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377B1 -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9377B1 KR101349377B1 KR1020130111111A KR20130111111A KR101349377B1 KR 101349377 B1 KR101349377 B1 KR 101349377B1 KR 1020130111111 A KR1020130111111 A KR 1020130111111A KR 20130111111 A KR20130111111 A KR 20130111111A KR 101349377 B1 KR101349377 B1 KR 101349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ing
- staff
- coupled
- rod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척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착탈식 결합구 및 착탈식 결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척이 지상기준점과 각 지점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척수직유지용 착탈식 착지대를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에서 표척수직유지용 착탈식 착지대에 표척을 결합하여 세우는 것만으로써 표척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며, 표척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표척수직유지용 착탈식 착지대를 들어 올렸다가 다시 착지시키거나 표척을 표척수직유지용 착탈식 착지대로부터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하지 않고, 표척을 표척수직유지용 착탈식 착지대에 결합하여 세운 상태에서 그대로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어 표척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에 사용하는 표척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지측량용 표척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표척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설치된 표척을 들어올렸다가 다시 설치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표척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9 는 표척(1)과 레벨기(3)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1 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로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제 2 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 3 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이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 4 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레벨기(3)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측량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표척을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표척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눈금막대(1a, 1b)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표척의 수직 설치는 표척수의 경험에 의존하거나 기계수가 표척을 관측하면서 표척수에게 보내는 신호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표척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계수가 측량기기로 표척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좌우방향 수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전후방향 수직 여부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표척을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모두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으로 세우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척을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등 전방향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표척은 상기 제3 단계에서 표척수가 표척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표척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한 다음 다시 표척을 원래의 자리에 내려놓아야 하는데 이때 표척수가 표척을 원래의 자리에 정확하게 내려놓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척수가 표척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표척의 지점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척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척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설치된 표척을 들어올렸다가 다시 설치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표척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된 하부척대와 새겨진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된 상부척대를 구비하여 상부척대가 하부척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표척과, 상기 하부척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착탈식 결합구 및 상기 착탈식 결합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척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 결합구는 상기 하부척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하면에 결합되어 중심부에 횡단면이 원형인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는 중앙지지대와 상기 중앙지지대의 외주면에서 등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착지봉 승강안내공이 구비된 착지베이스와, 상기 착지봉 승강안내공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 안내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키홈과 하단에 형성된 착지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착지봉과, 상기 지지암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지지암의 선단부 상면에 장착되며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로 이루어지는 감속기 하우징과 상기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입력기어와 상기 착지봉 승강안내공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착지봉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을 가지는 출력기어와 상기 입력기어에 맞물리는 중간기어와 상기 중간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되어 상기 출력기어에 맞물리는 중간기어가 구비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착지봉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의 내주면에 상기 키홈에 대응하는 키홈과 상기 키홈 사이에 끼워지는 키가 구비된 착지봉 안내구와, 상기 착지베이스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홀더와, 상기 착지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지지암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면에 센서볼 안내홈이 형성된 센서볼 안내편과 상기 센서볼 안내홈에 삽입되는 센서볼과 상기 센서볼 안내편의 바깥쪽 단부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볼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감지수단과,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면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의 결합홀에 삽입되며 횡단면이 원형인 표척결합봉이 구비된 표척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의하면,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를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에서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에 표척을 결합하여 세우는 것만으로써 표척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의하면, 표척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를 들어올렸다가 다시 착지시키거나 표척을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로부터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하지 않고, 표척을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에 결합하여 세운 상태에서 그대로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어 표척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상면 방향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2는 저면 방향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3은 상면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저면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부분 종단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표척을 지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종단 정면도,
도 9는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종래 표척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상면 방향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2는 저면 방향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3은 상면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저면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부분 종단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표척을 지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종단 정면도,
도 9는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종래 표척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척(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척대(11)와 상부척대(1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척대(11)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척대(13)보다 굵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척대(11)와 상부척대(13)에는 기계수가 레벨기로 읽을 수 있도록 눈금(12, 14)이 새겨져 있다.
