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3646B1 -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46B1
KR101973646B1 KR1020170099750A KR20170099750A KR101973646B1 KR 101973646 B1 KR101973646 B1 KR 101973646B1 KR 1020170099750 A KR1020170099750 A KR 1020170099750A KR 20170099750 A KR20170099750 A KR 20170099750A KR 101973646 B1 KR101973646 B1 KR 10197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mper
drying operation
exhaus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927A (ko
Inventor
하도용
박장희
박한샘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646B1/ko
Priority to PCT/KR2018/008873 priority patent/WO2019031778A1/en
Priority to US16/637,417 priority patent/US11703237B2/en
Priority to EP18843473.2A priority patent/EP3665423A4/en
Publication of KR2019001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ⅰ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와 제 1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제 2열교환기 및 ⅱ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흡착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시키고 다른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시키는 정상 운전 중,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소정의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중지하고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시키고 다른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시키는 정상 운전 중,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소정의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a)단계; 및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중지하고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b)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 시스템이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실내 공기(내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고, 실외 공기(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고, 외기를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외기를 제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고, 외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데시칸트(Desiccant) 방식을 이용하여, 제습 운전이나 가습 운전을 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데시칸드 방식을 이용한 제습 운전시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된 수분이 포화될 경우, 제습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는 제습 기능 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래의 데시칸드 방식을 이용한 제습 운전 또는 가습 운전시,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된 수분이 포화될 경우, 공기조화장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여, 제품의 고장을 야기하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실내측으로 급기할 때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데시칸트 방식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가습 운전시에도 2개의 열교환기의 증발기 기능 및 응축기 기능이 주기적으로 절환된다. 이에 따라, 가습 운전시 배기되는 유로 상에 배치된 증발기는 곧이어 급기되는 유로 상의 응축기로 변경되므로, 증발기로 기능할 때 발생한 결로수가 곧바로 급기되는 공기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제 1 및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낙수되어 포집된 결로 수분의 수위를 플로팅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감지하게 되면, 이미 상당한 결로 수분이 발생된 이후에야 감지가 가능하여, 상당 시간 동안에는 결로 수분에 의한 문제를 방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결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사용자의 취향 및 실내외의 상태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기능하는 공기조화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ⅰ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와 제 1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제 2열교환기 및 ⅱ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흡착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시키고 다른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시키는 정상 운전 중,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소정의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중지하고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은,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상대 습도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만족하도록 기설정된 습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은, 상기 습도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의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고,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내기를 공급하는 내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외기 건조 운전 중 공급된 외기는 실외측으로 배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내기 건조 운전 중 공급된 내기는 실외측으로 배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운전에서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가 교대로 응축기 및 증발기로 기능하게 제어하고, 상기 건조 운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증발기로 기능한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1공유 유로; 상기 제 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2공유 유로;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챔버; 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급기가 유출되는 급기 챔버; 내부로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챔버; 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배기가 유출되는 배기 챔버;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내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내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배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외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외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급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내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내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배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외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외기 댐퍼; 및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급기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운전시, ⅰ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와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열리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와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와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와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ⅲ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거나, ⅳ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배기 챔버 내에 배치된 배기팬; 및 상기 급기 챔버 내에 배치된 급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운전시 상기 배기팬 및 급기팬을 작동시키게 제어하고,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급기팬을 정지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ⅰ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고, ⅱ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고, ⅲ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고, ⅳ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는, 상기 열교환 모듈을 거쳐 실외측으로 배출되는 배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배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열교환 모듈을 거쳐 실내측으로 공급되는 급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급기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 습도 센서 및 상기 급기 습도 센서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시키고 다른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시키는 정상 운전 중,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소정의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a)단계; 및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중지하고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b)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불만족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내기를 공급하는 내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제 1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1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제 2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2건조 운전을 수행할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ⅰ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1열교환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ⅱ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2열교환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제 2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ⅲ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1열교환기에 내기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ⅳ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2열교환기에 내기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을 이용한 건조 운전을 통해서, 제습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공기조화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을 이용한 건조 운전을 통해서,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의 결로 발생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고장이나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며,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한 상기 건조 운전 조건 판단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결로 수 발생을 추정할 수 있고, 보다 이른 시점의 건조 운전 진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 조건을 통해, 장치내 결로 수분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상기 습도 조건이 만족하여 불필요하게 건조 운전이 진행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의 비교와 이에 따른 외기 또는 내기를 이용한 건조 운전으로, 건조 운전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결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 운전시 실외측으로 배기시킴으로써, 결로 수분을 실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건조운전시 증발기로 기능한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게 함으로써, 절환 시스템을 가진 흡착제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건조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황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다양한 건조 운전 방식을 통해서, 실내외의 상태의 다양한 조건 및 장치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유로들, 상기 챔버들 및 상기 댐퍼들을 통해서, 최소의 구성으로 다양한 모드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고, 특히 복수의 건조 운전 모드를 최소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부가 투영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제 1층을 라인 S1-S1'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제 2층을 라인 S2-S2'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냉매 흐름 및 공기 흐름의 개념도이다. 도 4a는, 제 1유로 모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며, 제 2열교환 모드의 냉매 흐름을 보여준다. 도 4b는, 제 2유로 모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며, 제 1열교환 모드의 냉매 흐름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증발기로 기능하는 열교환기(41 또는 42)의 수분 흡착에 따른 공기 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습공기 선도(psychometric chart) 및 개념도이다. 도 6a는 증발기(41 또는 42)의 흡착제(Ab)가 포화되기 전 수분(W)을 흡착하는 경우, 공기 상태 변화의 예시를 보여준다. 도 6b는 증발기(41 또는 42)의 흡착제(Ab)가 포화되어 흡착된 수분(W) 이외에 결로 수분(W')이 생기는 경우, 공기 상태 변화의 예시를 보여준다.
도 7은 공기조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공기조화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10b는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건조 운전 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 및 도 10a는 도 2의 단면도 상에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9b 및 도 10b는 도 3의 단면도 상에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외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이 도시되고, 도 10a 및 도 10b는 내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이 도시된다.
