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149B1 - 광투과성 도전재료 - Google Patents
광투과성 도전재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9149B1 KR101849149B1 KR1020167021918A KR20167021918A KR101849149B1 KR 101849149 B1 KR101849149 B1 KR 101849149B1 KR 1020167021918 A KR1020167021918 A KR 1020167021918A KR 20167021918 A KR20167021918 A KR 20167021918A KR 101849149 B1 KR101849149 B1 KR 101849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ensor
- dummy
- shape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금속 패턴의 시인성이 낮고(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가 눈에 띄지 않고), 단락의 발생이 저감된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제공한다. 기재상에, 금속 패턴으로 된 센서부와 더미부를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이며,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은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1개이상의 단위 도형이 반복된 금속 패턴이며, 더미부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한편 단선부를 가지는 단위 도형이 반복된 금속 패턴이며, 센서부와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같은 방향에 대해 동일하고, 한편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합동이 아니다(다만, 단선에 의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과 합동이 아니게 되는 경우를 제외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유기 EL재료, 태양전지 등에 이용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에 관한 것이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 PC, OA기기, 의료기기, 혹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패널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에는, 위치 검출의 방법에 의해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표면형 정전 용량 방식,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방식등이 있다. 저항막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와 투명 도전체층 부가 유리가 스페이서(spacer)를 통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고, 광투과성 도전재료에 전류를 흘려 투명 도전체층 부가 유리에서의 전압을 계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터치 센서가 되는 광투과성 전극으로서 기재(substrate)상에 투명 도전체층을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기본적 구성으로 하여, 가동 부분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고 내구성과 고 광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여러가지 용도에 대해 적용되고 있다. 또한,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여러 지점 동시 검출을 할 수 있는 점에서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PC 등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에 이용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로는, 기재상에 ITO(indium tin oxide) 도전막으로 된 광투과성 도전층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ITO 도전막은 굴절률이 크고, 빛의 표면 반사가 크기 때문에,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광투과성이 저하하는 문제나, ITO 도전막은 가요성이 낮기 때문에,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굴곡 시켰을 때에 ITO 도전막에 균열이 생겨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전기 저항값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ITO 도전막으로 된 광투과성 도전층을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성 재료에 대신 광투과성 도전재료로서 기판상에 얇은 촉매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레지스터 패턴을 형성한 후, 도금법에 의해 레지스터 개구부에 금속층을 적층하고, 마지막에 레지스터층 및 레지스터층에서 보호된 하지 금속을 제거하여, 금속으로 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세미 애더티브(semi-additive)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 최근에, 은염 확산 전사법(silver halide diffusion transfer method)을 이용한 은염 사진 감광 재료를 도전성 재료 전구체로서 이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기재상에 물리 현상핵층과 할로겐화 은유제층을, 적어도 이 순서를 따르는 도전성 재료 전구체를 원하는 패턴으로 노광한 후, 가용성 은염 형성제 및 환원제를 알칼리액에서 작용시키고, 금속 은패턴을 형성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식에 의한 패터닝은 균일한 선폭을 재현할 수 있다. 또, 이 방식으로 제작한 금속 은패턴은, 바인더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현상은(developed silver)(금속은)으로 구성되고 은(silver)은 금속 중에서 가장 도전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해, 보다 가는 선폭으로 높은 도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었던 은 패턴막은 ITO 도전막보다 가요성이 높고, 굴곡에 강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projected capacitive type)을 이용한 터치 패널에서는, 센서부로서 복수의 열(column)전극이 동일 평면상에 패터닝된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2매 붙여 맞춤으로써 터치 센서를 구성했다. 이러한 터치 센서에 대하여 복수의 센서부만으로 터치 센서를 구성하면 센서부만이 눈에 띄기 때문에, 센서부 이외의 부분에 센서부와 도통이 없는 더미부(dummy section)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통상, 터치 패널은 작업자가 화면을 응시해 조작하기 때문에, 센서부와 더미부와의 차이가 눈에 비친다(센서부와 더미부의 시인성이 높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센서부로서 금속 패턴을 이용하는 경우, 금속 패턴 자체가 눈에 비친다고 하는 문제도 있기 때문에, 금속 패턴으로 된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이용해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제작했을 경우, 센서부와 더미부로 된 금속 패턴의 시인성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특히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 문제에 대해, 특허 문헌 1에서는 슬릿에 의해 그물코 모양 금속 패턴을 분할하는 것으로 센서부를 구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슬릿폭을 20㎛이상 한편 그물코의 최대 치수 이하로 하고, 한편 슬릿이 그물코의 교점을 통과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금속 패턴의 시인성을 낮추려 하고 있다. 그렇지만, 슬릿폭이 20㎛여도 센서부의 윤곽은 시인된다. 또, 슬릿이 그물코의 교점을 통과하지 않게 해도, 금속 패턴의 시인성을 충분히 저하시킬 수 없었다. 또, 특허 문헌 2에서는 직선 슬릿의 시인성을 줄이기 위해, 슬릿을 직선으로 만들지 않게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금속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에 관하여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제작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이 슬릿을 이용해 센서부간에 더미부를 구비했을 경우, 예를 들면 이 물질의 혼입등에 의해 센서부간에 단락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단락이 생기면 터치 패널의 감도(위치를 검출하는 정도)가 저하한다. 한편, 이 감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단위 도형(unit figure)의 일부 혹은 단위 도형의 복수 개소에 단선부를 구비한 금속 패턴으로 된 더미부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금속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목적으로, 더미부의 단위 도형으로서 센서부의 단위 도형과 합동인 도형에 단선부를 구비해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더미부와 센서부를 형성했을 경우, 단선부를 구비한 것으로, 센서부의 광투과성보다 더미부의 광투과성이 높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금속 패턴의 시인성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허 문헌 4에서는 더미부를 점(dot)으로 형성하고, 센서부와 더미부의 전광선 투과율을 같게 해 시인성을 일치하려 하고 있다. 그렇지만, 금속 패턴과 점에서 응시했을 때에 아무래도 그 차이가 눈에 띄기 때문에, 역시 금속 패턴의 시인성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정전 용량 방식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광투과성 전극으로서 매우 적합하며, 금속 패턴의 시인성이 낮고(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가 눈에 띄지 않고), 단락의 발생이 저감된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재상에, 금속 패턴으로 된 센서부와 더미부를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이며,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은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1개이상의 단위 도형이 반복된 금속 패턴이며, 더미부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한편 단선부를 가지는 단위 도형이 반복해서 되는 금속 패턴이며, 센서부와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같은 방향에 대해 동일하고, 한편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합동이 아닌(다만, 단선에 의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과 합동이 아니게 되는 경우를 제외한다)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에 의해서, 상기의 과제는 기본적으로 해결된다.
