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742B1 -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4742B1 KR101584742B1 KR1020140089704A KR20140089704A KR101584742B1 KR 101584742 B1 KR101584742 B1 KR 101584742B1 KR 1020140089704 A KR1020140089704 A KR 1020140089704A KR 20140089704 A KR20140089704 A KR 20140089704A KR 101584742 B1 KR101584742 B1 KR 101584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weight
- parts
-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노화요인을 복합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보습에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당나귀유; 및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오일을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바위돌꽃추출물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당나귀유; 및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오일을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바위돌꽃추출물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보습효과가 우수하고 피부노화에 따른 각종 증상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일차적인 기능은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체온조절, 호흡 및 배출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기능들이 점차 약화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질층의 지질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게 되면서 피부가 건조해지고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및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또한 피부가 외부로부터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과 같은 자극을 받게 되면 주름생성, 탄력손실 및 각화 등과 같은 피부의 노화가 더욱 가속화된다.
인체의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나뉘어져 있으며, 표피의 가장 아래에 있는 기저층에서 새로이 형성된 각질 형성 세포는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약 14일 이후에 각질로 변하게 되고, 다시 14일 정도 뒤에는 피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각화과정이 일어난다. 기저층과 연결되는 진피는 표피에 수분을 공급하고,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부탄력 감소, 피부 주름 등의 피부노화현상은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엘라스틴의 소실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피부의 노화는 크게 내인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적 노화(extrinsic aging)로 대별되는데, 내인적 노화는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 현상으로 임상학적으로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결이 거칠어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며 색소가 침착되는 특징이 있고, 외인적 노화는 자외선,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여러 요인들에 의해 피부의 노화는 급속히 진행되며, 그 결과 피부 표면에 거친 주름이 생성되고 탄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자연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인자로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외적인 노화현상이 바로 주름 형성이다.
최근, 피부의 주름생성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피부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주름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세포활성촉진제 등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콜라겐 합성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진피의 대부분(피부 전체 건조 중량의 약 70 내지 80%)을 차지하는 콜라겐과 신축성이 큰 엘라스틴 단백질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진피층에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자외선에 많이 노출될수록 양적 감소를 보인다. 피부의 주요 구조적 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시간경과에 따라 자연적으로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해 구조가 변성되거나 생합성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단백질 분해효소(matrixmetalloproteinase, 이하 'MMP'라 칭함), 특히 콜라게나제(collagenase, 이하 'MMP-1'이라 칭함)와 게라티나제(gelatinase, 이하 'MMP-2'라 칭함)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와 자유 라디칼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피부노화를 억제하고 그 진행속도를 완화하기 위하여, 레티놀, 레티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토코페롤, 기타 피부보호성분이 함유된 화장료조성물 또는 피부보호제가 개발되고는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7-0058702호(1997.08.12. 공개)에는 포유 동물 및 인체 피부의 주름 방지 및 제거 또는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안전 효과량의 비타민 A와 비타민 E 그리고 알로에 함유를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06673호(2010.01.21. 공개)에는 항산화, 보습, 미백, 주름개선의 효과를 갖는 감잎, 지실, 녹두, 애엽, 유근피, 빈랑자, 당귀, 박하, 감초, 다시마, 백지, 상지, 천궁, 은행, 어성초, 대추, 인삼, 녹차,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및 화장료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29600호(2012.11.28. 공개)에는 양파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피부노화에 따른 각종 증상을 일시에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요 피부노화요인을 복합적으로 개선하고 피부보습에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당나귀유와,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오일과, 바위돌꽃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식물추출물을 함유함에 따라 피부노화요인을 복합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보습에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당나귀유; 및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바위돌꽃추출물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당나귀유 100 중량부와, 상기 복합오일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당나귀유 100 중량부와, 상기 복합오일 80 내지 100 중량부와, 상기 복합식물추출물 80 내지 1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당나귀유는 당나귀로부터 취득한 당나귀유 96.95 중량%에 1,2-헥산디올(1,2-Hexandiol) 3 중량%와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중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0.5 내지 2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오일은 당나귀오일 100 중량부에 해바라기씨오일 7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아르간트리 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 100 내지 250 중량부가 추가혼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오일은 당나귀오일 100 중량부에 해바라기씨오일 8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52 중량부, 라벤더오일 40 중량부, 올리브오일 36 중량부, 살구씨오일 36 중량부, 호호바오일 36 중량부, 스위트아몬드오일 20 중량부가 추가혼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은, 당나귀 비정제 오일덩어리 1kg 기준으로 n-헥산(n-heaxane) 10 내지 12 L(w/v)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 내지 4 시간 교반하여 추출 및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n-헥산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고형농축분에, 포화지방산이 제거된 정제 해바라기씨오일 200 내지 250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오일은 상기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이 혼합되어 상온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된 후 여과되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추출물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 80 내지 24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추출물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추출물 60 내지 70 중량부, 금잔화추출물 40 내지 50중량부, 왕벚나무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병풀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쐐기풀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마치현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 60 내지 70 중량부, 금잔화 40 내지 50중량부, 왕벚나무 20 내지 30 중량부, 병풀 20 내지 30 중량부, 쐐기풀 20 내지 30 중량부 및 마치현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세척한 후 세절한 다음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에 70 내지 100메시로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분쇄물 100 중량부에 증류수 400 내지 800 중량부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100 중량부의 혼합액 또는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의 혼합액 내에 3일 내지 5일동안 침지시킨 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여과시킨 다음 감압증류,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5 내지 10일 동안 숙성로에서 3 내지 6℃의 온도로 저온 숙성된 후, 2차 여과된 다음,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및 분무제 중 하나로 형성되는 화장료제형에 첨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후 상기 화장료제형에 첨가되며, 상기 최종 화장료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보습효과, 항산화효과 및 세포재생효과가 있는 당나귀유와,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을 주재로 한 복합오일과, 바위돌꽃추출물에, 자작나무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금잔화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및 쐐기풀추출물 중 4종 이상의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식물추출물이 함유됨에 따라, 화장료제형에 첨가될 경우에 항산화작용은 물론 피부주름개선, 피부보습에 효과가 있으며 , 피부진정 효과가 뛰어나서 복합적인 상승효과를 가져와 피부노화에 따른 각종 증상이 개선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나노리포좀 안정화기술에 의해 안정화된 후 화장료제형에 첨가될 경우에, 당나귀 우유, 당나귀 오일 및 해바라기씨오일을 주재로 한 복합오일물과. 바위돌꽃추출물과 자작나무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금잔화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및 쐐기풀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흡수가 촉진되어 피부노화 개선 효과가 배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당나귀유와,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당나귀유와,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오일과, 바위돌꽃추출물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식물추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당나귀유는 당나귀(donkey)의 젖이다. 브리태니커 사전에 따르면, 당나귀는 포유류 말과에 속한 동물의 하나로 말과 비슷하나 몸이 좀 작고 귀가 길며, 앞머리의 긴 털이 없다. 또한 당나귀는 입, 눈 둘레, 다리 안쪽, 배 따위는 희며 그 밖의 털빛은 누런빛을 띠는 갈색, 회색빛을 띠는 검은색이 많다. 뿐만 아니라 당나귀는 힘이 세고 병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 부리기에 알맞다. 당나귀는 아프리카의 야생종을 가축으로 길들인 것으로 중국, 인도, 이탈리아, 멕시코 등지를 비롯하여 전 세계에 분포한다. 학명은 Equus asinus이다.