도면들에 표기된 화살표 O 및 I는 각각 실외측(O) 및 실내측(I)을 의미한다. 실외측(O) 및 실내측(I)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흡입하거나 토출하는 공기와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실외측(O) 및 실내측(I)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도시되었으나,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닐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X축 방향은 +X축 방향과 -X축 방향을 포괄하는 의미이며, Y축 방향은 +Y축 방향과 -Y축 방향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도면에서는, Y축 방향 및 X축 방향을 각각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지칭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류' 및 '하류'는, 해당되는 유로 상에서 유체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의 용어 중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는,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 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설명 전체에 걸쳐 언어적/수학적으로 표현된 대소비교에 있어서, '작거나 같음(이하)'과 '작음(미만)'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크거나 같음(이상)'과 '큼(초과)'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치환하여도 그 효과 발휘에 문제가 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외기(Outdoor Air)(OA)가 실내측(I)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OA-SA)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내기(Indoor Air)(IA)가 실외측(O)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IA-EA)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압력을 가하는 팬모듈(20, 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 중 수분량을 변경시키도록 구비된 열교환 모듈(40)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급기 유로(OA-SA)는 외기(OA)가 유입되어 급기(Supplying Air)(SA)로 배출되기 까지의 경로를 가진 유로를 의미한다. 배기 유로(IA-EA)는 내기(IA)가 유입되어 배기(Exhaust Air)(EA)로 배출되기 까지의 경로를 가진 유로를 의미한다.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는 후술할 댐퍼들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외기(OA)는 급기 유로(OA-SA)를 거치며 급기(SA)가 되고, 내기(IA)는 배기 유로(IA-EA)를 거치며 배기(EA)가 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후술할 건조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가 닫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후술할 외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가 모두 닫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후술할 외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가 닫힘되며 외기 건조 유로(OA-EA)가 열림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후술할 내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가 닫힘되며 배기 유로(IA-EA)는 내기 건조 유로(IA-EA)로 기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급기 유로(OA-SA), 배기 유로(IA-EA) 및 상기 건조 유로는 후술할 댐퍼들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케이스(1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가 형성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팬모듈(20, 30)이 배치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열교환 모듈(40)이 배치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후술할 챔버들 및 댐퍼들이 배치된다.
팬모듈(20, 30)은, 공기가 실외 측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배기팬(20)을 포함한다. 배기팬(20)은 배기 챔버(58)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듈(20, 30)은, 공기를 실내 측으로 토출시키도록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급기팬(30)을 포함한다. 급기팬(30)은 급기 챔버(5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 유로 상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9b, 19c)는 급기 유로(OA-SA) 상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필터(19a, 19d)는 배기 유로(IA-EA) 상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필터(19c, 19d)는 외기 건조 유로(OA-EA) 상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필터(19a, 19d)는 내기 건조 유로(IA-EA) 상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내기 챔버(52) 상에 필터(19a)가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챔버(58) 상에 필터(19d)가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챔버(56) 상에 필터(19c)가 배치될 수 있다. 급기 챔버(54) 상에 필터(19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열교환 모듈(40)은 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45)와 제 1열교환기(41)와 팽창밸브(43)와 제 2열교환기(42)를 포함한다. 열교환 모듈(40)은 압축기(45)와 제 1열교환기(41)와 팽창밸브(43)와 제 2열교환기(42)를 연결하는 냉매배관 (미도시)를 포함한다.
정상 운전 모드에서,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 중 어느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하게 구비된다. 냉매가 압축기(45)와 제 1열교환기(41)와 팽창밸브(43)와 제 2열교환기(42)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냉매 사이클을 형성할 경우, 제 1열교환기(41)가 응축기로 기능하고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다. 냉매가 압축기(45)와 제 2열교환기(42)와 팽창밸브(43)와 제 1열교환기(41)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냉매 사이클을 형성할 경우, 제 2열교환기(42)가 응축기로 기능하고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다.
열교환 모듈(40)은,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가 수행하는 증발기의 기능 및 응축기의 기능을 서로 절환시켜주는 냉매절환밸브(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절환밸브(44)에 의해, 냉매 사이클이 절환될 수 있고,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의 응축기 기능 및 압축기 기능이 서로 절환될 수 있다.
압축기(45)를 거친 냉매는, 냉매절환밸브(44)에 의하여 제 1열교환기(41) 측으로 유입되거나 제 2열교환기(4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45) 및 냉매절환밸브(44)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냉매절환밸브(44)에 의해 선택된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 중 어느 하나로 먼저 이동한 후, 팽창밸브(43)를 거쳐,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 중 다른 하나로 이동한다. 제 1열교환기(41), 팽창밸브(43) 및 제 2열교환기(42)를 모두 거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미도시)를 지나 다시 압축기(45)로 회수될 수 있다.
제 1열교환기(41)는 제 1공유 유로(11) 상에 배치된다. 제 2열교환기(42)는 제 2공유 유로(12) 상에 배치된다.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 중, 어느 하나 상에는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 상에는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된다.
도 4a를 참고하여, 제 1공유 유로(11)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유로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되고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된다.
도 4b를 참고하여, 제 1공유 유로(11)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유로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되고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예시적으로 상기 제 1유로 모드를 기준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냉매절환밸브(44)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의 기능을 서로 절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 1유로 모드(도 4a 참고) 및 제 2유로 모드(도 4b 참고)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시킴으로써, 가습 운전 모드 및 제습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 운전 모드 및 제습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 1유로 모드 및 제 2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절환(유로 절환)과 동시에, 냉매절환밸브(44)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의 기능을 서로 절환(냉매 절환)시킴으로써,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가 서로 번갈아가며 증발기 기능 및 응축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에 의해서, 급기(SA)를 제습할 수 있고, 배기(EA)를 제습할 수도 있다. 제습 운전이란, 급기(SA)를 제습하는 운전을 의미한다. 제습 운전시, 배기(EA)의 가습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실내측(I)으로 토출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실내측(I)으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열교환 모듈(40)은 실외측(O)으로 토출될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여, 실외측(O)으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가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에 의해서, 급기(SA)를 가습할 수 있고, 배기(EA)를 가습할 수도 있다. 가습 운전이란, 급기(SA)를 가습하는 운전을 의미한다. 가습 운전시, 배기(EA)의 제습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흡착하여 저장된 수분을 공기 중에 탈착하여 가습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실내측(I)으로 토출될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여, 실내측(I)으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열교환 모듈(40)은 실외측(O)으로 토출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실외측(O)으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정상 운전 모드에서, 제습 운전 및 가습 운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40)은 공기 중 수분을 흡착하게 구비된 흡착제(Ab)를 포함한다. 흡착제(Ab)는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의 외표면에 배치된다. 흡착제(Ab)는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 중으로 수분을 탈착시키게 구비된다.
