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0554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554B1
KR101700554B1 KR1020157027795A KR20157027795A KR101700554B1 KR 101700554 B1 KR101700554 B1 KR 101700554B1 KR 1020157027795 A KR1020157027795 A KR 1020157027795A KR 20157027795 A KR20157027795 A KR 20157027795A KR 101700554 B1 KR101700554 B1 KR 10170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orque
landing
elevator car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663A (ko
Inventor
마사히코 고케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클로저 장치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를 자동적으로 진단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 및 승강장의 출입구를 각각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의 개폐를 구동하는 모터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양자가 일체로 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연결 수단(40)과, 승강장 도어 패널에 문 닫힘 방향의 자폐력을 주는 클로저 장치(36)와,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상기 양자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부(51)와,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진단부(5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ELEVATOR 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지진 발생 후에 지진 관제 운전에서 정지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 개폐(開閉) 이상 감시 장치로서, 정상시의 문 개폐 토크 또는 문 개폐 시간 등을 미리 기억해 두고, 지진 발생 후의 문 개폐 토크 또는 문 개폐 시간 등과 정상시의 그것을 비교하는 문 개폐 점검 운전을 실시하여, 기준층에 있어서의 문 개폐 진단에 이상이 없으면 엘리베이터를 지진 관제 모드로부터 복귀시켜서, 각 층 문 개폐 진단 운전 모드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7-23068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6-29853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7-210695호 공보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해 있지 않은 층상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승강장 도어 클로저(closer)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는, 승강장 도어에 대해서 문 닫는 방향으로 자폐력(自閉力, self-close force)을 주고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해 있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어떠한 사정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열려 버렸다고 하더라도,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에 의해 주어지는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는 스스로 완전 닫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경년(經年)적인 변화 등에 의해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running loss)가 증대해 버리면, 승강장 도어의 자폐(自閉)가 방해받을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에 의해 주어지는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통상의 운전시에 있어서는 승강장 도어가 단독으로 개폐하는 상황은 없기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통상의 운전시에 승강장 도어가 자폐 가능한지 여부의 검사(진단)를 실시할 수 없었다. 또,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보수 점검시에 있어서, 보수원이 모든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에 대해서 점검할 필요가 있어, 매우 번잡하고 손이 많이 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도, 이상에서 기술한 것 같은 승강장 도어의 자폐에 관한 사정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아,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에 의해 주어지는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진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장 도어에 클로저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를 자동적으로 진단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과,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 패널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의 개폐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양자가 일체로 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연결 수단과,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에 문 닫힘 방향의 자폐력을 주는 클로저 장치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양자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부와, 상기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진단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승강장 도어에 클로저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를 자동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3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 개폐시에 필요한 힘(토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주행 로스의 내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클로저력(closer force)의 내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진단 영역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해서 같은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 도 2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방 단면도, 도 3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 개폐시에 필요한 힘(토크)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주행 로스의 내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클로저력의 내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 및/또는 도 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10)은 이용자 등을 적재(積載)하고 승강로 내를 복수의 층상 사이를 걸쳐서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10)의 정면부에는, 개구부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에는, 좌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문을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car door hanger)(1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12)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13)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의 상방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장착된다. 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상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13)가 전동(轉動)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렇게 하여, 좌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12)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13)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에 의해 매달려 유지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13)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에 의해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상을 전동함으로써, 좌우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이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엘리베이터 칸(10)의 전면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의 하연부(下緣部, 아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car sill)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문턱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장착된다. 이 엘리베이터 칸 문턱에는 길이 방향에 걸쳐서 안내 홈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하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1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15)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안내 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10)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의 상방에는, 도어 모터(16)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 도어 모터(16)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의 상방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개폐 방향을 따른 일측에 배치된다. 도어 모터(16)의 구동축에는, 구동 풀리(drive pulley)(17)가 고정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14)의 상방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개폐 방향을 따른 타측에는, 피구동 폴리(driven pulley)(18)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구동 풀리(17) 및 피구동 폴리(18)의 사이에는 무단(無端) 모양의 드라이브 벨트(19)가 감겨 걸려 있다. 이렇게 하여, 도어 모터(16)의 회전(回轉) 구동이 드라이브 벨트(19)의 순환(循環) 이동으로 전달되는 래핑 전동 기구(wrapping transmission mechanism)가 구성된다.
좌우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12)의 상단에는, 걸림 부재(2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걸림 부재(20) 중, 좌우 한 쌍 중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에 마련된 걸림 부재(20)는, 구동 풀리(17) 및 피구동 폴리(18)의 사이에 감겨 걸린 드라이브 벨트(19)의 상하의 한쪽에 걸려 있다. 또, 좌우 한 쌍 중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에 마련된 걸림 부재(20)는, 구동 풀리(17) 및 피구동 폴리(18)의 사이에 감겨 걸린 드라이브 벨트(19)의 상하의 다른 쪽에 걸려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 모터(16)의 정역(正逆) 양방향의 회전 구동이 드라이브 벨트(19)의 양방향으로의 순환 이동으로 변환되어, 좌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가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10)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 중 어느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12)의 상방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스위치(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 스위치(2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이 완전 열림 위치 또는 완전 닫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완전 열림 위치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가 완전 열림이 되는 위치이다. 또, 완전 닫힘 위치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가 완전하게 닫히게 되는 위치이다.
