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386B1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4386B1 KR101484386B1 KR20130007402A KR20130007402A KR101484386B1 KR 101484386 B1 KR101484386 B1 KR 101484386B1 KR 20130007402 A KR20130007402 A KR 20130007402A KR 20130007402 A KR20130007402 A KR 20130007402A KR 101484386 B1 KR101484386 B1 KR 101484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cular degeneration
- quercetin
- extract
- active ingredient
- blueberry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02780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4
- 244000077233 Vaccinium uliginosum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5000011720 Vaccinium uliginosum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29940055416 blueberry extrac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19216 blueberry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 phenol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06010064930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BDCDNTVZSILEOY-UHFFFAOYSA-N polystachoside Natural products OC1C(O)C(CO)OC1OC1=C(C=2C=C(O)C(O)=CC=2)OC2=CC(O)=CC(O)=C2C1=O BDCDNTVZSILEO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007 reversed phase HPLC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WPWFMRDPTDEJJA-FAXVYDRBSA-N N-retinylidene-N-retinylethanol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2C(CCCC=2C)(C)C)=CC=[N+](CCO)C=1\C=C(/C)\C=C\C=C(/C)\C=C\C1=C(C)CCCC1(C)C WPWFMRDPTDEJJA-FAXVYDRBSA-N 0.000 description 2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ZVOLCUVKHLEPEV-UHFFFAOYSA-N Quercetaget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O)C(O)=C(O)C=C2O1 ZVOLCUVKHLE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HWTZYBCRDDUBJY-UHFFFAOYSA-N Rhynchos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C(O)=C(O)C=C2O1 HWTZYBCRDDUB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MWDZOUNAPSSOEL-UHFFFAOYSA-N kaempferol Natural products OC1=C(C(=O)c2cc(O)cc(O)c2O1)c3ccc(O)cc3 MWDZOUNAPS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OVSQVDMCBVZWGM-DTGCRPNFSA-N quercetin 3-O-beta-D-galact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2C=C(O)C(O)=CC=2)OC2=CC(O)=CC(O)=C2C1=O OVSQVDMCBVZWGM-DTGCRPNFSA-N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7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OVSQVDMCBVZWGM-SJWGPRHPSA-N Hyper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1=C(C=2C=C(O)C(O)=CC=2)OC2=CC(O)=CC(O)=C2C1=O OVSQVDMCBVZWGM-SJWGPRHPSA-N 0.000 description 6
- FVQOMEDMFUMIMO-UHFFFAOYSA-N Hyperosid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2=C(O)C=C(O)C=C2OC1C1=CC=C(O)C(O)=C1 FVQOMEDMFUMIM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DTQVDTLACAAQTR-UHFFFAOYSA-N 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F DTQVDTLACAAQT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3095 Vaccinium corymb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7537 Vaccinium myrtil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014 blue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NQYPTLKGQJDGTI-FCVRJVSHSA-N hyperoside Natural products OC[C@H]1O[C@@H](OC2=C(Oc3cc(O)cc(O)c3[C@H]2O)c4ccc(O)c(O)c4)[C@H](O)[C@@H](O)[C@H]1O NQYPTLKGQJDGTI-FCVRJVSHSA-N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38 ethyl acetate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2680 lu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60005375 lutein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656 lut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ORAKUVXRZWMARG-WZLJTJAWSA-N 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O)CC2(C)C)C ORAKUVXRZWMARG-WZLJTJAWSA-N 0.000 description 5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KBPHJBAIARWVSC-XQIHNALSSA-N trans-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O)CC2(C)C)C KBPHJBAIARWVSC-XQIHNALS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FJHBOVDFOQMZRV-XQIHNALSSA-N xanthophyl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C(O)CC2(C)C FJHBOVDFOQMZRV-XQIHNALS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KBPHJBAIARWVSC-RGZFRNHPSA-N lutein Chemical compound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H]1C(C)=C[C@H](O)CC1(C)C KBPHJBAIARWVSC-RGZFRNHPSA-N 0.000 description 4
- FOHXFLPXBUAOJM-MGMURXEASA-N myricetin 3-O-beta-D-galact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2C=C(O)C(O)=C(O)C=2)OC2=CC(O)=CC(O)=C2C1=O FOHXFLPXBUAOJM-MGMURXEASA-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844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25421 Macul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208 anthocya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0 anthocya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2877 anthocya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36 anthocya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850 d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89 eye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12356 eye drops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GBMDVOWEEQVZKZ-UHFFFAOYSA-N methanol;hydrate Chemical compound O.OC GBMDVOWEEQVZ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08 photorecept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583 retinal pigment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OHXFLPXBUAOJM-UHFFFAOYSA-N