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450B1 - 다층 블로우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블로우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3450B1 KR101333450B1 KR1020127021432A KR20127021432A KR101333450B1 KR 101333450 B1 KR101333450 B1 KR 101333450B1 KR 1020127021432 A KR1020127021432 A KR 1020127021432A KR 20127021432 A KR20127021432 A KR 20127021432A KR 101333450 B1 KR101333450 B1 KR 1013334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thylene
- olefin
- propylene
- alpha
- measur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0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6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2667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29920005606 polyprop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1 aromatic phosphat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03 injection stretch blow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2
- LIKMAJRDDDTEIG-UHFFFAOYSA-N 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IKMAJRDDDTE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KWKAKUADMBZCLK-UHFFFAOYSA-N 1-oc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KWKAKUADMBZC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644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2968 metallocene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150000001451 organic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IUVCFHHAEHNCFT-INIZCTEOSA-N 2-[(1s)-1-[4-amino-3-(3-fluoro-4-propan-2-yloxyphenyl)pyrazolo[3,4-d]pyrimidin-1-yl]ethyl]-6-fluoro-3-(3-fluorophenyl)chromen-4-one Chemical compound C1=C(F)C(OC(C)C)=CC=C1C(C1=C(N)N=CN=C11)=NN1[C@@H](C)C1=C(C=2C=C(F)C=CC=2)C(=O)C2=CC(F)=CC=C2O1 IUVCFHHAEHNCFT-INIZCTEO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954 Ziegler–Natta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YHQXBTXEYZIYOV-UHFFFAOYSA-N 3-methylbut-1-ene Chemical compound CC(C)C=C YHQXBTXEYZIY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WSSSPWUEQFSQQG-UHFFFAOYSA-N 4-methyl-1-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C WSSSPWUEQFSQ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6132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993 di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TVMXDCGIABBOFY-UHFFFAOYSA-N n-Octanol Natural products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PBKONEOXTCPAFI-UHFFFAOYSA-N 1,2,4-tri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l)C(Cl)=C1 PBKONEOXTCPA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ZGEGCLOFRBLKSE-UHFFFAOYSA-N 1-Hep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ZGEGCLOFRBLK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AFFLGGQVNFXPEV-UHFFFAOYSA-N 1-dec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AFFLGGQVNFX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CRSBERNSMYQZNG-UHFFFAOYSA-N 1-dodec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 CRSBERNSMYQZN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lass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lass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6
- DIOQZVSQGTUSAI-UHFFFAOYSA-N 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DIOQZVSQGTUS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MGWAVDBGNNKXQV-UHFFFAOYSA-N diisobut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1=CC=CC=C1C(=O)OCC(C)C MGWAVDBGNNKXQ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YWAKXRMUMFPDSH-UHFFFAOYSA-N 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 YWAKXRMUMFPD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949 solid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986 chain transf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LDTAOIUHUHHCMU-UHFFFAOYSA-N 3-methylpent-1-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DTAOIUHUHHC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94 Masterbatch (M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MHNNAWXXUZQSNM-UHFFFAOYSA-N 2-methylbut-1-ene Chemical compound CCC(C)=C MHNNAWXXUZQS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PNJTDVIIKRIK-UHFFFAOYSA-N 2-methylhept-2-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WEPNJTDVIIKRI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WEKDYGHDCHWEN-UHFFFAOYSA-N 2-methylhex-2-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BWEKDYGHDCHWE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PKXHXOTZMFCXSH-UHFFFAOYSA-N 3,3-dimethylbut-1-ene Chemical compound CC(C)(C)C=C PKXHXOTZMFCX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JTXUVHFRSRTSAT-UHFFFAOYSA-N 3,5,5-trimethylhex-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 JTXUVHFRSRTS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AUJLDZJNMXNESO-UHFFFAOYSA-N 3-ethylhex-3-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AUJLDZJNMXNES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NIRLWRQSSLZCZ-UHFFFAOYSA-N 3-ethyloct-3-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KNIRLWRQSSLZ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AAUHUDBDDBJONC-UHFFFAOYSA-N 3-methylhept-3-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AAUHUDBDDBJON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ITONZMLZWYPHW-UHFFFAOYSA-N 3-methylhex-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RITONZMLZWYPH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GTDIFHVRPXHFT-UHFFFAOYSA-N 3-methylnon-3-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RGTDIFHVRPXH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SJOLASGNWRVEH-UHFFFAOYSA-N 7,7-dimethyloct-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BSJOLASGNWRV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FQUNFJULCYSSOP-UHFFFAOYSA-N bisoctrizole