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835B1 -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6835B1 KR101506835B1 KR1020137029365A KR20137029365A KR101506835B1 KR 101506835 B1 KR101506835 B1 KR 101506835B1 KR 1020137029365 A KR1020137029365 A KR 1020137029365A KR 20137029365 A KR20137029365 A KR 20137029365A KR 101506835 B1 KR101506835 B1 KR 101506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layer
- platform
- elevator
- elevator c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6—Multi-deck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적어도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이용자가 목적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을 마련한다. 그룹 관리 장치는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한다.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을 마련한다. 그룹 관리 장치는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한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관리하는 그룹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는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이 구비되어 있다. 상방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상 엘리베이터 칸)과 하방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하 엘리베이터 칸)은 일체가 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는 더블 운전, 세미 더블 운전이라 불리는 운전 모드가 있다.
더블 운전에서는, 상 엘리베이터 칸은 홀수층 및 짝수층의 일방에만 정지한다. 하 엘리베이터 칸은 홀수층 및 짝수층의 타방에만 정지한다.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홀수층에서 짝수층, 혹은 짝수층에서 홀수층으로 직접 이동할 수 없다.
세미 더블 운전에서는 상 엘리베이터 칸은 홀수층 및 짝수층의 쌍방에 정지한다. 하 엘리베이터 칸도 홀수층 및 짝수층의 쌍방에 정지한다. 세미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 이용자는 어느 층으로부터도 임의의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단, 일방의 종단층에서 타방의 종단층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더블 운전만을 실시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홀수층의 승강장에 홀수층의 행선 버튼만을, 짝수층의 승강장에 짝수층의 행선 버튼만을 설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더블 운전밖에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편리성이 좋지 않다. 이것에 대하여, 하기 특허문헌 2 및 3에는 더블 운전과 세미 더블 운전의 쌍방을 실시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장에 각 층의 행선 버튼을 설치하고 있다.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 승강장으로부터 직접 이동할 수 없는 층의 행선 버튼에 대하여는 호출의 등록을 무효로 하고, 그 취지를 램프로 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혼잡한 소정의 운전 방향으로는 더블 운전을 실시하고, 반대의 운전 방향으로는 세미 더블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소 61-24887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 05-16292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 2004-307123호 공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승강장에서 행선지 표시를 실시하면,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의 이용을 단념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홀수층에서 짝수층으로 이동하는 이용자는 더블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를 기꺼이 이용하려고는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목적층까지의 다른 이동 수단을 찾는데 시간을 소비하여, 결과적으로, 목적층에 도착하는 것이 대폭적으로 늦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것으로는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운전 방향으로 홀수층에서 짝수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자는 목적층에 도착하기까지, 1회 환승을 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로, 목적층에의 도착이 늦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어도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이용자가 목적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은,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소정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과,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그룹 관리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은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고, 타방의 운전 방향으로 세미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과,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고, 그 행선층보다 앞의 소정의 층을 경유층으로 등록하는 그룹 관리 장치와, 그룹 관리 장치에 의하여 경유층이 등록되면, 엘리베이터 칸을 그 경유층으로 이동시킨 후, 행선층에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이면, 적어도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이용자가 목적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그룹 관리 시스템은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관리한다. 즉, 본 그룹 관리 시스템에는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이 구비되어 있다. 상방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상 엘리베이터 칸)과 하방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하 엘리베이터 칸)은 일체가 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이 실시된다.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만 더블 운전을 실시하여도 좋고, 쌍방의 운전 방향에 있어서 더블 운전을 실시하여도 좋다. 더블 운전에서는 상 엘리베이터 칸은 홀수층 및 짝수층 중 일방에만 정지한다. 하 엘리베이터 칸은 홀수층 및 짝수층의 타방에만 정지한다.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운전 방향으로는 이용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홀수층으로부터 짝수층, 혹은 짝수층으로부터 홀수층으로 직접 이동할 수 없다.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운전 방향에 있어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운전이 금지되어 있는 층을 운전 금지층이라 한다. 예를 들면, 상 엘리베이터 칸이 짝수층에만 정지하고, 하 엘리베이터 칸이 홀수층에만 정지하는 경우, 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는 짝수층에서 홀수층으로의 운전이 금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은 각 홀수층이 된다. 마찬가지로, 하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은 각 짝수층이 된다.
