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1474B1 -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1474B1
KR102721474B1 KR1020240037611A KR20240037611A KR102721474B1 KR 102721474 B1 KR102721474 B1 KR 102721474B1 KR 1020240037611 A KR1020240037611 A KR 1020240037611A KR 20240037611 A KR20240037611 A KR 20240037611A KR 102721474 B1 KR102721474 B1 KR 10272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leaning
vertical
uni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혁
한형섭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24003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1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납인출부 및 수납인출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인출부로부터 인출 가능한 표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표척을 쉽게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표척을 보호할 수 있는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GEODETIC SURVEYING DEVICE FOR HOLDING UPRIGHT OF STAFF}
본 발명은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매우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표척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1)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의 방향을 전환하여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통해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1)이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때, 표척이 세워지는 기준점(a0)이나 제1, 제2지점(a1, a2)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가 거치되는 제1, 제2관측점(b1, b2)의 표고차에 따라 표척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바, 종래의 표척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개의 척대(1a, 2b)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러나 종래의 표척은 측지측량 과정에서 표척수가 지면에 세우고 있는 표척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경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레벨기에 의하여 표척의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표척이 흔들리게 되어 표척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척을 쉽게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척을 보호할 수 있는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납인출부; 및 수납인출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인출부로부터 인출 가능한 표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표척부는, 눈금이 새져지고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측단위막대; 전면이 모두 폐쇄된 사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상측단위막대; 및 하측단위막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납인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단위막대; 를 포함하고, 상측단위막대는 하측단위막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수납인출수단은,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를 클리닝하는 수납클리닝부; 수납하우징에 마련되어 수납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에어를 수납클리닝부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부;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클리닝부를 표척부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를 지지하는 표척지지부; 및 표척부의 하부와 수납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표척부를 연직 상태로 유지하는 연직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수납클리닝부는, 수납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에 이동되게 마련되어 수납하우징에 형성된 홀부재를 막을 수 있는 클리닝바디; 클리닝바디의 클리닝공간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클리닝바디에 마련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클리닝탱크; 및 클리닝바디에 마련되어 클리닝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클리닝펌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에어공급부는, 클리닝공간부에 연통되도록 클리닝바디에 마련되는 클리닝에어홀; 및 일측부는 수납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에어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클리닝에어홀에 결합되어 수납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에어를 클리닝에어홀로 공급하는 에어라인;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표척지지모듈부는 클리닝바디와 연결대로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시 클리닝바디와 같이 이동되고, 표척부는 표척지지부의 지지바디와 홀부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납인출부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표척부가 수납인출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표척지지부와 클리닝바디는 같이 이동되어 클리닝바디가 홀부재를 막고, 이 후 표척부가 클리닝공간부에 수용되어 표척부를 클리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에서 상기 연직모듈부는, 표척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직반원부; 수납하우징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연직반원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연직안착홈이 형성된 연직베이스; 일단은 연직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직반원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한 쌍의 연직조절부; 수납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연직탄성부; 및 연직탄성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연직반원부에 접촉될 수 있는 연직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표척을 손쉽게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표척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표척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인출부로부터 표척부가 인출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인출부에 표척부가 수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부에 표척부가 건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200), 기초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납인출부(300) 및 수납인출부(3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인출부(300)로부터 인출 가능한 표척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척부(100)는 슬라이드 신축방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2 개 이상 복수 개의 단위막대(110, 120, 130)를 포함한다.
상기 2 개 이상 복수 개의 단위막대(110, 120, 130)는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단위막대(120)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단위막대(130) 보다 굵게 형성된다. 베이스단위막대(110)는 하측단위막대(120) 보다 굵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측의 단위막대(120)와 상측의 단위막대(130)는 각각 필요에 의하여 2 개 이상의 다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단위막대(130) 및 하측단위막대(120)에는 기계수가 레벨기로 읽을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다.
상기 하측단위막대(120)는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사각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상측단위막대(130)는 전면이 모두 폐쇄된 사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측단위막대(130)가 하측단위막대(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하측단위막대(120)와 상측단위막대(13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표척수가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의 지면에 측지측량장치를 세운 상태에서 기계수가 레벨기를 이용하여 단위막대(120, 130)의 눈금을 읽어 측지측량하는 데에 사용하게 된다.