흡착제(Ab)의 예시로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의 표면에 데시칸트(Desiccant) 코팅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시칸트 코팅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열을 가할 경우 흡수된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방출 시킬 수 있는 재질이며,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는 사이클(cycle) 절환에 따라 교대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어느 한 열교환기(41 or 42)의 외부에 배치된 흡착제(Ab)는, 상기 어느 한 열교환기(41 or 42)가 증발기로 기능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이미 흡수된 수분을 상기 어느 한 열교환기(41 or 42)가 응축기로 기능할 때 공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상기 흡착제(Ab)는 수분을 흡착함에 따라 수분 포화도가 높아지는데, 상기 절환 사이클에 따라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가 교대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하게 하여, 지속적인 상기 제습 운전 또는 상기 가습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되는 제 1공유 유로(11)와,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되는 제 2공유 유로(12)를 포함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서로 별도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공유 유로(12)는 제 1공유 유로(11)의 상측에 적층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케이스(10) 내에 배치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공유 유로 분리판(13)에 의해 제 1층 및 제 2층으로 구획되게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유 유로 분리판(13)의 하측에는 제 1공유 유로(11)가 배치되고, 공유 유로 분리판(13)의 상측에는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측에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되고 상측에 제 1공유 유로(11)가 배치될 수도 있고,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의 양단측(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챔버(52, 54, 56, 58)를 포함한다.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와 유로상 연결 가능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상기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결된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상하로 가로지르며 연결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공유 유로 분리판(13) 하측의 제 1공유 유로(11) 및 공유 유로 분리판(13) 상측의 제 2공유 유로(12)에 연결 가능하게 배치된다. 후술할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에 의해,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와 유로상 연결 여부가 변경된다.
외기 챔버(56)는 실외측(O)으로부터 외기(OA)를 흡입한다. 실외측(O)으로부터 외기 챔버(56)의 내부로 외기(OA)가 유입된다. 외기 챔버(56)는 급기 유로(OA-SA)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외기 챔버(56)는 외기 건조 유로(OA-EA)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급기 챔버(54)는 실내측(I)으로 급기(SA)를 토출시킨다. 급기 챔버(54)의 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급기(SA)가 유출된다. 급기 챔버(54)는 상기 급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내기 챔버(52)는 실내측(I)으로부터 내기(IA)를 흡입한다. 내기 챔버(52)의 내부로 내기(IA)가 유입된다. 내기 챔버(52)는 배기 유로(IA-EA)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내기 챔버(52)는 내기 건조 유로(IA-EA)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배기 챔버(58)는 실외측(O)으로 배기(EA)를 토출시킨다. 배기 챔버(58)의 내부로부터 실외측(O)으로 배기(EA)가 유출된다. 배기 챔버(58)는 배기 유로(IA-EA)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배기 챔버(58)는 상기 건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배기 챔버(58)는 외기 건조 유로(OA-EA) 및 내기 건조 유로(IA-EA)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외기 챔버(56)와 급기 챔버(54)의 사이에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된다. 내기 챔버(52)와 배기 챔버(58)의 사이에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된다.
도 4a를 참고하여, 제 1유로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로 유입된 후, 제 2공유 유로(12) 및 급기 챔버(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제 1유로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로 유입된 후, 제 1공유 유로(11)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도 4b를 참고하여, 제 2유로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로 유입된 후, 제 1공유 유로(11) 및 급기 챔버(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제 2유로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로 유입된 후, 제 2공유 유로(12)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외기 건조 유로(OA-EA)는, ⅰ외기 챔버(56), ⅱ제 1공유 유로(11) 및/또는 제 2공유 유로(12), 및 ⅲ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여, 내기 건조 유로(IA-EA)는, ⅰ내기 챔버(52), ⅱ제 1공유 유로(11) 및/또는 제 2공유 유로(12), 및 ⅲ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도 9a 및 도 10a를 참고하여, 제 1건조 유로는, ⅰ외기 챔버(56) 및/또는 내기 챔버(52), ⅱ제 1공유 유로(11), 및 ⅲ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도 9b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제 2건조 유로는, ⅰ외기 챔버(56) 및/또는 내기 챔버(52), ⅱ제 2공유 유로(12), 및 ⅲ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도 9a를 참고하여, 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로 유입된 후, 제 1공유 유로(11)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제 1외기 건조 유로는, 외기 챔버(56), 제 1공유 유로(11)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도 9b를 참고하여, 제 2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로 유입된 후, 제 2공유 유로(12)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제 2외기 건조 유로는, 외기 챔버(56), 제 2공유 유로(12)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도 10a를 참고하여, 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로 유입된 후, 제 1공유 유로(11)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제 1내기 건조 유로는, 내기 챔버(52), 제 1공유 유로(11)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도 10b를 참고하여, 제 2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로 유입된 후, 제 2공유 유로(12)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제 2내기 건조 유로는, 내기 챔버(52), 제 2공유 유로(12)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유로를 의미한다.