Chemical compound N1=C2C=CC=CC2=NN1C1=CC(C(C)(C)CC(C)(C)C)=CC(CC=2C(=C(C=C(C=2)C(C)(C)CC(C)(C)C)N2N=C3C=CC=CC3=N2)O)=C1O FQUNFJULCYSS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460 carbon-13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YKNMBTZOEVIJCM-UHFFFAOYSA-N dec-2-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YKNMBTZOEVIJ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VRWIAHBVAYKIZ-UHFFFAOYSA-N dec-3-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GVRWIAHBVAYKI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69096 dodece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ZHKDGJSXCTSCK-UHFFFAOYSA-N hept-3-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WZHKDGJSXCTS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56 homogen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21 macromolecul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Natural products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IRUCBBFNLDIMIK-UHFFFAOYSA-N oct-4-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IRUCBBFNLDIMI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40068984 polyvin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IPYNJLMMFGZSX-UHFFFAOYSA-N (5-benzoylperoxy-2,5-dimethylhexan-2-yl) benzenecarboperox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OC(C)(C)CCC(C)(C)OOC(=O)C1=CC=CC=C1 RIPYNJLMMFGZ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FFLAFLAYFXFSW-UHFFFAOYSA-N 1,2-di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Cl RFFLAFLAYFXF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BRWPVTUQDJKCC-UHFFFAOYSA-N 1,3-bis(2-tert-butylperoxypropan-2-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1=CC=CC(C(C)(C)OOC(C)(C)C)=C1 UBRWPVTUQDJK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IYNPBVOTLQBTC-UHFFFAOYSA-N 1-[8-propyl-2,6-bis(4-propylphenyl)-4,4a,8,8a-tetrahydro-[1,3]dioxino[5,4-d][1,3]dioxin-4-yl]ethane-1,2-diol Chemical compound O1C2C(CCC)OC(C=3C=CC(CCC)=CC=3)OC2C(C(O)CO)OC1C1=CC=C(CCC)C=C1 PIYNPBVOTLQBT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PKRALMXUUNKS-UHFFFAOYSA-N 2-Hexene Natural products CCCC=CC RYPKRALMXUUNK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LCNJIQZXOQYTE-UHFFFAOYSA-N 4,4-dimethylpent-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KLCNJIQZXOQYT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ZJIOVQKSAOPOP-UHFFFAOYSA-N 5,5-dimethylhex-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KZJIOVQKSAOP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KIJEFPNVSHHEI-UHFFFAOYSA-N Phenol, 2,4-bis(1,1-dimethylethyl)-, phosphite (3:1) Chemical compound CC(C)(C)C1=CC(C(C)(C)C)=CC=C1OP(OC=1C(=CC(=CC=1)C(C)(C)C)C(C)(C)C)OC1=CC=C(C(C)(C)C)C=C1C(C)(C)C JKIJEFPNVSHH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GRFSURHDFAFJT-UHFFFAOYSA-N Phthalic anhydride Natural products C1=CC=C2C(=O)OC(=O)C2=C1 LGRFSURHDFAF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BDQKXXYIPTUBI-UHFFFAOYSA-M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IPUZPBQZHNSDW-UHFFFAOYSA-N bis(2-methylpropyl)aluminum Chemical compound CC(C)C[Al]CC(C)C SIPUZPBQZHNS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HIWVOJDXOSYLW-UHFFFAOYSA-N butyl 2,2-difluorocyclopropane-1-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1CC1(F)F JHIWVOJDXOSY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JZGTCYPCWQAJB-UHFFFAOYSA-L calc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Ca+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JZGTCYPCWQAJ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16 calcium stea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39 calc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YACLQRRMGMJLJV-UHFFFAOYSA-N chloroprene Chemical compound ClC(=C)C=C YACLQRRMGMJL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81 coal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WCYDYZLEAQGJJ-UHFFFAOYSA-N dicyclopentyl(d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1CCCC1[Si](OC)(OC)C1CCCC1 JWCYDYZLEAQG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WDJLDTYWNBUKE-UHFFFAOYSA-L magnes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OC([O-])=O QWDJLDTYWNBUK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570 meth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1])[*:2] 0.000 description 2
- NFHFRUOZVGFOOS-UHFFFAOYSA-N palladium;triphenylphosphane Chemical compound [Pd].C1=CC=CC=C1P(C=1C=CC=CC=1)C1=CC=CC=C1.C1=CC=CC=C1P(C=1C=CC=CC=1)C1=CC=CC=C1.C1=CC=CC=C1P(C=1C=CC=CC=1)C1=CC=CC=C1.C1=CC=CC=C1P(C=1C=CC=CC=1)C1=CC=CC=C1 NFHFRUOZVGFO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MMOXUPEWRXHJS-UHFFFAOYSA-N pent-2-ene Chemical compound CCC=CC QMMOXUPEWRXH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XZMFSXDPGVJKK-UHFFFAOYSA-N penta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 WXZMFSXDPGVJ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346 polystyrene-polyisoprene block-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84 propylene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68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09 tita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XJDNKRIXUMDJCW-UHFFFAOYSA-J titanium tetr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Ti](Cl)(Cl)Cl XJDNKRIXUMDJCW-UHFFFAOYSA-J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OITXYVAKOUIBA-UHFFFAOYSA-N triethylaluminium Chemical compound CC[Al](CC)CC VOITXYVAKOUIB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ILKWGTNKDYMIBP-UHFFFAOYSA-N (2,4-dimethylphenyl)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C1=CC=C(OP(O)(O)=O)C(C)=C1 ILKWGTNKDYMI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ZGROEDUAFPSGN-UHFFFAOYSA-N (2,4-ditert-butylphenyl)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C(C)(C)C1=CC=C(OP(O)(O)=O)C(C(C)(C)C)=C1 KZGROEDUAFPSG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XVPNKIBYLBIT-UHFFFAOYSA-N (2-methylpropan-2-yl)oxy 3,5,5-trimethylhexa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O)OOOC(C)(C)C HCXVPNKIBYLB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DGNCLDCOVTOCS-UHFFFAOYSA-N (2-methylpropan-2-yl)oxy propan-2-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OC(C)(C)C KDGNCLDCOVTOC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ALFRYPTRXKZPN-UHFFFAOYSA-N 1,1-bis(tert-butylperoxy)-3,3,5-trimethyl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OOC(C)(C)C)(OOC(C)(C)C)C1 NALFRYPTRXKZ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SLFISVKRDQEBY-UHFFFAOYSA-N 1,1-bis(tert-butylperoxy)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C(C)(C)OOC1(OOC(C)(C)C)CCCCC1 HSLFISVKRDQE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RZMINBOKUNDIF-UHFFFAOYSA-N 1,1-dihydroperoxy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OO)OO YRZMINBOKUND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CXTANXZJJIBC-UHFFFAOYSA-N 1-(1-hydroperoxycyclohexyl)peroxycyclohexan-1-ol Chemical compound C1CCCCC1(O)OOC1(OO)CCCCC1 UICXTANXZJJI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GGDKDTUCAWDAN-UHFFFAOYSA-N 1-vinyl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CC2=C1 IGGDKDTUCAWD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QOVXPHOJANJBR-UHFFFAOYSA-N 2,2-bis(tert-butylperoxy)butan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OOC(C)(C)C HQOVXPHOJANJB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MZGFLUUZLELNE-UHFFFAOYSA-N 2,3,5-triiodo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I)=CC(I)=C1I ZMZGFLUUZLELN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DBCKCWTWALFKM-UHFFFAOYSA-N 2,5-bis(tert-butylperoxy)-2,5-dimethylhex-3-yn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CC(C)(C)OOC(C)(C)C ODBCKCWTWALFK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MNIXWIUMCBBBL-UHFFFAOYSA-N 2-(2-phenylpropan-2-ylperoxy)propan-2-yl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C)OOC(C)(C)C1=CC=CC=C1 XMNIXWIUMCBB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BYMUDUGTIKLCR-UHFFFAOYSA-N 2-chloroet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CC1=CC=CC=C1 SBYMUDUGTIKL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IWUKEYIRIRTPP-UHFFFAOYSA-N 2-ethylhex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O YIWUKEYIRIRTP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IRQGKQPLPBZQM-UHFFFAOYSA-N 2-hydroperoxy-2,4,4-trimethylpen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OO MIRQGKQPLPBZQ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FUGQJXVXHBTEM-UHFFFAOYSA-N 2-hydroperoxy-2-(2-hydroperoxybutan-2-ylperoxy)butane Chemical compound CCC(C)(OO)OOC(C)(CC)OO WFUGQJXVXHBT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OGIWVXWXZRRMZ-UHFFFAOYSA-N 2-methylbuta-1,3-di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1=CC=CC=C1 ROGIWVXWXZRR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IISIZOQPWZPPS-UHFFFAOYSA-N 2-tert-butylperoxypropan-2-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1=CC=CC=C1 BIISIZOQPWZP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RIBMENBGGCKPD-UHFFFAOYSA-N 3-(2,3-dimethoxyphenyl)prop-2-enal Chemical compound COC1=CC=CC(C=CC=O)=C1OC FRIBMENBGGCK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LGHJTHQWQKJQQ-UHFFFAOYSA-N 3-ethylhex-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OLGHJTHQWQKJ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PVPQMCSLFDIKA-UHFFFAOYSA-N 3-ethylpent-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YPVPQMCSLFDIK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NISBHGPNMTMS-UHFFFAOYSA-N 3-methylideneoxolane-2,5-dione Chemical compound C=C1CC(=O)OC1=O OFNISBHGPNMT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UJVAMIXNUAJEY-UHFFFAOYSA-N 4,4-dimethylhex-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SUJVAMIXNUAJ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BJTVDPSNHSKJ-UHFFFAOYSA-N 4-Methylstyr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 JLBJTVDPSNHS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PMUAJRVOWSBTP-UHFFFAOYSA-N 4-ethyl-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OPMUAJRVOWS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UWJESCICIOQHO-UHFFFAOYSA-N 4-methylhex-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SUWJESCICIOQH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42 Benzoyl pe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MPJBNCRMGITSC-UHFFFAOYSA-N Benzoylperox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OC(=O)C1=CC=CC=C1 OMPJBNCRMGIT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CLWNCAUAKTVII-UHFFFAOYSA-N C=C.CC=C.C=CC1=CC=CC=C1 Chemical group C=C.CC=C.C=CC1=CC=CC=C1 VCLWNCAUAKTV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786 Dry sk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CWXUUIWCKQGHC-UHFFFAOYSA-N Zirconium Chemical compound [Zr] QCWXUUIWCKQGH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KFMOTBTFHXWCM-UHFFFAOYSA-M [AlH2]O Chemical compound [AlH2]O RKFMOTBTFHXWCM-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YLMUPLGERFSHI-UHFFFAOYSA-N alpha-Methyl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1 XYLMUPLGERFS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64 an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60 anti-inflammato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63 anti-inflammatory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00 benzoyl pe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BICKXHEKHSIBG-UHFFFAOYSA-N