상기 하측단위막대(120)의 하부에는 베이스단위막대(110)가 결합되어 하측단위막대(120)가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단위막대(110)는 수납인출부(3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베이스단위막대(110)의 하부에는 후술되는 연직유지부(400)가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인출부로부터 표척부가 인출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인출부에 표척부가 수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부에 표척부가 건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인출부(300)는, 수납하우징(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표척부(100)를 클리닝하는 수납클리닝부(320), 수납하우징(310)에 마련되어 수납하우징(310)의 외부에 있는 에어를 수납클리닝부(320)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부(330), 수납하우징(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클리닝부(320)를 표척부(10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40), 수납하우징(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표척부(100)를 지지하는 표척지지부(350) 및 표척부(100)의 하부와 수납하우징(31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표척부(100)를 연직 상태로 유지하는 연직유지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수납하우징(310)은 기초대(200)의 상면부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납하우징(310)은, 티타늄 2.4∼2.7 중량%, 마그네슘 2.3∼2.9 중량%, 규소 1.3∼1.7 중량%, 크롬 0.8∼1.4 중량%, 철 0.7∼1.1 중량%, 스트론튬 0.2∼0.5 중량% 구리 0.8∼1.5중량%, 망간 1.7∼2.6 중량%, 아연 0.9 ∼1.6 중량%, 지르코늄 02.~0.3 중량% 및 잔부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조성물을 이루는 티타늄, 마그네슘, 규소, 크롬, 철, 스트론튬, 구리, 망간, 아연, 지르코늄의 혼합 비율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소재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고강도를 가지며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고, 소재의 물리적 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10년 이상 경과하여도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수납하우징(310)을 형성하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해 진다.
본 실시 예에서 수납하우징(310)의 상면부에는 홀부재(311)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홀부재(311)는 표척부(100)의 측량 작업 수행 시에는 표척부(100)의 승강 통로로 제공되고, 측량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수납클리닝부(320)의 클리닝바디(321)에 의해 막혀져 홀부재(311)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납하우징(310)의 측벽에는 하우징에어홀(312)이 마련되고, 하우징에어홀(312)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에어공급부(330)를 통해 수납클리닝부(320)에 마련된 클리닝공간부(322)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리닝공간부(322)로 공급된 에어는 액체로 클리닝된 표척부(100)를 건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에어홀(312)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에어펌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유입되거나, 또는 외부의 에어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수납클리닝부(320)는 수납하우징(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표척부(100)를 액체로 클리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납클리닝부(320)는, 수납하우징(310)의 내측 상면부에 마련되며 하부에 개방된 클리닝공간부(322)가 마련된 클리닝바디(321)와, 클리닝공간부(322)에 마련되어 표척부(100)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26)과, 클리닝바디(321)에 마련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클리닝탱크(324)와, 클리닝바디(321)에 마련되어 클리닝탱크(324)에 저장된 액체를 분사노즐(326)로 공급하는 클리닝펌프(3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체는, 플루오레세인의 이나트륨염(disodium salt), 테트라브로모플루오레세인(Tetrabromofluorescein)의 이나트륨염 또는 그 혼합물인 화합물과, 폴록사머류, 폴리소르베이트류,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그 혼합물인 계면활성제와, 소르비톨, 폴리쿼터늄,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그 혼합물인 중점제와, 이산화티탄, 경질무수규산 또는 지르코늄 중에서 선택되는 연마제를 포함하는 세척액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액 조성물을 이용하면, 상기 플루오레세인계 화합물이 연마제 등의 불용성 입자에 의해 현탁화되는 세척액을 안정화시켜 층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 정도를 가시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과도하고 불필요한 세척에 의한 손상의 문제없이 세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클리닝바디(3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하우징(310)의 내측 상면부에 이동되게 마련되어 표척부(100)의 측량 작업 미수행 시 홀부재(311)를 막아 홀부재(311)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리닝공간부(322)가 마련된 클리닝바디(321)의 내벽에는 지지블록(323)이 마련되어 클리닝이 완료된 표척부(100)의 상부는 클리닝공간부(322)에 마련된 지지블록(323)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표척부(100)의 건조가 완료된 후에도 표척부(100)는 지지블록(323)에 지지되므로 표척부(10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330)는 별도의 동력 없이 수납하우징(310)의 외부에 있는 에어를 클리닝공간부(322)로 공급하여 표척부(100)를 