상기 건조 유로는, 상기 외기 건조 유로, 내기 건조 유로, 제 1건조 유로, 제 2건조 유로, 제 1외기 건조 유로, 제 2외기 건조 유로, 제 1내기 건조 유로 및 제 2건조 유로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내기 챔버(52)와 급기 챔버(54)는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를 기준으로 실내측(I)에 배치될 수 있다. 내기 챔버(52)와 급기 챔버(54)는 실내측 챔버 분리판(17)에 의해 좌우(X축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측 챔버 분리판(17)은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내측 챔버 분리판(17)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X축 방향)과 공유 유로 분리판(13)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Y축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외기 챔버(56)와 배기 챔버(58)는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를 기준으로 실외측(O)에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챔버(56)와 배기 챔버(58)는 실외측 챔버 분리판(18)에 의해 좌우(X축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측 챔버 분리판(18)은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외측 챔버 분리판(18)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X축 방향)과 공유 유로 분리판(13)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Y축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와 상기 복수의 챔버(52, 54, 56, 58) 사이의 유로상 연결을 조절하는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포함한다.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은 제 1공유 유로(11)의 말단 또는 제 2공유 유로(12)의 말단에 배치된다.
제 1내기 댐퍼(62a)는 제 1공유 유로(11)와 내기 챔버(52)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와 배기 챔버(58)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외기 댐퍼(66a)는 제 1공유 유로(11)와 외기 챔버(56)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급기 댐퍼(64a)는 제 1공유 유로(11)와 급기 챔버(54)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내기 댐퍼(62b)는 제 2공유 유로(12)와 내기 챔버(52)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배기 댐퍼(68b)는 제 2공유 유로(12)와 배기 챔버(58)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외기 댐퍼(66b)는 제 2공유 유로(12)와 외기 챔버(56)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급기 댐퍼(64b)는 제 2공유 유로(12)와 배기 챔버(58)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내기 댐퍼(62a) 및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1외기 댐퍼(66a) 및 제 1급기 댐퍼(64a)는 제 1공유 유로(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2내기 댐퍼(62b) 및 제 2배기 댐퍼(68b)는 제 2공유 유로(12)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2외기 댐퍼(66b) 및 제 2급기 댐퍼(64b)는 제 2공유 유로(12)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도 5을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센서부(110, 120)의 감지 정보 및/또는 입력부(3)의 입력 정보를 근거로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열교환 모듈(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압축기(45)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냉매절환밸브(44)의 절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을 포함한다. 습도 센서(110)는 공기조화장치가 처리하는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습도 센서(110)는 공기의 절대 습도(Ha) 또는 상대 습도(Hr)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 센서(110)는 공기의 상대 습도(Hr)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도 있고, 공기의 절대 습도(Ha) 및 온도를 측정하여 결과적으로 상대 습도(Hr)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는 실내측(I)의 공기 습도를 감지하는 실내 습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는, 실외측(O)의 공기 습도를 감지하는 실외 습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는, 실내측(I)에서 흡입된 내기(IA)의 습도를 감지하는 내기 습도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기 습도 센서(112)는, 배기 유로(IA-E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상류 지점의 내기(IA)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기 습도 센서(112)는 내기 챔버(5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는, 열교환 모듈(40)을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되는 급기(SA)의 습도를 감지하는 급기 습도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습도 센서(114)는, 급기 유로(OA-S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하류 지점의 급기(SA)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급기 습도 센서(114)는 급기 챔버(5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는, 실외측(O)에서 흡입된 외기(OA)의 습도를 감지하는 외기 습도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 습도 센서(116)는, 급기 유로(OA-S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상류 지점의 외기(OA)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기 습도 센서(116)는 외기 챔버(56)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는, 열교환 모듈(40)을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되는 배기(EA)의 습도를 감지하는 배기 습도 센서(118)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습도 센서(118)는, 배기 유로(IA-E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하류 지점의 배기(EA)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110)는 증발기 출구 공기(증발기를 거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한다. 제습 운전 중에는, 급기 습도 센서(114)가 증발기 출구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가습 운전 중에는, 배기 습도 센서(118)가 증발기 출구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20)는 공기조화장치가 처리하는 공기의 온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0)는, 실내측(I)에서 흡입된 내기(IA)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기 온도 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기 온도 센서(122)는, 배기 유로(IA-E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상류 지점의 내기(IA)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기 온도 센서(122)는 내기 챔버(52)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0)는, 열교환 모듈(40)을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되는 급기(SA)의 온도를 감지하는 급기 온도 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온도 센서(124)는, 급기 유로(OA-S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하류 지점의 급기(SA)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급기 온도 센서(124)는 급기 챔버(54)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0)는, 실외측(O)에서 흡입된 외기(OA)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 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 온도 센서(126)는, 급기 유로(OA-S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상류 지점의 외기(OA)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기 온도 센서(126)는 외기 챔버(56)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0)는, 열교환 모듈(40)을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되는 배기(EA)의 온도를 감지하는 배기 온도 센서(128)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온도 센서(128)는, 배기 유로(IA-EA) 상에서 열교환 모듈(40)보다 하류 지점의 배기(EA)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0)는, 실내측(I)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20)는, 실외측(O)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온도 센서의 기능은, 상기 내기 온도 센서(122)가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외부의 실내측(I)에 별도로 구비된 온도 센서(미도시)가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실외 온도 센서의 기능은, 상기 외기 온도 센서(126)가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외부의 실외측(O)에 별도로 구비된 온도 센서(미도시)가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는, 외기 건조 운전 모드 및 내기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외기 온도와 내기 온도를 비교할 때, 상기 실내 온도 센서 및 상기 실외 온도 센서의 온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고, 공기조화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미도시)에 의해 수신받은 실내측(I) 온도 정보 및 실외측(O) 온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습도 센서(110)와 온도 센서(120)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센서가 온습도를 모두 센싱하는 실시예까지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2)는 입력부(3)의 입력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온도 센서(120)의 감지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습도 센서(110)의 감지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입력 신호 및/또는 상기 감지 신호를 근거로 하여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냉매절환밸브(44)의 절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를 참고하여, 증발기(41 또는 42)의 흡착제(Ab)가 포화되기 전 수분(W)을 흡착하는 경우의 습공기 선도 상의 공기 상태 변화와, 흡착제(Ab)가 포화된 경우의 습공기 선도 상의 공기 상태 변화의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6a 및 도 6b에서, W는 흡착제(Ab)에 의해 흡착된 수분을 도시한 것이고, W'는 흡착제(Ab)의 외부에 결로 수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의 습공기 선도 상에서, X축(수평축) 좌표는 건구 온도(Td)를 의미하고, Y축(수직축) 좌표는 절대 습도(Ha)를 의미하며, 우하단에서 좌상단으로 연장되는 대각선 좌표는 습구 온도(Tw)를 의미하고, 좌하단에서 우상단으로 휘어지며 연장되는 곡선 좌표는 상대 습도(Hr)를 의미한다. 도 6a의 습공기 선도에는 증발기(41 or 42)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의 상태(C1) 및 통과한 후의 공기의 상태(C2)가 도시되고, 도 6b의 습공기 선도에는 증발기(41 or 42)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의 상태(C3) 및 통과한 후의 공기의 상태(C4)가 도시된다.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하는 공기(제습 운전시에는 외기이고, 가습 운전시에는 내기임) 중의 수분 중 적어도 일부가 흡착제(Ab)에 흡착된다. 흡착제(Ab)에 흡착된 수분(W)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흡착제(Ab)는 포화 상태에 가까워지게 된다.