이하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그룹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이다. 승강장 조작반(1)은 소정의 승강장에만 설치하여도 좋고, 각 승강장에 설치하여도 좋다.
승강장 조작반(1)은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승강장에 있어서 자신의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목적층이란, 이용자가 최종적으로 도착하고자 하는 층이다. 승강장 조작반(1)에는 텐 키(2), 표시기(3), 어나운스 장치(4), 맵 기억 장치(5), 어나운스 기억 장치(6), 목적층 기억 수단(7), 판정 수단(8), 경유층 판정 수단(9)이 구비되어 있다.
텐 키(2)는 이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구성한다. 이용자는 텐 키(2)를 조작하여 자신의 목적층을 입력한다. 승강장 조작반(1)은 텐 키(2)로부터 목적층이 입력되면, 그 목적층의 정보와 승차층(자기(自機)의 설치층)의 정보를 후술하는 그룹 관리 장치(10)로 송신한다.
입력 장치로서 텐 키(2) 이외의 수단이 승강장 조작반(1)에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표시기(3) 및 어나운스 장치(4)는 승강장의 이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알림 장치를 구성한다. 알림 장치로서 표시기(3) 및 어나운스 장치(4)의 일방만이 승강장 조작반(1)에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알림 장치로서 표시기(3) 및 어나운스 장치(4) 이외의 수단이 승강장 조작반(1)에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맵 기억 장치(5)에는 표시기(3)에 표시시키기 위한 소정의 맵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맵 정보란, 이용자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어떤 층의 승강장에서부터 다른 층(혹은 다른 층의 승강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정보이다.
어나운스 기억 장치(6)에는 어나운스 장치(4)로부터 어나운스시키기 위한 소정의 음성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어나운스 기억 장치(6)에는 맵 정보에 대응한 음성 정보도 기억되어 있다.
목적층 기억 수단(7)은 이용자가 입력한 목적층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이용자가 텐 키(2)를 조작하여 목적층을 입력하면, 그 입력된 목적층의 정보가 목적층 기억 수단(7)에 기억된다.
판정 수단(8)은 이용자가 입력한 목적층이 그룹 관리 장치(10)가 등록한 행선층(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수단(8)은 목적층 기억 수단(7)에 기억된 목적층 정보와,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행선층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판정을 실시한다. 판정 수단(8)은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경유층 판정 수단(9)의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승강장 조작반(1)으로부터 입력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시스템 전체의 운행을 관리한다. 그룹 관리 장치(10)에는 판정 수단(11),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12), 행선층 변경 수단(13), 호출 취득 수단(14), 경유층 결정 수단(15)이 구비되어 있다.
판정 수단(11)은 승강장 조작반(1)에서 목적층을 입력한 이용자가 승차층에서 그 목적층까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수단(11)은 운전 모드(더블 운전·세미 더블 운전)나, 승강장 조작반(1)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승차층 정보, 목적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승차층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상 엘리베이터 칸,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 판정 수단(11)은 엘리베이터에 의한 이동은 할 수 없다는 취지(이동 불가능)를 판정한다.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12)은 운전에 필요한 할당 엘리베이터 칸 정보와 상하 엘리베이터 칸 정보를 작성한다.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12)은 예를 들면, 판정 수단(11)의 판정 결과, 운전 효율, 승강장 조작반(1)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의 작성을 실시한다.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판정 수단(11)의 판정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한다.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은 통상 이용자의 목적층으로 설정된다.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판정 수단(11)에 의하여 이동 불가능이 판정된 경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이용자의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으로 변경한다. '목적층의 전의 층'이란, 운전 방향(승차층에서 목적층(행선층)으로의 방향)에 대하여 목적층의 직전에 있는 층이다. '목적층의 후의 층'이란, 운전 방향에 대하여 목적층의 직후에 있는 층이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하는 경우, 목적층의 바로 아래층이 '목적층의 전의 층'에, 목적층의 바로 위층이 '목적층의 후의 층'에 해당한다.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는 경우, 목적층의 바로 위층이 '목적층의 전의 층'에, 목적층의 바로 아래층이 '목적층의 후의 층'에 해당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행선층 변경 수단(13)에 의하여 행선층의 변경이 실시되면, 변경 후의 층을 엘리베이터 칸(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한다. 또, 판정 수단(11)에 의하여 이동 가능이 판정되어, 행선층 변경 수단(13)에 의한 행선층의 변경이 실시되지 않는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이용자의 목적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한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행선층의 등록을 실시하면,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승강장 조작반(1)과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로 송신한다.