엘리베이터 칸(10)이 정지하는 층상에는, 승강장 홀(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승강장 홀(30)에 있어서의 승강로와의 사이의 벽부(壁部)에는, 개구부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승강장 홀(30)의 출입구는, 당해 승강장 홀(30)의 층상에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10)의 출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승강장 홀(30)의 출입구에는, 좌우 한 쌍의 승강장 문을 구성하는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들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상단부에는, 승강장 도어 행거(3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승강장 도어 행거(32)의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 롤러(33)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있다. 승강장 홀(30)의 출입구의 상방에 있어서의 승강로측의 위치에는, 승강장 도어 레일(34)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승강장 도어 레일(34)은,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장착된다. 이 승강장 도어 레일(34)상에는 승강장 도어 롤러(33)가 전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렇게 하여, 좌우 한 쌍의 승강장 도어 패널(31)은, 승강장 도어 행거(32) 및 승강장 도어 롤러(33)를 통해서 승강장 도어 레일(34)에 의해 매달려 유지된다. 그리고 승강장 도어 롤러(33)가 승강장 도어 레일(34)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장 도어 레일(34)상을 전동함으로써, 좌우의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승강장 홀(30)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승강장 홀(30)의 출입구의 하연부를 형성하는 층상면(floor surface)에는,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안내 홈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하단부에는, 승강장 도어 가이드 슈(3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승강장 도어 가이드 슈(35)는, 승강장 홀(30)의 출입구의 하연부에 마련된 안내 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승강로측의 면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승강로측의 면에는, 연결 장치(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연결 장치(40)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41)와 승강장측 롤러(42)로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4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승강로측의 면에 승강로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한 쌍의 플레이트이다. 승강장측 롤러(42)는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승강로측의 면에 승강로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막대 모양 부재의 선단(先端)에 장착된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41)와 승강장측 롤러(42)는,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장 홀(30)의 층상에 정지했을 때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장 홀(30)의 층상에 정지했을 때에, 연결 장치(40)의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41)와 승강장측 롤러(42)가 맞물려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 모터(16)의 동력(動力)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이 개폐되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연동하여 일체로 되어 개폐된다.
승강장 도어에는, 특히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는, 승강장 도어 패널(31)에 문 닫힘 방향의 자폐력을 주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는 항상 승강장 도어 패널(31)에 대해서 문 닫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자폐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장치(40)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연결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로 가해지는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은 스스로 문을 닫는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에 대해서도, 승강장 도어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클로저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클로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에 문 닫힘 방향의 자폐력을 주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는 원칙으로서 도어 모터(16)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 클로저 장치는 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 칸(10)의 천정의 상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도어 모터(16)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스위치(21)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도어 모터(16)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펄스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 또한, 펄스 인코더는 도어 모터(16)의 회전량에 따른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파악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위치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제어반(60)과 통신 케이블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의 상위 장치에 해당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제어반(60)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특히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토크 검출부(51), 기억부(52) 및 진단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토크 검출부(51)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로부터 도어 모터(16)로 출력되는 전류치와 펄스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도어 모터(16)의 토크를 검출한다. 기억부(52)는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토크의 값을 기억한다.
진단부(53)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문 열림시 및/또는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토크의 값에 기초하여,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에 주어지고 있는 자폐력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진단한다. 또한, 이 진단부(53)에 있어서의 진단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가 아니라,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토크값을 직접 이용하여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문 열림시 및/또는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도어 모터(16)의 토크의 값에 기초하여 진단부(53)에 의해 행해지는,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의 진단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3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개폐시에 필요한 힘(토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a)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열림시에 필요한 힘(토크)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 도 3 (a)에 있어서, 가로축은 도어의 위치를 문 열림율(%)로 나타내고 있다. 문 열림율 0%는 도어가 완전 닫혀 있는 상태이며, 문 열림율 100%는 도어가 완전 열려있는 상태이다. 이 도 3 (a)에 있어서, 세로축의 문 여는 힘은, 도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저항하는 방향의 힘을 양(positive)으로 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열림시에 필요한 힘(토크)을 구성하는 요소로서는, 도 3 (a)에 나타내는 (1) 주행 로스, (2) 클로저력(자폐력) 및 (3) 구동력의 3개가 있다. 문 열림시에 필요한 힘(문 여는 힘)은, (1) 주행 로스, (2) 클로저력 및 (3) 구동력의 총합이 된다.
(1) 주행 로스는 주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이동할 때에 이들에 작용하는 마찰력이다. 주행 로스는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4 (a)에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열림시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의 내역을 나타낸다.
이 도 4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열림시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는, (1-1)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주행 로스와 (1-2)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를 더한 것이다. 이들 주행 로스는, 도어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열림시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는, 도어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취한다.