상기 하부척대(11)는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부척대(13)는 전면이 모두 폐쇄된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부척대(13)가 하부척대(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는 상기 하부척대(11)의 하단에 결합되는 착탈식 결합구(20)와, 상기 착탈식 결합구(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척(10)이 지상기준점과 각 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식 결합구(20)는 상기 하부척대(11)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편(21)과 상기 결합편(21)의 하면에 결합되어 중심부에 횡단면이 원형인 결합홀(23)이 형성된 결합링(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탈식 결합구(20)는 상기 결합편(21)을 관통하는 스크루(24)를 하부척대(11)의 하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표척(1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는 중앙지지대(111)와 상기 중앙지지대(111)의 외주면에서 등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지지암(112)과 상기 지지암(112)의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착지봉 승강안내공(113)이 구비된 착지베이스(110)와 상기 착지봉 승강안내공(113)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 안내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21)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키홈(122)과 하단에 형성된 착지부(123)가 구비된 복수개의 착지봉(120)과 상기 지지암(112)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는 구동모터(130)와 상기 지지암(112)의 선단부 상면에 장착되며 하우징 본체(142)와 하우징 커버(143)로 이루어지는 감속기 하우징(141)과 상기 감속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입력기어(144)와 상기 착지봉 승강안내공(113)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착지봉(120)의 수나사부(121)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148)을 가지는 출력기어(147)와 상기 입력기어(144)에 맞물리는 중간기어(145)와 상기 중간기어(145)와 동축으로 고정되어 상기 출력기어(147)에 맞물리는 중간기어(146)가 구비된 감속기(140)와 상기 감속기(14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착지봉(120)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공(151)과 상기 안내공(151)의 내주면에 상기 키홈(122)에 대응하는 키홈(152)과 상기 키홈(122, 152) 사이에 끼워지는 키(153)가 구비된 착지봉 안내구(150)와 상기 착지베이스(11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가 수납되는 배터리홀더(160)와 상기 착지베이스(110)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70)와 상기 지지암(112)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면에 센서볼 안내홈(182)이 형성된 센서볼 안내편(181)과 상기 센서볼 안내홈(182)에 삽입되는 센서볼(183)과 상기 센서볼 안내편(181)의 바깥쪽 단부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볼(183)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84)가 구비된 감지수단(180)과 상기 중앙지지대(111)의 상면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20)의 결합홀(23)에 삽입되며 횡단면이 원형인 표척결합봉(191)이 구비된 표척마운트(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지베이스(110)를 구성하는 중앙지지대(111)와 지지암(112)은 비자성(非磁性) 금속재질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착지베이스(110)를 자성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감지수단(180)을 구성하는 센서(184)가 센서볼(183)을 감지하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감속기(140)의 하우징 커버(143) 상에 장착하는 것으로 스크루 또는 볼트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모터의 장착 방식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142)와 하우징 커버(143)에는 상기 착지봉(120)이 관통하는 착지봉 관통공(142a, 143a)이 형성된다.
상기 감속기(140)는 착지베이스(110)의 지지암(112)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스크루 또는 볼트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고정 방식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42)와 하우징 커버(143)는 스크루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식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착지봉 안내구(150)는 상기 감속기 하우징(141)의 하우징 커버(143)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스크루를 이용한 고정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홀더(160)는 통상적인 배터리홀더와 마찬가지로 +단자(162)와 -단자(163)를 가지는 배터리수납부(161)와, 상기 배터리수납부(161)를 복개하는 덮개판(16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배터리수납부(161)를 밑에서 위로 관통하여 착지베이스(110)의 중앙지지대(111)의 하면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65)에 의하여 중앙지지대(11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170)는 스위치 본체(171)와 상기 스위치 본체(171)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고정편(172) 및 스위치 놉(173)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30)와 배터리홀더(160)와 감지수단(180)의 센서(18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착지베이스(110)의 중앙지지대(111) 또는 지지암(112)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전원스위치(170)의 고정편(172)을 위에서 밑으로 관통하는 스크루(174)를 중앙지지대(111) 또는 지지암(11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착지베이스(11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180)의 센서볼 안내편(181)은 센서(184)의 감지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자성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볼(183)은 영구자석으로 하고 센서(184)는 영구자석에 대응하는 자성제로 된 단자를 가지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180)의 센서볼 안내편(181)은 스크루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고정 방식에 의하여 지지암(112)의 하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표척마운트(190)는 표척결합봉(191)의 하단에서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플랜지부(192)를 위에서 밑으로 관통하는 스크루(193)를 중앙지지대(111)의 상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착지베이스(1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표척수가 표척(10)의 하단에 결합된 착탈식 결합구(20)와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의 표척마운트(190)를 분리하여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의 착지봉(120)의 하단을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의 지면에 착지시키고,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에 표척(10)을 결합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기계수가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표척(10)의 눈금(12, 14)을 읽어 측지측량하는 데에 사용하게 된다.