호출 취득 수단(14) 및 경유층 결정 수단(15)의 각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상 엘리베이터 칸 및 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장치(17)의 동작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장치(17)의 동작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에는 맵 기억 장치(18), 어나운스 기억 장치(19), 판정 수단(20)이 구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장치(17)에는 상 엘리베이터 칸 및 하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표시기(21), 어나운스 장치(22)가 구비되어 있다.
맵 기억 장치(18)에는 표시기(21)에 표시시키기 위한 소정의 맵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어나운스 기억 장치(19)에는 어나운스 장치(22)로부터 어나운스시키기 위한 소정의 음성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어나운스 기억 장치(19)에는 맵 정보에 대응한 음성 정보도 기억되어 있다.
판정 수단(20)은 이용자가 입력한 목적층이 그룹 관리 장치(10)가 등록한 행선층(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수단(20)은 예를 들면, 행선층 변경 수단(13)에 의하여 행선층의 변경이 실시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실시한다. 판정 수단(20)은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의 텐 키(2)를 사용하여 목적층을 입력하면(S101), 승강장 조작반(1)으로부터 그룹 관리 장치(10)로 승차층 정보와 목적층 정보가 송신된다(S102). 예를 들면, 이용자가 1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조작반(1)에 있어서, 「4」의 버튼을 누르면, 승차층 정보로서 '1층'이, 목적층 정보로서 '4층'이 그룹 관리 장치(10)로 송신된다.
승강장 조작반(1)에서는 이용자가 입력한 목적층의 정보(4층)가 목적층 기억 수단(7)에 기억된다.
그룹 관리 장치(10)에서는 판정 수단(11)에 의하여 이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목적층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3). 예를 들면, 상방향의 교통 흐름으로 세미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 1층에서 4층으로의 엘리베이터에 의한 이동은 가능하다(S103의 Yes). 이와 같은 경우,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12)은 이용자가 입력한 목적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설정하고, 승차층(1층) 및 행선층(4층)으로부터 운행 효율이 가장 좋은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한다. 또한,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12)은 할당 엘리베이터 칸 정보, 상하 엘리베이터 칸 정보를 작성한다(S104).
한편, 상방향의 교통 흐름으로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에 의하여 1층에서 4층으로 직접 이동할 수 없다(S103의 No). 이와 같은 경우,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12)은 승차층(1층)으로부터, 운행 효율이 가장 좋은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고, 할당 엘리베이터 칸 정보, 상하 엘리베이터 칸 정보를 작성한다(S105). 또,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당초의 행선층(이용자의 목적층(4층))의 전후 어느 층(5층(혹은 3층))으로 변경한다(S106).
S104 혹은 S106의 처리가 종료되면, 그룹 관리 장치(10)는 승강장 조작반(1) 및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로, 할당 엘리베이터 칸 정보, 상하 엘리베이터 칸 정보, 행선층 정보, 승차층 정보를 송신한다(S107).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 정보에 따라 상 엘리베이터 칸 및 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장치(17)의 운행을 적절히 실시한다(S108). 즉,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 장치(17)를 적절히 제어하여,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응답시킨다.
한편, 승강장 조작반(1)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판정 수단(8)이 목적층 기억 수단(7)에 기억된 목적층 정보와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행선층 정보를 비교한다(S109). 그룹 관리 장치(10)에 있어서 S104의 처리가 실시된 경우, 상기 목적층 정보와 행선층 정보는 일치한다(S109의 Yes). 이와 같은 경우, 판정 수단(8)은 행선층(목적층), 할당 엘리베이터 칸,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각 정보를 표시기(3)에 표시시킨다(S110).