도 6a를 참고하여, 증발기(41 or 42)의 흡착제(Ab)가 포화 상태에 이르기 전에는, 공기 중의 수분은 활발하게 흡착제(Ab)에 흡수된다. 설령, 국소적으로 흡착제(Ab)의 외표면에 결로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결로 수분은 곧 흡착제(Ab)로 흡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41 or 42)를 통과한 공기의 상태(C2)는 도 6a의 습공기 선도의 예시와 같이, 상대 습도가 100%보다 낮은 상태가 된다.
도 6b를 참고하여, 증발기(41 or 42)의 흡착제(Ab)가 포화 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분은 더 이상 흡착제(Ab)에 흡수되지 않는다. 증발기(41 or 42)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Ab)의 외표면 등에 결로 수분(W')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증발기(41 or 42)를 통과한 공기는 이슬점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서 상대 습도가 100%가되고 결로가 발생된다. 발생된 결로는 증발기(41 or 42)의 하방으로 떨어지며,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남게된다. 증발기 출구의 공기 상태는 상대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운전 조건은,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한 증발기(41 or 42)의 결로 수분 발생 여부 및 증발기 출구의 공기 상태 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복수의 운전 모드를 구비한다. 제어부(2)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는, 정상 운전 모드와 건조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는, 환기 운전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운전 모드에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운전 또는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운전을 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정상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상 운전 모드는 제습 운전 모드와 가습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제습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증발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응축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에서, 외기(OA)는 증발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Ab)에 수분을 빼앗기고, 제습된 급기(SA)가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에서, 내기(IA)는 응축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Ab)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고, 가습된 배기(EA)가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 기능을 하는 제 1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하거나,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 기능을 하는 제 2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할 때, 상기 제습 운전 모드가 설정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 중,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에서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로 절환될 수 있고, 그 반대의 절환도 가능하다.
가습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응축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증발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에서, 외기(OA)는 응축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Ab)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고, 가습된 급기(SA)가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에서, 내기(IA)는 증발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Ab)에 수분을 빼앗기고, 제습된 배기(EA)가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제 2열교환기(42)가 응축기 기능을 하는 제 2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하거나,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제 1열교환기(41)가 응축기 기능을 하는 제 1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할 때, 상기 가습 운전 모드가 설정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 중,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에서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로 절환될 수 있고, 그 반대의 절환도 가능하다.
제어부(2)는, 상기 정상 운전 모드에서 배기팬(20) 및 급기팬(30)을 작동시킨다.
환기 운전 모드에서, 열교환 모듈(4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외기(OA)를 실내측(I)으로 유입시키고 내기(IA)를 실외측(O)으로 유출시킨다. 상기 환기 운전 모드에서, 압축기(45)의 작동이 오프(Off)되는 미교환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배기팬(20) 및 급기팬(30)을 작동시킨다. 상기 환기 운전 모드에서, 상기 제 1유로 모드 또는 상기 제 2유로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배기팬(20) 및 급기팬(3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환기 운전 모드에서 배기팬(20) 및 급기팬(30)을 작동시킨다.
건조 운전 모드에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41 or 42)에 발생한 결로 수분(W')을 건조시킨다. 정상 운전 중에는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41 or 42)의 외표면에 배치된 흡착제(Ab)가 포화되어, 결로 수분(W')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여 결로 수분(W')을 건조시킬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정상 운전 중 소정의 입력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정상 운전을 중지하고 건조 운전(건조 운전 모드)을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건조 운전 모드에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정상 운전 중지 직전에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41 or 42)가 건조 유로 상에 배치되게 제어된다. 건조 운전 모드에서,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41 or 42)에 공기를 공급하게 제어된다.
제어부(2)는 복수의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건조 운전 모드는,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41 or 42)에 외기(OA)를 공급하는 외기 건조 운전 모드와,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41 or 42)에 내기(IA)를 공급하는 내기 건조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복수의 외기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외기 건조 운전 모드는, 제 1열교환기(41)에 외기(OA)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 모드와, 제 2열교환기(42)에 외기(OA)를 공급하는 제 2외기 건조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복수의 내기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내기 건조 운전 모드는, 제 1열교환기(41)에 내기(IA)를 공급하는 제 1내기 건조 운전 모드와, 제 2열교환기(42)에 내기(IA)를 공급하는 제 2내기 건조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건조 유로 모드' 및 '열교환 모듈(40)의 작동이 중지되는 미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할 때, 상기 건조 운전 모드가 설정된다.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배기팬(20)을 작동시킨다.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급기팬(30)을 정지시킨다.