beta-monoglyceryl stearat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O)CO VBICKXHEKHSI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1 bloc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661 block co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DJXCEJHBLSLFY-UHFFFAOYSA-N but-1-ene eth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1=CC=CC=C1.C=CC1=CC=CC=C1 NDJXCEJHBLSL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ACXGONDLDSNOE-UHFFFAOYSA-N buta-1,3-di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C=CC1=CC=CC=C1 FACXGONDLDSN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TAZNLWOLGHBHU-UHFFFAOYSA-N butadiene-styrene rubber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 MTAZNLWOLGHB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08 dec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SXWFXONGKSEMY-UHFFFAOYSA-N di-tert-butyl peroxid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 LSXWFXONGKSE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13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71 dressin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RJXUPLBIUZXLW-UHFFFAOYSA-N ethene;prop-1-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1=CC=CC=C1.C=CC1=CC=CC=C1 NRJXUPLBIUZX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6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219 ethylidene group Chemical group [H]C(=[*])C([H])([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1
- QGWKRYREOQNOCC-UHFFFAOYSA-N hydrogen peroxide;1-methyl-4-propan-2-ylbenzene Chemical compound OO.CC(C)C1=CC=C(C)C=C1 QGWKRYREOQNO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02 injection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WYNVVGOOAEACU-UHFFFAOYSA-N iron (II) ion Substances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9 linear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ADIOTAIECKQLQ-UHFFFAOYSA-M lithium;1,3,7,9-tetratert-but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Li+].C1C2=CC(C(C)(C)C)=CC(C(C)(C)C)=C2OP([O-])(=O)OC2=C1C=C(C(C)(C)C)C=C2C(C)(C)C UADIOTAIECKQL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ICGXPVHBUFIENI-UHFFFAOYSA-M lithium;1,3,7,9-tetratert-butyl-5-m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Li+].CC1C2=CC(C(C)(C)C)=CC(C(C)(C)C)=C2OP([O-])(=O)OC2=C1C=C(C(C)(C)C)C=C2C(C)(C)C ICGXPVHBUFIEN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PEZYITXKFBTLBI-UHFFFAOYSA-M lithium;1,9-ditert-butyl-3,7-di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Li+].C1C2=CC(CC)=CC(C(C)(C)C)=C2OP([O-])(=O)OC2=C1C=C(CC)C=C2C(C)(C)C PEZYITXKFBTL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DOPGPJUHBPZWQJ-UHFFFAOYSA-M lithium;1,9-ditert-butyl-3,7-dim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Li+].C1C2=CC(C)=CC(C(C)(C)C)=C2OP([O-])(=O)OC2=C1C=C(C)C=C2C(C)(C)C DOPGPJUHBPZWQ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POFMOWDMVWCLF-UHFFFAOYSA-N methyl(oxo)alumane Chemical compound C[Al]=O CPOFMOWDMVWC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GMMIGGLIIRHFV-UHFFFAOYSA-N nonane-1,2,3,4,5,6,7,8,9-nonol Chemical compound OCC(O)C(O)C(O)C(O)C(O)C(O)C(O)CO JGMMIGGLIIRHF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0 phenolic antioxi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29 polypropylene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WSUSMUSZKSAAQ-UHFFFAOYSA-M potassium;1,3,7,9-tetratert-butyl-5-m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K+].CC1C2=CC(C(C)(C)C)=CC(C(C)(C)C)=C2OP([O-])(=O)OC2=C1C=C(C(C)(C)C)C=C2C(C)(C)C YWSUSMUSZKSAA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34 random propylene copolym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XMKPNITSTVMEF-UHFFFAOYSA-M sod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 WXMKPNITSTVME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4 sodium benzo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99 sodium benzo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EZJJVRUWKGVIA-UHFFFAOYSA-M sodium;1,3,7,9-tetra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O1P([O-])(=O)OC2=C(CC)C=C(CC)C=C2CC2=CC(CC)=CC(CC)=C21 XEZJJVRUWKGVI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DVSGVEPIPBNASD-UHFFFAOYSA-M sodium;1,3,7,9-tetramethyl-11-oxido-5-(2,4,4-trimethylpentan-2-yl)-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O1P([O-])(=O)OC2=C(C)C=C(C)C=C2C(C(C)(C)CC(C)(C)C)C2=CC(C)=CC(C)=C21 DVSGVEPIPBNAS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SIJVPMATBIKDTJ-UHFFFAOYSA-M sodium;1,3,7,9-tetramethyl-11-oxido-5-propyl-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O1P([O-])(=O)OC2=C(C)C=C(C)C=C2C(CCC)C2=CC(C)=CC(C)=C21 SIJVPMATBIKDT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ZTDRYKIXYNNYGS-UHFFFAOYSA-M sodium;1,3,7,9-tetratert-butyl-11-oxido-5-(2,4,4-trimethylpentan-2-yl)-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1C2=CC(C(C)(C)C)=CC(C(C)(C)C)=C2OP([O-])(=O)OC2=C1C=C(C(C)(C)C)C=C2C(C)(C)C ZTDRYKIXYNNYG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LMQXJKGCJVYPNJ-UHFFFAOYSA-M sodium;1,3,7,9-tetratert-butyl-11-oxido-5-propyl-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CCCC1C2=CC(C(C)(C)C)=CC(C(C)(C)C)=C2OP([O-])(=O)OC2=C1C=C(C(C)(C)C)C=C2C(C)(C)C LMQXJKGCJVYPN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ZHROMWXOTYBIMF-UHFFFAOYSA-M sodium;1,3,7,9-tetratert-but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C1C2=CC(C(C)(C)C)=CC(C(C)(C)C)=C2OP([O-])(=O)OC2=C1C=C(C(C)(C)C)C=C2C(C)(C)C ZHROMWXOTYBI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IEFYQJPRHOKDLM-UHFFFAOYSA-M sodium;1,3,7,9-tetratert-butyl-5-m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CC1C2=CC(C(C)(C)C)=CC(C(C)(C)C)=C2OP([O-])(=O)OC2=C1C=C(C(C)(C)C)C=C2C(C)(C)C