Isomyricitrin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C=2C=C(O)C(O)=C(O)C=2)OC2=CC(O)=CC(O)=C2C1=O FOHXFLPXBUAO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KMDFBPHZNJCSN-UHFFFAOYSA-N Myri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O)=C(O)C(O)=C1 IKMDFBPHZNJCS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61 acid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COBUQBNVYZTBU-UHFFFAOYSA-N myricetin Natural products OC1=C(O)C(O)=CC(C=2OC3=CC(O)=C(O)C(O)=C3C(=O)C=2)=C1 PCOBUQBNVYZTB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743 myri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16852 myrice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8695 photo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7 re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CSJYZPVAKXKNQ-HZYVHMACSA-N streptomycin Chemical compound CN[C@H]1[C@H](O)[C@@H](O)[C@H](CO)O[C@H]1O[C@@H]1[C@](C=O)(O)[C@H](C)O[C@H]1O[C@@H]1[C@@H](NC(N)=N)[C@H](O)[C@@H](NC(N)=N)[C@H](O)[C@H]1O UCSJYZPVAKXKNQ-HZYVHMAC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UXYWXYOBMKGIN-UHFFFAOYSA-N trimyrist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 DUXYWXYOBMKGI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JKROLUGYXJWQN-UHFFFAOYSA-N 4-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C=C1 FJKROLUGYXJW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590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23 Choroidal neovascularis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89 Diabetic retin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GTMUACCHSMWAC-UHFFFAOYSA-L EDTA disodium salt (anhydrous) Chemical compound [Na+].[Na+].OC(=O)CN(CC([O-])=O)CCN(CC(O)=O)CC([O-])=O ZGTMUACCHSMW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12 Glau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993411 Myoporum insul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NCYCYZXNIZJOKI-OVSJKPMPSA-N Retin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NCYCYZXNIZJOKI-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686 benzalkon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CADWTSSKOVRVJC-UHFFFAOYSA-N benzyl(dimeth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H+](C)CC1=CC=CC=C1 CADWTSSKOVRV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72 buffe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29 cat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79 cell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87 cel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1 choro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20 cyto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0 effect on c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86 flavono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55 flavonoid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51 isotonicity adj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445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769 loss of vi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4 loss of vis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635 lutei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76 lyophiliz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83 macular pigment optical dens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9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132 myris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4 nerv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06 path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4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31 protein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0 scar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001 sodium ed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488 sod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62 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635 sulf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670 sulf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TUNFSRHWOTWDNC-UHFFFAOYSA-N tetr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O)=O TUNFSRHWOTWDN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RYFMWSXOAZQYPI-UHFFFAOYSA-K trisod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O-]P([O-])([O-])=O RYFMWSXOAZQYPI-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11 ultraviolet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CYCYZXNIZJOKI-UHFFFAOYSA-N vitamin A aldehyde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NCYCYZXNIZJO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페놀류 화합물은 청색광에 대하여 ARPE-19 세포를 유의성 있게 보호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의하여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의 안쪽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신경조직을 황반이라고 하는데, 시세포의 대부분이 이곳에 모여 있고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도 황반의 중심이므로 시력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 황반부에 변성이 일어나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안과 질환을 황반 변성(증)이라 하며, 황반 변성증은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 질환과 더불어 3대 실명 질환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황반 변성증은 중심 시력에 영향을 주어 시야 가운데가 흐릿하게 보이고, 중심 암점, 변시증(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 또는 국소 부분의 시력 상실로 인해 독서, 운전 등의 정교한 활동 수행을 곤란하게 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실명으로까지 이어지는 매우 심각한 질병이다.