건조 운전 모드에서 열교환기(41 or 42)에 공급된 공기는 실외측(O)으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외기 건조 운전 중 열교환기(41 or 42)에 공급된 외기(OA)는 실외측(O)으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내기 건조 운전 중 열교환기(41 or 42)에 공급된 내기(IA)는 실외측으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제 1 및 2 외기 건조 운전 중 열교환기(41 or 42)에 공급된 외기(OA)는 실외측(O)으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제 1 및 2 내기 건조 운전 중 열교환기(41 or 42)에 공급된 내기(IA)는 실외측으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복수의 유로 모드를 구비한다.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상 운전 모드에서,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 중 서로 다른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서로 다른 유로 모드가 서로 번갈아가며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 모드는, 제 1공유 유로(11)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유로 모드, 및 제 1공유 유로(11)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유로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상기 정상 운전시, ⅰ제 1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하거나, ⅱ제 2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한다.
도 4a를 참고한 제 1유로 모드에서,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와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는 열리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와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는 닫힌다.
도 4b를 참고한 제 2유로 모드에서,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와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가 닫히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와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가 열린다.
제어부(2)는, 정상 운전 중(가습 운전 중 또는 제습 운전 중),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2유로 모드 사이의 절환(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유로 모드와 제 2유로 모드 사이의 이러한 절환을 '유로 절환'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운전 모드에서,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외기 건조 모드가 선택되면 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가 선택된다. 제 2외기 건조 모드가 선택되면 제 2외기 건조 유로 모드가 선택된다. 제 1내기 건조 모드가 선택되면 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가 선택된다. 제 2내기 건조 모드가 선택되면 제 2내기 건조 유로 모드가 선택된다.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시, ⅰ외기 건조 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하거나, ⅱ내기 건조 유로 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한다.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시, ⅰ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하거나, ⅱ제 2외기 건조 유로 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하거나, ⅲ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하거나, ⅳ제 2내기 건조 유로 유로 모드가 되도록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제어한다.
도 9a를 참고한 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배기 댐퍼(68a)가 열린다. 상기 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급기 댐퍼와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배기 댐퍼(68b)는 닫힐 수 있다. 상기 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배기팬(20)은 작동한다. 상기 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급기팬(30)은 정지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한 제 2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배기 댐퍼(68b)가 열린다. 상기 제 2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급기 댐퍼와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배기 댐퍼(68a)가 닫할 수 있다. 상기 제 2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배기팬(20)은 작동한다. 상기 제 2외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급기팬(30)은 정지할 수 있다.
도 10a를 참고한 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는 닫히고,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는 열린다. 상기 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와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는 닫힐 수 있다. 상기 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배기팬(20)은 작동한다. 상기 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급기팬(30)은 정지할 수 있다.
도 10b를 참고한 제 2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는 닫히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는 열린다. 제 2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와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는 닫힐 수 있다. 상기 제 2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배기팬(20)은 작동한다. 상기 제 2내기 건조 유로 모드에서 급기팬(30)은 정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복수의 열교환 모드를 구비한다.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 모드는, 제 1열교환기(41)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1열교환 모드(도 4b 참고), 및 제 2열교환기(42)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2열교환 모드(도 4a 참고)를 포함한다. 복수의 열교환 모드는, 압축기(45)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미교환 모드들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 모드에서, 제 2열교환기(42)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상기 제 2열교환 모드에서, 제 1열교환기(41)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정상 운전 모드에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어느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시키고 다른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시킨다. 즉, 정상 운전 모드에서,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정상 운전 모드(가습 운전 중 또는 제습 운전 중)에서,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사이의 절환(전환)을 수행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 1열교환 모드와 제 2열교환 모드 사이의 이러한 절환을 '냉매 절환'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정상 운전 모드(가습 운전 중 또는 제습 운전 중)에서, 상기 유로 절환이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냉매 절환이 동시에 수행되게 제어될 수 있다. 정상 운전 중 상기 유로 절환 및 상기 냉매 절환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사이클 절환'이라 지칭할 수 있다. 가습 운전 모드 또는 제습 운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클 절환이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제어될 수 있다.
건조 운전 모드에서, 복수의 건조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게 제어된다. 또한, 건조 운전 모드에서, 상기 미교환 모드가 선택되게 제어된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각각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은, 복수의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과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의 조합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각 순서도들에서 서로 중복되는 내용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방법은 제어부(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면들의 각 단계와 순서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용 컴퓨터 등에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순서도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몇 가지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정상 운전을 진행하는 과정(S5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정상 운전(S50) 중 소정의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판단 단계(S20)에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한다. 판단 단계(S20)는 정상 운전이 진행되는 과정(S50) 중에 진행된다. 즉, 정상 운전이 진행되는 중,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20)에서, 증발기(41 or 42)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는, 증발기 출구 공기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배기 습도 센서(118) 및 상기 급기 습도 센서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불만족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유지한다. (S50) 이후, 계속해서 정상 운전 중 상기 판단 단계(S20)를 진행한다.
상기 판단 단계(S20)에서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정상 운전(S50)을 중지하고 건조 운전(건조 운전 모드)을 수행하는 건조 단계(S41, S43)가 수행된다. 상기 건조 단계(S41, S43)에서, 상기 과정(S50)의 증발기(41 or 42)로 기능한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외기 온도와 내기 온도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S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교 단계(S30)는 건조 단계(S41, S42) 전에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교 단계(S30)는 상기 판단 단계(S20)에서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진행되나, 정상 운전(S20) 중에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비교 단계(S30)에서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증발기(41 or 42)에 외기(OA)를 공급하는 외기 건조 운전(외기 건조 운전 모드)이 수행되는 단계(S41)가 진행된다. (도 9a 및 도 9b 참고)
상기 비교 단계(S30)에서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증발기(41 or 42)에 내기(IA)를 공급하는 내기 건조 운전(내기 건조 운전 모드)이 수행되는 단계(S43)가 진행된다. (도 10a 및 도 10b 참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어느 것이 증발기로 기능한 것인지 판단하는 증발기 판단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판단 과정에서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열교환기(41)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1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1a, S43a)가 진행된다. (도 9a 및 도 10a 참고)
상기 증발기 판단 과정에서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2열교환기(42)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2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1b, S43b)가 진행된다. (도 9b 및 도 10b 참고)
도 8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순서도 중 도 7의 순서도와 중복되는 내용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은, 증발기(41 or 42)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상대 습도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만족하도록 기설정된 습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S21)
여기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상기 습도 조건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상기 습도 조건만으로 구성된 경우와,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상기 습도 조건뿐만 아니라 다른 조건 또는 다른 조건들을 포함하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상기 습도 조건 및 다른 조건(Co)을 포함할 때, 상기 습도 조건 및 다른 조건(Co)의 합집합 조건(OR조건)으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을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습도 조건 및 다른 조건(Co)의 교집합 조건(AND조건)으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은, 상기 습도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의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S23)
본 실시예(도 8)에서는 상기 습도 조건과 상기 시간 조건이 모두 만족할 때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다른 예로 상기 시간 조건 없이 상기 습도 조건만 만족되도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제어방법은, 정상 운전(S50) 중 상기 습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1)에서, 감지된 증발기(41 or 42) 출구측 공기의 상대 습도가 소정치(설정 습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21)에서 상기 습도 조건이 불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유지한다. (S50) 이후, 계속해서 정상 운전 중 상기 단계(S21)를 진행한다.