당나귀유는 인체의 성장과 발육에 꼭 필요한 원소인 셀레늄,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C, 비타민 E, 세포재생인자(EGF), 필수지방산(EFA), 리놀레산, 오메가6 등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당나귀유는 우유에 5.2배에 해당하는 셀레늄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셀레늄은 체내에서 필수적인 미량 무기질이며 항산화 물질로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져 세포막 손상을 일으키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신체 조직의 노화와 변성을 막아 주거나 그 속도를 지연시킨다.
특히 당나귀유에 다량 함유된 세포재생인자는 활성화물질로서 인체의 피부세포를 증가시키거나 분화 신세포의 비율을 맞춰 주거나 피부노화를 억제시키고, 단백질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포재생인자는 모공을 수축시키며 피부에 탄성을 부여한다.
당나귀유를 다른 유성분과 비교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일반우유 | 산양유 | 모유 | 당나귀유(동결) | 당나귀유 | |
pH | 6.64 | 6.48 | 6.49 | 7.30 | 7.18 |
지방 | 4.01 | 4.48 | 1.73 | 0.73 | 0.93 |
단백질 | 3.25 | 3.40 | 1.07 | 1.60 | 1.85 |
유당 | 4.69 | 4.54 | 7.06 | 6.39 | 6.34 |
무지유고형분 | 8.57 | 8.49 | 8.06 | 8.39 | 8.64 |
체세포수 | 84.00 | 532.50 | 43.50 | 18.50 | 11.50 |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 같이 당나귀유의 pH는 중성영역인 7.18 내지 7.30에 분포를 보였으며, 당나귀유의 체세포수는 일반 우유, 산양유, 모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세포수는 백혈구와 유선조직에서 탈락된 세포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체세포는 유선조직인 모세혈관을 통해 원유에 들어가게 되므로, 체세포수가 낮을수록 등급이 높게 책정된다.
당나귀유의 특징적인 부분은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의 함량이 100ml당 67.9mg 이상으로, 모유(43.9mg/100ml)와 우유(17.5mg/100ml)보다도 각각 1.54배와 3.8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나귀유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수용성 프리 라디칼) 소거능(항산화특성) 비교 분석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로부터, 당나귀유는 모유와 유사한 항산화 기능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착유 후 즉시 측정한 신선한 당나귀유가 가장 높은 항산화특성을 나타내았다. 다만 화장료로 쓰이는 당나귀유는 저온 보관 또는 동결 당나귀유로 모유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낸다.
당나귀유는 당나귀로부터 취득한 당나귀유 96.95 중량%에 1,2-헥산디올(1,2-Hexandiol) 3 중량%와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중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0.5 내지 2시간 교반한 다음 0.2㎛ 메시크기를 갖는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제조된다.
1,2-헥산디올(1,2-Hexandiol)은 파라벤류의 방부제를 대신하는 대체방부제 성분 중 하나인 유기화합물이다. 1,2-헥산디올(1,2-Hexandiol)은 그동안 방부제로 사용되었던 여러 종류의 파라벤류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됨에 따라 프랑스, 독일, 일본 등에서 그 대체제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1,2-헥산디올은 천연 보습제이며 그 이외에도 항균작용, 방부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헥산디올이 방부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2-헥산디올 1% 내지 1.5%를 첨가하거나 1,2-헥산디올 2%이상에 글리세릴카플레이트 0.1% 이상을 첨가해야 한다. 1,2-헥산디올(1,2-Hexandiol)의 위험도는 10등급 중 0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1,2-헥산디올(1,2-Hexandiol)은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어 혼합물 대비 5% 미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특허에서는 방부기능을 위해 적용되며 에틸헥실글리세린을 추가하여 당나귀유의 탁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내도록 하였다.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은 3-[2-에틸헥실)옥시]-1,2-프로판디올(3-[(2-ethylhexyl)oxy]-1,2-propanediol)로, 피부 컨디셔닝제, 방부제, 데오드란트 원료로 쓰이는 알킬글리세릴에테르(alkyl glyceryl ether)이다. 에틸헥실글리세린은 파라벤 원료의 대체제로써 쓰이며, 식물성 오일로부터 화학공정을 거쳐서 뽑아낸, 식물성 유래 원료로 위험도는 10등급 중 1로 낮은 수치이다.
당나귀유 96.95 중량%에 1,2-헥산디올(1,2-Hexandiol) 3 중량%와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중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0.5 내지 2시간 교반하여 제조되는 당나귀유는 상온에서 오래 변질되지 않으며 원료의 특성상 당나귀유의 자연향이 유지되며 탁도가 개선될 수 있다.
당나귀오일은 당나귀의 지방 덩어리로부터 추출된다. 당나귀오일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소의 기름보다 매우 높고 특히 염증 억제 효과로 알려진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의 함량이 소나 돼지의 기름보다 2 내지 3배 높아 천연 화장품 소재로 바람직하나 불포화도가 높아 자체 산화를 억제하기 위한 천연 항산화제의 첨가가 필요하다.
당나귀오일의 경우 저가로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정을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특히 원료인 당나귀 기름 덩어리의 수급을 위해 당나귀의 도축을 확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조 공정을 표준화하고 자동화를 가능하도록 개선함과 동시에 당나귀오일에 해바라기씨오일을 혼합하는 방법의 공정을 도입하게 되었다.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eed Oil)은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의 씨를 압착하여 얻은 오일이다. 해바라기(Helianthus annus L.)는 아메리카가 원산이며 1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5 내지 2.5m 안팎이고 전체적으로 굳은 털이 있고, 잎은 크고 여름과 가을에 노란색의 큰 꽃 이삭이 가지 끝에 핀다. 해바라기씨에는 기름이 40%, 단백질이 20%, 탄수화물이 25% 정도 함유되어 있고 기타 유기산(레몬산, 포도주산, 클로로겐산), 키나산, 카페산, 베타-카로티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해바라기씨오일의 조성은 산지에 따라 다르나 리놀산과 올레인산이 각각 34 내지 57% 정도이고 스테아린산과 팔미틴산이 각각 45%, 미리스틴산과 아라킨산, 리놀레인산은 0.5% 이하이다.
해바라기씨오일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비타민 E, 암과 골다공증을 예방해주는 비타민 K가 함유되어 있어 우리나라 성인의 3대 질병에 해당하는 암과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해바라기씨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이 많고, 특히 아르기닌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해바리기씨오일에 함유된 인지질, 베타시토스테롤, 당지질, 세라마이드는 수분 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으로, 피부 배리어를 형성하여 보습작용이 뛰어나며, 피부 유연 효과가 있다.
해바라기씨로부터 추출한 활성 성분은 피부 내부의 지질 성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지질로 구성된다. 대표 성분은 피토세라마이드-6 (phytoceramide-6)와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등이다. 이러한 성분들은 피부 장벽에 존재하는 지질 성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표피로부터 수분 증발을 억제해 주며, 망가진 피부 장벽을 신속히 복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바라기씨오일은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증발차단제, 완화제 등의 작용과 비휘발성 식물 오일로서 자체 산화방지 작용의 효과를 갖는다.
