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0945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945B1
KR102470945B1 KR1020160074462A KR20160074462A KR102470945B1 KR 102470945 B1 KR102470945 B1 KR 102470945B1 KR 1020160074462 A KR1020160074462 A KR 1020160074462A KR 20160074462 A KR20160074462 A KR 20160074462A KR 102470945 B1 KR102470945 B1 KR 10247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mobile terminal
state
display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438A (ko
Inventor
이학림
한종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945B1/ko
Priority to EP17000329.7A priority patent/EP3258675B1/en
Priority to US15/473,509 priority patent/US10061358B2/en
Priority to CN201710292112.2A priority patent/CN107526395B/zh
Publication of KR2017014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8Magne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분리가능한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에 수용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2 바디의 이격에 따라 상기 수용된 일부가 외부로 확장된 제2 상태를 포함하는 특정 상태에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가이드시트(guide sheet)를 포함하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前面) 방향과 후면(後面)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시트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접촉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후면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축소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축소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에 대한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는데 많은 불편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축소하거나 확장함으로써, 휴대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분리가능한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에 수용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2 바디의 이격에 따라 상기 수용된 일부가 외부로 확장된 제2 상태를 포함하는 특정 상태에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가이드시트(guide sheet)를 포함하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前面) 방향과 후면(後面)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시트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접촉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후면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시트는, 상기 평판의 후면에서 상기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가이드 블럭과, 상기 탄성부의 중앙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평판의 후면에 체결되는 고정핀과, 상기 가이드 블럭의 끝단에 적층되는 고정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럭은, 상기 고정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럭은, 복수 개가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아치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의 내부공간에는 복수의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측이 돌출되어 상기 사이드 가이드에 수용되어 동작하는 사이드 립과, 제1 바디에 체결된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바디에 수용하거나 수용된 일부를 외부로 확장하는 디스플레이 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폴은, 제1 폴과, 상기 제1 폴에 삽입된 제2 폴과,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롤링 동작하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의 일단에는 상기 와이어와 체결되는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바디와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서로 맞닿는 각각의 측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에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홈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 방향으로의 표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상태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가로 모드와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상태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표시 중인 영상의 화면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축소하거나 확장시킴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멀티 태스킹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확대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내부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시트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메인 바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폴을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평판의 후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와 고정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바디에 메인 바디가 체결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바디에 메인 바디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가이드와 사이드 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상단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상단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연결돌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가 탈착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바 형태의 바디(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외관을 이루는 바디(11)를 포함한다. 바디(11)는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바디(11)는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제1 바디(11a)는 제1 프런트 바디(11a1)와 제1 리어 바디(11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제2 바디(11b)는 제1 바디(11a)에 체결되거나 제1 바디(11a)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2 바디(11b)는 제2 프런트 바디(11b1)와 제2 리어 바디(1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a)는 제1 프런트 바디(11a1)와 제1 리어 바디(11a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제1 프런트 바디(11a1)와 제1 리어 바디(11a2) 사이에는 프레임(도 5의 11c)가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각종 전자부품은 제어부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4, PCB; Printed Circuit Board), 연성회로기판(14a,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배터리 탈착부(15), 전원공급부, 안테나(16),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자부품은 제1 리어 바디(11a2)에도 장착될 수 있다.