노인성 황반 변성증 (AM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선진국의 55세 이상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시력상실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 증상이다. 미국에서는 천만 명의 사람들이 다양한 형태의 노인성 황반 변성증으로 고통 받고 있다고 추정된다. 수명연장과 현재의 인구통계학적 증가추세로 볼 때, 이러한 수치는 2020년까지 3배에 달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하지만 모든 노인성 황반 변성증이 급격하게 심각한 시력상실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또한, 노인성 황반 변성증에는 건성(dry)과 습성(wet) 노인성 황반 변성증의 두 종류가 존재한다. 습성 노인성 황반 변성증이 중심 망막에서의 맥락막 신생혈관을 야기하는 것에 기인하여 급격한 시력상실의 결과를 초래한다. 그렇지만 노인성 황반 변성증의 약 10%만이 습성 노인성 황반 변성증이다. 드루젠(망막과 맥락막 사이의 노란색의 침전물)의 존재로 특징 지어지는 건성 노인성 황반 변성증은 혈액이나 혈장의 어떠한 누출도 야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건성은 급격한 시력상실의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이 질환의 근원적인 메커니즘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노인성 황반 변성증은 광수용체 세포의 사멸에 따른 중심시력의 상실로 특징 지어지며, 다인성의 병인기전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에 다양한 요소들(예를 들면, 흡연, 비만, 식습관, 혈중 내 콜레스테롤 증가, 청색광 조사 등)이 노인성 황반 변성증의 촉진을 야기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광수용체 세포의 손상과 그에 따른 세포사멸이 망막색소상피의 퇴화 (변성)를 야기한다.
또한 눈 망막 중심부에 지방갈색소(리포푸신)의 축적이 망막 중심부 아래에 있는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가장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이 부분이 간상세포 광수용체가 많이 밀집되어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N-retinyl-N-retinylidene ethanolamine (A2E) (바깥쪽 부분의 디스크 내에 있는 all-trans-retinal 의 부산물로서 생성)가 리포푸신의 주요 발색단이며, 청색광에 노출되었을 때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야기한다.
청색광은 상대적으로 고에너지량을 가진 빛에 속한다. 이러한 440nm정도의 청색광으로부터 단시간 노출되었을 때, 세포의 손상은 증가하며 이는 단파장의 빛일수록 더 증가한다. 이는 리포푸신의 발색단인 A2E에 따른 청색광의 민감도가 왜 노인성 황반 변성증이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리포푸신과 관련되어 있는지 설명해주며, 계속적인 빛의 노출이 노인성 황반 변성증의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사멸을 더욱 촉진시키며, 이는 결국 광수용체 세포의 변성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 중 하나가 된다.
노인성 황반 변성증은 주로 노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며, 시력상실과 실명의 원인인 질환이다. 그러나 이 질환의 정확한 발생기전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며, 몇몇의 연구자들은 A2E의 과도한 축적으로 인해서 RPE세포의 사멸이 AMD의 요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2246호에는 들쭉 추출물은 여러 종류의 세포에 있어서 황산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ARPE-19 세포에 있어서, 들쭉 추출물 처리가 청색광이 유도한 세포사멸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들쭉 추출물 분획물 중, 폴리페놀 분획물이 세포생존에 있어서 가장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들쭉 추출물 성분들 중 그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았다.
