2022-12-25 2024-06-28 Bruno ARTIS Principe d'aide aux personnes pour se déplacer à l'aide de vibrations parvenant à leur montre connectée.
KR20240111434A (ko) 2023-01-10 2024-07-17 주식회사 알엔씨 스마트 바이브레이션 네비게이션 밴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79B1 (ko) 2024-01-05 2024-04-23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진동 알림을 활용한 평면도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939A (ko) * 2004-04-30 2005-11-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1217A (ko) 2006-08-30 2008-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길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684167B1 (ko) * 2015-09-07 2016-12-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939A (ko) * 2004-04-30 2005-11-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1217A (ko) 2006-08-30 2008-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길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684167B1 (ko) * 2015-09-07 2016-12-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484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진동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성범죄자의 거주 지역에 대한 위험 알림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09073A (ko)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알엔씨 청각 장애인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FR3144343A1 (fr) * 2022-12-25 2024-06-28 Bruno ARTIS Principe d'aide aux personnes pour se déplacer à l'aide de vibrations parvenant à leur montre connectée.
KR20240111434A (ko) 2023-01-10 2024-07-17 주식회사 알엔씨 스마트 바이브레이션 네비게이션 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225B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225B1 (ko) 진동 패턴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242638A (ja) テスト支援システム、テス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04912B2 (en) Route guidance service apparatus
JP2007003328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2198594B1 (ko)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555924B1 (ko) 증강현실 뷰를 사용하는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10058407A (ko)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77948A (ko) 공간 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7694A (ko) 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80816A (ko) 보행로 상태 상황 정보 데이터의 수치화 알고리즘
KR20240081906A (ko) 영상데이터를 활용한 보행정보 수집 프로세스 및 그 방법
KR20240080887A (ko) 시각장애인 특화 보행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음향신호기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81897A (ko) 시각장애인 보행 내비게이션과 IoT 음성유도기 연계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33703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2462394B1 (ko) 내비게이션 대안 경로 표시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JP594348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1012212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道路検索方法
JP6666821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4720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5148703A (ja) 地図作成装置
KR102421370B1 (ko) 위치 기반 ar 서비스에서 지도와 ar 상의 poi 하이라이팅을 연동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73999B1 (ko) 터치 제스처 기반의 안내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6042B1 (ko) 경로 탐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8040727A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63066B1 (ko) 재구성 가능한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보행자 안내 방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