이것에 대하여, 그룹 관리 장치(10)에 있어서 S106의 처리가 실시된 경우, 상기 목적층 정보와 행선층 정보는 일치하지 않는다(S109의 No). 이와 같은 경우, 판정 수단(8)은 행선층, 할당 엘리베이터 칸,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각 정보를 표시기(3)에 표시시킨다. 또, 판정 수단(8)은 목적층 기억 수단(7)에 기억된 목적층 정보(상기 예에서는 4층)와,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행선층 정보(마찬가지로, 5층)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5층)에서부터 이용자의 목적층(4층)으로 이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맵 정보를 맵 기억 장치(5)로부터 추출하여 표시기(3)에 표시시킨다(S111). 게다가, 판정 수단(8)은 추출한 맵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어나운스 기억 장치(6)로부터 추출하여 어나운스 장치(4)로부터 어나운스시킨다(S112).
그 후,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 장치(17)가 적절히 제어됨으로써, 이용자가 승차층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타고 행선층으로 이동한다(S113). 그룹 관리 장치(10)에 있어서 S104의 처리가 실시된 경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과 이용자의 목적층은 일치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을 내리는 것에 의하여 목적층에 도착할 수 있다(S114의 Yes).
한편,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을 내린 것만으로는 목적층에 도착할 수 없다(S114의 No). 그러나, 하차층(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에서 목적층까지의 이동 방법은 이미 이용자에게 통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을 내리면, 표시기(3)의 표시 내용이나 어나운스 장치(4)로부터의 어나운스 내용에 따라 목적층으로 이동한다(S115).
상기 구성의 그룹 관리 시스템이면,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에, 이용자를 목적층의 인접하는 층까지 신속히 옮길 수 있으며, 게다가, 이용자가 행선층에 도착하기까지 이용자에게 하차 후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어떤 헤매는 일없이 목적층에 도착할 수 있어, 그 도착까지 필요한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그룹 관리 시스템에서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에 구비된 알림 장치(표시기(21), 어나운스 장치(22))를 사용하여 이용자에의 정보 제공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도 4도 참조하여 이와 같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는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와 병행하여 실시된다.
엘리베이터 칸 안에서 이용자에의 정보 제공을 실시하는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상기 S107에 있어서, 할당 엘리베이터 칸 정보, 상하 엘리베이터 칸 정보, 행선층 정보, 승차층 정보에 더하여 행선층 변경 수단(13)에 의하여 변경되기 전의 행선층 정보(목적층 정보와 일치)를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로 송신한다(S116).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 장치(17)의 운행을 적절히 실시한다(S117). 즉,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 장치(17)를 적절히 제어하여,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응답시킨다.
또,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판정 수단(20)이 변경 전후의 행선층 정보를 비교한다. 행선층 변경 수단(13)에 의한 행선층의 변경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판정 수단(20)은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 변경 전후의 행선층 정보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판정 수단(20)은 변경 전후의 행선층 정보(상기예에서는 4층과 5층)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5층)에서부터 이용자의 목적층(4층)으로 이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맵 정보를 맵 기억 장치(18)로부터 추출한다. 또, 판정 수단(20)은 추출한 맵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어나운스 기억 장치(19)로부터 추출한다(S118).
판정 수단(20)은 할당 엘리베이터 칸이 행선층에 도착하는 것이 결정되면, 추출한 맵 정보를 그 엘리베이터 칸의 표시기(21)에 표시시킨다(S119). 또, 판정 수단(20)은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그 엘리베이터 칸의 어나운스 장치(22)로부터 어나운스시킨다(S120). 이것에 의하여, 이용자는 행선층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내에 있어서도, 행선층에서 목적층까지의 이동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에, 행선층 변경 수단(13)이 호출의 등록 상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출 취득 수단(14)은 호출의 등록 상황의 검출을 실시한다. 호출 취득 수단(14)은 호출의 등록 정보를 취득하면, 행선층 변경 수단(13)으로 송신한다.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호출 취득 수단(14)으로부터 수신한 호출의 등록 정보도 고려하여 행선층의 변경을 실시한다.