(2) 클로저력은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 및 (만약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클로저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에 작용하는 힘이다. 클로저력은 도어의 문 닫힘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도어의 문 열림시에 있어서는, 클로저력은 도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5 (a)에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열림시에 있어서의 클로저력의 내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가해지는 클로저력(2-2)은, 도어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 도어 클로저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클로저력(2-1)은, 도어가 완전 닫힘 위치에 가까울수록 크고, 도어가 완전 열림 위치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자세한 것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클로저 장치에서 유래하는 클로저력(2-1)은, 문 열림율이 0%에서 최대가 된다. 그리고 문 열림율이 커짐에 따라서 감소해 나가, 문 열림율이 40% 이상이 되면 거의 0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2-1)과 (2-2)의 합인 (2) 클로저력은, 도 3 (a)에 도시하는 것처럼, 문 열림율이 0%에서 최대치를 취하고, 문 열림율이 커짐에 따라서 감소해 나가, 문 열림율이 40-100%의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치가 된다.
(3) 구동력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을 가속 또는 감속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이다. 따라서 구동력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질량과 가속도 또는 감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구동력은, 관점을 바꾸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에 작용하는 관성력이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구동력은, 가속시에는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감속시에는 도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 3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열림시에 있어서의 구동력은, 문 열림을 개시하여 도어가 가속하는 문 열림율 0%에서부터 20% 전후의 범위에 있어서,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문 열림을 종료하기 위해서 도어가 감속하는 문 열림율 80% 전후에서부터 100% 전후의 범위에 있어서는, 구동력은 도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 도어가 거의 등속(等速)으로 이동하는 문 열림율 20% 전후에서부터 80% 전후까지의 범위에 있어서는, 구동력은 거의 0이 된다.
도 3 (b)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닫힘시에 필요한 힘(토크)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3 (b)에 있어서도 도 3 (a)와 같이, 가로축은 도어의 위치를 문 열림율(%)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3 (b)에 있어서, 세로축의 문 닫는 힘은, 도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저항하는 힘을 양으로 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닫힘시에 필요한 힘(토크)을 구성하는 요소로서는, 문 열림시와 같이, 도 3 (b)에 나타내는 (1) 주행 로스, (2) 클로저력(자폐력) 및 (3) 구동력의 3개가 있다. 다만, (2) 클로저력은 도어의 이동 방향에 상관없이 도어를 문 닫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는, (2) 클로저력은 도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문 닫힘시에 필요한 힘(문 닫는 힘)은, (1) 주행 로스와 (3) 구동력의 합으로부터 (2) 클로저력을 뺀 것이 된다.
(1) 주행 로스는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4 (b)에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의 내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는, (1-1)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주행 로스와 (1-2)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를 더한 것이 된다. 이들 주행 로스는, 도어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b)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는, 도어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게 된다.
(2) 클로저력은 도어의 문 닫힘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는, 클로저력은 도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5 (b)에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클로저력의 내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가해지는 클로저력(2-2)의 크기는, 도어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 도어 클로저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클로저력(2-1)의 크기는, 문 열림율이 0%에서 최대치를 취하고, 문 열림율이 커짐에 따라서 감소해 나가, 문 열림율이 40% 이상이 되면 거의 0인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b)에 도시하는 것처럼, (2) 클로저력의 크기는, 문 열림율이 0%에서 최대치를 취하고, 문 열림율이 커짐에 따라서 감소해 나가, 문 열림율이 40-100%의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치가 된다. (2) 클로저력의 방향은, 도어의 이동 방향과 같기 때문에, 문 닫는 힘을 나타내는 세로축 상에서는 (2) 클로저력은 항상 음의 값이 된다.
(3) 구동력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을 가속 또는 감속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이다. 이 구동력은 가속시에는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감속시에는 도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 3 (b)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구동력은, 문 닫힘을 개시하여 도어가 가속하는 문 열림율 100%에서부터 80% 전후의 범위에 있어서,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문 닫힘을 종료하기 위해서 도어가 감속하는 문 열림율 20% 전후에서부터 0% 전후의 범위에 있어서는, 구동력은 도어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 도어가 거의 등속으로 이동하는 문 열림율 80% 전후에서부터 20% 전후까지의 범위에 있어서는, 구동력은 거의 0이 된다.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힘은, (1) 주행 로스, (2) 클로저력 및 (3) 구동력의 3개의 요소로부터 성립되어 있다. 이 중, (2) 클로저력과 (3) 구동력은, 엘리베이터의 설치를 한 후, 엘리베이터의 운용을 계속함으로써 그 크기가 크게 변화되는 일은 통상 드물다. 한편, (1) 주행 로스는 엘리베이터의 운용을 계속함으로써 증대되기 쉽다.
여기서, 연결 장치(40)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의 연결이 해제(release)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스스로 문을 닫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2-2) 승강장의 클로저에 의한 힘이, 도 4에 도시한 (1-2)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보다 큰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특히, 경년 변화에 의해 (1-2)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가 증대됨으로써,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자폐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연결 장치(4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필요한 도어 모터(16)의 토크에 기초하여 (1) 주행 로스의 크기를 추정하고, 이 추정한 (1) 주행 로스의 크기로부터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스스로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진단을 행한다.