건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공급부(330)는 클리닝공간부(322)에 연통되도록 클리닝바디(321)에 마련되는 클리닝에어홀(331)과, 일측부는 하우징에어홀(31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클리닝에어홀(331)에 결합되어 수납하우징(310)의 외부에 있는 에어를 클리닝에어홀(331)로 공급하는 에어라인(33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라인(332)은 주름지게 마련되어 신축될 수 있으므로 클리닝바디(321)가 이동되어도 외부의 에어를 안정적으로 클리닝공간부(32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표척지지부(350)는 표척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표척부(100)의 상부가 내부로 관통하는 지지바디(351)와, 지지바디(351)의 상부에 마련되어 지지바디(351)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35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표척지지부(350)는 클리닝바디(321)와 연결대(360)로 연결되어 구동부(340)의 구동시 클리닝바디(321)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표척부(100)가 측량 작업을 수행할 시 표척부(100)는 지지바디(351)와 홀부재(3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이때 표척부(100)의 하부는 지지바디(35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측량 작업이 완료되면, 표척부(100)의 길이가 최소화되고 구동부(340)의 구동에 의해 표척지지부(350)와 클리닝바디(321)는 같이 이동되어 클리닝바디(321)가 홀부재(311)를 막고, 이 후, 표척부(100)가 클리닝공간부(322)로 삽입되어 표척부(100)를 클리닝한다. 이때 표척부(100)는 지지블록(323)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클리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리닝이 완료된 표척부(100)의 상부는 클리닝공간부(322)에 마련된 지지블록(323)에 지지된 상태에서 에어공급부(330)에 의해 무동력으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가 완료된 후에 표척부(100)의 상부는 지지블록(323)에 의해 지지되어 흔들림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직유지부(400)는 연직반원부(410), 연직베이스(420), 한 쌍의 연직조절부(430), 한 쌍의 연직탄성부(440) 및 연직접촉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직유지부(400)는 표척부(100)를 연직 상태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연직반원부(410)는 표척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연직반원부(410)가 표척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직반원부(410)가 좌우로 기울기를 바꾸면 표척부(100)도 좌우로 조금씩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직베이스(420)는 수납하우징(31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연직베이스(420)의 상부면에는 반원 형태의 연직안착홈(421)이 형성되며, 연직안착홈(421)에 연직반원부(410)가 안착된다. 연직안착홈(421)의 상부면에는 자성을 띄는 안착자석부(422)가 결합되며, 연직반원부(41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안착자석부(422)에 의해 연직반원부(410)는 수월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직조절부(430)의 일단은 일단은 연직베이스(4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직반원부(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 쌍의 연직조절부(43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연직조절부(4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연직반원부(410)가 연직안착홈(421) 상에서 좌우로 기울기를 바꾸며 스윙될 수 있다.
상기 연직탄성부(440)는 수납하우징(310)의 내측 벽면에 결합된다. 연직탄성부(440)의 단부에는 연직접촉부(450)가 결합되며, 연직접촉부(450)는 연직탄성부(440)의 탄성력에 의해 연직반원부(410)의 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연직접촉부(450)의 내측면에는 자성을 띄는 접촉자석부(451)가 결합된다. 연직접촉부(450)의 접촉자석부(451)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연직반원부(410)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연직반원부(410)는 좌우 측면이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도 어느 정도 완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표척부 110 : 베이스단위막대 120 : 하측단위막대
130 : 상측단위막대 200 : 기초대 300 : 수납인출부
310 : 수납하우징 311 : 홀부재 312 : 하우징에어홀
320 : 수납클리닝부 321 : 클리닝바디 322 : 클리닝공간부
323 : 지지블록 324 : 클리닝탱크 325 : 클리닝펌프
326 : 분사노즐 330 : 에어공급부 331 : 클리닝에어홀
332 : 에어라인 340 : 구동부 350 : 표척지지부
351 : 지지바디 352 : 지지플랜지 360 : 연결대
400 : 연직유지부 410 : 연직반원부 420 : 연직베이스
421 : 연직안착홈 422 : 안착자석부 430 : 연직조절부
440 : 연직탄성부 450 : 연직접촉부 451 : 접촉자석부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납인출부; 및 수납인출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인출부로부터 인출 가능한 표척부; 를 포함하되,
    상기 표척부는,
    눈금이 새져지고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측단위막대; 전면이 모두 폐쇄된 사각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상측단위막대; 및 하측단위막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납인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단위막대; 를 포함하고,
    상측단위막대는 하측단위막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수납인출부는,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를 클리닝하는 수납클리닝부; 수납하우징에 마련되어 수납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에어를 수납클리닝부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부;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클리닝부를 표척부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수납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를 지지하는 표척지지부; 및 표척부의 하부와 수납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표척부를 연직 상태로 유지하는 연직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클리닝부는,