이하에, 도 5 및 도 6도 참조하여 상기 기능을 구비한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201 내지 S205에 나타낸 동작은 S101 내지 S105에 나타낸 동작과 같다.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하고, S203에 있어서 이동 불가능이 판정되면, 호출 취득 수단(14)은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의 등록 상황을 검출한다.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호출 취득 수단(14)으로부터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의 등록 정보를 취득한다(S206).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호출 취득 수단(14)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목적층의 전후의 층에 호출(승강장 호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7).
목적층의 전후의 층의 일방에만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그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1층의 승강장 조작반(1)에서 4층을 입력한 상기예에서는 목적층(4층)의 후의 층(5층)에만 호출이 등록되어 있으면,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후의 층(5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한다(S208). 목적층(4층)의 전의 층(3층)에만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전의 층(3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한다(S209).
한편, 목적층의 전후의 층의 호출의 등록 상황이 동일한 경우,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목적층의 상방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한다(S210). 예를 들면, 이용자가 1층의 승강장 조작반(1)에서 4층을 입력한 상기예에서는, 목적층(4층)의 전의 층(3층)과 후의 층(5층)의 쌍방에 호출이 등록되어 있으면,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후의 층(5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한다. 마찬가지로, 목적층(4층)의 전의 층(3층)과 후의 층(5층)의 쌍방에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행선층 변경 수단(13)은 후의 층(5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변경한다.
행선층 변경 수단(13)에 의하여 행선층이 변경된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그 변경된 층을 엘리베이터 칸(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한다.
S211 내지 S219에 나타낸 동작은 S107 내지 S115에 나타낸 동작과 같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와 병행하여 도 4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를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의 그룹 관리 시스템이면,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에, 그 목적층 전후의 층의 호출의 등록 상황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목적층의 전후의 층의 호출의 등록 상황이 동일한 경우,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은 목적층의 바로 위층으로 변경된다. 이용자의 상당수는 상방층으로의 이동보다 하방층으로의 이동이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본 그룹 관리 시스템이면, 하차 후의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타방의 운전 방향(반대의 운전 방향)으로 세미 더블 운전이 실시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미 더블 운전에서는 상 엘리베이터 칸은 홀수층 및 짝수층의 쌍방에 정지한다. 하 엘리베이터 칸도, 홀수층 및 짝수층의 쌍방에 정지한다. 세미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 이용자는 어느 층으로부터도 임의의 층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단, 일방의 종단층에서 타방의 종단층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는 행선층 변경 수단(13)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룹 관리 장치(10)는 승강장 조작반(1)으로부터 승차층 정보 및 목적층 정보를 수신하면, 이용자의 목적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는 엘리베이터에 의하여 이용자를 승차층에서 목적층까지 직접 옮길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그룹 관리 장치(10)는 경유층 결정 수단(15)의 기능에 의하여, 경유층을 등록한다.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행선층에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기 전에 이동시키는 층(경유층)을 결정한다.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판정 수단(11)의 판정 결과나 호출 취득 수단(14)으로부터 수신한 호출의 등록 정보도 고려하여 경유층의 결정을 실시한다.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행선층(이용자의 목적층)보다 앞의 어느 층을 경유층으로 등록한다.
경유층 판정 수단(9)은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경유층(의 등록)의 유무를 판정한다. 경유층 판정 수단(9)은 그 판정 결과에 따라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 도 7 및 도 8도 참조하여 상기 기능을 구비한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운전 방향이 (예를 들면, 시간대에 따라서) 혼잡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S301 내지 S305에 나타낸 동작은 S201 내지 S205에 나타낸 동작과 같다.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하고, S303에 있어서 이동 불가능이 판정되면,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호출 취득 수단(14)으로부터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의 등록 정보를 취득한다(S306). 또,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할당 엘리베이터 칸이 승차층에 도착할 때의 운전 방향(승차층으로부터 행선층(목적층)으로의 방향)이 혼잡 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07).