먼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연결 장치(4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필요한 도어 모터(16)의 토크를,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한다. 이때, 문 열림 동작 및/또는 문 닫힘 동작에 있어서의 도어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3) 구동력을 작게 하여 (3) 구동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단부(53)는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토크값에 대해서, (2) 클로저력을 빼거나(문 열림시의 토크값에 기초한 경우), 또는 (2) 클로저력을 더함(문 닫힘시의 토크값에 기초한 경우)으로써, (1) 주행 로스의 추정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것처럼, 문 열림 동작 및/또는 문 닫힘 동작에 있어서의 도어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3) 구동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2) 클로저력에 대해서는, 미리 그 크기를 구하여 예를 들면 기억부(52)에 기억해 둔다.
그리고 진단부(53)는, 이와 같이 하여 추정한 (1) 주행 로스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reference vaule)과 비교함으로써,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스스로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진단을 행한다. 이 진단은, 엘리베이터 칸(10)이 정지하는 각 층상의 각각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진단부(53)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스스로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자폐력 이상(異常))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제어반(60)으로 자폐력 이상 신호를 송신한다. 이 자폐력 이상 신호에는, 자폐력 이상이라고 진단된 층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반(60)은 알림부(61)와 표시부(62)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알림부(61)는,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의 명동(鳴動)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로부터의 자폐력 이상 신호를 제어반(60)이 수신하면, 제어반(60)의 알림부(61)는, 음성 및/또는 버저음(buzzer sound) 등에 의해, 보수원 등에 대해서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를 알린다.
표시부(62)는, 예를 들면, 복수의 LED 및/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로부터의 자폐력 이상 신호를 제어반(60)이 수신하면, 제어반(60)의 표시부(62)는,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 또, 표시부(62)는 자폐력 이상이라고 진단된 층상에 관한 정보도, 함께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진단 동작에 대해서, 도 6의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도어 모터(16)의 토크값에 기초한 주행 로스의 추정에 있어서는, 문 개폐 동작에 있어서의 도어 패널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실제로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 개폐시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작게 해 버리면, 운전 효율 악화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여기에서는, 도어 모터(16)의 토크값에 기초한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에 대한 진단을 행하기 위한 전용의 운전 모드인 자기 진단 모드를 준비한다. 그리고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와 자기 진단 모드의 사이에서의 전환을 행하도록 한다.
먼저,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반(60)은 현재의 상황이 미리 정해진 자기 진단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자기 진단 모드로의 전환 조건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현재가 야간 시간대로서 일정시간 이상 승객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없는 경우, 전회(前回)의 자기 진단보다 일정기간이 경과했을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스텝 S1에 있어서, 자기 진단 모드로의 전환 조건이 만족되어 있어, 자폐력의 자기 진단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다음의 스텝 S2로 진행될 수 있다. 이 스텝 S2에 있어서는,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자기 진단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승객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승객의 하차를 촉구하는 동작(하차 유도)을 실시한다. 이 하차 유도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조명을 소등시키거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하차를 촉구하는 아나운스를 흘리거나 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어서 스텝 S3에 있어서는,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 칸(10)을,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에 대한 진단 대상인 층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4로 진행하여,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로, 자폐 가부 진단을 위한 문 열림 지령을 송신한다. 이 자폐 가부 진단을 위한 문 열림 지령을 수신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도어 모터(16)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을 문 열게 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문 열림 동작에 있어서의 도어의 이동 속도를 가능한 한 느리게 함과 아울러, 도어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가능한 한 작게, 또한 같은 크기가 되도록 도어 모터(16)를 제어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가능한 한 작게」란, 도어의 이동 속도, 및 가속도 및 감속도의 각각의 크기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스텝 S4에서의 도어의 문 열림 중에 있어서는, 토크 검출부(51)는 도어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토크를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스위치(2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가 완전 열렸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어가 아직 완전 열려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 S5에 있어서, 도어의 완전 열림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 S6에 있어서는, 기억부(52)는 스텝 S4의 문 열림 동작 중에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토크값)를 기억한다. 이 스텝 S6 후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는, 진단부(53)는, 스텝 S6에서 기억부(52)에 기억한 데이터(토크값)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 진단을 실시한다. 이 자폐 가부 진단에 있어서는, 진단부(53)는, 먼저, 기억부(52)에 기억된 도어의 문 열림에 필요한 토크로부터, 기억부(52)에 미리 기억된 클로저력을 뺌으로써, 주행 로스의 추정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진단부(53)는 산출한 주행 로스의 추정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주행 로스의 추정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진단 대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은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주행 로스의 추정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진단 대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에 이상은 없다고 판단한다.
이 스텝 S7 후는, 스텝 S1로 돌아가, 이상에서 기술한 일련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모든 진단 대상 층상에서의 자폐 가부에 대한 진단이 종료되면,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킨다.
또한, 이 도 6의 플로우도에 있어서는, 도어의 문 열림시에 있어서의 토크에 기초하여 자폐 가부 진단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어의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토크에 기초한 자폐 가부 진단도,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양자가 일체로 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연결 수단인 연결 장치(40)와, 승강장 도어 패널에 문 닫힘 방향의 자폐력을 주는 클로저 장치인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의 개폐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은, 상기 양자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부와,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클로저 장치에 의한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 도어에 클로저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를 자동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 보수원에 의한 보수의 주기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승강장 도어의 자폐에 관한 고장의 발생을 조기(早期)에 발견할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은, 승강장 도어 패널의 자폐 가부를 진단하기 위한 자기 진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양자의 가속도 및 감속도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문 열림 및/또는 문 닫힘시키고, 토크 검출부는 상기 자기 진단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모터의 토크를 검출한다.