상기 단계(S21)에서 상기 습도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조건이 만족되는 상태의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3)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S23)에서 갱신되어 감지되는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습도 조건의 만족 여부를 주기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계(S21)는, 상기 과정(S23) 중에 각기 다른 시점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계속해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S23)을 통해, 증발기(41 or 42)에 결로 수분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습도 조건이 만족하여 불필요하게 건조 운전이 진행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과정(S23)에서, 상기 시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건조 단계(S41, S42)가 수행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건조 단계(S41, S42) 전에 진행되는 상기 비교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 단계(S41, S42) 전에 진행되는 상기 증발기 판단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외기 온도와 내기 온도를 비교하여 어느 온도가 더 높은지에 따라, 복수의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내기를 공급하는 내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외기 온도와 내기 온도를 비교하여 어느 온도가 더 높냐에 따라, 상기 복수의 댐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급기 댐퍼(64a)가 닫히고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배기 댐퍼(68a)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급기 댐퍼(64b)가 닫히고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배기 댐퍼(68b)가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는 닫히고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는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는 닫히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증발기로 기능한 열교환기(41 or 42)가 어느 것이냐에 따라, 복수의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정상 운전에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가 교대로 응축기 및 증발기로 기능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사이클 절환 운전'이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 절환 운전 중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의 증발기로 기능한 열교환기는, 상황에 따라 제 1열교환기(41)이거나 제 2열교환기(42)이다. 제어부(2)는, 건조 운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증발기로 기능한 제 1 및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41 or 42)에 공기를 공급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제 1열교환기(41)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1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제 2열교환기(42)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2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증발기로 기능한 열교환기(41 or 42)가 어느 것이냐에 따라, 상기 복수의 댐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10a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급기 댐퍼(64a)가 닫히고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배기 댐퍼(68a)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는 닫히고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급기 댐퍼(64b)가 닫히고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배기 댐퍼(68b)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는 닫히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증발기로 기능한 열교환기(41 or 42)가 어느 것인지에 따른 2가지 경우와, 외기 온도와 내기 온도를 비교하여 어느 온도가 더 높은지에 따른 2가지 경우의 조합(4가지 경우)에 의해서, 복수의 건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ⅰ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제 1열교환기(41)에 외기(OA)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ⅱ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제 2열교환기(42)에 외기(OA)를 공급하는 제 2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ⅲ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제 1열교환기(41)에 내기(IA)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ⅳ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제 2열교환기(42)에 내기(IA)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는,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증발기로 기능한 열교환기(41 or 42)가 어느 것인지에 따른 2가지 경우와, 외기 온도와 내기 온도를 비교하여 어느 온도가 더 높은지에 따른 2가지 경우의 조합(4가지 경우)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댐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급기 댐퍼(64a)가 닫히고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배기 댐퍼(68a)가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제 1외기 건조 유로 모드)
도 9b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급기 댐퍼(64b)가 닫히고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배기 댐퍼(68b)가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제 2외기 건조 유로 모드)
도 10a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는 닫히고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제 1내기 건조 유로 모드)
도 10b를 참고하여, 제어부(2)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는 닫히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는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제 2내기 건조 유로 모드)
10: 케이스 11: 제 1공유 유로
12: 제 2공유 유로 13: 공유 유로 분리판
20: 배기팬 30: 급기팬
40 : 열교환 모듈 41: 제 1열교환기
42: 제 2열교환기 43: 팽창밸브
44: 냉매절환밸브 45: 압축기
52: 내기 챔버 54: 급기 챔버
56: 외기 챔버 58: 배기 챔버
62a: 제 1내기 댐퍼 62b: 제 2내기 댐퍼
64a: 제 1급기 댐퍼 64b: 제 2급기 댐퍼
68a: 제 1외기 댐퍼 68b: 제 2외기 댐퍼
68a: 제 1배기 댐퍼 68b: 제 2배기 댐퍼
90: 가이드
2 : 제어부 3 : 입력부
110 : 습도 센서 112 : 내기 습도 센서
114 : 급기 습도 센서 116 : 외기 습도 센서
118 : 배기 습도 센서 120 : 온도 센서
Ab : 흡착제 W : 수분
Td : 건구 온도 Tw : 습구 온도
Ho : 절대 습도 Hr : 상대 습도

Claims (18)

  1. ⅰ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와 제 1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제 2열교환기 및 ⅱ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흡착제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를 교대로 응축기 및 증발기로 기능시키는 정상 운전 중,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 중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소정의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중지하고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외기는 실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고,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내기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내기는 실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내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은,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상대 습도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만족하도록 기설정된 습도 조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은,
    상기 습도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의 유지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조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1공유 유로;
    상기 제 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2공유 유로;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챔버;
    내부로부터 실내측으로 급기가 유출되는 급기 챔버;
    내부로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챔버;
    내부로부터 실외측으로 배기가 유출되는 배기 챔버;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내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내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배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외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외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급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내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내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배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외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외기 댐퍼; 및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챔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급기 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운전시, ⅰ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와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열리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와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와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와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고,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ⅲ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거나, ⅳ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챔버 내에 배치된 배기팬; 및
    상기 급기 챔버 내에 배치된 급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운전시 상기 배기팬 및 급기팬을 작동시키게 제어하고,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급기팬을 정지시키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고,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고,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건조 운전시, ⅰ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거나, ⅱ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ⅰ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고,
    ⅱ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가 닫히고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가 열리게 제어하고,
    ⅲ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1외기 댐퍼와 제 1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1내기 댐퍼와 제 1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고,
    ⅳ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건조 운전시 상기 제 2외기 댐퍼와 제 2급기 댐퍼는 닫히고 상기 제 2내기 댐퍼와 제 2배기 댐퍼는 열리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는,
    상기 열교환 모듈을 거쳐 실외측으로 배출되는 배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배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열교환 모듈을 거쳐 실내측으로 공급되는 급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급기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 습도 센서 및 상기 급기 습도 센서의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공기조화장치.