상기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를 지면에 착지함에 있어서는 상기 전원스위치(170)의 스위치 놉(173)을 오프 위치로 조작하여 배터리(B)의 전원을 오프로 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착지봉(120)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지면이 경사진 경우에는 착지봉(120)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착지베이스(110)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며 표척마운트(190)의 표척결합봉(191)이 수직을 이루지 못한 상태로 된다(도 6 참조).
또한, 이때 감지수단(180)을 구성하는 센서볼 안내편(181)도 착지베이스(110)의 지지암(112)과 동일한 경사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볼 안내편(181)의 센서볼 안내홈(182)에 삽입되어 있는 센서볼(183)은 센서볼 안내편(181)의 경사 각도에 따라 낮은 위치로 굴러 내려가게 된다(도 6 참조).
이 상태에서 전원스위치(170)의 스위치 놉(173)을 온 위치로 조작하여 배터리(B)의 전원을 온으로 하면, 낮은 위치로 굴러 내려간 센서볼(183)에 대응하는 센서(184)가 센서볼(183)을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구동모터(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축(131)이 회전하게 되고, 모터축(131)에 고정된 입력기어(144)가 회전하며 입력기어(144)에 맞물려 있는 중간기어(145)와 중간기어(145)에 동축으로 고정된 중간기어(146)가 회전하게 되며 중간기어(146)에 맞물려 있는 출력기어(147)가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기어비에 의하여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출력기어(147)에 구비된 나사공(148)에 착지봉(120)의 수나사부(121)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공(148)과 수나사부(121)의 나사 작용에 의하여 착지봉(120)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착지봉(120)은 착지봉 안내구(150)의 안내공(151)에 삽입 안내됨과 아울러 착지봉(120)에 구비된 키홈(122)과 착지봉 안내구(150)의 안내공(151)의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152)에는 키(153)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착지봉(120)은 회전하지 않고 하강하게 된다.
착지봉(120)이 하강함에 따라 낮은 쪽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암(112)과 센서볼 안내편(181)의 바깥쪽 단부가 들려 올라가게 되고, 결과적으로 착지베이스(110)와 센서볼 안내편(181)이 수평을 이루게 되며, 착지봉(120)과 표척결합봉(191)이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센서볼(183)이 센서볼 안내홈(182)의 중간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센서(184)는 센서볼(183)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므로 구동모터(130)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구동모터(130)가 정지하게 되어 착지봉(120)의 하강이 멈추게 된다(도 7 참조).
일단 구동모터(130)가 정지하게 되면, 전원스위치(170)를 오프로 할 수 있으나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착지베이스(110)가 경사지게 되거나 착지봉(120)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술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스위치(170)는 온으로 유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표척결합봉(191)에 표척(10)의 하단에 결합된 착탈식 결합구(20)의 결합홀(23)을 끼우면, 표척(10)이 자동적으로 수직을 이루게 된다(도 8 참조).