이 때문에,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토크를 구성하는 성분 중, 상기 양자의 관성력으로부터 유래하는 성분을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진단부에 있어서의 처리를 간소화하면서 진단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진단부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취지를 경보(alarm) 및/또는 표시하는 수단인 알림부 및/또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 도어의 자폐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그 취지를 신속하게 보수원 등에게 알릴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2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도어의 문 열림시에 필요한 토크 및 문 닫힘시에 필요한 토크의 양쪽에 기초하여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에서 이용한 도 3의 (a) 문 열림시에 필요한 힘 및 (b) 문 닫힘시에 필요한 힘을 비교하면, 이들에 있어서, (1) 주행 로스는 크기와 양음(positive·negative)의 양쪽이 같고, (2) 클로저력 및 (3) 구동력은, 크기가 같지만 양음이 반대라고하는 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 열림시에 필요한 힘과 문 닫힘시에 필요한 힘을 더함으로써, (2) 클로저력 및 (3) 구동력은, 각각이 서로 지워져 상쇄되기 때문에, (1)의 주행 로스만이 남게 된다(정확하게는, 이것으로 얻어지는 것은 문 열림시의 주행 로스와 문 닫힘시의 주행 로스의 합이다. 전술한 것처럼 문 열림시의 주행 로스와 문 닫힘시의 주행 로스가 동일하다고 했을 경우, 추가로 2로 나눔으로써 문 열림시 또는 문 닫힘시의 주행 로스를 얻을 수 있다. 즉, 문 열림시에 필요한 힘과 문 닫힘시에 필요한 힘의 산술 평균(arithmetic average)이 주행 로스가 된다).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자기 진단 모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먼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연결 장치(4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의 문 열림시에 필요한 도어 모터(16)의 토크를,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문 열림시의 토크값을 기억부(52)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연결 장치(4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의 문 닫힘시에 필요한 도어 모터(16)의 토크를,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문 닫힘시 토크값을 기억부(52)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문 열림시와 문 닫힘시의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를 검출 종료하면, 진단부(53)는 기억부(52)에 기억되어 있는 문 열림시의 토크값과 문 닫힘시의 토크값의 산술 평균을 연산하여 주행 로스를 산출한다. 그리고 진단부(53)는, 이렇게 하여 산출한 주행 로스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스스로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진단을 행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클로저력의 값 그 자체는 진단에 사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서는 클로저력을 미리 기억부(52)에 기억해 두었지만,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클로저력을 미리 기억부(52)에 기억해 둘 필요가 없다.
또, 구동력에 대해서도, 문 열림시와 문 닫힘시의 토크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쇄시키기 때문에, 실시 형태 1과 같이, 진단시에 도어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전용의 자기 진단 모드에 의존하지 않고, 통상 운전 모드 중에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예측하지 못한 사태를 대비하는 등의 의미에서, 운전 모드를 자기 진단 모드로 전환한 다음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에 대한 진단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진단 동작에 대해서, 도 7의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도 7에 있어서는,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 진단을 자기 진단 모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7의 플로우도의 스텝 S1 내지 스텝 S6의 각 스텝의 내용은, 도 6의 스텝 S1 내지 스텝 S6의 각각과 같다. 따라서 이들 스텝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6에 잇따르는 스텝 S11에 있어서는, 이번은,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로, 자폐 가부 진단을 위한 문 닫힘 지령을 송신한다. 이 자폐 가부 진단을 위한 문 닫힘 지령을 수신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도어 모터(16)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 및 승강장 도어 패널(31)을 문 닫게 한다.
이 스텝 S11에서의 도어의 문 열림 중에 있어서는, 토크 검출부(51)는 도어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토크를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스텝 S1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스위치(2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가 완전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어가 아직 완전 닫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 S12에 있어서, 도어의 완전 닫힘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 S13에 있어서는, 기억부(52)는 스텝 S4의 문 닫힘 동작 중에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토크값)를 기억한다. 이 스텝 S13 후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는, 진단부(53)는 스텝 S6 및 스텝 S13에서 기억부(52)에 기억한 데이터(토크값)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 진단을 실시한다. 이 자폐 가부 진단에 있어서는, 진단부(53)는, 먼저, 기억부(52)에 기억된 도어의 문 열림에 필요한 토크와, 기억부(52)에 기억된 도어의 문 닫음에 필요한 토크의 산술 평균을 연산함으로써, 주행 로스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진단부(53)는 산출한 주행 로스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주행 로스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진단 대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은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주행 로스가 기준값 미만이었을 경우에는, 진단 대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에 이상은 없다고 판단한다.