여기서,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가 ±1%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을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평행이동 시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을 임의의 길이에 분할해,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평행이동 시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의 임의의 위치를 회전중심으로하여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적어도 2종을, 각각의 등가 단위 도형의 변이 겹치지 않게 배치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최소의 반복 도형중, 변을 공유하지 않는 관계에 있는 복수의 것을, 각각이 접하지 않게 배치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금속 패턴의 시인성이 낮고(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가 눈에 띄지 않고), 단락의 발생이 저감된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의 확대도이다.
[도 3]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이다.
[도 4] 도 3의 센서부 (11)와 더미부 (12)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 본 발명이 바람직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을 이용해 형성한 더미부를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이다.
[도 10]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 비교예로 이용한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의 확대도이다.
[도 3]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이다.
[도 4] 도 3의 센서부 (11)와 더미부 (12)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 본 발명이 바람직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을 이용해 형성한 더미부를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이다.
[도 10]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 비교예로 이용한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을 이용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가지 변형이나 수정이 가능하고,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광투과성 도전재료 (1)은 기재 (2) 위에 적어도 금속 패턴을 가지는 센서부 (11)와 같은 금속 패턴을 가지는 더미부 (12)를 가진다. 센서부(sensor section) (11)은 배선부 (14)를 통하여 단자부 (1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고, 이 단자부 (15)를 통해 외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센서부 (11)에서 감지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더미부 (12)는 배선부 (14)를 통하여 단자부 (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배선부 (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금속 패턴은 본 발명에 있어서, 모두 더미부(dummy section)라고 칭한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 센서부 (11)와 더미부 (12)는, 해당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서 편의상 격자 모양으로 나타내고 있다. 13은 비화상부(금속 패턴이 없는 부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단위 도형(unit figure)」이란, 임의 형상의 도형을 반복 배치함으로써 금속 패턴이 형성될 때의 반복 단위를 말한다. 도 2에 있어서, 센서부 (11)은, 도면 중간에 편의상(이하의 도면에서도 같이) 굵은 선으로 도시한 단위 도형 (1011)을 반복해 배치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센서부 (11)은, 단위 도형 (1011)이 4개 모여 이루어진 단위 도형 1012(도면 중간에 굵은 선으로 도시)로 형성된 도형이기도 하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실재하지 않는 가(virtual) 경계선 R에서, 더미부 (12)와 센서부 (11)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센서부 (11)은, 단위 도형 (1011)(도면 중간에 굵은 선으로 도시)을 주기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단위 도형 (1011)은 서로 이웃하는 다른 단위 도형과의 사이에서 도통한다. 한편, 도 3의 더미부 (12)는, 단위 도형 (1021)(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을 주기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단위 도형 (1021)은 단선부 C를 가진다. 여기서 센서부 (11)을 구성하는 단위 도형 (1011)의 x방향의 주기 길이 (31)과 더미부 (12)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1021)의 x방향의 주기 길이 (32)는 동일하고, 또 센서부 (11)을 구성하는 단위 도형 (1011)의 y방향의 주기 길이 (31a)와 더미부 (12)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1021)의 y방향의 주기 길이 (32a)도 동일하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합동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센서부 (11)의 단위 도형 (1011)으로 비교되어져야 할 더미부의 단위 도형은, 단위 도형 (1021)이 된다. 그러나, 도 3에 있어서, 단위 도형 (1011)과 단위 도형 (1021)의 형상은 합동이 아니기 때문에, 도 3은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로 볼 수 있다. 또한 합동이란, 어느 도형과 그 도형에 대해 평행이동, 회전이동, 대칭 이동의 어느쪽이든 1회이상 실시함으로써 되풀이될 수 있는 도형과의 관계를 말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재하지 않는 가 경계선 R로, 센서부 (11a)와 더미부 (12a)는 전기적으로 절연 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센서부 (11a)는, 도형 A(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가 4개 집합한 단위 도형 (41)(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으로 구성된 단위 도형 (41)은 서로 이웃하는 다른 단위 도형과의 사이에서 도통하고 있다. 한편, 도 5의 더미부 (12a)는 단위 도형 (51)(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으로 구성되어 단위 도형 (51)은 단선부 C를 가진다. 여기서 센서부 (11a)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41)의 x방향의 주기 길이 (31b)와 더미부 (12a)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51)의 x방향의 주기 길이 (32b)는 동일하고, 또 센서부 (11a)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41)의 y방향의 주기 길이 (31c)와 더미부 (12a)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51)의 y방향의 주기 길이 (32c)도 동일하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 대해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합동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센서부 (11a)의 단위 도형 (41)와 비교되어져야 할 더미부 (12a)의 단위 도형은, 단위 도형 (51)이 된다. 그러나, 도 5에 있어서, 단위 도형 (41)과 단위 도형 (51)의 형상은 합동이 아니기 때문에, 도 5는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로 볼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센서부 (11)은 단위 도형 (1011)(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5에 있어서 센서부 (11a)는 단위 도형 (41)(상기 단위 도형 (1011)으로 같은 형상의 도형 A가 4개 집합한 단위 도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어느 단위 도형으로 구성되어도, 도 3의 센서부 (11)와 도 5의 센서부 (11a)의 형상은 같지만, 도 3의 더미부 (12)와 도 5의 더미부 (12a)는 단위 도형의 형상이 다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의 금속 패턴의 형상이 같아도, 센서부의 단위 도형을 취하는 방법(잘라내는 방법)에 의해,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같아지지는 않는다. 상기 한 도 3 및 도 5는, 이것을 명확하게 나타내 보인다.