한편,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개별 인정형으로서 승인된 루테인(lutein)이 있다. 루테인은 망막의 황반을 보호하는 성분으로 황반색소밀도를 유지시켜 황반의 변성을 예방할 수 있지만 루테인과 같은 카로티노이드를 함유한 보충제를 장시간 사용하면 폐암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고 특히 흡연자는 더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연환자들이 루테인관련 제품을 복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들쭉 추출물 성분들 중에서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이 가장 풍부하며 또한 가장 활성이 뛰어난 성분이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이 산화스트레스 하에서 다양한 세포들을 보호한다는 것을 밝혀져 있었으나, 청색광 유도에 따른 세포손상에 있어서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의 효과는 여전히 불확실하였던 바, 본 발명자는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한 페놀류 화합물이 A2E의 세포내 축적을 저해함으로써 청색광-유도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사멸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모습으로, 본 발명은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분획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모습으로, 본 발명은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로써,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 및/또는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은 들쭉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을 이용하여 분획화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정제하여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페놀류 화합물들은 미리세틴,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 퀘르세틴, 퀘르세틴-3-O-갈락토시드,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 등을 포함하며, 이들의 화학구조는 아래와 같다.
<미리세틴>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
<퀘르세틴>
<퀘르세틴-3-O-갈락토시드>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
특히,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은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이며, 가장 바람직한 페놀류 화합물은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은 자연계에 존재하거나, 당업자에 통상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들쭉 추출물은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의 꽃, 열매, 잎 또는 수피 등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들쭉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들쭉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하고, 5℃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1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방법으로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들쭉 추출물로부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 분리 방법에 따라 페놀류 화합물들을 분리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들쭉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화하고, 구체적으로 들쭉 추출물을 증류수에 녹이고 연속적으로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분획화한 후, 상기 용매 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역상 HPLC 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함으로써 페놀류 화합물들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한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 화합물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일 0.001 내지 1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로도, 비경구로도 투여할 수 있다. 투여 제형으로서는 점안제, 안연고제, 주사제,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점안제 또는 안연고제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범용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점안제는 염화나트륨, 농 글리세린 등의 등장화제, 인산나트륨, 초산나트륨 등의 완충화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스테아르산 폴리옥실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시트르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 등의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pH는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되지만, 4 ∼ 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형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형태, 즉, 건강기능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천연 탄수화물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을 포함하는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을 포함하는 디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하는 당알코올을 포함한다. 