이 스텝 S14 후는, 스텝 S1로 돌아가, 이상에서 기술한 일련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모든 진단 대상 층상에서의 자폐 가부에 대한 진단이 종료되면, 제어반(60)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토크 검출부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의 양쪽에 있어서의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고, 진단부는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문 열림시의 토크와 문 닫힘시의 토크를 더함으로써 상기 양자의 주행 로스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주행 로스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추가로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 진단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3은, 전술한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 진단을 복수의 층상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문 열림 및/또는 문 닫음에 필요한 힘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층상 사이에 있어서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차이를 구하여, 이 차이도 승강장 도어의 자폐 이상의 판단에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것처럼,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11)과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연결 장치(4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의 문 개폐에 필요한 힘을 구성하는 (1) 주행 로스(도 3)는, (1-1)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주행 로스와 (1-2)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로 이루어져 있다(도 4).
여기서, 복수의 층상의 각각에 있어서의 (1) 주행 로스를 비교했을 경우, 복수의 층상 사이에 있어서의 (1) 주행 로스의 차이는, 이들 층상 사이의 (1-2)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차이와 같다. 이 이유는, 다른 층상이어도 엘리베이터 칸(10)은 항상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1-1)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주행 로스는 항상 동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진단부(53)는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 검출한 문 열림 및/또는 문 닫음에 필요한 토크에 기초하여 산출한 주행 로스끼리를 비교함으로써, 각 층상 사이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차이를 구한다. 다음으로, 구한 각 층상 사이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최소값을 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최소값은, 시간 경과에 따른 주행 로스의 악화의 영향이 가장 적은 상태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의 값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이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최소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크기를 평가함으로써, 각 층상에 있어서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악화의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원리에 기초하여, 진단부(53)는 각 층상에 있어서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와, 복수의 층상 중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최소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허용치 이상인 경우에는, 역시, 승강장 도어의 자폐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이므로 ,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진단 동작에 대해서, 도 8의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도 8에서는, 실시 형태 1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이 실시 형태 3을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8의 플로우도의 스텝 S1 내지 스텝 S7의 각 스텝의 내용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6의 스텝 S1 내지 스텝 S7의 각각과 같다. 따라서 이들 스텝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7에 잇따르는 스텝 S21은, 직전에 자폐 가부 진단을 실시한 층상과는 다른 층상을 진단 대상의 층상으로 설정한 다음, 스텝 S3 내지 스텝 S7의 진단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스텝 S21은 자폐력 가부 진단이 진단 대상 층상의 모두에서 실시될 때까지, 진단 대상 층상을 바꾸면서 반복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진단 대상 층상의 모두에서의 자폐력 가부 진단을 종료하면,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는, 진단부(53)는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 검출한 문 열림에 필요한 토크에 기초하여 산출한 주행 로스끼리를 비교한다. 다음으로, 진단부(53)는 이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최소값을 구한다. 그리고 진단부(53)는, 이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최소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크기의 평가와, 각 층상의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 진단을 실시한다. 이 스텝 S22 후는 스텝 S1로 돌아간다.
또한,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의 클로저력이 층상마다 다른 경우에는, 미리 그 만큼을 보정한 다음,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비교·평가를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 토크 검출부는 복수의 층상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고, 진단부는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토크에 기초하여 승강장 도어 패널의 주행 로스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주행 로스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승강장 도어 패널 단독에서의 주행 로스 평가에 기초하여, 승강장 도어 패널의 자폐 가부 진단을 실시할 수 있어, 진단 정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4는, 전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의 어느 구성에 있어서, 산출한 주행 로스의 이력(履歷)을 기억해 두고, 승강장 도어의 자폐 이상의 판단에, 같은 층상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의 경년 변화도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억부(52)는, 진단부(53)에 의해 산출된 주행 로스의 값의 이력이, 각각의 층상마다 기억된다. 그리고 진단부(53)는 어느 동일한 층상에 대해서, 이번 검출된 토크로부터 산출한 주행 로스와, 기억부(52)에 기재된 당해 층상의 과거의 주행 로스의 비교에 기초하여, 당해 층상의 승강장의 자폐 가부를 진단한다.
이 진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진단부(53)는 이번 주행 로스가 전회의 주행 로스보다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 증가해 있었을 경우, 이번 주행 로스가 일정기간만큼 전의 주행 로스보다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 증가해 있었을 경우, 및/또는, 이번 주행 로스가 가장 초기의 주행 로스보다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 증가해 있었을 경우 등에, 당해 층상의 승강장의 자폐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 중 어느 것과 같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진단 동작에 대해서, 도 9의 플로우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도 8에서는, 실시 형태 3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이 실시 형태 4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9의 플로우도의 스텝 S1 내지 스텝 S7의 각 스텝의 내용은, 각각,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6의 스텝 S1 내지 스텝 S7과 같다. 따라서 이들 스텝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7에 잇따르는 스텝 S31에 있어서는, 기억부(52)는, 스텝 S7의 진단 처리에 있어서 산출한 현재의 진단 대상 층상의 주행 로스의 값을 기억한다. 이 스텝 S31 후는 스텝 S21로 진행한다. 도 9의 스텝 S21 및 스텝 S22의 내용은, 각각,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도 8의 스텝 S21 및 스텝 S22와 같다. 다만, 스텝 S21에 있어서 반복하는 것은, 스텝 S3 내지 스텝 S31까지의 처리이다.