특히 당나귀오일을 여러 식물성오일과 혼합하여 테스트한 결과, 항산화 및 자체 산화억제력을 갖춘 해바라기씨유는 올리브유, 포도씨유, 유채유 등 다른 식물오일과 마찬가지로 불포화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른 식물성오일에는 함유되지 않은 다가불포화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해바라기씨오일에 함유된 다가불포화지방은 혈관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오일들에 비해 산화안정성이 3 내지 4배 정도 우수하여 열을 가하더라도 화학변화로 인한 유해물질이 덜 생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해바라기씨오일은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어 피부노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자유라디칼에 대한 소거작용이 매우 우수하고 상온과 가열상황에서도 자체 산화안정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에서는 당나귀오일의 제조과정에 해바라기씨오일을 혼합하게 되었다. 당나귀오일에 해바라기씨오일을 혼합함으로 인해 당나귀의 도축을 줄이고 고가의 당나귀오일을 해바리기씨오일로 대체하되 당나귀오일의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산화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보습 등 관련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당나귀오일의 정제방법 및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당나귀의 비정제 오일덩어리 1kg 기준 10 내지 12 배에 해당하는 n-헥산(n-heaxane) 10 내지 12 L(w/v)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 내지 4 시간 교반하여 추출 하고 및 NO.5C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한 농축공정을 통해 n-헥산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고형농축분에, 포화지방산이 제거된 정제 해바라기씨오일 200 내지 250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정제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n-헥산은 유기용매로 용매분배추출 등에 이용된다. 정제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비는 당나귀의 비정제 오일덩어리의 지방 함유량에 따라 상이하나 정제 당나귀오일 100 중량부에 해바라기씨오일 70 내지 9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오일은, 정제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아르간 트리 커넬오일, 라벤더 오일,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호호바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 100 내지 250 중량부가 추가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복합오일은, 당나귀오일 100 중량부에 해바라기씨오일 8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52 중량부, 라벤더오일 40 중량부, 올리브오일 36 중량부, 살구씨오일 36 중량부, 호호바오일 36 중량부, 스위트아몬드오일 20 중량부가 추가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르간트리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은 아르간나무(Argania spinosa)의 씨핵에서 추출한 오일이다. 아르간트리커넬오일은 토코페롤(비타민 E)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강력한 산화 방지제로 피부 세포의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부드러움을 주어 회복시켜 준다. 또한 아르간트리커넬오일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손상 받은 피부를 즉각적으로 회복시켜주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하여 준다. 아르간트리커넬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심장병을 치유하는데 효과가 탁월하며, 오일 조성의 99%가 지방산으로서 지방산의 조성은 올레인산 45%, 리놀렌산 35%, 팔미틴산 16% 및 스테아린산 3%이다. 특히,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인산은 피부흡수가 빨라서 각질의 수분을 유지하는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을 보충하여 피부를 유연하고 촉촉하게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유연화제,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증발차단제, 피부보습 등의 작용과 항노화 작용 및 피부 재생 관련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라벤더오일(Lavandula Angustifolia Oil)은 라벤더(Lavendula officinalis) 전초에서 얻은 휘발성 에센셜 오일이다. 라벤더(Lavender)는 꿀풀과 라반듈라속의 다년생 상록 소저목으로 37종의 원종과 재배품종은 300여 가지가 넘는데, 향기, 꽃의 색상, 형태, 크기가 다양하다. 라벤더의 학명은 라벤둘라(Lavandula sp.)로, 대표적인 종으로는 잉글리쉬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프린지드라벤더(스토에카스 라벤더)(Lavandula Stoechas), 스파이크라벤더(Lavandula latifolia) 등이 있다. 라벤더오일은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입욕제로 쓰였으며 수렴, 살균 및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면역기능 상승, 각 내부 장기, 분비선 또는 호르몬의 기능에 영향을 주며,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곰팡이균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준다. 본 특허에서 라벤더오일은 향료,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며 진통, 진정, 항우울, 아로마 효과, 항균, 방부작용을 제공한다.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Fruit Oil)은 올리브(Olea europaea)의 익은 열매에서 얻은 불휘발성 오일이다. 올리브는 물푸레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높이가 대략 5 내지 10 m이며 수많은 가지가 달려 있다. 올리브의 잎은 마주 나고,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비늘 같은 흰 털이 밀생한다. 올리브의 꽃은 황백색이며 늦은 봄에 피고 향기가 있다. 올리브의 열매는 핵과(核果)로 타원형이며 자흑색으로 익는다. 올리브의 원산지는 터키이며 BC3000년경부터 재배되어 왔고, 지중해 연안과 같이 고온 건조한 여름과 온난 다습한 겨울이 있는 지역에서 생육이 활발하다. 올리브의 주요 생산국은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프랑스, 미국 등이다.
올리브오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광물성 오일에 비해 보습력이 높고 비타민 E, 세라마이드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와의 친화력이 좋으며,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흡수력이 강해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고 알려져 화장료의 성분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올리브오일은 비타민 E 뿐만 아니라 리놀레산, 올레인산, 팔미틴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한다, 본 특허에서 올리브오일은 향료 성분, 수분증발차단제,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 NMF),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된다.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Kernel Oil)은 살구나무(Prunus armeniaca ansu) 또는 장미과(Rosaceae)의 근연식물의 씨를 압착하여 얻은 불휘발성 오일이다. 살구나무는 쌍떡잎식물로서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이다. 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털이 많고 지름이 3cm 내외 이며, 7월에 황색 또는 황색을 띤 붉은 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한방에서 행인(杏仁)이라고 하는데, 올레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유 이외에 아미그달린(일명 아미그달로시드, 색이 없는 결정성 배당체, C20H27O11N), 단백질 및 각종 아미노산, 아미그달로즈(Amygdalose), 푸르네즈(Prunase), 푸루안신(Pruansin), 에물신(효소) 등을 함유한다. 살구씨오일 내의 아미그달린이라고 하는 성분은 천식에 좋은 효과를 낸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는 '살구씨는 기침이 북받쳐서 호흡곤란을 일으킬 때, 숨이 가쁘고 가래가 끓을 때 사용하며 진해거담제 역할을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살구씨오일은 인, 단백질, 지방, 철분 및 비타민, 시트르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 칼륨 등의 무기질을 함유하며 본 발명에서 주로 수분증발차단제, 보습, 피부노화방지, 콜라겐 생합성 촉진, 노폐물 제거, 피부윤택 등의 효과를 위해 적용된다.
호호바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은 사막 관목인 호호바 (Simmondsia Chinensis) 씨에서 추출하거나 압착하여 만든 불휘발성 오일이다. 호호바오일은 미네랄, 비타민, 단백질, 천연 토코페롤을 다량 함유하는 오일로서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기초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특허에서 호호바오일은 오일을 조합함에 있어서 베이스 오일(Base oil)로 사용되며,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증발차단제, 보습제, 항산화제로 사용된다.
스위트아몬드오일(Prunus Amygdalus Dulcis Oil)은 스위트아몬드(Prunus amygdalus dulcis)의 커넬에서 얻은 오일이다. 스위트아몬드 종자의 핵인에서 뽑아낸 지방을 말렸다가 물에 적셔 부드럽게 한 후 수증기로 증류해서 얻은 기름이다. 스위트아몬드오일은 올레인산과 리놀레인산의 함량이 높아 반건성유에 속하며,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스쿠알렌(squalene),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의 함량이 높고, 피부에 쉽게 흡수되어 피부를 부드럽게 해준다.