또한, 향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탐 등을 포함하는 합성 향미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형태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황반 변성증 환자 또는 황반 변성증의 위험을 갖는 대상에 투여하거나,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서는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상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이다. 바람직하게는, 황반 변성증은 노인성 황반 변성증이며, 특히는 청색광-유도 망막색소상피세포 사멸에 의한 황반 변성증이다.
본 발명의 용도, 조성물, 방법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은 A2E의 세포내 축적을 저해하여 청색광-유도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컬럼을 통해 들쭉 추출물을 분획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들쭉 추출물로부터 페놀류 화합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들쭉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역상 HPLC에 의해 분리된 화합물들의 UV 흡광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페놀류 화합물 중 EA-1의 화합물이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페놀류 화합물 중 EA-3의 화합물이 퀘르세틴-3-O-갈락토시드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페놀류 화합물 중 EA-5의 화합물이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페놀류 화합물 중 EA-6의 화합물이 미리세틴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페놀류 화합물 중 EA-10의 화합물이 퀘르세틴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청색광에 의한 ARPE-19 세포 사멸에 대한 페놀류 화합물의 예방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들쭉 추출물로부터 페놀류 화합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들쭉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역상 HPLC에 의해 분리된 화합물들의 UV 흡광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페놀류 화합물 중 EA-1의 화합물이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페놀류 화합물 중 EA-3의 화합물이 퀘르세틴-3-O-갈락토시드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페놀류 화합물 중 EA-5의 화합물이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페놀류 화합물 중 EA-6의 화합물이 미리세틴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페놀류 화합물 중 EA-10의 화합물이 퀘르세틴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청색광에 의한 ARPE-19 세포 사멸에 대한 페놀류 화합물의 예방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들쭉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들쭉 (들쭉열매 100g)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열수(90℃, 물2000mL)로 16시간 동안 두 번에 걸쳐 추출하여 10%의 들쭉 추출물을 얻었다. 수득된 추출물은 동결건조 시킨 후 사용하기까지 -80℃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들쭉
추출물로부터 페놀류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들쭉 추출물(동결 건조물) 25g을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류수에 녹이고 연속적으로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그리고 n-부탄올을 이용하여 분획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페놀류 화합물들은 다음의 방법으로 분리되었다. 상기 들쭉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을 증류수에 녹였다. 그와 별도로 두 개의 C18 Sep-Pak 카트리지를 연결하고 10 ㎖ 에틸 아세테이트, 무수 메탄올로 전조건화(precondition) 시킨 후 0.01 N 수성 HCl를 카트리지에 흘려 주었다. 증류수에 녹인 들쭉 추출물을 카트리지 안으로 로딩하고 0.01 N 수성 HCl 6 ㎖로 탄수화물/산류 및 기타 수용성 화합물들을 제거하였다. 제거된 층이 탄수화물/산 분획이었다. 카트리지의 건조를 위해 질소 가스를 연결된 C18 Sep-Pak 카트리지에 10분 동안 통과시켰다. 건조된 카트리지에 20 ㎖ 에틸 아세테이트를 흘려 test tube 안에 페놀성 화합물들을 수집하였다. 색소 분획은 0.1 %(v/v) HCl가 포함된 무수 메탄올 10 ㎖을 이용하여 다른 test tube 안에 수집하였다. 분획 내 용매는 40℃에서 농축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참고로, 색소분획과 탄수화물/산 분획은 증류수에 녹이고, 폴리페놀 분획은 50 % 수성 에탄올에 녹여 -70℃ Deer Freezer에서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페놀류 화합물들의 분획을 메탄올에 녹이고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단일 물질의 구조는 NMR과 Mass spectrometry로 분석하였다.