도 2에 있어서, 센서부 (11)는 단위 도형 (1011)의 마름모형을 최소 반복 도형으로 형성된 금속 패턴이지만,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최소의 반복 도형으로서 이외에도 공지의 형상을 이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직각 삼각형등의 삼각형, 정방형, 장방형, 평행 사변형, 사다리꼴등의 사각형, (정) 육각형, (정) 팔각형, (정) 12 각형, (정) 20 각형등의 (정) n각형, 원, 타원, 별모양등을 들 수 있고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형상을 2 종류 이상 조합한 형상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위 도형은 상술한 대로, 이러한 최소의 반복 도형 1개를 단위 도형으로 할 수도 있고, 복수를 조합해 단위 도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반복한 도형의 변(side)은, 직선이 아니어도 예를 들면 지그재그선, 파선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더 나아가 특개 2002-22309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벽돌 쌓은 모양의 패턴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들 중 어느 형상을 반복해서 되는 금속 패턴으로도 이용할 수 있지만, 액정 디스플레이와의 무아레(moire) 현상을 피하기 위한 바람직한 반복 도형은, 정방형 및 마름모형이며, 또 2변이 만드는 각도의 한쪽이 30~70°의 마름모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복 도형의 선간격은 400㎛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그 선폭은 20㎛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덧붙여 도 2이후에,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금속 패턴이 실재하지만, 파선등으로 나타낸 선은 설명을 위해서 마련한 보조선이며, 거기에는 금속 패턴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에는 단위 도형의 주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b)는, 도 3의 센서부 (11)와 더미부 (12)를 더욱 확대한 도이다. 도 4(a)에 있어서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1011)의 x방향에서의 주기 길이는, 단위 도형 (1011)의 정점 (311)으로부터 오른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31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1)으로 나타냈다. 또 y방향에 있어서의 주기 길이는, 단위 도형 (1011)의 정점 (411)으로부터 아래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41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1a)로서 나타냈다. 한편, 도 4(b)에 있어서,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1021)의 x방향에 있어서의 주기는, 정점 (321)으로부터 오른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32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2)로서 나타냈다. 또 y방향에 있어서의 주기는, 단위 도형 (1021)의 정점 (421)으로부터 아래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42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2a)로서 나타냈다. 그리고 주기 길이 (31)와 주기 길이 (32), 및 주기 길이 (31a)와 주기 길이 (32a)는 각각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와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같은 방향에 대해 동일하다. 또한 도 3에서는,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와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를 비교할 방향으로서 x방향 및 y방향을 예시했지만, 센서부와 더미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를 비교할 방향에 있어서 한정은 없고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대해 반복 주기가 동일하다고 함은, 동일 방향에 대하여,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주기 길이와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주기 길이의 비가 0.96~1.04의 범위내인 것을 의미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0.98~1.02의 범위내이다.
도 6(a)(b)는, 센서부와 더미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a)에 있어서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41a)의 x방향에 있어서의 주기 길이는, 단위 도형 (41a)의 정점 (511)으로부터 오른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51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3)으로 나타냈다. 또 y방향에 있어서의 주기 길이는, 단위 도형 (41a)의 정점 (611)으로부터 아래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61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3a)로서 나타냈다. 한편, 도 6(b)에 대하고,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51a)의 x방향에 있어서의 주기 길이는, 정점 (521)으로부터 오른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52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4)로서 나타냈다. 또 y방향에 있어서의 주기 길이는, 단위 도형 (51a)의 정점 (621)으로부터 아래쪽의 단위 도형의 정점 (622)까지의 거리이며, 도면 중간에 주기 길이 (34a)로서 나타냈다. 그리고 주기 길이 (33)와 주기 길이 (34), 및 주기 길이 (33a)와 주기 길이 (34a)는 동일하다. 이 예에 있어서도, 센서부와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센서부와 더미부에서 같은 방향에 대해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의 금속 패턴의 형상이 같아도,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취하는 방법(잘라내는 방법)에 의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같게는 되지 않는다. 상기한 도 5와 도 6에서, 센서부의 형상은 같아도, 더미부의 형상은 다르다. 상기한 도 5 및 도 6의 관계는, 전술한 도 3 및 도 5의 관계와 동일하게, 이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도, 센서부와 더미부의 사이에 있어서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를 비교할 방향으로서 x방향 및 y방향을 예시했지만, 센서부와 더미부의 사이에 있어서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를 비교할 방향에 있어서 한정은 없고 임의로 정해진다.
상기 도 4(a)(b)에 있어서,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1011)과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1021)은 합동이 아니다. 또 도 6(a)(b)에 나타내는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41a)와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 (51a)는 합동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의 단위 도형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비교했을 경우, 각각의 단위 도형은 합동이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단선에 의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과 합동이 아니게 되는 경우를 제외한다. 본원 발명이 제외하는 이러한 경우에는, 더미부의 단위 도형이 가지는 단선부를 만일 연결하면 각각의 단위 도형은 합동이 된다. 그리고 이 경우는, 더미부의 단위 도형이 단선부를 가지는 것으로, 센서부의 광투과성보다 더미부의 광투과성이 높아져, 충분히 낮은 시인성(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가 눈에 띄는 것이 없는 것)은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과 더미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은 합동은 아니지만, 더미부의 개구율(aperture ratio)(전면적을 차지하는 금속 가는 선이 없는 부분의 비율)은, 센서부의 개구율의 ±1%이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내이며, 더욱 더미부의 개구율과 센서부의 개구율은 동일하다라고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더미부의 개구율]-[센서부의 개구율])에 관해,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시키고, 한편 충분히 낮은 시인성(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가 눈에 띄는 것이 없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더미부의 단위 도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7(a), (b),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센서부의 개구율과 더미부의 개구율과의 차이를 ±1%이내로 하기 위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아래와 같이(1)~(3)의 몇개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을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평행이동 시킨 형상으로 한다.
(2)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을 임의의 길이로 분할하여,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평행이동 시킨 형상으로 한다.
(3)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의 임의의 위치를 중심으로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형상으로 한다.