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화면에 대한 크기를 제어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내부 공간에 수납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폴(22, Display Pole)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a)에는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광 출력부, 제1 및 제2 카메라,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부, 이어폰잭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제1프런트 바디(1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배치되며, 베젤 영역에 제1 음향 출력부,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광 출력부, 제1 카메라 및 제1 조작유닛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젤 영역은 이동 단말기(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외한 모든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바디(11b)는 제2 프런트 바디(11b1)와 제2 리어 바디(11b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제2 바디(11b)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할 가이드 시트(20, guide sheet)의 일부를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제2 바디(11b)는 제1 바디(11a)에 슬라이딩되어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제1 리어 바디(11a2)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배치되며, 제2 음향 출력부, 제3 조작유닛 및 제2 카메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a) 및 제 2 바디(11)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은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이동 단말기(10)의 바디(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1 바디(11a)의 하단에 수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올레드 소재를 탄성이 좋은 플라스틱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패널이 플렉서블(Flexible)하게 휘어질 수 있는 Poled(Plasti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터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센서를 통해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근거하여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처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확대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이동 단말기(10)의 화면이 확장되기 전의 클로즈 신(Close Scene) 상태를 의미하고, 제2 상태는 이동 단말기(10)의 화면이 확장된 후의 오픈 신(Open Scene)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일부가 제1 바디(11a)에 수용된 제1 상태가 되고, 제1,2 바디(11)의 이격거리에 따라 수용된 일부가 외부로 확장된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일부가 제1 바디(11a)에 수용되어 전면에 보여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표시면이 제1 화면크기(12a)를 가지고, 후면에 보여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표시면이 제2 화면크기(12b)를 가질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1 상태에서 바디(11)의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표시면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가 소정의 이격거리로 분리되어, 제1 바디(11a)에 수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일부가 외부로 확장되어 제1,2 화면크기(12a,12b)보다 큰 제3 화면크기(12c)를 가질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2 상태에서 바디(11)의 전면 방향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표시면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11b)는 제1 바디(11a)와 체결되는 일부 체결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13a)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13a)는 제2 바디(11b)의 상단 측면과 하단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제1 바디(11a)에 제2 바디(11b)가 체결되는 동안 제2 바디(11b)가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11a)의 전면인 제1 프런트 바디(11a1)에 배치되는 제1 화면(12a) 또는 제1 바디(11a)의 후면인 제1 리어 바디(11a2)에 배치되는 제2 화면(12b) 중 일부 화면은 상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제1 화면(12a) 또는 제2 화면(12b)의 일부 화면에서는 날짜, 시간, 날씨 정보를 상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SNS 메시지나 문자, 메일의 알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이동 단말기(10)의 제1바디(11)의 측면에서 밴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이동 단말기(10)의 제1바디(11)의 측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11a)의 측면은 제2 바디(11b)와 체결되지 않는 측면일 수 있다.
제1 바디(11a)의 측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를 표시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1 바디(11a)의 측면을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간단한 정보를 상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날짜, 시간, 날씨 정보를 상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SNS 메시지나 문자, 메일의 알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a)의 측면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a)의 측면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면, 제1 바디(11a)의 측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표시되지 않는다.
제1 바디(11a)의 측면이 투명한 재질일 경우에는 제2 조작유닛, 마이크로폰, 이어폰잭 및 인터페이스부가 이동 단말기(10)의 제1 바디(11a)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는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바디(11a)의 측면이 불투명한 재질일 경우에는 제2 조작유닛, 마이크로폰, 이어폰잭 및 인터페이스부가 이동 단말기(10)의 제1 바디(11a)의 측면, 상측면, 하측면 중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이동 단말기(10)의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의 제1 프런트 바디(11a1)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11)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11)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내부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프레임(11c)은 제1 프런트 바디(11a1)와 제1 리어 바디(11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c)은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4,PCB; Printed Circuit Board), 연성회로기판(14a,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배터리 탈착부(15), 디스플레이 커넥터(17), 안테나(16), 스피커(18)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4,PCB; Printed Circuit Board)은 제어부가 장착되며, 프레임(11c)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4a,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와 인쇄회로기판(14)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4a)은 일단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에 체결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14)에 체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4a)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에 대응하여 라운드 밴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넥터(17)는 인쇄회로기판(14)과 연성회로기판(14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넥터(17)는 라운드 밴딩되면서 움직이는 연성회로기판(14a)과 고정된 인쇄회로기판(1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배터리 탈착부(15)는 인쇄회로기판(14)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터리(15b)를 장착하거나 탈착시킬 수 있다. 배터리 탈착부(15)는 배터리(15b)를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해 배터리 스위치(1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탈착부(15)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15b)가 탈착되지 않는 내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 탈착부(15)가 배터리(15b) 내장형으로 형성될 경우 배터리 스위치(15a)는 생략될 수 있다.
안테나(16)는 인쇄회로기판(14)의 하단에 배치되면서 배터리 탈착부(15)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폴(22, Display Pole)은 제1 바디(11a)의 측면 중 제2 바디(11b)와 체결되는 측면인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폴(2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를 라운드로 밴딩시켜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수납시킬 수 있다.