엘리베이터 칸 도착시의 운전 방향이 혼잡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S307의 Yes), 즉, 혼잡 방향으로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행선층(이용자의 목적층과 일치)보다 앞의 어느 층에 이미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08).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행선층보다 앞의 어느 층에 호출이 있으면(S308의 Yes), 그 호출이 있는 층 가운데, 행선층으로부터 가장 먼 층(즉, 혼잡 방향측의 종단층에 가장 가까운 층)을 경유층으로 설정한다(S309). 이용자가 1층의 승강장 조작반(1)에서 4층을 입력한 상기예에서, 상방향의 교통 흐름으로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 5층, 7층, 9층에 각각 호출이 등록되어 있으면,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상방향의 종단층(예를 들면, 10층)에 가장 가까운 9층을 경유층으로 설정한다.
한편, 행선층보다 앞의 어느 층에도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308의 No),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행선층의 후의 층(상기예에서는 5층)을 경유층으로 설정한다(S310).
엘리베이터 칸 도착시의 운전 방향이 혼잡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S307의 No),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행선층(이용자의 목적층과 일치)보다 앞(혼잡 방향과는 역방향측)의 어느 층에, 이미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11).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행선층보다 앞의 어느 층에 호출이 있으면(S311의 Yes), 그 호출이 있는 층 가운데, 행선층으로부터 가장 먼 층(즉, 상기 역방향측의 종단층에 가장 가까운 층)을 경유층으로 설정한다(S312).
한편, 행선층보다 앞의 어느 쪽의 층에도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311의 No),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할당 엘리베이터 칸이 운전 가능(정지 가능)한 층이고 상기 역방향측의 종단층에 가장 가까운 층을 경유층으로 설정한다. 행선층보다 앞의 종단층에 할당 엘리베이터 칸이 운전 가능이면, 경유층 결정 수단(15)은 그 종단층을 경유층으로 설정한다(S313).
S304의 처리, 혹은 상기 경유층의 설정 처리가 종료되면, 그룹 관리 장치(10)는 승강장 조작반(1) 및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로 할당 엘리베이터 칸 정보, 상하 엘리베이터 칸 정보, 행선층 정보, 경유층 정보, 승차층 정보를 송신한다(S314).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 정보에 따라서, 상 엘리베이터 칸 및 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장치(17)의 운행을 적절히 실시한다(S315).
승강장 조작반(1)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1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경유층 판정 수단(9)이 경유층의 설정이 실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16). 그룹 관리 장치(10)에 있어서 S304의 처리가 실시된 경우, 경유층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S316의 No). 이와 같은 경우, 경유층 판정 수단(9)은 행선층(목적층), 할당 엘리베이터 칸,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각 정보를 표시기(3)에 표시시킨다(S317).
한편,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1)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을 목적층으로서 입력한 경우, S303에서 No인 판정이 이루어져 경유층이 설정된다(S316의 Yes). 이와 같은 경우, 경유층 판정 수단(9)은 행선층, 경유층, 할당 엘리베이터 칸,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각 정보를 표시기(3)에 표시시킨다(S318).
표시기(3)에의 표시가 실시된 후에, 할당 엘리베이터 칸이 승차층에 정지하고,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에 타면,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S319). 이때, 경유층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행선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개시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은 승차층에서 행선층으로 직접 이동하고, 이용자는 목적층에서 하차할 수 있다(S320의 Yes).
한편, 경유층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먼저, 경유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개시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이용자는 승차층에서 목적층으로 직접 이동할 수 없다(S320의 No).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승차층에서 경유층까지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방향을 반전시키고, 행선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S321). 이것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은 경유층에서 행선층을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16)는 행선층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켜, 이용자를 그 행선층(이용자의 목적층)에서 하차시킨다(S322).