도 7(a)은, 상기(1) 방법으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형성한 예이다. 도 7(a)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의 형상을 점선으로 나타냈다. 도 7(a)에서는 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에 대해, 한 쌍의 변을 외측으로, 다른 한 쌍의 변을 안쪽으로 평행이동 시켜,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하여, 더미부의 단위 도형 (71)을 형성하고 있다. 평행이동 할 때의 변의 이동폭에 있어서는 임의이지만,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의 선폭에 대해, 150~150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500%의 범위내이다.
도 7(b)은, 상기(2) 방법으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형성한 예이다. 도 7(b)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의 형상을 점선으로 나타냈다. 도 7(b)에서는 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에 대해, 개개의 변을 임의의 길이에 분할하고, 분할한 변을 외측으로, 혹은 안쪽으로 평행이동 시켜,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하여, 더미부의 단위 도형 (72)를 형성하고 있다. 평행이동 할 때의 변의 이동폭에 있어서는 임의이지만,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의 선폭에 대해, 150~150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500%의 범위내이다.
도 7(c)은, 상기(3) 방법으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형성한 예이다. 변을 회전시키는 중심은 각변의 중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c)에 있어서도 설명을 위하여,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의 형상을 점선으로 나타냈다. 도 7(c)에서는 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 (70)에 대해, 개개의 변의 중점을 중심으로 4변모두를 좌방향으로 회전시켜,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하는 것으로, 더미부의 단위 도형 (73)을 형성한다. 회전시키는 각도로서는 1~3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의 범위내이다.
또, 더미부의 개구율과 센서부의 개구율과의 차이를 ±1%이내로 하기 위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아래와 같이 (4)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적어도 2종을,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배치한 형상으로 한다.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에 대해서, 도 8(a), (b), (c)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8(a), (b), (c)는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a)에 있어서, 센서부는 단위 도형 (1011)의 반복에 의해 형성된 그물코 모양 도형 (81)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8(a)에 나타낸바대로, 단위 도형 (1011)은, 단위 도형의 범위 (82)(도면 중간에 점선으로 도시)로 둘러싼 부분 안에 존재한다. 또 도 8(a)으로 나타낸 그물코 모양 도형 (81)은, 도 8(b)에 나타낸 형상으로, 점선 (82)를 도면 중간에 화살표 b만큼 이동시킨 단위 도형의 범위 (83)(도면 중간에 실선에서 도시)이다. 또한 이 실선은 금속 패턴이 아니고, 설명에 이용하기 위한 임시 선)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단위 도형 (84)(도면 중간에 굵은 선으로 표시)의 반복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도 8(c)에서는, 이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그물코 모양 도형 (85)가, 단위 도형 (84)의 반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명확하게 했다(도 8(c)에서는 설명을 위해 단위 도형 (84)의 선의 굵기를 4 종류 이용해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8(c)에 나타낸 그물코 모양 도형 (85)는, 도 8(a)으로 나타낸 그물코 모양 도형 (81)과 같은 형상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 도형의 형상 자체는 완전히 다른 형태이지만, 단위 도형을 반복해 형성되는 그물코 모양 도형이 같아지는 단위 도형을, 등가 단위 도형이라고 불러, 상기의 단위 도형 (84)가, 단위 도형 (1011)의 등가 단위 도형에 상당한다.
다만, 1종의 등가 단위 도형만을 반복하고,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배치한 형상으로 했을 경우, 센서부와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를 같은 방향에 대해서 동일하게 하는 것은 곤란해지기 때문에,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적어도 2종을,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배치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예로서 도 9를 든다. 도 9에 있어서 센서부 (11b)는, 범위 (90)(점선)으로 둘러싸인 등가 단위 도형 D(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가 4개 집합한 단위 도형 911(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으로 구성되어 단위 도형 (911)은 서로 이웃된 다른 단위 도형과의 사이에 도통한다. 한편, 도 9의 더미부 (12b)는 범위 (91)(점선)으로 둘러싸인 등가 단위 도형 E와 범위 (92)(점선)로 둘러싸인 등가 단위 도형 F가 각각 2개씩 집합한 단위 도형 (912)(도면 중간에 굵은 선 부분)로 구성된 단위 도형 (912)는 단선부 C를 가진다. 여기서 센서부 (11b)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911)의 x방향의 주기 길이 (9111)과 더미부 (12b)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912)의 x방향의 주기 길이 (9112)는 동일하고, 또 센서부 (11b)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911)의 y방향의 주기 길이 (9111a)와 더미부 (12b)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 (912)의 y방향의 주기 길이 (9112a)도 동일하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합동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센서부 (11b)의 단위 도형 (911)과 비교되어져야 할 더미부 (12b)의 단위 도형은, 단위 도형 (912)가 된다. 그리고 도 9에 있어서, 단위 도형 (911)과 단위 도형 (912)의 형상은 합동이 아니기 때문에, 도 9는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로 볼 수 있다.
덧붙여 도 8(b)에 나타낸 등가 단위 도형을 얻기 위해서 이동시키는 단위 도형의 범위 (82)의 바람직한 이동 방향으로서는, 단위 도형이 주기적으로 배치될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 혹은 수직 방향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이 바람직하고, 또 그 때의 이동거리는 5~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
또, 더미부의 개구율과 센서부의 개구율과의 차이를 ±1%이내로 하기 위해서는,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아래와 같이(5)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을,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최소의 반복 도형중, 변을 공유하지 않는 관계에 있는 복수의 것을, 각각이 접하지 않게 배치한 형상으로 한다.