스텝 S22에 잇따르는 스텝 S32에 있어서는, 진단부(53)는 각 층상에 대해서, 이번 자기 진단 모드에 있어서 산출한 주행 로스와, 기억부(52)에 기재된 당해 층상의 과거의 주행 로스의 비교에 기초하여, 승강장의 자폐 가부를 진단한다. 이 진단시의 기준은, 전술한 것처럼, 전회의 주행 로스와 비교하거나 일정기간만큼 전의 주행 로스와 비교하는 등,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스텝 S32 후는 스텝 S1로 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 중 어느 구성에 있어서, 제어 수단(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은,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토크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진단부는, 기억부에 기억된 토크의 이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자폐력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 중 어느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경년적인 주행 로스의 증대를 보다 적확(的確)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한층 더 진단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의 진단 영역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5는, 전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4의 어느 구성에 있어서, 문 열림 및 문 닫힘시의 도어의 위치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마다 승강장 도어의 자폐 가부 진단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0에 예시한 것처럼, 완전 닫힘 위치(문 닫힘율 0%)로부터 완전 열림 위치(문 열림율 100%)까지의 범위에 대해서, 복수의 진단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5등분되어 5개의 진단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진단 영역은, 구체적으로는, 문 닫힘율 0-20%의 영역, 문 닫힘율 20-40%의 영역, 문 닫힘율 40-60%의 영역, 문 닫힘율 60-80%의 영역 및 문 닫힘율 80-100%의 영역의 5개이다.
토크 검출부(51)는 도어의 문 열림 및/또는 문 닫힘시에 있어서 문 열림율 0%에서부터 100%까지의 전(全) 범위에 있어서, 도어 모터(16)의 토크를 검출하고 있다. 진단부(53)는 토크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토크에 기초하여, 도어의 주행 로스를 산출한다. 여기서,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주행 로스를 비교하는 수법을 이용함으로써, 주행 로스 중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변화분을 추출할 수 있다.
진단부(53)는 이렇게 하여 추출한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변화분에 대해서, 각각의 진단 영역마다, 미리 정한 임계치를 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문 열림시의 도 10 (a)에서는, 어느 진단 영역에 있어서도,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변화분은 임계치를 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 진단부(53)는 승강장 도어의 자폐는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것에 비해, 문 닫힘시의 도 10 (b)의 예에서는, 문 열림율이 40-60%의 진단 영역(분할 3)에 있어서, 진단 영역에 있어서도, 승강장 도어의 주행 로스의 변화분이 임계치를 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진단부(53)는 문 열림율이 40-60%의 진단 영역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의 자폐에 이상이 발생해 있다고 판단한다.
진단부(53)가 1이상의 진단 영역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36)에 의해 승강장 도어 패널(31)이 스스로 문을 닫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자폐력 이상) 진단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는, 제어반(60)으로 자폐력 이상 신호를 송신한다. 이 자폐력 이상 신호에는, 자폐력 이상이 발생한 층상에 관한 정보에 더하여, 당해 이상이 발생한 진단 영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0)로부터의 자폐력 이상 신호를 제어반(60)이 수신하면, 알림부(61)는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를 알리고, 표시부(62)는 승강장 도어의 자폐력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 이때에, 표시부(62)는 자폐력 이상이 발생한 층상에 관한 정보에 더하여, 자폐력 이상이 발생한 진단 영역에 관한 정보도 함께 표시한다.
또한,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4 중 어느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4 중 어느 구성에 있어서, 진단부는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토크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의 완전 열림 위치에서부터 완전 닫힘 위치까지의 범위를 분할한 복수의 진단 영역마다,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4 중 어느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승강장 도어의 자폐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어느 위치에서 승강장 도어의 자폐가 방해받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보수원이 현지에서 보수를 행할 때에, 특히 주목해야 할 지점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보수에 걸리는 수고를 삭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 패널에 문 닫힘 방향의 자폐력을 주는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를 연결 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양자를 일체로 하여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 엘리베이터 칸, 11: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12: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 13: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
14: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 15: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
16: 도어 모터, 17: 구동 풀리,
18: 피구동 폴리, 19: 드라이브 벨트,
20: 걸림 부재, 2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스위치,
30: 승강장 홀, 31: 승강장 도어 패널,
32: 승강장 도어 행거, 33: 승강장 도어 롤러,
34: 승강장 도어 레일, 35: 승강장 가이드 슈,
36: 승강장 도어 클로저 장치, 40: 연결 장치,
41: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 42: 승강장측 롤러,
50: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 51: 토크 검출부,
52: 기억부, 53: 진단부,
60: 제어반, 61: 알림부,
62: 표시부.