제2 바디(11b)는 가이드 시트(20)의 일부를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홀더(19)를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홀더(19)는 제2 프런트 바디(11b1)와 제2 리어 바디(11b2)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가이드 시트(20)를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폴(22)더는 제2 바디(11b)가 슬라이딩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제2 상태로 확장되는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스피커(18)는 인쇄회로기판(14)의 상단에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8)는 제1 프런트 바디(11a1)와 프레임(11c) 사이 또는 제1 리어 바디(11a2)와 프레임(1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일부가 제1 바디(11a)에 수용된 제1 상태가 되고, 제1,2 바디(11)의 이격거리에 따라 수용된 일부가 외부로 확장된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일부가 제1 바디(11a)에 수용되어 전면에 보여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제1 화면(12a)을 가지고, 후면에 보여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제2 화면(12b)을 가질 수 있다. 제2 상태는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가 소정의 이격거리로 분리되어, 제1 바디(11a)에 수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일부가 외부로 확장되어 제1,2 화면(12a,12b)보다 큰 제3 화면(12c)을 가질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1 상태가 되는 동안, 제1 바디(11a)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폴(22, Pole)을 통해 라운드로 밴딩(Bending)되어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이동 단말기(10)의 바디(11)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2 상태가 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의 바디(11)의 전면에 확장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시트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 도 9는 프레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폴을 보여주기 위한 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가이드 시트(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후면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시트(20)는 프레임(11c)에 장착된 후 제1 바디(11a)에 체결시킬 수 있다.
프레임(11c)은 가이드 시트(20)를 프레임(11c)에 체결하기 전엔 디스플레이 폴(22)을 장착할 수 있다. 프레임(11c)은 디스플레이 폴(22)을 장착한 후 인쇄회로기판(14), 배터리 탈착부(15)를 순차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폴(22)은 프레임(11c)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폴(22)은 제1 폴(22a), 제2 폴(22b), 스프링(22c) 및 와이어 롤러(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22a)은 단측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폴(22b)은 단측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폴(22a)과 제2 폴(22b)은 분리될 수 있으며, 스크류(Screw)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폴(22)은 제1 폴(22a)과 제2 폴(22b) 사이에 스프링(22c, Spring)과 와이어(22e)를 고정하는 와이어 롤러(22d)를 삽입할 수 있다. 와이어(22e) 일단은 와이어 롤러(22d)에 리벳팅하고, 와이어(22e) 타단은 가이드 시트(20)의 평판(21)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폴(22)은 와이어(22e)를 평판(21)과 와이어 롤러(22d)에 고정한 다음에 스프링(22c)의 힘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폴(2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는 와이어 롤러(22d)에 감겨 있던 와이어(22e)를 풀리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폴(22)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폴(2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는 풀려있던 와이어(22e)를 와이어 롤러(22d)에 다시 감기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폴(22)은 장착된 스프링(22c)의 힘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9및 도 9의 I-I 단면을 도시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시트(20)는 가이드 시트(20)의 평판(21)에 와이어(22e, Wire)를 고정한 후 와이어(22e)를 와이어 롤러(22d, Roller)에 감고 와이어(22e)의 일단을 리벳팅할 수 있다. 와이어 롤러(22d)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와이어(22e)를 감거나 풀면서 와이어(22e)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의 II-II 단면을 도시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2e)가 체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함께 프레임(11c)에 체결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프레임(11c)에 체결되면, 연성회로기판(14a)이 수납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4a)은 디스플레이 폴(22)의 상단에 라운딩되도록 장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와 인쇄회로기판(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4a)은 인쇄회로기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구동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하거나,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동작할 때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좌우로 움직이는 거리만큼 연성회로기판(14a)이 길게 형성되어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를 따라 움직이는 연성회로기판(14a)과 프레임(11c)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14) 간의 연결을 더욱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14a)과 인쇄회로기판(14) 사이에 디스플레이 커넥터(17)를 배치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4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에 대응하여 좌우로 움직이면서, 인쇄회로기판(14) 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14a)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폴(22)의 상단에 감겨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연성회로기판(14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좌우로 움직이면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폴(22)에 밴딩되어 수납되거나, 늘어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평판의 후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와 고정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가이드 시트(20)는 제1 상태인 클로즈 신(Close Scene)에서 제2 상태인 오픈 신(Open Scene)으로 전환되는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원활하게 확장되도록 동작하여야 하고, 제2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평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딱딱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딱딱한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1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밴딩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를 밴딩하기 위해서는 소프트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소프트한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처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제1 상태에서는 밴딩되고, 제2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시트(20)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살펴보면, 가이드 시트(20)는 평판(21), 탄성부(21b), 가이드 블럭(21c) 및 고정핀(21d)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시트(20)의 평판(2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후면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평판(2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제1 상태 동안 라운드로 밴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의 제2 상태 동안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 사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평평함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평판(21)은 일단에 와이어(22e) 고정부가 배치되고, 타단에 고정돌기(21a)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22e) 고정부는 디스플레이 폴(22)(Pole)에 체결된 와이어(22e)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21a)는 제2 바디(11b)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평판(21)의 타단을 제2 바디(11b)에 고정시킬 수 있다.