스위트아몬드오일은 상처 치료나 피부에 자양을 주기 위해서 사용되고 피로한 피부를 회복시키는 데 적합하다. 또한 스위트아몬드오일은 미네랄과 비타민 A, B, E가 풍부해 피부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를 통해 유해물질이 피부에 침투하는 걸 막아 피부를 유연하고 건강하게 해 준다. 스위트아몬드는 독성이 없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을 포함한 불포화지방산이 많고, 항산화성분인 비타민E와, 마그네슘, 칼슘, 칼륨, 인등의 미네랄, 식이섬유, 피토스테롤이 풍부하여 혈액, 피부, 두뇌에 좋은 식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스위트아몬드는 견과류에 속하며 비타민 E 7.4 ATEmg, 단백질 6.0 g, 식이섬유 3.3 g, 당 1.4 g, 총 지방 14g, 단일 불포화지방 9.1 g 등으로 구성된다. 본 특허에서 스위트아몬드오일은 향료,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증발차단제, 피부진정제. 완화제,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로 사용되며 비타민,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미네랄과 같은 영양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당나귀유와 복합오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나귀유 100 중량부에 상기 복합오일 100 내지 2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전술한 당나귀유, 복합오일 이외에도, 바위돌꽃추출물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추출물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 80 내지 24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복합식물추출물은 특히 바위돌꽃추출물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추출물 60 내지 70 중량부, 금잔화추출물 40 내지 50중량부, 왕벚나무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병풀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쐐기풀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마치현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위돌꽃추출물(Rhodiola Rosea Extract)은 바위돌꽃(Rhodiola rosea) 식물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이다. 바위돌꽃은 약 200여종이 있으며, 그 중 바위돌꽃종(Rhodiola sachlinensis A. Bor.)은 고산지역에 주로 자생하는 돌나무과(Crassulaceae), 돌꽃(Rhodiola)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고산지역에 주로 자생하며, 진정제, 해열제, 수렴제 및 고산병 치료를 위한 생약재로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바위돌꽃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대부분의 돌꽃속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살리드로사이드(salidroside)와 이의 비배당체인 p-티로졸(tyrosol) 등이 있으며, 산소 결핍증을 개선시키고 항피로와 노화억제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바위돌꽃은 kaempferol-3-O--D-glucopyranoside(astragalin), kaempferol-3-O--D-sophoroside, herbacetin-3-O--D-glucopyranoside 및 herbacetin-7-O--D-glucopyranosyl(13)--L-rhamnopyranoside와 같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포함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함에 따라 지방과 DNA 산화를 억제하고,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위돌꽃종에는 아르기닌(arginine)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과, 리놀렌산(linolenic acid)와 같은 불포화지방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같은 무기성분 등이 비교적 다량 함유되어 있어 여러 분야에서 가치가 높은 생약재로 인정받고 있으며, 항암, 면역력 증진, 간독성 보호작용, 항균 활성, 항돌연변이성, 미백활성, 항당뇨 활성 등의 다양한 효능 관련 연구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본 특허에서 바위돌꽃추출물은 피부유연화제, 피부보호제 등 일반적인 효과를 넘어 강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 재생 효과 등에 작용하는 피부 노화억제에 강하게 작용하는 효과 등을 갖는다.
자작나무추출물(Betula Alba Bark/Leaf Extract)은 자작나무(Betula alba)의 껍질 및 잎,열매에서 추출한 것이다. 자작나무(Betula Platy Phylla)는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강원도 이북의 높은 산에 많이 자라지만 우리나라 남부 포함 전국에 분포하며, 일본의 북해도와 중국에도 분포한다. 수피는 흰빛이며 수평으로 벗겨지며, 잎은 길이가 5~7인 3각형의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2cm 정도이다. 꽃은 4, 5월경에 암꽃이 피며 같은 시기, 같은 그루에 수꽃이 긴 미상(尾狀)꽃차례(꽃들만 모여 있는 모습)를 이루며 잎보다 먼저 핀다. 열매(소견과)는 9월에 익는데, 좌우로 넓은 날개가 달려 있다. 열매가 달리는 원통형의 자루는 길이가 4cm로 밑으로 처진다. 거의 털이 없으나 잎뒷면 엽액에 갈모가 있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 자라는 같은 속(屬) 식물로는 좀자작나무(B. fruticosa), 박달나무(B.schmidtii), 고채목(B. ermanii var. communis), 거제수나무(B. costata)를 비롯한 10여 종(種)이 있다. 자작나무의 수피에는 베툴린(betulin)이 약 35%, 각종 고급지방산이 약 35% 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탄닌은 약 7%가 함유(내피에는 탄닌이 약 11% 함유)되어 있다. 또한 신선한 잎에는 베툴라폴리엔트리올(betulafolientriol)이 0.25%, 베툴라폴리엔테트라올(betulafolientetraol) 등의 트리테르페오니드 및 다마란형(dammarantype) 트리테르페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탄닌이 5.19%, 열매(소견과)에는 정유성분이 11.44% 함유되어 있다. 중국의 신농본초경과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는 자작나무껍질이 백화피 또는 화피란 이름으로 긴요한 약재에 사용된다는 기록이 있고, 피부에 문제가 있을 때 단방으로 사용된 예 등 이미 오랜 처방과 사용으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 현재에도 자작나무추출물은 자일리톨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청량감을 주며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당뇨병치료제의 혈당치를 조절하거나 식품에 첨가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황달, 신장염, 폐결핵, 신경통, 위염, 이뇨, 간경화 등에 요긴하게 사용되며, 또한 해독작용도 탁월하여 염증을 없애는 효과가 상당히 강하며 이뇨작용이 있어서 신장염이나 부종을 고치는 데에도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본 특허에서 자작나무추출물은 전술한 약리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향료, 피부컨디셔닝제, 식물성 활성성분, 착색제, 피부유연화제, 해독 작용 및 피부보호제 등으로 사용되고 특히 피부 발진이나 가려움 등에 작용하는 관련 효과 등을 갖는다.
왕벚나무추출물(Prunus Yedoensis Branch/Flower/Leaf Extract)은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의 가지, 꽃과 열매에서 추출한 추출물이다.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는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다년생 식물로서 신경성 소화불량, 해독작용 등에 전통적 민간요법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왕벚나무추출물에 대해 항염증효과와 멜라닌합성 억제효과와 항산화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왕벚나무추출물은 40% 이상의 높은 총 페놀 함량을 가짐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LDL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특허에서 왕벚나무추출물은 전술한 약리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보호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며, 플라보노이드 일종인 사쿠라닌 성분의 함유에 따라 관련 효과를 갖는다.