IEFYQJPRHOKDLM-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UXBYXHNQMORKEI-UHFFFAOYSA-M sodium;1,9-ditert-butyl-3,7-di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C1C2=CC(CC)=CC(C(C)(C)C)=C2OP([O-])(=O)OC2=C1C=C(CC)C=C2C(C)(C)C UXBYXHNQMORKE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IAYJSUZUBQZOW-UHFFFAOYSA-M sodium;1,9-ditert-butyl-3,7-dimethyl-11-oxido-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C1C2=CC(C)=CC(C(C)(C)C)=C2OP([O-])(=O)OC2=C1C=C(C)C=C2C(C)(C)C FIAYJSUZUBQZO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ZEYNWZNNZISTPU-UHFFFAOYSA-M sodium;1,9-ditert-butyl-5-methyl-11-oxido-3,7-dipropyl-5h-benzo[d][1,3,2]benzodioxaphosphocine 11-oxide Chemical compound [Na+].CC1C2=CC(CCC)=CC(C(C)(C)C)=C2OP([O-])(=O)OC2=C1C=C(CCC)C=C2C(C)(C)C ZEYNWZNNZISTP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5 styrene 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JBRNHKUVLOCEB-UHFFFAOYSA-N tert-butyl benzenecarbo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O)C1=CC=CC=C1 GJBRNHKUVLOC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WAXTRYEYUTSAP-UHFFFAOYSA-N tert-butyl etha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O)OOC(C)(C)C SWAXTRYEYUTSA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99 tert-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C([H])([H])[H])C([H])([H])[H] 0.000 description 1
- CIHOLLKRGTVIJN-UHFFFAOYSA-N tert‐butyl hydroperoxide Chemical compound CC(C)(C)OO CIHOLLKRGTVI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PGLGRNSAYHXPY-UHFFFAOYSA-L zirconium(2+);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Zr]Cl VPGLGRNSAYHXP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with aliphatic 1-olefins contain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광택이며, 표면 외관이 우수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이 우수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최외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와 핵제(D)로 형성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고, 프로필렌계 수지(A)가 (A-1)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며, (A-2) 결정 융점이 140 내지 155℃의 범위이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B-1)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며, (B-2) 결정 융점이 85℃ 이상 110℃ 미만의 범위이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E-1) 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블로우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로우 용기 등의 블로우 성형체의 원료로서는, 예컨대 염화바이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수지가 용도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수지 중,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경질의 에틸렌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광택이 나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연질의 에틸렌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강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염화바이닐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광택은 우수하지만, 환경 문제가 있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택은 매우 우수하지만,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득되는 블로우 성형체는 비교적 제조 비용이 싸고, 고밀도 폴리에틸렌보다도 광택,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액체 세제, 화장품, 식품, 약품 등의 용기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블로우 성형체의 광택은 양호한 외관을 구하는 시장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 종래부터 검토되어 온 물성이지만, 아직 충분한 광택과 양호한 성형성과 내충격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블로우 성형체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광택이 우수한 블로우 성형체로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기재 수지로 하고, 결정 융점이 110 내지 125℃인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배합 수지로 하여, 이들의 수지와 핵제를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성형체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다층 블로우 성형체이더라도, 아직 광택 및 내충격성은 충분하지 않아, 추가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한(耐寒) 강도가 우수한 다층 보틀(bottle)로서, 가스 배리어성 수지의 심층(芯層)을 갖고, 최외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직쇄상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는 다층 보틀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다층 보틀이더라도, 아직 광택 및 성형성이 충분하지 않아, 추가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수한 광택, 표면성을 갖는 인-몰드 방식에 의해서 제조되는 라벨 부착 다층 플라스틱 용기로서, 최외층에 사용되는 수지로서 에틸렌분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조핵제(造核劑),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다층 플라스틱 용기는, 아직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않아, 추가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용기 외표면의 광택이 우수한 고광택 블로우 용기로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최외층에 이용하고, 다층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서 성형한 고광택 블로우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고광택 블로우 용기는 종래의 용기와 비교한 때는 광택이 우수하지만, 내열성이나 광택 등의 점에서 추가의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고광택이고, 표면 외관이 우수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충격성과 내끈적임성의 균형도 우수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최외층에 사용한 다층 블로우 용기는 고광택이고, 표면 외관이 우수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충격성과 내끈적임성의 균형도 우수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최외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A) 80 내지 98중량부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2 내지 20중량부(단, (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임)와 핵제(D) 0.01 내지 0.5중량부로 형성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하기 요건 (A-1) 및 (A-2)를 만족시키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하기 요건 (B-1) 및 (B-2)를 만족시키고,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하기 요건 (E-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A-1)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A-2)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0 내지 155℃의 범위이다.