따라서 표척(10)을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측지측량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착탈식 결합구(20)의 결합홀(23)과 표척마운트(190)의 표척결합봉(191)이 원형 횡단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척(10)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표척(10)에 결합된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 전체를 들어올렸다가 다시 착지시켜 설치하지 않고, 표척결합봉(191)과 결합홀(23)을 중심으로 하여 표척(10)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신속 간편하면서도 위치 변동 없이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표척 11 : 하부척대
13 : 상부척대 20 : 착탈식 결합구
23 : 결합홀 100 :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
110 : 착지베이스 120 : 착지봉
130 : 구동모터 140 : 감속기
148 : 나사공 150 : 착지봉 안내구
160 : 배터리 홀더 170 : 전원스위치
180 : 감지센서 190 : 표척마운트
191 : 표척결합봉
13 : 상부척대 20 : 착탈식 결합구
23 : 결합홀 100 :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
110 : 착지베이스 120 : 착지봉
130 : 구동모터 140 : 감속기
148 : 나사공 150 : 착지봉 안내구
160 : 배터리 홀더 170 : 전원스위치
180 : 감지센서 190 : 표척마운트
191 : 표척결합봉
Claims (1)
-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12)이 표시된 하부척대(11)와 새겨진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14)이 표시된 상부척대(13)를 구비하여 상부척대가 하부척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표척(10)과
상기 하부척대(11)의 하단에 결합되는 착탈식 결합구(20) 및
상기 착탈식 결합구(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척(10)이 지상기준점과 각 지점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를 포함하되,
상기 착탈식 결합구(20)는 상기 하부척대(11)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편(21)과 상기 결합편(21)의 하면에 결합되어 중심부에 횡단면이 원형인 결합홀(23)이 형성된 결합링(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척수직유지용 착지대(100)는
중앙지지대(111)와 상기 중앙지지대(111)의 외주면에서 등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지지암(112)과 상기 지지암(112)의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착지봉 승강안내공(113)이 구비된 착지베이스(110)와
상기 착지봉 승강안내공(113)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 안내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21)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키홈(122)과 하단에 형성된 착지부(123)가 구비된 복수개의 착지봉(120)과
상기 지지암(112)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는 구동모터(130)와
상기 지지암(112)의 선단부 상면에 장착되며 하우징 본체(142)와 하우징 커버(143)로 이루어지는 감속기 하우징(141)과 상기 감속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입력기어(144)와 상기 착지봉 승강안내공(113)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착지봉(120)의 수나사부(121)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148)을 가지는 출력기어(147)와 상기 입력기어(144)에 맞물리는 중간기어(145)와 상기 중간기어(145)와 동축으로 고정되어 상기 출력기어(147)에 맞물리는 중간기어(146)가 구비된 감속기(140)와
상기 감속기(14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착지봉(120)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공(151)과 상기 안내공(151)의 내주면에 상기 키홈(122)에 대응하는 키홈(152)과 상기 키홈(122, 152) 사이에 끼워지는 키(153)가 구비된 착지봉 안내구(150)와
상기 착지베이스(11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가 수납되는 배터리홀더(160)와
상기 착지베이스(110)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70)와
상기 지지암(112)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면에 센서볼 안내홈(182)이 형성된 센서볼 안내편(181)과 상기 센서볼 안내홈(182)에 삽입되는 센서볼(183)과 상기 센서볼 안내편(181)의 바깥쪽 단부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볼(183)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84)가 구비된 감지수단(180)과
상기 중앙지지대(111)의 상면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20)의 결합홀(23)에 삽입되며 횡단면이 원형인 표척결합봉(191)이 구비된 표척마운트(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111A KR101349377B1 (ko) | 2013-09-16 | 2013-09-16 |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111A KR101349377B1 (ko) | 2013-09-16 | 2013-09-16 |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9377B1 true KR101349377B1 (ko) | 2014-01-13 |
Family
ID=5014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1111A KR101349377B1 (ko) | 2013-09-16 | 2013-09-16 |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9377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8069B1 (ko) | 2017-09-13 | 2018-02-09 |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량용 표척 |
KR20180137232A (ko) * | 2017-06-16 | 2018-12-27 |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 |