상기 구성의 그룹 관리 시스템이면,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타방의 운전 방향으로 세미 더블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 이용자를 목적층까지 신속히 옮길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그룹 관리 시스템에서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에 구비된 알림 장치(표시기(21), 어나운스 장치(22))도 사용하여 경유층의 알림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은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관리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1 승강장 조작반
2 텐 키
3, 21 표시기
4, 22 어나운스 장치
5, 18 맵 기억 장치
6, 19 어나운스 기억 장치
7 목적층 기억 수단
8, 11, 20 판정 수단
9 경유층 판정 수단
10 그룹 관리 장치
12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
13 행선층 변경 수단
14 호출 취득 수단
15 경유층 결정 수단
16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
17 엘리베이터 칸 장치
2 텐 키
3, 21 표시기
4, 22 어나운스 장치
5, 18 맵 기억 장치
6, 19 어나운스 기억 장치
7 목적층 기억 수단
8, 11, 20 판정 수단
9 경유층 판정 수단
10 그룹 관리 장치
12 상하 엘리베이터 칸 할당 수단
13 행선층 변경 수단
14 호출 취득 수단
15 경유층 결정 수단
16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
17 엘리베이터 칸 장치
Claims (10)
-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소정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과,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그룹 관리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에 이미 호출이 등록되어 있으면, 그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소정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과,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그룹 관리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목적층의 전의 층 및 후의 층의 쌍방에 이미 호출이 등록되어 있으면, 그 목적층의 상방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소정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과,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의 전의 층, 혹은 후의 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그룹 관리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목적층의 전의 층 및 후의 층의 쌍방에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그 목적층의 상방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상하로 연결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일방의 운전 방향으로 더블 운전을 실시하며, 타방의 운전 방향으로 세미 더블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이용자가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반과,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층을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층으로 등록하고, 그 행선층보다 앞의 소정의 층을 경유층으로 등록하는 그룹 관리 장치와,
상기 그룹 관리 장치에 의하여 경유층이 등록되면, 엘리베이터 칸을 그 경유층으로 이동시킨 후, 행선층에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장치
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목적층보다 앞의 층의 어느 것에 호출이 등록되어 있으면, 그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층 가운데, 목적층으로부터 가장 먼 층을 경유층으로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목적층보다 앞의 어느 층에도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승차층에서부터 목적층으로의 방향이 소정의 혼잡 방향에 일치하면, 목적층의 후의 층을 경유층으로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에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금지층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목적층으로서 입력된 경우에, 목적층보다 앞의 어느 층에도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승차층에서부터 목적층으로의 방향이 소정의 혼잡 방향에 일치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칸이 운전 가능한 층 가운데 목적층보다 앞의 종단층에 가장 가까운 층을 경유층으로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1/059233 WO2012140758A1 (ja) | 2011-04-14 | 2011-04-14 |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6053A KR20140006053A (ko) | 2014-01-15 |
KR101506835B1 true KR101506835B1 (ko) | 2015-03-27 |
Family
ID=4700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9365A KR101506835B1 (ko) | 2011-04-14 | 2011-04-14 |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527696B2 (ko) |
EP (1) | EP2719649B1 (ko) |
JP (1) | JP5534104B2 (ko) |
KR (1) | KR101506835B1 (ko) |
CN (1) | CN103476693B (ko) |
WO (1) | WO201214075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18797B2 (ja) * | 2015-12-09 | 2017-10-25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CN106946106B (zh) * | 2016-01-06 | 2019-09-06 | 东芝电梯株式会社 | 电梯控制装置 |
JP6737516B2 (ja) * | 2018-08-13 | 2020-08-12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
JP7001720B2 (ja) * | 2020-02-05 | 2022-01-20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31140A (ja) * | 1995-02-23 | 1996-09-10 | Toshiba Corp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JP2004307123A (ja) | 2003-04-04 | 2004-11-04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
JP2005200181A (ja) | 2004-01-16 | 2005-07-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行先経路案内システム |
WO2006117918A1 (ja) | 2005-04-26 | 2006-11-09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77741B1 (de) * | 1984-10-09 | 1988-05-11 | Inventio Ag | Einrichtung zur Steuerung von Aufzügen mit Doppelkabinen |
JPS61248875A (ja) | 1985-04-17 | 1986-11-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ダブルデツキエレベ−タの呼び登録装置 |
EP0459169B1 (de) * | 1990-06-01 | 1994-08-10 | Inventio Ag | Gruppensteuerung für Aufzüge mit Doppelkabinen mit Sofortzuteilung von Zielrufen |