(B-1)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B-2)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85℃ 이상 110℃ 미만의 범위이다.
(E-1)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이 추가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0.1 내지 20중량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가 하기 요건 (F-1) 및 (F-2)를 만족시키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B[g/cm3]) 및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F[g/cm3])가 하기 요건 (X-1)을 만족시키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저온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F-1)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 내지 20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F-2)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89℃ 이하이거나, 또는 결정 융점에 근거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는다.
(X-1) dB[g/cm3]>dF[g/cm3]이며, 0.010[g/cm3]≤(dB-dF)[g/cm3]≤0.050[g/cm3]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4)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880 내지 0.910g/cm3의 범위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4a)를 만족시키고,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가 추가로 하기 요건 (F-3)을 만족시키는 것이 다층 블로우 용기의 저온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B-4a)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B[g/cm3])가 0.890 내지 0.910g/cm3의 범위이다.
(F-3)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F[g/cm3])가 0.865 내지 0.900g/cm3의 범위이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추가로 하기 요건 (A-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4)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이 4.0 이상이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추가로 하기 요건 (A-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3)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5)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5)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이 1.2 내지 3.0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3)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상기 핵제(D)가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 카복실산 금속염 조핵제, 폴리머 조핵제, 소르비톨계 조핵제 및 무기 화합물 조핵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95.5 내지 98중량부이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2 내지 4.5중량부(단, (A)와 (B)와의 합계는 100중량부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블로우 용기가, 적어도 하나의 내층으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G) 또는 에틸렌계 중합체(H)로 형성되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상기 다층 블로우 용기가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 또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성형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및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최외층을 형성하고,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내층을 형성하도록,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 또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광택이고, 표면 외관이 우수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충격성과 내끈적임성의 균형도 우수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층 블로우 용기〕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최외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와 핵제(D)로 형성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고광택이고, 표면 외관이 우수함과 더불어, 내충격성이 우수하지만,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추가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0.1 내지 20중량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태양에서는, 추가로 저온 내충격성도 우수하다.
<프로필렌계 수지(A)>
본 발명에 이용하는 프로필렌계 수지(A)는, 하기 요건 (A-1) 및 (A-2)를 만족시키고, 추가로 하기 요건 (A-3), (A-4)의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요건 (A-3) 및 (A-4)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수지(A)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이용하여도 좋다.
(A-1)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한편,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도데센, 4-메틸-1-펜텐, 2-메틸-1-뷰텐, 3-메틸-1-뷰텐, 3-메틸-1-뷰텐, 3,3-다이메틸-1-뷰텐, 다이에틸-1-뷰텐, 트라이메틸-1-뷰텐, 3-메틸-1-펜텐, 에틸-1-펜텐, 프로필-1-펜텐, 다이메틸-1-펜텐, 메틸에틸-1-펜텐, 다이에틸-1-헥센, 트라이메틸-1-펜텐, 3-메틸-1-헥센, 다이메틸-1-헥센, 3,5,5-트라이메틸-1-헥센, 메틸에틸-1-헵텐, 트라이메틸-1-헵텐, 에틸-1-옥텐, 메틸-1-노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프로필렌계 수지(A)로서는, 물성, 경제성의 균형의 면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1-뷰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하는 프로필렌계 수지(A)는,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A-2)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0 내지 155℃의 범위이다. 결정 융점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조할 때의 성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55℃보다도 높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내충격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0℃보다 낮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조할 때의 성형성이 뒤떨어져, 다층 블로우 용기의 표면에 끈적임이 발생한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의 결정 융점은, JIS-K7121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계(DSC)(예컨대, 퍼킨 엘머사제 Diamond DSC)를 이용하여 하기 측정 조건에서 측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한편, 하기 측정 조건으로 측정을 행했을 때의, 제 3 단계에서 흡열 피크의 정점을 결정 융점(Tm)으로 정의했다. 흡열 피크가 복수인 경우는 피크의 높이가 최대로 되는 흡열 피크 정점을 결정 융점(Tm)으로 정의한다.
(측정 조건)
측정 환경: 질소 가스 분위기
샘플량: 5mg
샘플 형상: 프레스 필름(230℃ 성형, 두께 200 내지 400㎛)
제 1 단계: 30℃부터 10℃/min로 240℃까지 승온시키고, 10분간 유지한다.
제 2 단계: 10℃/min로 60℃까지 강온시킨다.
제 3 단계: 10℃/min로 240℃까지 승온시킨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의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은, 예컨대 프로필렌계 수지(A)의 제조에 있어서의 공중합시의 프로필렌과, 도입하는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도입 비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즉, 프로필렌의 도입량에 대한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도입량을 많게 함으로써,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을 낮게 할 수 있고, 프로필렌의 도입량에 대한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도입량을 적게 함으로써,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을 높게 할 수 있다.