평판(2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좌우로 움직일 때 평판(21)의 타단이 제2 바디(11b)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평판(21)의 타단은 제2 바디(11b)와 함께 동일한 슬라이딩(Sliding) 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이에 평판(21)은 제2 바디(11b) 간에 높은 전단력이 필요하다. 평판(21)은 제2 바디(11b)와의 높은 전단력을 위해 타단에 고정돌기(21a)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21a)는 요철(凹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바디(11b)도 고정돌기(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요철(凹凸)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평판(21)과 제2 바디(11b)가 고정돌기(21a)를 통해 서로 결합되면, 스크류(Screw)로 한번 더 체결할 수 있다. 이에 제2 바디(11b)는 평판(21)을 더욱 견고하게 수용할 수 있다.
탄성부(21b)는 평판(21)의 후면(後面)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21b)는 평판(21)의 후면(後面)에서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21b)는 평판(21)의 후면(後面)에서 전면(前面)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21b)는 단측면이 아치형 플레이트(Arch Plate)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21b)는 단측면이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평판(21)의 후면에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탄성부(21b)와 이웃하는 탄성부(2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평판(21)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단측면이 사각형 형상인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평판(21)이 일정 각도이상 밴딩되지 않도록 탄성부(21b)들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부(21b)와 함께 평판(21)이 평평함을 유지되도록 지탱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1c)은, 복수 개가 플랙서블 디스플레이(30)의 가로 방향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30)의 어느 부위에 압력이 가해져도 가이드 블록(21c)이 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또는 분산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고정필름(23)에 고정될 수 있다.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가이드 블럭(21c)에 의하여, 탄성부(21b)가 위치 및/또는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가이드 블럭(21c)에 의하여, 외력이 작용하여도 가이드 시트(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일정 정도 이상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핀(21d)은 평판(21)의 후면에 배치되는 탄성부(2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21d)은 탄성부(21b)의 중앙영역을 관통하여 평판(21)의 후면에 체결됨으로써 탄성부(2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필름(23)은 평판(21)의 후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블럭(21c)의 끝단에 적층될 수 있다. 고정필름(23)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 블럭(21c)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고정필름(23)을 가이드 블럭(21c)의 끝단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제품이라도 상관이 없다.
고정필름(23)이 다수의 가이드 블럭(21c)의 끝단에 적층됨으로써, 탄성부(21b)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고정필름(23)은 탄성부(21b)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탄성부(21b)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시트(20)는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제1 상태에서는 밴딩되고, 제2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치형 플레이트(Arch Plate) 형상의 탄성부(21b)는 일정한 R값을 형성할 수 있다. 평판(21)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21d)은 탄성부(21b)의 중앙영역을 평판(21)의 후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필름(23)은 가이드 블럭(21c)의 끝단에 고정되어 탄성부(21b)를 받칠 수 있다. 탄성부(21b)는 평판(21)이 후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부(21b)의 R값에 따른 반대 방향으로 복원하려는 성질이 발생한다. 탄성부(21b)는 전면 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강하게 발생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시트(20)는 아치형 플레이트(Arch Plate) 형상을 가지는 탄성부(21b)의 중앙영역을 평판(21)의 후면에 고정핀(21d)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고정필름(23)으로 탄성부(21b)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시트(20)는 탄성부(21b)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원활하게 밴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제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3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을 살펴보면, 가이드 시트(20)는 평판(21), 탄성부(21b1), 고정핀(21d1) 및 고정필름(2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평판(21)과 고정핀(21d1)은 도 11에서 설명한 평판(21)과 고정핀(21d)에 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탄성부(21b1)는 평판(21)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21b1)는 단측면이 아치형 플레이트(Arch 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탄성부(21b1)는 도 11에 도시된 탄성부(21b)보다 큰 아치형 플레이트(Arch Pl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탄성부(21b1)는 도 11에 도시된 탄성부(21b)보다 큰 R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탄성부(21b1)는 탄성부(21b1)의 R값에 따른 반대 방향으로 복원하려는 성질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탄성부(21b1)는 전면 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더욱 강하게 발생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가이드 시트(20)는 평판(21), 탄성부(21b2), 가이드 블럭(21c) 및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평판(21)과 탄성부(21b2)는 도 11에서 설명한 평판(21)과 탄성부(21b)에 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탄성부(21b2)는 평판(21)의 후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가이드 블럭(21c)의 끝단에 적층되는 고정필름(23)에 의해 가이드 블럭(21c)들 사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평판(21)의 후면에 