JP2930741B2 (ja) | 1991-01-18 | 1999-08-03 | 株式会社東芝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JPH05162927A (ja) | 1991-12-16 | 1993-06-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乗場操作盤 |
JP3073650B2 (ja) | 1994-05-18 | 2000-08-07 | 株式会社東芝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
FI111929B (fi) * | 1997-01-23 | 2003-10-15 | Kone Corp | Hissiryhmän ohjaus |
US5844179A (en) * | 1997-11-26 | 1998-12-01 | Otis Elevator Company | Method of operation for double-deck elevator system |
US5861587A (en) * | 1997-11-26 | 1999-01-19 | Otis Elevator Company | Method for operating a double deck elevator car |
SG77211A1 (en) * | 1997-12-26 | 2000-12-19 | Toshiba Kk | Controlling apparatus for double deck elevator |
EP1193207A1 (de) * | 2000-09-20 | 2002-04-03 | Inventio Ag |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fzugsanlage mit Mehrfachkabinen. |
JP5113962B2 (ja) * | 2000-12-08 | 2013-01-09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SG108324A1 (en) * | 2002-11-06 | 2005-01-28 | Inventio Ag |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lift installation with multiple cage |
JP2004203508A (ja) | 2002-12-24 | 2004-07-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案内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案内方法 |
WO2004096690A1 (de) * | 2003-04-30 | 2004-11-11 | Thyssenkrupp Elevator Ag | Aufzuganlag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fzuganlage |
JPWO2005051828A1 (ja) * | 2003-11-27 | 2007-06-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マルチデッキエレベータ付き建築物、その制御システム、及びマルチデッキエレベータ |
FI119686B (fi) * | 2007-10-11 | 2009-02-13 | Kone Corp | Hissijärjestelmä |
JP2010095378A (ja) * | 2008-10-20 | 2010-04-30 | Toshiba Elevator Co Ltd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WO2011055414A1 (ja) * | 2009-11-09 | 2011-05-12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群管理装置 |
WO2012153386A1 (ja) * | 2011-05-10 | 2012-11-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
2011
- 2011-04-14 JP JP2013509707A patent/JP553410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4-14 CN CN201180070010.7A patent/CN10347669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4-14 WO PCT/JP2011/059233 patent/WO201214075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4-14 EP EP11863527.5A patent/EP271964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1-04-14 KR KR1020137029365A patent/KR1015068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4-14 US US14/110,861 patent/US952769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31140A (ja) * | 1995-02-23 | 1996-09-10 | Toshiba Corp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JP2004307123A (ja) | 2003-04-04 | 2004-11-04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
JP2005200181A (ja) | 2004-01-16 | 2005-07-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行先経路案内システム |
WO2006117918A1 (ja) | 2005-04-26 | 2006-11-09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19649B1 (en) | 2015-08-19 |
JPWO2012140758A1 (ja) | 2014-07-28 |
WO2012140758A1 (ja) | 2012-10-18 |
JP5534104B2 (ja) | 2014-06-25 |
US9527696B2 (en) | 2016-12-27 |
CN103476693A (zh) | 2013-12-25 |
EP2719649A1 (en) | 2014-04-16 |
US20140216858A1 (en) | 2014-08-07 |
KR20140006053A (ko) | 2014-01-15 |
CN103476693B (zh) | 2014-12-03 |
EP2719649A4 (en) | 2014-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2264B1 (ko) | 엘리베이터 시스템 | |
KR101617559B1 (ko) | 엘리베이터 시스템 | |
JP6318105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1596184B1 (ko) |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 | |
US7389857B2 (en) |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 |
JPWO2003000579A1 (ja) |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
KR10190331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WO2017199343A1 (ja)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JP2009120348A (ja) |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 |
KR101506835B1 (ko) |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 |
EP2277816A1 (en) | Elevator riding guide system | |
JP6567074B2 (ja) |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 |
US20220185340A1 (en) | Parking assist system | |
CN110745654A (zh) | 一种电梯调配系统、调配方法和电梯设备 | |
JP2013018585A (ja) |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 |
KR101813872B1 (ko) | 승객의 카 내 탑승위치를 지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 |
JP5665078B2 (ja) | エレベータ | |
JP6880291B1 (ja) | 群管理制御装置、配車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 |
JP4177627B2 (ja) |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 |
JP4194981B2 (ja)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 |
JP6218797B2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KR20200019076A (ko)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 |
KR102706459B1 (ko) |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 |
JP2006199420A (ja) | 群管理エレベータ | |
JP2006103909A (ja) |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