(A-3)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한편, MFR이란, 용융 유량을 의미한다. MFR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성형 시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유동성이 본 발명의 성형에 바람직한 범위가 되어, 블로우 성형에서의 최다층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두께 불균일이 방지되고, 평활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광택도 우수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10g/10분보다 크면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조할 때의 성형성 및 다층 블로우 용기의 내충격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5g/10분보다 작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은, 예컨대 프로필렌계 수지(A)의 제조에서의 공중합 시, 사용하는 연쇄 이동제(예컨대, 수소 가스)의 도입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중합 시에 도입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양에 대한 연쇄 이동제(예컨대, 수소 가스)의 도입량을 많게 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수지(A)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중합 시에 도입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양에 대한 연쇄 이동제(예컨대, 수소 가스)의 도입량을 적게 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수지(A)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중합으로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를 유기 과산화물 등의 라디칼 발생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 처리를 행함에 의해서도,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 처리를 행함으로써,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은 높아진다. 또한, 유기 과산화물의 첨가량을 증가시킴으로써,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은 추가로 높아질 수 있다.
(A-4)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이 4.0 이상이다. 한편, GPC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의미하고, Mw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Mn은 수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Mw/Mn은 분자량 분포의 지표이다. 프로필렌계 수지(A)로서는, Mw/Mn이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지만, 상기 (A-4)를 만족시키면, 즉 Mw/Mn이 4.0 이상이면, 블로우 금형의 표면 조도에 의존하지 않고, 광택이 우수한 블로우 성형체가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아래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즉, Mw/Mn이 4.0 이상이면,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고분자량인 부분과 보다 저분자량인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 된다. 보다 고분자량인 부분의 존재가 블로우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변형을 적게 하고, 보다 저분자량인 부분의 존재가 고화를 빠르게 한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A) 성분으로서 상기 Mw/Mn의 범위의 것을 이용하면, 표면 조도가 큰 금형을 이용한 경우도, 표면 조도가 작은 금형을 이용한 경우도, 얻어지는 다층 블로우 용기는 금형 표면의 조도를 전사하지 않고 양호한 광택이 된다고 본 발명자들은 추정했다. 또한, Mw/Mn의 상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보통은 50.0, 바람직하게는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이다. 한편, GPC에 의한 Mw/Mn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의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은, 예컨대 프로필렌계 수지(A)의 제조 시에 이용하는 촉매의 종류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촉매로서, 지글러-나타 촉매, 바람직하게는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건 (A-4)을 만족시키는 프로필렌계 수지(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Mw/Mn을 조정하는 다른 방법의 예로서는, 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수지를 블렌드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는 상기의 보다 고분자량의 부분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프로필렌계 수지(A)로서는,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이, 보통은 80 내지 99중량%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이, 보통은 1 내지 20중량%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조할 때의 성형성과, 다층 블로우 용기의 끈적임성 등의 물성의 균형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은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고, 산출했다.
(13C-NMR 측정 조건)
측정 장치: 일본전자제 LA400형 핵자기 공명 장치
측정 모드: BCM(Bilevel Complete decoupling)
관측 주파수: 100.4MHz
관측 범위: 17006.8Hz
펄스 폭: C핵 45°(7.8μ초)
펄스 반복 시간: 5초
시료관: 5mmφ
시료관 회전수: 12Hz
누적 회수: 20000회
측정 온도: 125℃
용매: 1,2,4-트라이클로로벤젠: 0.35ml/중벤젠: 0.2ml
시료량: 약 40mg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의 산출)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즉, 코모노머)이 에틸렌인 경우, 수득된 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하기 문헌(1)에 준하여, 모노머 연쇄 분포(다이애드(dyad, 2연자) 분포)의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수지(A) 중의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몰 분율(mol%)(이하 E(mol%)라고 기재함) 및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몰 분율(mol%)(이하 P(mol%)라고 기재함)을 산출할 수 있다. 구해진 E(mol%) 및 P(mol%)로부터 중량%로 환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A) 중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중량%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중량%를 산출할 수 있다.
문헌(1): Kakugo, M.; Naito, Y.; Mizunuma, K.; Miyatake, T., Macromolecules 1982, 15, (4), 1150-1152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즉, 코모노머)이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인 경우, 수득된 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하기 문헌(2)에 준하여, 모노머 연쇄 분포(다이애드(2연자) 분포)의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수지(A) 중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몰 분율(mol%)(이하 A(mol%)라고 기재함) 및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몰 분율(mol%)(이하 P(mol%)라고 기재함)을 산출할 수 있다. 구해진 A(mol%) 및 P(mol%)로부터 중량%로 환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A) 중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중량%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중량%를 산출할 수 있다.