배치되는 탄성부(21b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평판(21)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단측면이 사각형 형상인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21c)은 평판(21)이 일정 각도이상 밴딩되지 않도록 탄성부(21b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시트(20)는 가이드 블럭(21c)을 통해 평판(21)이 일정 각도이상 밴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일정 각도이상 밴딩되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21b)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원활하게 밴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제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1와 도 14에서는 평판(21)의 후면에 탄성부(21b)와 가이드 블럭(21c)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판(21)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21b)마다 하나의 가이드 블럭(21c)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바디에 프레임이 체결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바디에 프레임이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가이드와 사이드 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살펴보면, 메인 보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를 장착하고 제1 바디(11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프레임(11c)을 가이드하기 위한 사이드 가이드(41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a)의 내부상측면 또는 내부하측면에는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길게 사이드 가이드(41a)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가이드(41a)는 프레임(11c)이 제1 바디(11a)에 체결되는 동안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프레임(11c)은 일측이 돌출되어 사이드 가이드(41a)에 수용되어 동작하는 사이드 립(41b)과 제1 바디(11a)에 체결된 프레임(11c)을 고정시키는 훅(11c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c)은 사이드 가이드(41a)와 대응되는 위치에 사이드 립(41b)이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립(41b)의 끝단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 볼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볼은 사이드 가이드(41a)에 삽입되는 사이드 립(41b)이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1c)의 사이드 립(41b)이 제1 바디(11a)의 사이드 가이드(4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함으로써, 프레임(11c)이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다. 게다가 사이드 립(41b)과 사이드 가이드(41a) 간에 일정한 갭이 확보됨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사이드 립(41b)과 사이드 가이드(41a) 간에 확보된 갭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사이드 립(41b)과 사이드 가이드(41a)를 통해 프레임(11c)이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정확하게 조립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c)의 끝단에 배치되는 훅(11c1)이 제1 바디(11a)에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11c)에 배치되는 훅(11c1)이 제1 바디(11a)에 체결되면, 프레임(11c)이 제1 바디(11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상단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상단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살펴보면, 이동 단말기(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는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여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이동 단말기(10)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는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폴(22)의 동작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를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는 사용자의 힘이 필요 없으나,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에는 사용자의 힘이 필요하다. 이때 이동 단말기(10)의 제1 바디(11a) 또는 제2 바디(11b)가 얇으면서 평평하게 형성되면, 사용자는 제1 바디(11a) 또는 제2 바디(11b)에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기가 매우 곤란할 뿐 아니라 미끄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 각각의 측면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 형상은 사용자의 핸드 그립에 맞게 형성된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경우 이동 단말기(10)의 제1 바디(11a)의 측면과 제2 바디(11b)의 측면을 잡고 양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제1,2 바디(11)의 측면에 라운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제1, 2 바디(11)의 측면에 라운드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우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연결돌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를 살펴보면,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는 이동 단말기(1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 간의 체결력을 개선하기 위해 제2 바디(11b)에 연결돌기(13a)를 형성하고, 제1 바디(11a)에 연결홈(13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1b)는 제1 바디(11a)와 체결되는 체결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13a)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13a)는 제2 바디(11b)의 상단 측면과 하단 측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a)에는 제2 바디(11b)의 연결돌기(13a)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홈(13b)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3b)에 삽입된 연결돌기(13a)는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여 체결된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를 분리하기 전까지는 임의적으로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돌기(13a)과 연결홈(13b) 각각의 내부에는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돌기(13a)와 연결홈(13b)의 내부에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가 체결될 때 위치 보정되어 정확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자성을 가지는 물질은 자석(13a1,13b1)일 수 있다.