모든 단일 활성 성분들이 플라보노이드가 발견되는 255과 365 nm에서 흡수 파장을 나타내었고 비슷한 UV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도3). 분리된 flavonoid와 flavonoid glycoside는 aglycones에 의해 4 group으로 나뉘었다 MeOH-water 35:65를 사용한 HPLC를 이용하여 추출물에서 VU-EA-H1(16.6㎎), VU-EA-H3(19.8 ㎎), VU-EA-H5(6.5 ㎎) 그리고 VU-EA-H6(23.5 ㎎) MeOH-water 50:50을 사용한 HPLC를 이용하여 VU-EA-10(12.4 ㎎)을 분리하였다. 본 화합물들이 각각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myricetin-3-O-galactoside: VU-EA-H1), 퀘르세틴-3-O-갈락토시드(quercetin-3-O-galactoside: VU-EA-H3),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quercetin-3-O-arabinofuranoside: VU-EA-H5) 및 미리세틴(myricetin: EA-H6)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메탄올-물, (50: 50 부피/부피)를 사용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정제하여 EA-10 (12.4 mg)을 분리하여, 본 화합물이 퀘르세틴(quercein: VU-EA-H10)임을 확인하였다. (도 4 내지 8 참조)
실시예
3. A2E (N-
retinyl
-N-
retinylidene
ethanolamine
) 합성
All-trans retinal (30 mg, 105.6μmol)과 ethanolamine (2.85 mg, 46.5μmol)을 ethanol(3.0mL)에 넣고 아세트산(2.79μL, 46.5μmol)을 첨가한 후, 빛차단 덮개로 가리고 암 조건에서 3일간 합성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킨 후, 그 혼합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Ambelite® IRC-50 ion exchange)를 사용해서 정제하였다. 수지에 붙은 혼합물을 80% 메탄올 (pH 12)로 씻어준 후, A2E와 iso-A2E를 0.1% TFA(trifluoroacetic acid)가 첨가된 100% 메탄올 (pH 2) 용매를 사용하여 용출시켰다. 정제된 A2E와 iso-A2E는 회전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농축시킨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에 녹였다. TFA를 제거하기 위해 분별 깔때기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흔들어 주었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은 회전식 증류기에서 농축하였다. 그 혼합물은 다음에 사용할 때까지 -20℃도에 보관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블루라이트에
의한
ARPE
-19 세포 사멸에 대한 페놀류 화합물의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 정제된 페놀류 화합물들(myricetin-3-O-galactoside, quercetin-3-O-galatoside, quercetin-3-O-arabinofuranosie, myricetin, quercetin)의A2E에 대한 ARPE-19 세포 사멸에서 대한 예방효과에 관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안의 A2E가 전혀 없는 세포인 성인사람 RPE 세포 (ARPE-19, ATCC)를 사용하였으며, 이 세포를 10% FBS, 100 u/ml penicillin, 100 mg/mL 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의 배지를 만들어 5% CO2 의 습한 조건에서 37℃에서 배양하였다.
실험군으로, 배양된 APRE-19 세포 내 A2E 축적에 앞서 상기 페놀류 화합물 (EA-1, 3, 5, 6, 10) 20 μM을 각각 처리하고, 이어서 PBS에 20μM로 용해시킨 A2E를 3일 동안 처리하여 APRE-19 세포 내 A2E를 축적시켰다. 양성 대조군으로 상기 페놀류 화합물 대신 루테인 30μM을 A2E 축적 전에 처리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은 사전 약물 처리 없이 A2E 만을 축적시켰다. 이렇게 3일간 A2E를 축적시킨 후, 블루라이트(430 nm, 4.02 J/cm2)를 7분 동안 조사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완전한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아이스 위에서 스크래핑하여 세포를 얻었다. 세포 생존은 단백질 정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백질 정량은 Lowry 방법으로 사용하였고, 스탠다드로는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블루라이트 미조사 A2E 처리군과 대비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A2E를 처리한 ARPE-19 세포의 전체 단백질의 양이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였을 때, 약 55% 정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A2E 축적 APRE 세포에 블루라이트 조사시 생존률은 약 45% 이하로 감소하여, 블루라이트 유도-A2E 축적에 의한 세포 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A2E 축적/블루라이트조사 군: A2E/BL군).
한편, 퀘르세틴-3-O-갈락토시드(EA-3) 처리군의 경우 A2E/BL군과 대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약 7.7% 밖에 증가하지 않아 미미한 망막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반면,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EA-1), 미리세틴(EA-6), 퀘르세틴(EA-10),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EA-5)를 처리한 결과 각각25%, 26.1%, 27.7%, 39.7%의 생존능의 망막세포 보호효과를 보였다.