도 10은, 상기(5) 방법으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을 형성한 예이다. 센서부 (11c)에 굵은 선으로 나타낸 단위 도형에는, 센서부 (11c)를 구성하는 최소의 반복 도형인 마름모형 4개가, 각각의 정점에서만 접하고 있어 변을 공유하지 않는 관계에 있다. 이것들 4개의 마름모형을, 각각의 무게중심(重心)을 회전중심(中心)으로 왼쪽으로 회전시켜, 각각이 접하지 않게 하여, 더미부 (12c)의 단위 도형을 형성한다. 이것들 4개의 마름모형은 서로 접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간극이 더미부의 단위 도형에 있어서의 단선부가 된다. 최소의 반복 도형을, 각각이 접하지 않게 배치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의 무게중심등을 회전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부 (11c)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의 x방향의 주기 길이 Cx와 더미부 (12c)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의 x방향의 주기 길이 Cx는 동일하고, 또 센서부 (11c)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의 y방향의 주기 길이 Cy1와 더미부 (12c)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의 y방향의 주기 길이 Cy2도 동일하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합동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센서부 (11c)의 단위 도형과 비교되어져야 할 더미부의 단위 도형은, 도 10의 더미부 (12c)에 굵은 선으로 나타나는 마름모형 4개의 그룹이 된다. 그리고 도 10에 있어서, 센서부 (11c)의 단위 도형과 더미부 (12c)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합동이 아니기 때문에, 도 10은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센서부와 더미부의 확대도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더미부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의 바람직한 선폭은,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선폭의 ±2㎛이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1㎛이내, 또 더미부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의 선폭은 센서부를 구성하는 단위 도형의 선폭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센서부의 단위 도형은, 단위 도형끼리의 사이에서 도통이 된다면, 단위 도형의 일부에 단선부를 가지는 단위 도형이어도 괜찮다. 다만, 단선부를 가지는 단위 도형의 총면적이 전체 도형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물코 모양 패턴은 금속, 그 중에서도 특히 금,은, 동, 니켈, 알루미늄, 및 이러한 복합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은염 사진 감광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 같은 방법을 이용해 더 얻을 수 있던 은화상에 무전해도금이나 전해 도금을 하는 방법,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해 은페이스트등의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는 방법, 은잉크등의 도전성 잉크를 잉크젯법으로 인쇄하는 방법, 무전해도금등으로 동(銅)등의 금속으로 된 도전성층을 형성하는 방법, 혹은 증착이나 스퍼터(sputter)등으로 도전성 층을 형성해, 그 위에 레지스터막을 형성해, 노광, 현상에 의해 레지스터막에 패턴을 형성하고, 도전성층을 에칭해, 레지스터막을 제거하여 얻는 방법, 동박등의 금속박을 붙여, 또한 그 위에 레지스터막을 형성해, 노광, 현상에 의해 레지스터막에 패턴을 형성하고, 금속박을 에칭해, 레지스터막을 제거하여 얻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되는 금속 패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더욱 극미하게 가는 금속 패턴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은염 확산 전사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법으로 제작한 금속 패턴의 두께는 너무 두꺼우면 후속 공정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또 너무 얇으면 터치 패널로서 필요한 도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금속 패턴의 두께는 0.05~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이다.
본 발명의 광투과성 도전재료에 이용하는 기재로서는, 플라스틱, 유리, 고무, 세라믹스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것들의 기재는 전광선 투과율이 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중에서도,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은, 취급성이 우수한 점으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기재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 나프타 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텔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디아세테이트 수지, 트리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술폰 수지, 폴리 에테르 술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오레핀(polyolefin) 수지, 환상 폴리오레핀(polyolefin) 수지등으로 된 두께 50~300㎛의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에는 역접착층 등 공지의 층이 설치되도 된다.
본 발명의 광투과성 도전재료는 기재와 그 위에 위치하는 그물코 모양 패턴 이외에도,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점착층, 방현층 등 공지의 층을 그물코 모양 패턴 위(기재로부터 먼 쪽), 혹은 기재의 그물코 모양 패턴과는 반대의 측에 구비할 수 있다. 또, 기재와 그물코 모양 패턴과의 사이에, 물리 현상핵층, 역접착층, 접착제층 등 공지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어 실시예를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범위를 넘지 않는 이상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했다. 또한 이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91%였다.
다음에 아래와 같이 처리에 따라, 물리 현상핵층도액을 제작해, 기재상에 도포, 건조해 물리 현상핵층을 구비했다.
<황화 팔라듐 졸의 조제>
A액 염화 팔라듐 5g
염산 40ml
증류수 1000ml
B액 황화 소다 8.6g
증류수 1000ml
A액과 B액을 교반 하면서 혼합해, 30 분후에 이온교환 수지의 충전된 컬럼을 통해 황화 팔라듐 졸을 얻었다.
<물리 현상핵층도액의 조제>은염 사진 감광 재료의 1 m2당 양
상기 황화 팔라듐 졸 0.4mg
2 질량%글리옥살 수용액 0.2ml
계면활성제(S-1) 4mg
데나코르 EX-830 50mg
(나가세켐텍스(주) 제포리에치렝리코르지그리시지르에이텔)
10 질량%SP-200 수용액 0.5mg
((주) 니혼쇼쿠바이제 포리에치렌이민;평균 분자량 10000)
계속하여, 기재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순서로 아래와 같은 조성의 중간층, 할로겐화은유제층, 및 보호층을 상기 물리 현상핵액층 위에 도포, 건조하고, 은염 사진 감광 재료를 얻었다. 할로겐화은유제는, 사진용 할로겐화은유제의 일반적인 더블 제트 혼합법으로 제조했다. 이 할로겐화은유제는, 염화은 95 몰%과 취화은 5 몰%로, 평균 입경이 0.15㎛가 되도록 조제했다. 이와 같이 해 얻을 수 있는 할로겐화은유제를 정법에 따라 티오 황산나트륨과 염화금산을 이용해 금 유황 증감(增感)을 시행했다. 이렇게 해 얻을 수 있는 할로겐화은유제는 은1 g 당 0.5 g의 젤라틴을 포함한다.