도 22에서는 제1 바디(11a)에 연결홈(13b)이 배치되고, 제2 바디(11b)에 연결돌기(13a)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바디(11a)에 연결돌기(13a)가 배치되고, 제2 바디(11b)에 연결홈(13b)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바디(11a)와 제2 바디(11b)가 금속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연결홈(13b) 또는 연결돌기(13a) 중 어느 하나에만 자석(13a1,13b1)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가 탈착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을 살펴보면, 배터리 탈착부(15)는 교체형 배터리(15b)를 적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배터리 탈착부(15)는 제1 바디(11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터리 탈착부(15)에 배터리(15b)를 장착하거나 탈착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제2 상태로 유지한 후 배터리 스위치(15a)를 클릭하여 배터리 탈착부(15)에 삽입된 교체형 배터리(15b)를 탈착할 수 있다. 배터리 탈착부(15)는 프레임(11c)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사이드 립(41b)을 관통하여 교체형 배터리(15b)가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교체방식은 일반적인 소형 디지털 카메라 배터리(15b)의 교체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일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살펴보면, 도 24의 (a)는 이동 단말기(10)의 제1 상태에서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고, 도 24의 (b)는 이동 단말기(10)의 제1 상태에서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고, 도 24의 (c)는 이동 단말기(10)의 제2 상태에서 제3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준다.
제1 상태는 이동 단말기(10)의 화면이 확장되기 전의 클로즈 신(Close Scene) 상태를 의미하고, 제2 상태는 이동 단말기(10)의 화면이 확장된 후의 오픈 신(Open Scene)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화면모드는 세로모드에서 가로보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제1 화면에서 제3 화면으로 화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에 제1 화면의 화면비는 제3 화면의 화면비와 다를 수 있다. 즉, 제1 화면에 알맞게 셋팅된 화면비는 제1 화면에서 제3 화면으로 커짐에 따라, 제3 화면에 알맞은 화면비로 자동 재셋팅될 수 있다.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1 화면으로 메일을 체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일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메일에 대한 내용이 제1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일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메일에 대한 내용이 이동 단말기(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일 중 하나는 선택한 상태에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경우 자동으로 화면이 분할되고 하나의 화면에는 메일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화면에는 메일에 대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살펴보면, 도 25의 (a)는 이동 단말기(10)의 제1 상태에서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고, 도 25의 (b)는 이동 단말기(10)의 제1 상태에서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고, 도 25의 (c)는 이동 단말기(10)의 제2 상태에서 제3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1 화면으로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화면에서 동영상을 보는 도중 메일 또는 SNS의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된 메일 또는 SNS의 메시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을 다른 페이지로 전환할 수 밖에 없다.
이와 달리,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화면에서 동영상을 보는 도중 메일 또는 SNS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제1 화면에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신된 메일 또는 SNS의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화면을 통해 간편하게 체크할 수 있다.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화면에서 동영상을 보는 도중 메일 또는 SNS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화면에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할 경우 자동으로 화면이 분할되고 하나의 화면에는 동영상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화면에는 SNS의 메시지에 대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분할된 하나의 화면을 통해 동영상을 보면서 다른 화면을 통해 상대방과 채팅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있는 동영상을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함께 보면서 실시간으로 채팅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도 25의 (c)와 같이, 제2 상태에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을 때 전화가 수신되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하면서 자동으로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어 화면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화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시킬 수 있어 멀티 태스킹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의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와 무선 통신 시스템(미도시) 사이, 이동 단말기(1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와 외부서버(미도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입력부(120)를 통해 수집된다. 수집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 내의 정보, 이동 단말기(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15b)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 화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센서(optical sensor)는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는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 센서는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는 상술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6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5b)를 포함하며, 배터리(15b)는 이동 단말기(10)에 내장되는 내장형 배터리(15b) 또는 이동 단말기(10)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한 외장형 배터리(15b)가 될 수 있다. 배터리(15b)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배터리(15b)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분리가능한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일부가 상기 제1 바디에 수용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2 바디의 이격에 따라 상기 수용된 일부가 외부로 확장된 제2 상태를 포함하는 특정 상태에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시트(guide sheet)를 포함하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前面) 방향과 후면(後面)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위치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시트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체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평판과,
    상기 평판과 떨어져 위치하는 고정필름과,
    상기 평판에서 상기 고정필름을 향해 돌출되며, 복수 개가 떨어져 배치된 가이드 블록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록 중 이웃한 가이드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고정필름 쪽으로 오목한 아치형 플레이트이고, 중앙 부분이 상기 평판에 고정된,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내부공간에는 복수의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측이 돌출되어 상기 사이드 가이드에 수용되어 동작하는 사이드 립과,