    수납하우징의 내측 상부면에 이동되게 마련되어 수납하우징에 형성된 홀부재를 막을 수 있는 클리닝바디; 클리닝바디의 클리닝공간부에 마련되어 표척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클리닝바디에 마련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클리닝탱크; 및 클리닝바디에 마련되어 클리닝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클리닝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공급부는,
    클리닝공간부에 연통되도록 클리닝바디에 마련되는 클리닝에어홀; 및 일측부는 수납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에어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클리닝에어홀에 결합되어 수납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에어를 클리닝에어홀로 공급하는 에어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표척지지부는 클리닝바디와 연결대로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시 클리닝바디와 같이 이동되고, 표척부는 표척지지부의 지지바디와 홀부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납인출부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표척부가 수납인출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표척지지부와 클리닝바디는 같이 이동되어 클리닝바디가 홀부재를 막고, 이 후 표척부가 클리닝공간부에 수용되어 표척부를 클리닝하며,
    상기 연직유지부는,
    표척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직반원부; 수납하우징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연직반원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연직안착홈이 형성된 연직베이스; 일단은 연직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직반원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한 쌍의 연직조절부; 수납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연직탄성부; 및 연직탄성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연직반원부에 접촉될 수 있는 연직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0240037611A 2024-03-19 2024-03-19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72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7611A KR102721474B1 (ko) 2024-03-19 2024-03-19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7611A KR102721474B1 (ko) 2024-03-19 2024-03-19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1474B1 true KR102721474B1 (ko) 2024-10-24

Family

ID=932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7611A KR102721474B1 (ko) 2024-03-19 2024-03-19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14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52B1 (ko) 2013-08-29 2014-01-09 삼부기술 주식회사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349377B1 (ko) 2013-09-16 2014-01-13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304553B1 (ko) 2021-05-28 2021-09-27 한국공간정보(주) 수준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높이 조절을 위한 측지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52B1 (ko) 2013-08-29 2014-01-09 삼부기술 주식회사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349377B1 (ko) 2013-09-16 2014-01-13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304553B1 (ko) 2021-05-28 2021-09-27 한국공간정보(주) 수준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높이 조절을 위한 측지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9994B2 (ja) 構真柱の鉛直精度管理方法
KR102721474B1 (ko) 수직 유지가 가능한 측지측량용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CN105588551B (zh) 测定建筑物垂直度的360°旋转棱镜及其使用方法
KR10272147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지측량 표척을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CN110617757A (zh) 一种大板梁挠度测量装置及挠度测量方法
CN219869731U (zh) 一种墙体垂直度检测装置
CN210862633U (zh) 一种用于三角高程导线测量装置
JP2004317406A (ja) 光波測定器用受光治具
CN206113922U (zh) 一种自动垂直激光测高水准尺
CN206829669U (zh) 一种模板架的托撑
CN216448887U (zh) 一种简易远距离垂直度效验铅锤装置
CN210346663U (zh) 一种便携式水准仪
CN109440809A (zh) 一种钢结构施工用预埋螺栓防护装置
CN210460637U (zh) 一种用于竖井定向的可旋转可下投的垂准仪支架
KR101949725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CN209066818U (zh) 用于墙面灰饼制作的辅助靠尺组件
CN220772219U (zh) 垂直度检测工具
CN218268370U (zh) 一种测量支架
CN217424392U (zh) 一种装配式建筑钢结构安装用垂直度校准装置
GB2226592A (en) Builder's profiling tool
CN219495201U (zh) 一种精装修用的激光定位装置
CN221442155U (zh) 一种格构柱限位装置
CN214621211U (zh) 一种工程监理用垂直度检测装置
CN220270367U (zh) 一种地铁隧道洞口直径支撑测量装置
KR102670685B1 (ko) 우천시 측지측량용 장비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