금잔화추출물은 금잔화(카렌둘라, Calendula officinalis)의 꽃, 잎, 줄기에서 추출한 것이다. 금잔화는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남유럽, 지중해연안 원산이다. 높이는 30~50 cm이고 4~6월에 국화와 비슷한 노란색이나 주황색의 겹꽃이 핀다. 금잔화추출물에는 루테인(Lutei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아피제닌(apigenin)과 그 유도체, 루틴(rutin) 등의 플라보노이드류와 움벨리페론(Umbelliferone)등의 쿠마린류 화합물, 카마줄렌(chamazulene) 등의 휘발성 오일도 함유되어 있어, 항균, 항염, 통증 완화, 상처치유 작용이 있어 피부나 점막의 염증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루테인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서 항균과 항미생물 작용, 항염 작용을 가지며, 카르티노이드 중에서 크산토필류에 속하며, 식물의 광합성을 하기 위한 색소로 작용한다. 그 밖에 금잔화추출물에는 리코핀, 비올라크산틴, 루비크산틴, 네오리코핀A, 시트라크산틴, 클라보크롬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성 성분들은 피부에 생긴 상처의 치료를 촉진시키고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아주며, 알러지 반응을 최소화하고, 민감한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특허에서 금잔화추출물은 향료, 식물성 활성성분 물질과, 피부컨디셔닝, 항균, 항산화 기능, 소염효과, 소독작용, 민감 피부의 진정 및 피부 재생작용, 지혈성 수렴효과, 루테인의 활성성분 함유 등에 작용하는 관련 효과 등을 나타낸다.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은 병풀(Centella asiatica)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으로, 말굽풀, 조개풀로도 불려진다. 병풀(Centella asiatica L. Urban)은 미나리목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섬이 원산지이나 그 외 인도양의 해안지역, 북부 오스트레일리아 및 일부 중남미 등지의 고온 다습한 곳에서 폭넓게 자생하며, 국내에서는 난대지방에 속하는 제주도 및 남부지방의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있다. 병풀추출물은 해열제, 피부궤양, 외상치료, 결핵, 원형탈모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인도 및 아시아 지역의 전통요법을 통해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병풀추출물의 주요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와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는 피부 상처 및 만성 궤양 치료 활성 등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물질은 나병균(Mycobacterium leprae)의 세포벽을 용해하고, 그중에서도 특히 아시아티코사이드는 항박테리아, 항균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 상처, 위궤양은 물론 다양한 피부질환, 정신질환, 결핵, 정맥질환, 치매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풀추출물은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와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아시아틱산(asiatic acid),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발레린(vallerin)과 미량의 알칼로이드(alkaloid) 등을 함유함에 따라 상처 치료에 탁월하고, 피부조직의 재생력을 갖는 물질들로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실제 임상에서는 상처 치료 목적의 연고제를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특허에서 병풀추출물은 전술한 약리작용을 통한 피부 탄력 증진, 상처치유, 콜라겐 합성 촉진 등을 위해 적용된다.
쐐기풀추출물(Urtica Dioica Extract)은 쐐기풀(Urtica dioica)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이다. 쐐기풀(Urtica laetevirens Maxim.)은 심마라고도 불리는데, 높이 0.5 내지 1.5m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네모나고 너비 2.5 내지 5cm의 달걀 모양 잎이 마주 붙는다. 줄기와 잎에 쐐기털이 있다. 전국 각지의 길섶, 개울가, 산기슭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잎은 여름철에 따서 그늘에 말린다. 쐐기털의 성분으로는 약간의 개미산, 초산, 버터산으로 이루어진 자극성의 산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가는 잎 쐐기풀의 마른 쐐기털 1그램에는 히스타민 3 mg이 포함되어 있다. 잎에는 비타민 K(잎 1그램에 400단위), 배당체인 우르티신, 탄닌질, 개미산,아스코르부산(0.1~0.6%), 비타민 B2, 판토텐산, 프로토포르피린(C34H34O4N4), 코포로포르피린(C36H38O8N4), 시토스테롤, 히스타민(C5H9N3), 레시틴 등이 함유되어 있고, 카로티노이드인 카로틴(C40H56), 크산토필(C40H56O2), 크산토필에폭시드(C40H56O3), 비올라크산틴(C40H58O4)와 엽록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쐐기풀의 엽록소는 잘 우려지는 장점이 있다. 쐐기풀추출물은 피의 응고성을 높이며 헤모글로빈의 함량과 적혈구 수를 늘리며 자궁평활근의 긴장도를 높이고 핏줄 수축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쐐기풀추출물에 함유된 클로로필은 기초대사를 항진시키고 장과 심장, 핏줄 계통 그리고 자궁의 긴장도를 높이며 상처조직의 재생과 상피화 속도를 빠르게 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보고되어 있다. 본 특허에서 쐐기풀추출물은 항염증 효과, 피부 진정효과 및 수렴작용, 두피 및 피부의 혈액순환 촉진, 기타 식물성 활성성분 등에 따라 작용하는 관련 효과 등을 갖는다.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은 마치현(Portulaca oleracea), 즉 쇠비름과의 일년초인 쇠비름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이다. 마치현 추출물은 l-노르에피네프린, 비타민 A, B1, B2, C와 토코페롤, 카로틴, 오메가-3 지방산, 글루타치온, 글루탐산, 사과산, 구연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에서 항균, 항염, 상처 치유, 항염증 작용이 있어 예로부터 각종 피부 질환에 사용되어 왔다. 동의보감에서는 마치현은 성질이 차고(寒) 맛이 시며(酸) 독이 없어 여러 가지 종기와 악창을 낫게 하고 대소변을 용이하게 하며, 쇠붙이에 다쳐서 생긴 헌데와 속에 누공이 생긴 것을 치료하며, 갈증을 멎게 하며 여러 가지 벌레를 죽인다고 한다. 또한 마치현은 충독, 중풍, 이뇨제, 사독의 해독작용, 이질, 종창, 자궁수축 등 다양한 지병에 사용한다. 중동에서는 이뇨제, 구충제, 피부 진정제로도 사용되었다고 알려졌다. 그 외 근육이완 활성과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그 외 한국에서는 당뇨병 치료제 성분 및 항비만 성분, 무좀 치료 조성물 등에 대한 관련 특허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본 특허에서 마치현추출물은 피부보습, 항염증효과, 피부청정, 항알레르기, 항균효과, 아토피 및 건조피부에 효과가 있고, 피부노화 완화, 피부자극 완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오메가-3 등의 유효성분 함유에 따라 작용하는 관련 효과를 갖는다.
복합식물추출물의 제조는 해당 식물에서 각 원료에 가장 적합한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공정을 거쳐 추출된 후 혼합비에 따라 혼합될 수도 있지만,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이를 통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 60 내지 70 중량부, 금잔화 40 내지 50중량부, 왕벚나무 20 내지 30 중량부, 병풀 20 내지 30 중량부, 쐐기풀 20 내지 30 중량부 및 마치현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세척한 후 세절한 다음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에 70 내지 100메시로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분쇄물 100 중량부에 증류수 400 내지 800 중량부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100 중량부의 혼합액 또는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의 혼합액 내에 3일 내지 5일동안 침지시킨 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여과시킨 다음 감압증류,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당나귀유와 복합오일과 복합식물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나귀유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복합오일 80 내지 100 중량부와 복합식물추출물 80 내지 12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복합오일과 복합식물추출물을 사전 혼합하여 5 내지 10일 동안 숙성로에서 2 내지 6의 온도로 저온 숙성시킨 후 2차 여과시켜 저온 저장한 당나귀유와 교반 혼합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당나귀유와 복합오일과 복합식물추출물을 모두 포함한 전체 조성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5 내지 10일 동안 숙성로에서 저온 숙성시켜 제조된 다음,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및 분무제 중 하나로 형성되는 화장료 제형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및 분무제 중 하나로 형성되는 화장료제형에 첨가되기까지 공지된 감압농축기에 의해 감압농축되어 냉장 또는 냉동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피부 흡수력이 증대됨과 동시에 유효성분이 안정화되어 피부주름개선, 피부 진정 및 피부보습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고압 호모나이저(균질기)를 이용하는 공지된 나노리포좀 안정화기술에 의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후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연고, 패치, 및 분무제 중 하나로 형성되는 화장료제형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적용되는 나노리포좀은 평균 입자지름이 30 내지 80nm이고, 폴리올,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제조된다. 이 중 폴리올은 해당 전체의 나노리포좀 중 35 내지 70 중량%이고 폴리올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이리톨 및 솔비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글리세린이 20 내지 5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은 보습력을 더하는 효과가 크나, 글리세린을 지나치게 많이 첨가할 경우 점성으로 인하여 질감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50중량%를 넘지 않도록 한다.