    제1 바디에 체결된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훅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바디에 수용하거나 수용된 일부를 외부로 확장하는 디스플레이 폴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폴은,
    제1 폴과,
    상기 제1 폴에 삽입된 제2 폴과,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롤링 동작하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 롤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일단에는 상기 와이어와 체결되는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바디와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서로 맞닿는 각각의 측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에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홈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 방향으로의 표시면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상태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가로 모드와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상태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표시 중인 영상의 화면비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74462A 2016-06-15 2016-06-15 이동 단말기 KR10247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62A KR102470945B1 (ko) 2016-06-15 2016-06-15 이동 단말기
EP17000329.7A EP3258675B1 (en) 2016-06-15 2017-03-02 Mobile terminal
US15/473,509 US10061358B2 (en) 2016-06-15 2017-03-29 Mobile terminal
CN201710292112.2A CN107526395B (zh) 2016-06-15 2017-04-28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62A KR102470945B1 (ko) 2016-06-15 2016-06-1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38A KR20170141438A (ko) 2017-12-26
KR102470945B1 true KR102470945B1 (ko) 2022-11-25

Family

ID=5826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62A KR102470945B1 (ko) 2016-06-15 2016-06-1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61358B2 (ko)
EP (1) EP3258675B1 (ko)
KR (1) KR102470945B1 (ko)
CN (1) CN107526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732B1 (ko) * 2016-06-10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871397S1 (en) * 2017-01-03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71398S1 (en) * 2017-01-03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404880B1 (ko) * 2018-01-09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CN108259649B (zh) * 2018-02-09 2021-07-30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102269604B1 (ko) * 2018-02-23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8690B1 (ko) 2018-04-04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모듈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57703B1 (ko) * 2018-04-09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401736B (zh) * 2018-04-24 2020-1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277928B1 (ko) * 2018-04-25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246777B1 (ko) 2018-05-09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86663B1 (ko) 2018-06-19 2023-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900772A (zh) * 2018-07-19 2018-11-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图像拍摄方法
KR102650346B1 (ko) * 2018-08-09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TWI675235B (zh) * 2018-10-11 2019-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9819074B (zh) * 2018-12-29 2021-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9618033A (zh) * 2018-12-29 2019-04-12 河海大学 一种折叠全面屏手机
KR20200099455A (ko)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65897B2 (en) * 2019-02-1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KR20200115940A (ko) *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1654803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8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433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43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6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30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0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46025S (ko) * 2019-04-10 2021-11-08
CN111831059A (zh) * 2019-04-19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835893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以及伸缩机械部件
KR102195811B1 (ko) * 2019-04-25 2020-12-29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스크린 전개 및 수납 어셈블리 및 단말기
CN111866222B (zh) * 2019-04-25 2022-05-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幕的终端
TWM582287U (zh) * 2019-05-16 2019-08-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保護殼
CN111953820A (zh) * 2019-05-17 2020-11-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0241926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D933625S1 (en) * 2019-06-05 2021-10-19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obile phone
CN110275599A (zh) * 2019-06-20 2019-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2243051B (zh) 2019-07-17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TWI710938B (zh) * 2019-07-24 2020-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器
JP1663171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174S (ja) * 2019-08-08 2020-07-06 携帯電話機
TWI726417B (zh) 2019-09-12 2021-05-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JP1663181S (ja) * 2019-09-19 2020-07-06 携帯電話機
JP1663468S (ja) * 2019-09-25 2020-07-13 携帯電話機
KR102281347B1 (ko) * 2019-09-27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10041380A (ko) * 2019-10-07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의 전자 장치
WO2021075610A1 (ko) * 2019-10-18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4050908A4 (en) * 2019-10-24 2023-07-2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PEAKER MODULE
WO2021085689A1 (ko) * 2019-11-01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5g 배열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1674247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73958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73957S (ja) * 2019-11-07 2020-12-07 携帯電話機
JP1663663S (ja) * 2019-11-07 2020-07-13 携帯電話機