  14. ⅰ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와 제 1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제 2열교환기 및 ⅱ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흡착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열교환기를 교대로 응축기 및 증발기로 기능시키는 정상 운전 중,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 중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습도 정보를 근거로 하여 소정의 건조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a)단계; 및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중지하고,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b)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외기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외기는 실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증발기로 기능한 어느 하나에 내기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내기는 실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내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불만족되면 상기 정상 운전을 유지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제 1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1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상기 제 2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 2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ⅰ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1열교환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제 1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ⅱ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외기 온도가 내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2열교환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제 2외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ⅲ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1열교환기에 내기를 공급하는 제 1내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고,
    ⅳ상기 건조 운전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한 경우 내기 온도가 외기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제 2열교환기에 내기를 공급하는 제 2내기 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099750A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73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50A KR101973646B1 (ko)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8/008873 WO2019031778A1 (en) 2017-08-07 2018-08-06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US16/637,417 US11703237B2 (en) 2017-08-07 2018-08-06 Controlling drying conditions to maintain humidity levels during HVAC operation
EP18843473.2A EP3665423A4 (en) 2017-08-07 2018-08-06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50A KR101973646B1 (ko)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27A KR20190015927A (ko) 2019-02-15
KR101973646B1 true KR101973646B1 (ko) 2019-04-29

Family

ID=6527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750A KR101973646B1 (ko)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03237B2 (ko)
EP (1) EP3665423A4 (ko)
KR (1) KR101973646B1 (ko)
WO (1) WO2019031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7493B2 (en) * 2016-04-07 2021-02-23 Shibaura Electronics Co., Ltd. Dryer and absolute humidity difference sensor
JP2020049400A (ja) * 2018-09-25 2020-04-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ドライエアーの生成装置、ドライエアーの生成方法、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CN111637574B (zh) * 2020-06-12 2021-04-27 上海朗绿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精确调控的新风机组及调控方法
CN113944990B (zh) * 2020-07-15 2023-07-14 海信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控制方法
CN113175704B (zh) * 2021-04-13 2022-06-28 上海交通大学 温室热湿调控与节能节水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571A (ja) * 2004-03-31 2005-10-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1964B2 (en) * 2002-06-28 2004-06-22 John C. Fischer Desiccant-based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EP1548374A4 (en) * 2002-08-05 2008-02-13 Daikin Ind Ltd AIR CONDITIONING
JP3668763B2 (ja) * 2003-10-09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496821B2 (ja) 2003-12-03 2010-07-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AU2005230518B2 (en) * 2004-03-31 2008-06-26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JP3712000B2 (ja) * 2004-03-31 2005-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102005057004B3 (de) * 2005-11-30 2007-04-0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KR20070074301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194719B2 (ja) * 2007-10-31 2013-05-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09109124A (ja) 2007-10-31 2009-05-21 Daikin Ind Ltd 調湿装置
DE102010024476A1 (de) * 2010-06-21 2011-12-22 Wabco Gmbh Druckluftsteuerungseinrichtung, Druckluftsteuerungsverfahren, elektronische Steuereinrichtung, Druckluftversorgungssystem, Druckluftversorgungsverfahren und Fahrzeug
US10274210B2 (en) * 2010-08-27 2019-04-30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Heat pump humidifier and dehumidifier system and method
US9885486B2 (en) * 2010-08-27 2018-02-06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Heat pump humidifier and dehumidifier system and method
JP5104971B2 (ja) 2011-03-31 2012-1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換気装置
JP5452565B2 (ja) * 2011-10-27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US8828128B1 (en) * 2011-12-23 2014-09-09 Novelaire Technologies, L.L.C. Desiccant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434563B1 (ko) * 2012-06-19 2014-08-27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데시칸트 공조기
WO2014038544A1 (ja) 2012-09-04 2014-03-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JP6257788B2 (ja) * 2014-09-26 2018-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WO2016051529A1 (ja) * 2014-09-30 2016-04-07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KR20160048469A (ko) * 2014-10-24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1679574B1 (ko) * 2015-02-09 2016-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571A (ja) * 2004-03-31 2005-10-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2500A1 (en) 2020-06-11
US11703237B2 (en) 2023-07-18
EP3665423A4 (en) 2021-04-07
WO2019031778A1 (en) 2019-02-14
KR20190015927A (ko) 2019-02-15
EP3665423A1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646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709643B (zh) 换气系统
KR102171376B1 (ko) 열교환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252703B1 (ja) 調湿装置
KR101191604B1 (ko) 조습장치
KR101957240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24396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973648B1 (ko)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1984924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8469A (ko)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190024394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993825B1 (ko) 제습 냉방 시스템
JP5145872B2 (ja) 調湿装置
JP2005164148A (ja) 調湿装置
KR102003821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980284B1 (ko) 덕트배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KR10237182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JP4165328B2 (ja) 調湿装置
JP2009109150A (ja) 調湿装置
JP2009109143A (ja) 調湿装置
JP6754578B2 (ja) 除湿システム
JP3742895B2 (ja) 調湿装置
JP2006023079A (ja) 調湿装置
JP5194721B2 (ja) 調湿装置
KR20190024395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