나노리포좀 안정화기술에 적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또는 슈가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나노리포좀안정화물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에 대해 0.5 내지 5.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리포좀 안정화기술에 적용되는 인지질은 천연 레시틴이며, 인지질의 함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나노리포좀안정화물 전체 중량에 대해 2 내지 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리포좀 안정화기술에 적용되는 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과 같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방산의 함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나노리포좀안정화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리포좀 안정화기술에 적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나노리포좀안정화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나노리포좀안정화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35중량%, 특히 15 내지 3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5중량% 미만의 양이 첨가될 경우에는 피부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피부보습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35중량% 초과 시에는 나노리포좀의 안정화도에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효과도 크지 않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당나귀로부터 취득한 신선한 당나귀유 96.95 중량%에 1,2-헥산디올(1,2-Hexandiol) 3 중량%와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중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0.2㎛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탁도를 개선하고 자연 방부력을 높인 정제 당나귀유 4kg를 4℃의 온도로 저온저장 보관하였다.
또한 비정제 당나귀 오일덩어리 1kg 기준 10배에 해당하는 n-헥산(heaxane)을 10L(w/v) 첨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추출하고, NO.5C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뒤,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n-헥산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당나귀오일(고형농축물) 1.49kg에, 포화지방산이 제거된 정제 해바라기씨오일 1.21k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0.78kg, 라벤더오일 0.6kg, 올리브오일 0.54 kg, 살구씨오일 0.54kg, 호호바씨오일 0.54kg, 스위트아몬드오일 0.3kg을 혼합하여 복합오일을 제조한 후 1㎛의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냉동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냉동 저장하였다.
저온 저장된 당나귀유 4kg에 저온 숙성 냉동 저장된 복합오일 6kg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전체 비율은 아래 표 3과 같다.
구분 | 세분 | 구성비 | 전체비율 (중량%) |
비고 | ||
당나귀유 | 당나귀유 | 40% | - | - | 40.0 | 정제 |
복합오일 |
당나귀오일 | 60% |
45% |
25/45 | 14.9 | 정제 |
해바라기씨오일 | 20/45 | 12.1 | 정제 | |||
아르간트리커넬오일 | 55% |
13/55 | 7.8 | 정제 | ||
라벤더오일 | 10/55 | 6.0 | 정제 | |||
올리브오일 | 9/55 | 5.4 | 정제 | |||
살구씨오일 | 9/55 | 5.4 | 정제 | |||
호호바씨오일 | 9/55 | 5.4 | 정제 | |||
스위트아몬드오일 | 5/55 | 3.0 | 정제 | |||
소계 | 100 |
우선 당나귀로부터 취득한 신선한 당나귀유 96.95 중량%에 1,2-헥산디올(1,2-Hexandiol) 3 중량%와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중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0.2㎛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탁도를 개선하고 자연 방부력을 높인 정제 당나귀유 2.8kg를 4℃의 온도로 저온저장 보관하였다.
또한 비정제 당나귀 오일덩어리 1kg 기준 10배에 해당하는 n-헥산(heaxane)을 10L(w/v) 첨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추출하고, NO.5C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뒤,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n-헥산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당나귀오일(고형농축물) 1.05kg에, 포화지방산이 제거된 정제 해바라기씨오일 0.84k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0.54kg, 라벤더오일 0.42kg, 올리브오일 0.38 kg, 살구씨오일 0.38kg, 호호바씨오일 0.38kg, 스위트아몬드오일 0.21kg을 혼합하여 복합오일을 제조한 후 1㎛의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냉동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냉동 저장하였다.
또한 바위돌꽃추출물 0.99kg과, 자작나무추출물 0.6kg과, 금잔화추출물 0.45kg과, 왕벚나무추출물 0.24kg과, 병풀추출물 0.24kg과, 쐐기풀추출물 0.24kg 및 마치현추출물 0.24kg을 혼합하여 복합식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복합식물추출물의 제조는 바위돌꽃, 자작나무, 금잔화, 왕벚나무, 병풀, 쐐기풀 및 마치현을 33: 20 : 15 : 8 : 8 : 8 : 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세척 및 세절한 후 음지에서 건조시킨 다음, 70 내지 100 메시 정도로 분쇄한 후, 상기 건조 혼합분쇄물 총중량의 6배 중량의 증류수와 동일 중량의 1,3-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4일 침지한 다음, 9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1㎛의 필터로 여과시킨 다음 감압증류하여 제조하였다.
저온 저장된 당나귀유 2.8kg에 저온 숙성 냉동 저장된 복합오일 4.2kg과, 복합식물추출물 3kg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전체 비율은 아래 표 4와 같다.
구분 | 세분류 | 구성비 | 전체비율 (중량%) |
비고 | ||
당나귀유 | 당나귀유 | 28% | - | - | 28.0 | 정제 |
복합오일 |
당나귀오일 | 42% |
45% |
25/45 | 10.5 | 정제 |
해바라기씨오일 | 20/45 | 8.4 | 정제 | |||
아르간트리커넬오일 | 55% |
13/55 | 5.4 | 정제 | ||
라벤더오일 | 10/55 | 4.2 | 정제 | |||
올리브오일 | 9/55 | 3.8 | 정제 | |||
살구씨오일 | 9/55 | 3.8 | 정제 | |||
호호바씨오일 | 9/55 | 3.8 | 정제 | |||
스위트아몬드오일 | 9/55 | 2.1 | 정제 | |||
복합식물추출물 |
바위돌꽃추출물 | 30% |
33% | 9.9/30 | 9.9 | 전초 |
자작나무추출물 | 20% | 6.0/30 | 6.0 | 껍질,잎,열매 | ||
금잔화추출물 | 15% | 4.5/30 | 4.5 | 전초 | ||
왕벚나무추출물 | 8% | 2.4/30 | 2.4 | 가지,잎,열매 | ||
병풀추출물 | 8% | 2.4/30 | 2.4 | 전초 | ||
쐐기풀추출물 | 8% | 2.4/30 | 2.4 | 전초 | ||
마치현추출물 | 8% | 2.4/30 | 2.4 | 전초 | ||
합계 | 100% | 100 |
전술한 실시예 2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고압 호모나이저를 이용하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하여 나노리포좀 안정화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나노리포좀 안정화물 전체 중량에 대해 30중량%이며, 정제수를 포함하여 아래 표 5와 같이 조성하였다.