EP4060968A4 (en) * 2019-11-14 2023-07-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710881B (zh) * 2019-11-20 2020-11-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EP4064666A4 (en) * 2019-11-22 2023-07-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21100939A1 (ko) 2019-11-22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2839114B (zh) * 2019-11-22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
WO2021112291A1 (ko) 2019-12-05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112305A1 (ko) * 2019-12-06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17914A1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117950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32744A1 (ko) * 2019-12-23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3037895B (zh) * 2019-12-24 2022-04-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WO2021132748A1 (ko) 2019-12-24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3037896B (zh) * 2019-12-24 2022-06-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屏组件及电子设备
EP4095670A4 (en) * 2020-01-20 2023-10-2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CONTENT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49838A1 (ko) * 2020-01-20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230051261A1 (en) * 2020-01-21 2023-02-1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4982211B (zh) * 2020-01-24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可滑动显示屏的支撑结构
WO2021167133A1 (ko) * 2020-02-20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172602A1 (ko) * 2020-02-24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187641A1 (ko) * 2020-03-19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20118466A (ko) * 2020-03-26 2022-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20128381A (ko) 2020-03-31 202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06190A1 (ko) 2020-04-07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713782B1 (ko) * 2020-04-09 2024-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10130299A (ko) * 2020-04-21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554941A (zh) * 2020-04-26 2021-10-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1225192A1 (ko) * 2020-05-07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41185A (ko) * 2020-05-15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2328B1 (ko) * 2020-06-05 202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3852703B (zh) * 2020-06-28 2023-11-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EP4097563A4 (en) 2020-07-14 2023-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ARRANGEMENT
WO2022019358A1 (ko) 2020-07-24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054970A1 (ko) 2020-09-08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4128729A4 (en) * 2020-10-12 2023-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RICTION-REDUCING STRUCTURE
KR102289369B1 (ko) * 2020-11-05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4231116A4 (en) * 2020-11-17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
EP4184501A4 (en) * 2020-12-04 2023-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COMPENSATING RESIDUAL IMAGE OF DISPLAY DEVICE
EP4224280A4 (en) * 2020-12-04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KR20220108506A (ko) * 2021-01-27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71756B2 (en) 2021-01-27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30017621A (ko) 2021-07-28 2023-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표시 장치
KR20230030066A (ko) * 2021-08-23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34652A (ko) * 2022-03-14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67884A (ko) *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15B1 (ko) * 2006-12-21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30610A1 (en) * 2000-12-05 2002-06-18 E-Ink Corporation Portable eclectronic apparatus with additional electro-optical display
JP4943425B2 (ja) * 2005-05-20 2012-05-30 クリエーター テクノロジー ビー ヴィ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用保護カバー
JP2008096543A (ja) * 2006-10-06 2008-04-2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KR100867608B1 (ko) * 2007-08-21 2008-11-10 한국과학기술원 접이식 휴대용 단말기
KR101469779B1 (ko) * 2008-08-21 2014-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347852B1 (ko) * 2014-09-05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전자 노트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300024B1 (ko) * 2014-10-23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50698A (ko) * 2014-10-30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180100B (zh) * 2015-10-23 2018-09-04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胶框组件、背光源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15B1 (ko) * 2006-12-21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6395A (zh) 2017-12-29
US10061358B2 (en) 2018-08-28
CN107526395B (zh) 2023-03-28
US20170364119A1 (en) 2017-12-21
KR20170141438A (ko) 2017-12-26
EP3258675A1 (en) 2017-12-20
EP3258675B1 (en)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945B1 (ko) 이동 단말기
US10855819B2 (en) Mobile terminal
KR102396460B1 (ko) 곡면부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547718B2 (en) Mobile terminal
KR1023534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US20160127525A1 (en) Mobile terminal
KR20170050270A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KR102152168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44105A (ko) 이동단말기
KR101731375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1249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102643355B1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102166834B1 (ko) 이동 단말기
KR102501123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2942B1 (ko) 이동단말기
KR1015376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0732A (ko) 전자기기
KR102501121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1017275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50136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121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