KR101949233B1 (ko) * | 2018-11-29 | 2019-02-18 | 네이버시스템(주) | 측지측량용 표척의 수직 유지 및 충격 보호 장치 |
KR102081917B1 (ko) | 2019-09-09 | 2020-02-26 | 이완복 |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
KR102081915B1 (ko) | 2019-09-09 | 2020-02-26 | 이완복 | 표척의 정밀 측정을 위한 측지측량방법 |
KR102183144B1 (ko) * | 2020-06-24 | 2020-11-26 |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
KR102319250B1 (ko) | 2021-06-03 | 2021-11-01 |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 수준측량용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
KR102345068B1 (ko) | 2021-05-18 | 2021-12-31 | (주)미도지리정보 | 측지측량용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
KR102721474B1 (ko) | 2024-03-19 | 2024-10-24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3942B1 (ko) | 2010-01-28 | 2011-10-18 | (주)해양정보기술 | 수준 측량용 표척 |
KR101208592B1 (ko) | 2012-01-27 | 2012-12-06 | 한국아이엔지 주식회사 | 수준 측량용 스타프 하부고정장치 |
KR101227188B1 (ko) | 2012-08-07 | 2013-01-28 |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
KR101233719B1 (ko) | 2012-06-29 | 2013-02-18 |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
-
2013
- 2013-09-16 KR KR1020130111111A patent/KR1013493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3942B1 (ko) | 2010-01-28 | 2011-10-18 | (주)해양정보기술 | 수준 측량용 표척 |
KR101208592B1 (ko) | 2012-01-27 | 2012-12-06 | 한국아이엔지 주식회사 | 수준 측량용 스타프 하부고정장치 |
KR101233719B1 (ko) | 2012-06-29 | 2013-02-18 |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
KR101227188B1 (ko) | 2012-08-07 | 2013-01-28 |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7232A (ko) * | 2017-06-16 | 2018-12-27 |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 |
KR101956890B1 (ko) * | 2017-06-16 | 2019-03-11 |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 |
KR101828069B1 (ko) | 2017-09-13 | 2018-02-09 |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량용 표척 |
KR101949233B1 (ko) * | 2018-11-29 | 2019-02-18 | 네이버시스템(주) | 측지측량용 표척의 수직 유지 및 충격 보호 장치 |
KR102081917B1 (ko) | 2019-09-09 | 2020-02-26 | 이완복 |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
KR102081915B1 (ko) | 2019-09-09 | 2020-02-26 | 이완복 | 표척의 정밀 측정을 위한 측지측량방법 |
KR102183144B1 (ko) * | 2020-06-24 | 2020-11-26 |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
KR102345068B1 (ko) | 2021-05-18 | 2021-12-31 | (주)미도지리정보 | 측지측량용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
KR102319250B1 (ko) | 2021-06-03 | 2021-11-01 |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 수준측량용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
KR102721474B1 (ko) | 2024-03-19 | 2024-10-24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9377B1 (ko) |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 |
KR101349652B1 (ko) |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 |
KR102130436B1 (ko) | 측량용 표척 충격 보호 시스템 | |
CN109373972B (zh) | 一种桩身垂直度检测装置 | |
CN106959450B (zh) | 勘测杆 | |
KR101223176B1 (ko) | 경사지의 수준측량 시스템 | |
KR101967712B1 (ko) | 지하시설물 정밀 측량 장치 | |
CN205919780U (zh) | 轴精度测定装置 | |
CN109357592A (zh) | 人工挖孔桩桩径及垂直度检测装置 | |
KR101791955B1 (ko) | 측량정보의 오차발생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준 측지측량 장치 | |
KR101586755B1 (ko) |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측량 장치 | |
CN207675783U (zh) | 一种隧道风速测量装置 | |
KR100911901B1 (ko) | 송전선로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 |
KR101358458B1 (ko) |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 |
KR101896984B1 (ko) | 지표면 지형지물의 기준점 위치 확인과 지형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 |
KR101830955B1 (ko) | 지하시설물의 gis데이터 구축을 위한 정밀측량장치 | |
KR101403476B1 (ko) |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 |
CN201217936Y (zh) | 抹灰机调直线装置的信号发生结构 | |
CN103292826A (zh) | 自动正交检测仪 | |
KR102280157B1 (ko) |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 |
CN206113922U (zh) | 一种自动垂直激光测高水准尺 | |
KR101949725B1 (ko) |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 |
CN112834727B (zh) | 地表环境监测仪 | |
CN212060310U (zh) | 一种水运工程测量用流速仪 | |
KR101566685B1 (ko) | 레이저빔 포인팅 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