상기 시험 결과는 블루라이트와 A2E의 작용에 의한 망막세포의 사멸에 대하여 미리세틴과 퀘르세틴이 유효한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 것이다. 특히, 퀘르세틴 배당체라 하더라도,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는 퀘르세틴에 비하여 약 12%나 더 높은 망막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퀘르세틴-3-O-갈락토시드는 퀘르세틴에 비하여 현저히 열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같은 3-O-갈락토시드 유도체임에도,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는 미리세틴 보다 열악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미리세틴과 동등한 수준의 우수한 망막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인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 또는 퀘르세틴-3-O- 아라비노푸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페놀류 화합물은 들쭉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분획화한 후,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분리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페놀류 화합물은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시드인 약제학적 조성물.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반 변성증은 노인성 황반 변성증인 약제학적 조성물.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인 미리세틴-3-O-갈락토시드 또는 퀘르세틴-3-O- 아라비노푸라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7402A KR101484386B1 (ko) | 2013-01-23 | 2013-01-23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PCT/KR2014/000606 WO2014116013A1 (ko) | 2013-01-23 | 2014-01-22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7402A KR101484386B1 (ko) | 2013-01-23 | 2013-01-23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847A KR20140094847A (ko) | 2014-07-31 |
KR101484386B1 true KR101484386B1 (ko) | 2015-01-19 |
Family
ID=5122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07402A KR101484386B1 (ko) | 2013-01-23 | 2013-01-23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4386B1 (ko) |
WO (1) | WO201411601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1709B1 (ko) * | 2015-12-21 | 2022-12-27 | 동아제약 주식회사 |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
KR102079742B1 (ko) | 2018-07-09 | 2020-02-21 | 주식회사 레모넥스 |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CN110818553B (zh) * | 2019-10-17 | 2022-06-14 | 青海师范大学 | 一种小叶金钱草抗炎化合物及其制备方法 |
KR102286776B1 (ko) * | 2019-11-27 | 2021-08-06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퀘르세틴 3-O-a-L-아라비노퓨라노시드 또는 2―옥소포몰산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JP7392219B2 (ja) * | 2020-01-20 | 2023-12-06 | 株式会社萌芽プランツ | フラボノイド組成物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75720A1 (en) | 2002-04-03 | 2005-08-11 | Mckenzie Maureen A. | Vaccinium species compositions with novel beneficial properties |
KR20060066866A (ko) * | 2004-12-14 | 2006-06-19 |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 들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저해제 |
KR20110102246A (ko) * | 2010-03-10 | 2011-09-16 | 정수영 | 들쭉 추출물 또는 들쭉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2013
- 2013-01-23 KR KR20130007402A patent/KR1014843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1-22 WO PCT/KR2014/000606 patent/WO201411601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75720A1 (en) | 2002-04-03 | 2005-08-11 | Mckenzie Maureen A. | Vaccinium species compositions with novel beneficial properties |
KR20060066866A (ko) * | 2004-12-14 | 2006-06-19 |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 들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저해제 |
KR20110102246A (ko) * | 2010-03-10 | 2011-09-16 | 정수영 | 들쭉 추출물 또는 들쭉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A. Laabich et al. Experimental eye research, 85(1), 154-165 * |
A. Laabich et al. Experimental eye research, 85(1), 154-1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16013A1 (ko) | 2014-07-31 |
KR20140094847A (ko) | 2014-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4386B1 (ko) | 들쭉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Lee et al. |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flavonoids in mulberry (Morus sp.) cultivars | |
NO326762B1 (no) | Polyfenolfraksjoner av te, anvendelse derav, og formuleringer inneholdende slike | |
KR101382099B1 (ko) |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 |
KR102120483B1 (ko) |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1330850B1 (ko) | 들쭉 추출물 또는 들쭉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1391308B1 (ko) |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1227737B1 (ko) | 곤달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퍼옥시니트라이트 소거 활성을 갖는 조성물 | |
KR101333982B1 (ko) |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 |
KR101713526B1 (ko) |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2573994B1 (ko) |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정신장애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079742B1 (ko) |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
KR102576222B1 (ko) | 포도나무 줄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702485B1 (ko) | 우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60510B1 (ko) | 지치 추출물을 이용한 망막질환 개선용 조성물 | |
KR20240055547A (ko) | 건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40103671A (ko) | 플로로글루시놀을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 |
KR101784319B1 (ko) | 구아두아 앵거스티폴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62546B1 (ko) | 산톱풀 추출물을 이용한 망막질환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36352A (ko) |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증 치료용 조성물 | |
KR100793262B1 (ko) | 활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또는 면역기능 증진활성에 유효한 건강보조식품 | |
KR101680045B1 (ko) | 연자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KR101611980B1 (ko) | 헛개나무 씨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20240055552A (ko) | 호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29331B1 (ko) |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해독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