구분 | 세부구성 | 전체비율 (중량%) |
비고 |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A) |
실시예 2의 표 4 참조 |
30 |
||
나노리포좀(B) |
폴리올 (B+C의 60%) |
글리세린 | 21 | 나노리포좀 조성물 70 중량% (정제수포함) |
폴리올 프로필렌글리콜 | 21 | |||
계면활성제 (B+C의 4%) |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비이온성) |
2.8 |
||
인지질 (B+C의 7%) |
레시틴 (천연대두 유래) |
4.9 |
||
지방산 (B+C의 1%) |
라우린산, 리놀렌산 |
0.7 |
||
기타 | 세라마이드(천연) | 0.4 | ||
소계 | 50.8 | |||
정제수(C) | 잔량(19.2) | |||
계 | 100 |
우선, 나노리포좀(B) 조성물을 75 내지 80℃ 온도에서 용해한 후 일반 호모지나이저로 10분 이상 혼합한 후, 정제수(C)를 첨가하면서 10분 이상 다시 유화시켜 유화상을 만든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A)을 3차 혼합하여 일반 유화상을 만든 후, 그 전체를 고압 호모지나이저 내에서 1,000bar 이상의 압력 하에서 유화상을 재파괴하여, 1차 통과하여 균질하게 완성하게 되고, 이 때 시료를 채취하여 결정된 통과회수에 따라 동일 압력 하에서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추가 3 내지 5회 통과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 안정화물이 최종 완성된다.
상기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나노리포좀 안정화물을 이용하여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의 일종인 화장수(스킨)를 아래 표 6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예 | 1 | 2 | 3 | 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A) |
- |
- |
- |
33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나노리포좀 안정화물 (A+B+C) |
30 |
3.0 |
- |
- |
스테아릴알콜 | 0.5 | 0.5 | 0.5 | 0.5 |
세토스테아릴알콜 | 1.5 | 1.5 | 1.5 | 1.5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3.0 | 3.0 | 3.0 | 3.0 |
트리글리세라이드 | 2.0 | 2.0 | 2.0 | 2.0 |
에탄올 | 5.0 | 5.0 | 5.0 | 5.0 |
디메치콘 | 3.0 | 3.0 | 3.0 | 3.0 |
스테아릴올리베이트 | 1.2 | 1.2 | 1.2 | 1.2 |
소르비탄올리베이트 | 1.5 | 1.5 | 1.5 | 1.5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 2.5 | 2.5 | 2.5 | 2.5 |
메틸소이에이트 | 1.5 | 1.5 | 1.5 | 1.5 |
부틸렌글리콜 | 2.0 | 2.0 | 2.0 | 2.0 |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오일 | 5.0 | 5.0 | 5.0 | 5.0 |
아스코빅애시드 | 1.0 | 1.0 | 1.0 | 1.0 |
달맞이꽃오일 | 1.5 | 1.5 | 1.5 | 1.5 |
카프릴릴글리콜(천연방부제) | 1.8 | 1.8 | 1.8 | 1.8 |
스쿠알렌 | 5.0 | 5.0 | 5.0 | 5.0 |
트리옥타노인 | 2.0 | 2.0 | 2.0 | 2.0 |
유동 비즈왁스 | 2.0 | 2.0 | 2.0 | 2.0 |
알란토인 | 1.5 | 1.5 | 1.5 | 1.5 |
베타인 | 3.0 | 3.0 | 3.0 | 3.0 |
천연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계 | 100 | 100 | 100 | 100 |
상기 표 6의 제조예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A)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나노리포좀 안정화물(A+B+C)을 화장수 전체 30중량%로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고, 상기 제조예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A)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나노리포좀 안정화물(A+B+C)을 화장수 전체 3중량%로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며, 제조예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A)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화장수이며, 제조예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A)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하지 않고 원상 그대로 화장수 전체 33중량%로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피부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피부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T-75 플라스크에 인간섬유아세포(HNF,Normal Human Fibroblast)(CCD-986K, KCLB 21947)를 배양한 뒤 1 × PBS로 2회 세척하고, 0.025% Trypsin-EDTA를 처리하여 플라스크에 부착된 세포를 떨어뜨렸다. 상기 세포를 수득한 후 1500 rpm에서 7분간 원심분리(Heraeus, Labofuge 400R)한 후, 세포로 이루어진 펠렛(pellet)을 10㎖의 DMEM(5% FBS 포함)에 부유시켰다. 헤마사이토미터(Heama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뒤 2 × 103 정도의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200㎕씩 분주하였다. 웰 면적의 약 40% 정도로 세포가 자라면 새로운 DMEM(2% FBS 포함) 배지로 교환해 주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0.1ppm, 1ppm, 10ppm의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여 37.5℃, 5% CO2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지 3일 후에 세포의 재생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하였다. MTT(Sigma)를 PBS에 2mg/㎖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후 세포 배양배지 부피의 10%(20㎕)를 처리하고, 3시간 더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의 상등액을 버리고 난 뒤, 150㎕의 DMSO를 넣어 잘 섞어주거나 또는 0.04N HCl(in acidisopropanol)100㎕를 넣은 후 섞어주었다. 상기 과정이 끝난 후 ELISA 판독기(Quant, Bio-Tek instrument INC.)를 이용해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Reference: 650nm)하였다. 측정결과는 표 7과 같다.
구분 | ppm | 피부재생효과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무첨가 |
- |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첨가 |
1 |
203 |
10 |
379 |
|
바위돌꽃추출물 (개별) |
1 | 138 |
10 | 193 | |
자작나무추출물 (개별) |
1 | 135 |
10 | 189 | |
왕벚나무추출물 (개별) |
1 | 125 |
10 | 170 | |
금잔화추출물 (개별) |
1 | 120 |
10 | 177 |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세포의 흡광도 값을 100%로 하였을 때(즉, 세포증식이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첨가한 경우에는 1 내지 10 ppm 농도에서 203 내지 379%의 섬유아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냈다.
개별 추출물의 경우 1 내지 10 ppm의 농도에서 120 내지 193%의 증식효과를 나타낸 것에 비하면 대단히 우수한 증식효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의 농도를 높일수록 피부재생효과도 점차 상승하는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보습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보습제인 히아루론산과 보습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 0.5%와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아모레퍼시픽) 0.5%를 10명의 시험자들의 팔 안쪽에 도포하고 테이핑하였다. 시료 처리 전, 처리 직후 및 처리 2시간 후 코네오미터(Corneometer)를 사용해 컨덕턴스(conductance)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수화(skin hydration) 정도를 평균값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히아루론산의 경우 처리 직후 피부보습율이 34%였으나 처리 2시간 후에는 6%로 감소하였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는 처리 직후 피부보습율이 32%였으나 처리 2시간 후에는 5.8%로 감소하여 보습제로서 유사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대해 피부 자극 시험을 25명을 시험자로 선발하여 공지된 피부자극 시험기준에 의하여 시행하였다. 결과(평균값)는 아래 표 8와 같이 무자극에 해당하였으며 화장료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물질 | 시험농도(%) | P.I.I | 판정 | 비고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10 |
0.133 |
무 자극 |
사용가능 |
실시예 4의 제조예 1, 2 및 4에 대해 -5℃, 5℃, 30℃, 37℃ 및 45℃의 항온조에 시료를 3개월간 외관의 변화, 액상분리, 현탁 정도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온도 및 시간에 따라 보존 안정성이 있는지 평가한 결과, 전체적으로 -5℃ 내지 45℃의 온도 범위에서 3개월까지 보존 안정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아울러 보존 안정성 면에서 화장료로 사용 가능함도 확인하였다.