<중간층 조성/은염 사진 감광 재료의 1 m2당 양>
젤라틴 0.5g
계면활성제(S-1) 5mg
염료 1 5mg
<할로겐화은유제층 조성/은염 사진 감광 재료의 1 m2당 양>
젤라틴 0.5g
할로겐화은유제 3.0 g은상당
1-페닐-5-메르캅토테트라졸 3mg
계면활성제(S-1) 20mg
<보호층 조성/은염 사진 감광 재료의 1 m2당 양>
젤라틴 1g
부정형 실리카 매트제(평균 입경 3.5㎛) 10mg
계면활성제(S-1) 10mg
이와 같이 해 얻은 은염 사진 감광 재료와 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를 밀착하고, 수은등을 광원으로 하는 밀착 프린터로 400 nm이하의 빛을 컷 하는 수지 필터를 통하여 노광했다. 덧붙여 도 1의 패턴의 센서부 (11)은, 선폭 7㎛, 한 변 300㎛, 좁은 방향의 각도가 60°, 짧은 축 대각선 길이 300㎛의 마름모형을 최소의 반복 도형으로 하여, 이것이 단위 도형이다. 더미부 (12)는 선폭 7㎛로, 도 3에 나타낸 단위 도형 (1021)이 주기적으로 늘어서 형성된 단위 도형 (1021)은, 상기의 센서부의 단위 도형에 대해, 각각의 변의 중점을 중심으로 좌방향으로 8°회전시킨 형상을 가진다. 센서부와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x방향, y방향도 동일하고,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는 0%이다.
그 후, 상기와 같이, 은염 사진 감광 재료와 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를 밀착시켜 노광한 것을, 아래와 같이 확산 전사 현상액에 20℃에서 60초간 침지한 후, 계속하여 할로겐화은유제층, 중간층, 및 보호층을 40℃의 온수로 세면 제거해, 건조 처리했다. 이렇게 해 도 1의 형상을 가지는 은패턴을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재료 (1)을 얻었다. 덧붙여 얻을 수 있었던 광투과성 도전재료의 선폭, 선간격은 투과 원고와 완전히 같은 선폭, 선간격의 화상이 되어 있었다. 금속 패턴의 막 두께는 공초점 현미경으로 조사하면, 0.1㎛였다.
<확산 전사 현상액 조성>
수산화 칼륨 25g
하이드로퀴논 18g
1-페닐-3-피라졸리돈 2g
아황산 칼륨 80g
N-메틸 에탄올 아민 15g
브롬화칼륨 1.2g
상기 조성에 물을 더해 전량을 1000 ml로 조제해, pH를 12.2로 조정했다.
<실시예 2>
아래와 같은 투과 원고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고, 광투과성 도전재료 2를 얻었다.
투과 원고: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이지만, 센서부 (11)은 실시예 1과 같은 형상이며, 단위 도형은 도 5에서 나타낸 단위 도형 (41)이다. 더미부 (12)는, 도 5에 나타낸 단위 도형 (51)이 주기적으로 늘어서 형성된 단위 도형 (51)은, 센서부 (11)이 가지는 단위 도형 (41)의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각각 10㎛ 평행이동 시킨 형상을 가진다. 센서부와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x방향, y방향과도 동일하고,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는 0%이다.
<실시예 3>
아래와 같은 투과 원고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하고, 광투과성 도전재료 3을 얻었다.
투과 원고: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이지만, 센서부 (11)은 실시예 1과 같은 형상이며, 단위 도형은 도 9에서 나타낸 단위 도형 (911)이다. 더미부 (12)는, 센서부 (11)이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적어도 2종(한편의 단위 도형은, 도 8(a)에서 잘라낸 단위 도형의 범위 (82)를, 수평 방향으로 10㎛, 수직 방향으로 5㎛ 비켜서 얻은 등가 단위 도형(이동거리는 11.18㎛)와 도 8(a)에서 잘라낸 단위 도형의 범위 (82)를 수평 방향으로 15㎛, 수직 방향으로 10㎛ 비켜서 얻은 등가 단위 도형(이동거리는 18㎛))의 각각 2개씩을, 각각의 등가 단위 도형의 변이 겹치지 않게, 도 9에서 나타낸 단위 도형 (912)와 같이 배치한 형상을 가진다. 센서부와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x방향, y방향과도 동일하고,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는 0%이다.
<실시예 4>
아래와 같은 투과 원고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하고, 광투과성 도전재료 4를 얻었다.
투과 원고: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이지만, 센서부 (11c)는 실시예 1과 같은 형상이며, 단위 도형은 도 10에서 나타낸 단위 도형이다. 더미부 (12c)는, 도 10에서 나타낸 마름모형 4개를 1조로 단위 도형이 주기적으로 늘어서 형성되어 단위 도형은, 센서부 (11)가 가지는 최소의 반복 도형인 마름모형중, 정점에서 접하는 4개에 대해서, 각각의 무게중심을 회전중심으로 좌방향으로 8°회전시킨 형상을 가진다. 센서부와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x방향, y방향과도 동일하고,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는 0%이다.
<비교예 1>
아래와 같은 투과 원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고, 광투과성 도전재료 5를 얻었다.
투과 원고: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이지만, 센서부 (11)과 더미부 (12)는 실시예 1의 센서부와 같은 형상이며, 그러한 경계부가 도 11에 나타낸 형상으로 된다. 덧붙여 도 11에 있어서 센서부 (11)와 더미부 (12)의 경계부는, 실재하지 않는 가 경계선 R상에서 단선폭 10㎛의 단선부가 설치되어 있다. 단선부를 제외한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는 0%이다.
<비교예 2>
아래와 같은 투과 원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고, 광투과성 도전재료 6을 얻었다.
투과 원고: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이지만, 센서부 (11)은 실시예 1과 같은 형상이며, 더미부 (12)는, 반경 2.05㎛의 점이 10000㎛2 당 39개 랜덤으로 존재하는 도형으로 된다.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는 0%이다.
<비교예 3>
아래와 같은 투과 원고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고, 광투과성 도전재료 7을 얻었다.
투과 원고:도 1의 패턴을 가지는 투과 원고이지만, 센서부 (11)은 실시예 1과 같은 형상의 단위 도형이며, 더미부 (12)는 센서부 (11)과 같은 최소의 반복 도형이 주기적으로 늘어서 형성되지만, 더미부 (12)의 최소의 반복 도형의 모든 마름모형의 변의 중점에 대해 단선폭 20㎛의 단선부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부와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더미부의 개구율]-[센서부의 개구율])는+0.3%이다.
이 광투과성 도전재료 7은, 단선에 의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과 합동이 아니게 되는 경우이다.