Claims (7)

  1.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를 개폐(開閉)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과,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 패널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의 개폐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및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의 양자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양자가 일체로 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연결 수단과,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에 문 닫힘 방향의 자폐력(自閉力)을 주는 클로저(closer) 장치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양자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부와,
    상기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문 열림시의 토크와 문 닫힘시의 토크를 더함으로써 상기 양자의 주행 로스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주행 로스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의 자폐 가부를 진단하기 위한 자기 진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양자의 가속도 및 감속도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문 열림 및 문 닫힘시키고,
    상기 토크 검출부는, 상기 자기 진단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크 검출부는, 복수의 층상에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의 주행 로스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주행 로스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토크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토크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크 검출부는, 복수의 층상에서의 상기 양자의 문 열림시 및 문 닫힘시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의 토크를 검출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토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층상에 있어서의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완전 열림 위치에서부터 완전 닫힘 위치까지의 범위를 분할한 복수의 진단 영역마다, 상기 양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 패널이 자폐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취지에 대한 경보(alarm) 및 표시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7. 삭제
KR1020157027795A 2013-03-12 2013-03-12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1700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6799 WO2014141384A1 (ja) 2013-03-12 2013-03-12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663A KR20150127663A (ko) 2015-11-17
KR101700554B1 true KR101700554B1 (ko) 2017-01-26

Family

ID=5153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795A KR101700554B1 (ko) 2013-03-12 2013-03-12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58351B2 (ko)
JP (1) JP5994926B2 (ko)
KR (1) KR101700554B1 (ko)
CN (1) CN105026299B (ko)
DE (1) DE112013006825B4 (ko)
WO (1) WO2014141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0291A (ja) * 2016-10-26 2018-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US11724910B2 (en) 2018-06-15 2023-08-15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of conveyance system vibratory signatures
JP7132025B2 (ja) * 2018-08-10 2022-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判定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792900B (zh) * 2018-08-31 2024-04-23 苏州市康鼎升降机械有限公司 一种事故率低的升降作业平台
AU2019344561B2 (en) * 2018-09-21 2022-11-24 Inventio Ag Lift car, lift installation, method for operating a lift installation and door drive
CN114787069B (zh) * 2020-01-07 2024-06-1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以及电梯的控制方法
WO2022018321A1 (en) 2020-07-21 2022-01-27 Kone Corporation Elevator door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176A (ja) * 2003-10-22 2005-05-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診断装置
JP2010280495A (ja) * 2009-06-08 2010-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ドア点検装置及びドア点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158A (en) * 1987-01-20 1989-05-23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Elevator system having microprocessor-based door operator
JPH07106861B2 (ja) * 1989-12-15 1995-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504257B2 (ja) * 1990-02-16 1996-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ドア制御装置
KR940009414B1 (ko) * 1990-06-15 1994-10-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장치
US5373120A (en) * 1993-03-10 1994-12-13 Otis Elevator Company Linear door motor system for elevators
EP0665182B1 (de) * 1994-01-28 1999-04-28 Inventio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Bewegung von Türen
JP3883611B2 (ja) * 1996-07-03 2007-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US5760350A (en) * 1996-10-25 1998-06-02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of elevator door performance
US5780787A (en) * 1996-10-31 1998-07-14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of manual elevator door systems
US5817993A (en) * 1996-11-27 1998-10-06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of elevator door reversal data
FI20002390A0 (fi) * 2000-10-30 2000-10-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utomaatioven kunnon valvomiseksi
US6508332B2 (en) * 2000-11-15 2003-01-21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car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WO2003080495A1 (de) * 2002-03-27 2003-10-02 Inventio Ag Schachtüberwachungssystem für aufzug
FI116132B (fi) * 2004-01-23 2005-09-30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automaattioven kunnonvalvontaan
JP4907097B2 (ja) 2005-04-19 201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801458B2 (ja) * 2006-02-07 2011-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090650B2 (ja) * 2006-02-28 2012-12-0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開閉異常監視装置
JP5585218B2 (ja) * 2010-06-01 2014-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WO2012093441A1 (ja) * 2011-01-06 2012-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システム
JP2012240789A (ja) * 2011-05-19 2012-12-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JP5764839B2 (ja) * 2011-05-19 2015-08-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5783824B2 (ja) * 2011-07-08 2015-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点検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ドアの点検方法
ES2720737T3 (es) * 2013-05-17 2019-07-24 Kone Corp Disposición y procedimiento de vigilancia del estado de una puerta automátic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6176A (ja) * 2003-10-22 2005-05-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診断装置
JP2010280495A (ja) * 2009-06-08 2010-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ドア点検装置及びドア点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94926B2 (ja) 2016-09-21
KR20150127663A (ko) 2015-11-17
WO2014141384A1 (ja) 2014-09-18
DE112013006825B4 (de) 2020-02-13
CN105026299B (zh) 2017-03-08
JPWO2014141384A1 (ja) 2017-02-16
DE112013006825T5 (de) 2015-12-10
CN105026299A (zh) 2015-11-04
US9758351B2 (en) 2017-09-12
US20160009528A1 (en)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55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KR101748475B1 (ko) 멀티 카식 엘리베이터
CN109071150B (zh) 电梯系统
CN105923477B (zh) 电梯
KR20180041175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351853B2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および油圧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異常検出方法
KR20110036645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6132484A1 (ja)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WO201100176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162333A (ja) 戸開走行時のエレベータ係合部材衝突回避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117090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JP5809576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302333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に用いられる制動制御方法
JP528418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点検装置及びドア点検方法
JP5573300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547329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11999591B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sensor assembly for person detection
JP5829869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WO2012008035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JP7444217B1 (ja) エレベータ
JP5945398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KR102695350B1 (ko)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5055969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制御方法
JP5103864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