Claims (14)
- 당나귀유; 및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위돌꽃추출물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이 추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나귀유 100 중량부와, 상기 복합오일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당나귀유 100 중량부와, 상기 복합오일 80 내지 100 중량부와, 상기 복합식물추출물 80 내지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나귀유는 당나귀로부터 취득한 당나귀유 96.95 중량%에 1,2-헥산디올(1,2-Hexandiol) 3 중량%와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중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0.5 내지 2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오일은 당나귀오일 100 중량부에 해바라기씨오일 7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 오일, 호호바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 100 내지 250 중량부가 추가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합오일은 당나귀오일 100 중량부에 해바라기씨오일 8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52 중량부, 라벤더오일 40 중량부, 올리브오일 36 중량부, 살구씨오일 36 중량부, 호호바오일 36 중량부, 스위트아몬드오일 20 중량부가 추가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은, 당나귀 비정제 오일덩어리 1kg 기준으로 n-헥산(n-heaxane) 10 내지 12 L(w/v)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 내지 4 시간 교반하여 추출 및 여과한 다음,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n-헥산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고형농축분에, 포화지방산이 제거된 정제 해바라기씨오일 200 내지 250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합오일은 상기 당나귀오일과 해바라기씨오일의 혼합물에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올리브오일, 살구씨오일, 호호바오일 및 스위트아몬드오일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오일이 혼합되어 상온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된 후 여과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추출물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추출물, 금잔화추출물, 왕벚나무추출물 , 병풀추출물, 쐐기풀추출물 및 마치현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의 추출물 80 내지 24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뛰어난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추출물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추출물 60 내지 70 중량부, 금잔화추출물 40 내지 50중량부, 왕벚나무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병풀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쐐기풀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마치현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물추출물은 바위돌꽃 100 중량부에 자작나무 60 내지 70 중량부, 금잔화 40 내지 50중량부, 왕벚나무 20 내지 30 중량부, 병풀 20 내지 30 중량부, 쐐기풀 20 내지 30 중량부 및 마치현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세척한 후 세절한 다음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에 70 내지 100메시로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분쇄물 100 중량부에 증류수 400 내지 800 중량부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100 중량부의 혼합액 또는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의 혼합액 내에 3일 내지 5일동안 침지시킨 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여과시킨 다음 감압증류,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5 내지 10일 동안 숙성로에서 3 내지 6℃의 온도로 저온 숙성된 후, 2차 여과된 다음,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및 분무제 중 하나로 형성되는 화장료제형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후 상기 화장료제형에 첨가되며, 상기 최종 화장료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9704A KR101584742B1 (ko) | 2014-07-16 | 2014-07-16 |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9704A KR101584742B1 (ko) | 2014-07-16 | 2014-07-16 |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9330A KR20160009330A (ko) | 2016-01-26 |
KR101584742B1 true KR101584742B1 (ko) | 2016-02-02 |
Family
ID=5530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9704A KR101584742B1 (ko) | 2014-07-16 | 2014-07-16 |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4742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030B1 (ko) * | 2016-09-05 | 2018-07-20 | 백희순 | 에센스 오일 화장료 제조방법 |
KR101936150B1 (ko) | 2017-12-11 | 2019-01-09 |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KR102062230B1 (ko) * | 2018-12-04 | 2020-01-03 |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94312A (ko) | 2020-01-21 | 2021-07-29 | 김윤 |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18606B1 (ko) | 2021-03-31 | 2021-10-29 | 주식회사 뉴앤뉴 |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30115550A (ko) | 2022-01-27 | 2023-08-03 | (주)두드림 | 기능성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키토산 마스크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7319B1 (ko) * | 2017-04-03 | 2017-10-1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코닌(Cinchon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
KR101928211B1 (ko) * | 2017-08-24 | 2019-02-26 | 주철규 | 수족구 원인균 엔테로바이러스 71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갖는 조성물 |
KR102032873B1 (ko) * | 2018-06-05 | 2019-11-08 |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US10966948B2 (en) | 2019-07-23 | 2021-04-06 |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
KR20210038636A (ko) | 2018-07-27 | 2021-04-07 | 존슨 앤드 존슨 서지컬 비전, 인코포레이티드 | 눈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
US11197841B2 (en) | 2019-07-23 | 2021-12-14 |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
KR102038066B1 (ko) * | 2018-08-14 | 2019-10-30 | 전신근 | 한방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
KR20200060840A (ko) | 2018-11-23 | 2020-06-02 |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 섬백리향, 구슬댕댕이나무 및 왕벚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2188074B1 (ko) * | 2018-11-30 | 2020-12-07 |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
KR102111648B1 (ko) | 2019-08-21 | 2020-05-15 |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 왕벚나무 잎 생물전환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US11969454B2 (en) | 2019-11-19 | 2024-04-30 |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eye |
KR102267938B1 (ko) * | 2020-04-07 | 2021-06-23 |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79527B1 (ko) * | 2020-10-28 | 2022-03-25 | 한채원 |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커큐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2566894B1 (ko) * | 2021-05-06 | 2023-08-14 |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 'dkmex'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CN116473898A (zh) * | 2023-04-21 | 2023-07-25 | 允斌(上海)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保湿修复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
CN118304225B (zh) * | 2024-06-11 | 2024-08-27 | 珠海安和生化科技有限公司 | 一种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5767B1 (ko) | 2012-12-14 | 2013-07-19 | 송우 | 당나귀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
2014
- 2014-07-16 KR KR1020140089704A patent/KR1015847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5767B1 (ko) | 2012-12-14 | 2013-07-19 | 송우 | 당나귀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030B1 (ko) * | 2016-09-05 | 2018-07-20 | 백희순 | 에센스 오일 화장료 제조방법 |
KR101936150B1 (ko) | 2017-12-11 | 2019-01-09 |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KR102062230B1 (ko) * | 2018-12-04 | 2020-01-03 |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94312A (ko) | 2020-01-21 | 2021-07-29 | 김윤 |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18606B1 (ko) | 2021-03-31 | 2021-10-29 | 주식회사 뉴앤뉴 |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30115550A (ko) | 2022-01-27 | 2023-08-03 | (주)두드림 | 기능성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키토산 마스크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9330A (ko) | 2016-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4742B1 (ko) |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
KR101059471B1 (ko) |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42930B1 (ko) |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 |
KR101829892B1 (ko) |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425031B1 (ko) |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387308B1 (ko) |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20080002279A (ko) |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7544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090017282A (ko) |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
KR102004366B1 (ko) |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44764B1 (ko) |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 |
KR101829891B1 (ko) |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40145278A (ko) |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80887B1 (ko) |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7465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30016930A (ko) |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977673B1 (ko) |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51417B1 (ko) |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41867B1 (ko) | 오크라, 퀴노아, 석류, 들깨, 편백 추출 혼합물과 프로폴리스 및 합성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6919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1950331B1 (ko) |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 |
KR20090075950A (ko) |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 |
KR20100092922A (ko) |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37436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1835661B1 (ko) |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가려움 완화와 피부염 예방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