얻을 수 있었던 광투과성 도전재료 (1)~7에 대해서, 시인성, 신뢰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시인성 및 신뢰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덧붙여 시인성은, 얻을 수 있었던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라이트 테이블 위에 놓고 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가 일목 요연한 시인 레벨을 「1」, 광투과성 도전재료로부터 50 cm의 거리에서 관찰해, 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시인 레벨을 「2」, 광투과성 도전재료로부터 20 cm 정도의 거리에서 관찰해, 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시인 레벨을 「3」, 광투과성 도전재료로부터 20 cm의 거리에서 관찰해, 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를 인식할 수 없었던 시인 레벨을 「4」로 평가했다. 또 신뢰성은 각각의 광투과성 도전재료를 100매 제작해, 도 1의 패턴에 대해 단자부 (15), 배선부 (14), 센서부, 배선부 (14), 단자부 (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는 회로와 이웃한 회로에서 단락을 일으키고 있는 매수로 평가했다.
표 1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 1~4는, 금속 패턴의 시인성이 낮고(센서부와 더미부의 차이가 눈에 띄지 않고), 비교예 1~3에 비해 단락 매수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1 광투과성 도전재료
2 기재
11, 11a, 11b, 11c 센서부
12, 12a, 12b, 12c 더미부
13 비화상부
14 배선부
15 단자부
31, 32, 33, 34, 31a, 32a, 31b, 32b, 31c, 32c, 33a, 34a, 9111, 9112, 9111a, 9112a, Cx, Cy1, Cy2 주기 길이
(311), (312), 321, 322, 411, 412, 421, 422, 511, 512, 521, 522, 611, 612, 621, 622 정점
(1011), 1012, (1021), 41, 41a, 51, 51a, 70, 71, 72, 73, 911, 912 단위 도형
81, 85 그물코 모양 도형
82, 83, 90, 91, 92 단위 도형의 범위
R 가 경계선
b 화살표
A 도형
C 단선부
D, E, F 등가 단위 도형
2 기재
11, 11a, 11b, 11c 센서부
12, 12a, 12b, 12c 더미부
13 비화상부
14 배선부
15 단자부
31, 32, 33, 34, 31a, 32a, 31b, 32b, 31c, 32c, 33a, 34a, 9111, 9112, 9111a, 9112a, Cx, Cy1, Cy2 주기 길이
(311), (312), 321, 322, 411, 412, 421, 422, 511, 512, 521, 522, 611, 612, 621, 622 정점
(1011), 1012, (1021), 41, 41a, 51, 51a, 70, 71, 72, 73, 911, 912 단위 도형
81, 85 그물코 모양 도형
82, 83, 90, 91, 92 단위 도형의 범위
R 가 경계선
b 화살표
A 도형
C 단선부
D, E, F 등가 단위 도형
Claims (7)
- 기재상에, 금속 패턴으로 된 센서부와 더미부를 가지는 광투과성 도전재료이며, 상기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은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1개이상의 단위 도형이 반복된 금속 패턴이며, 상기 더미부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며 단선부를 가지는 단위 도형이 반복된 금속 패턴이며, 상기 센서부와 상기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반복 주기는 같은 방향에 대해 동일하고, 상기 센서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과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이 합동이 아닌(다만, 단선에 의해서 더미부의 단위 도형이 센서부의 단위 도형과 합동이 아니게 되는 경우를 제외한다)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도전재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더미부의 개구율의 차이가 ±1%이내인, 광투과성 도전재료.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상기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을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평행이동 시킨 형상인, 광투과성 도전재료.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상기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을 임의의 길이로 분할해,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평행이동 시킨 형상인, 광투과성 도전재료.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상기 센서부가 가지는 단위 도형의 변의 임의의 위치를 회전중심(中心)으로하여 각각의 변이 겹치지 않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형상인, 광투과성 도전재료.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상기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등가 단위 도형의 적어도 2종을, 각각의 등가 단위 도형의 변이 겹치지 않게 배치한 형상인, 광투과성 도전재료.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의 단위 도형의 형상은, 상기 센서부가 가지는 금속 패턴의 최소의 반복 도형 중, 변을 공유하지 않는 관계에 있는 복수의 것을, 각각이 접하지 않게 배치한 형상인, 광투과성 도전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05681 | 2014-01-16 | ||
JPJP-P-2014-005681 | 2014-01-16 | ||
PCT/JP2015/050407 WO2015107977A1 (ja) | 2014-01-16 | 2015-01-08 | 光透過性導電材料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8463A KR20160108463A (ko) | 2016-09-19 |
KR101849149B1 true KR101849149B1 (ko) | 2018-04-16 |
Family
ID=5354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1918A KR101849149B1 (ko) | 2014-01-16 | 2015-01-08 | 광투과성 도전재료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313828A1 (ko) |
JP (1) | JP6415992B2 (ko) |
KR (1) | KR101849149B1 (ko) |
CN (1) | CN105900048B (ko) |
TW (1) | TWI558543B (ko) |
WO (1) | WO201510797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52508B2 (en) | 2020-03-10 | 2023-12-26 | Samsung Display Co., Ltd. | Sensing un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96507B1 (en) * | 2015-12-23 | 2024-10-09 | LG Chem, Ltd. | Touch screen sensor |
CN106775066B (zh) * | 2016-11-29 | 2024-04-05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触摸屏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
JP6573055B1 (ja) * | 2017-11-29 | 2019-09-1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配線基板およ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
TWI788027B (zh) * | 2021-09-27 | 2022-12-21 | 恆顥科技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7700B1 (ja) | 1997-09-05 | 2001-05-21 |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 2,3−ジアリール−ピラゾロ[1,5−b]ピリダ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シクロオキシゲナーゼ2(cox−2)阻害剤としての使用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29935B2 (en) * | 2003-06-02 | 2006-10-31 | Synaptics Incorporated | Sensor patterns for a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
KR101025054B1 (ko) * | 2005-04-01 | 2011-03-25 |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 디스플레이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디스플레이용투광성 부재 및 안테나 부착 하우징용 부품 |
JP4610416B2 (ja) | 2005-06-10 | 2011-01-12 |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
US20080309633A1 (en) * | 2007-06-13 | 2008-12-18 | Apple Inc. | Touch-sensitive display |
KR20100137483A (ko) * | 2008-02-28 | 2010-12-30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터치 스크린 센서 |
US20090273577A1 (en) * | 2008-04-30 | 2009-11-05 | Apple Inc. | Moire-Free Touch Screen with Tilted or Curved ITO Pattern |
JP4720857B2 (ja) * | 2008-06-18 | 2011-07-13 | ソニー株式会社 |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
US8159467B2 (en) * | 2008-08-21 | 2012-04-17 | Wacom Co. Ltd. | Meshed touchscreen pattern |
JP2011059771A (ja) | 2009-09-07 | 2011-03-24 | Hitachi Chem Co Ltd | 網目状導電性パターン、導体層パターン付き基材及びタッチパネル部材 |
KR20130102121A (ko) * | 2010-01-28 | 2013-09-16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도전 시트, 도전 시트의 사용 방법 및 터치 패널 |
JP5507343B2 (ja) | 2010-05-31 | 2014-05-2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及び導電シート |
WO2012005205A1 (ja) * | 2010-07-05 | 2012-01-12 | Dic株式会社 | 透明導電層付き基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膜積層体、タッチパネル |
US8698767B2 (en) * | 2010-08-19 | 2014-04-15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panel |
JP5620193B2 (ja) * | 2010-08-23 | 2014-11-05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タッチ検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CN102566842B (zh) * | 2010-12-06 | 2014-10-29 | 乐金显示有限公司 | 静电电容型触摸屏面板 |
US8558807B2 (en) * | 2011-02-15 | 2013-10-15 | Teh-Zheng Lin | Transparent touch panel |
JP5615856B2 (ja) * | 2011-02-18 | 2014-10-2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
JP3167700U (ja) * | 2011-02-22 | 2011-05-12 |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 透明タッチコントロールセンサー |
DE102011014748B4 (de) * | 2011-03-22 | 2022-10-27 | Polyic Gmbh & Co. Kg | Schichtkörper,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dazu |
JP5659073B2 (ja) * | 2011-04-22 | 2015-01-28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検出器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
CN202102401U (zh) * | 2011-06-09 | 2012-01-04 | 洋华光电股份有限公司 | 透明触控感应器结构 |
JP5809475B2 (ja) * | 2011-07-29 | 2015-11-11 | 三菱製紙株式会社 | 光透過性導電材料 |
CN102955593B (zh) * | 2011-08-22 | 2015-11-25 | 富创得科技股份有限公司 | 具虚设图案的触控面板结构 |
JP5839938B2 (ja) | 2011-10-31 | 2016-01-06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Pcb汚染フィルム素子の処理装置 |
JP2013149232A (ja) * | 2011-12-22 | 2013-08-01 | Fujifilm Corp |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
JP5875484B2 (ja) * | 2011-12-22 | 2016-03-02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
KR101916241B1 (ko) * | 2012-03-12 | 2018-1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
KR101542043B1 (ko) * | 2012-06-27 | 2015-08-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
ES2672697T3 (es) * | 2012-06-28 | 2018-06-15 | Polyic Gmbh & Co. Kg | Cuerpo multicapa |
US9167688B2 (en) * | 2012-08-10 | 2015-10-20 | Eastman Kodak Company | Micro-wire pattern for electrode connection |
TWI537782B (zh) * | 2012-11-30 | 2016-06-11 | Lg化學股份有限公司 | 觸控螢幕及顯示裝置 |
JP6033671B2 (ja) * | 2012-12-27 | 2016-11-30 | 三菱製紙株式会社 | 光透過性導電材料 |
US9304636B2 (en) * | 2013-09-20 | 2016-04-05 | Eastman Kodak Company | Micro-wire touch screen with unpatterned conductive layer |
JP5893582B2 (ja) * | 2013-03-27 | 2016-03-23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JP5865285B2 (ja) * | 2013-03-27 | 2016-02-17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US20140332256A1 (en) * | 2013-05-10 | 2014-11-13 | Ronald Steven Cok | Micro-wire electrode structure having non-linear gaps |
TWI559186B (zh) * | 2013-12-13 | 2016-11-21 | Lg化學股份有限公司 | 觸控感測器及顯示裝置 |
-
2015
- 2015-01-08 KR KR1020167021918A patent/KR1018491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1-08 WO PCT/JP2015/050407 patent/WO201510797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1-08 US US15/103,505 patent/US2016031382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1-08 CN CN201580003934.3A patent/CN10590004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1-09 JP JP2015002917A patent/JP641599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1-15 TW TW104101292A patent/TWI55854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7700B1 (ja) | 1997-09-05 | 2001-05-21 |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 2,3−ジアリール−ピラゾロ[1,5−b]ピリダ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シクロオキシゲナーゼ2(cox−2)阻害剤としての使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52508B2 (en) | 2020-03-10 | 2023-12-26 | Samsung Display Co., Ltd. | Sensing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156210A (ja) | 2015-08-27 |
JP6415992B2 (ja) | 2018-10-31 |
KR20160108463A (ko) | 2016-09-19 |
CN105900048A (zh) | 2016-08-24 |
US20160313828A1 (en) | 2016-10-27 |
TW201532801A (zh) | 2015-09-01 |
TWI558543B (zh) | 2016-11-21 |
WO2015107977A1 (ja) | 2015-07-23 |
CN105900048B (zh) | 2019-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302929A1 (en) | Optically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
JP5809475B2 (ja) | 光透過性導電材料 | |
JP2013246723A (ja) |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用光透過性電極 | |
WO2014129298A1 (ja) | 光透過性電極 | |
KR101849149B1 (ko) | 광투과성 도전재료 | |
KR101867972B1 (ko) | 광투과성 도전재료 | |
KR101991213B1 (ko) | 광투과성 도전 재료 | |
KR101849148B1 (ko) | 광투과성 도전재료 | |
KR101926372B1 (ko) | 광 투과성 도전 재료 | |
KR101699836B1 (ko) | 광투과성 도전재료 | |
JP6571594B2 (ja) | 光透過性導電材料 | |
JP6165693B2 (ja) | 光透過性導電材料 | |
JP2015187815A (ja) | 導電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