문헌(2): James C. Randall, Macromolecules, 1978, 11, 592-597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중량의 조정은, 후술하는 제조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양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필렌계 수지(A)의 제조에서의 공중합 시, 프로필렌의 도입량에 대한,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도입량을 적게 함으로써,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의 도입량에 대한,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도입량을 많게 함으로써,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는 지글러-나타 촉매나, 메탈로센 촉매 존재하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을 공중합, 바람직하게는 랜덤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를 중합할 때에 이용하는 촉매로서는, 지글러-나타 촉매, 바람직하게는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를 이용하면, 상기 요건 (A-4)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수지(A)를 블렌드함으로써 요건 (A-4)를 만족시키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합 시에는, 수소 가스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연쇄 이동제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중합으로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를, 유기 과산화물 등의 라디칼 발생제 존재 하에서 용융 혼련 처리를 행하여 프로필렌계 수지(A)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벤조일퍼옥사이드, t-뷰틸퍼벤조에이트, t-뷰틸퍼아세테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세인,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신-3, t-뷰틸-다이퍼아디페이트, t-뷰틸퍼옥시-3,5,5-트라이메틸헥사노에이트,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사이클로헥산온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사이드, 다이큐밀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세인,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신-3, 1,3-비스-(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t-뷰틸큐밀퍼옥사이드, 1,1-비스-(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t-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2,2-비스-(t-뷰틸퍼옥시)뷰테인, p-메테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다이아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p-싸이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또는 2,5-다이메틸-2,5-다이(하이드로퍼옥시)헥세인 등의 유기 과산화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세인, 1,3-비스-(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중합으로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혼련 처리는, 프로필렌계 수지에 상기 유기 과산화물을 첨가 후, 헨셸 믹서, 반버리 믹서, 텀블러 믹서 등의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을 행하고, 이어서, 수득된 혼합물을 1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에 의해 성형하여, 프로필렌계 수지(A)의 스트랜드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랜드는, 보통 블로우 성형을 행하기 전에, 펠렛타이저 등을 이용하여 펠렛 형상으로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하기 요건 (B-1) 및 (B-2)를 만족시키고, 추가로 하기 요건 (B-3), (B-4) 중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요건 (B-3) 및 (B-4)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요건 (B-5)을 만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이용하여도 좋다.
(B-1)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한편,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도데센, 4-메틸-1-펜텐, 2-메틸-1-뷰텐, 3-메틸-1-뷰텐, 3-메틸-1-뷰텐, 3,3-다이메틸-1-뷰텐, 다이에틸-1-뷰텐, 트라이메틸-1-뷰텐, 3-메틸-1-펜텐, 에틸-1-펜텐, 프로필-1-펜텐, 다이메틸-1-펜텐, 메틸에틸-1-펜텐, 다이에틸-1-헥센, 트라이메틸-1-펜텐, 3-메틸-1-헥센, 다이메틸-1-헥센, 3,5,5-트라이메틸-1-헥센, 메틸에틸-1-헵텐, 트라이메틸-1-헵텐, 에틸-1-옥텐, 메틸-1-노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로서는, 물성과 경제성의 균형의 관점에서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1-뷰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1-헥센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2)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85℃ 이상 110℃ 미만의 범위이다. 결정 융점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내충격성이나, 최외층과 다른 층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10℃ 이상에서는 접착성 및 내충격성이 뒤떨어지고,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85℃보다 낮으면 접착성이 뒤떨어지고, 또한 끈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내충격성, 접착성 및 끈적임성의 균형의 관점에서, 결정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10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양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중합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중합할 때,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급량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의 공급량에 대한 α-올레핀의 공급량을 많게 함으로써,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틸렌의 공급량에 대한 α-올레핀의 공급량을 적게 함으로써,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결정 융점은, JIS-K7121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의 프로필렌계 수지(A)의 결정 융점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B-3)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MFR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프로필렌계 수지(A)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해지고,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성,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최외층과 다른 층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의 조정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제조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중합에서, 중합할 때의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의 공급량에 대한 수소 가스의 공급량을 조정 하는 것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할 때의 에틸렌 가스의 공급량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급하는 경우는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급량에 대한 수소 가스의 공급량을 많게 하는 것으로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틸렌 가스의 공급량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급하는 경우는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급량에 대한 수소 가스의 공급량을 적게 하는 것으로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B-4)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880 내지 0.910g/cm3의 범위이다. 밀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이나 내충격성, 최외층과 다른 층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가, 저온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함과 더불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하기 요건 (B-4a)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4a)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B[g/cm3])가 0.890 내지 0.910g/cm3의 범위이다. 밀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 내충격성, 저온 내충격성, 최외층과 다른 층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끈적임이 낮고, 추가로 내충격성이나 저온 내충격성 등의 내충격 특성과 내성의 균형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제조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양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중합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중합할 때,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급량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의 공급량에 대한 α-올레핀의 공급량을 많게 함으로써,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틸렌의 공급량에 대한 α-올레핀의 공급량을 적게 함으로써,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는, 상기 MFR의 측정 시에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스트랜드를 120℃에서 1시간 열처리하고, 1시간 걸쳐 직선적으로 실온까지 서냉한 후, 밀도 구배관으로 측정한 측정값이다.
(B-5)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이 1.2 내지 3.0이다. 한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로서는, Mw/Mn이 1.5 내지 3.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Mw/Mn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은, 예컨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제조 시에 이용하는 촉매의 종류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촉매로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건 (B-5)을 만족시키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는, 수소 가스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연쇄 이동제를 도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면, 종래의, 이른바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보다도 조성 분포가 균일하기 때문에 프로필렌계 수지(A)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해지고, 보다 광택이 양호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면,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보다 분자량 분포도 좁게 되어, 내충격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저분자량 성분이 적어진다. 또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면,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보다, 공중합체의 조성 분포도 균일해져서, 끈적임의 원인이 되는 비결정 성분도 적어진다. 또한, 최외층과 다른 층의 사이의 접착 불균일도 적어져, 경시적인 외관 악화를 억제하는 것도 기대된다.
상기의 것으로부터,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이용하는 것으로 광택이 우수하고, 또한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끈적임성이 낮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을 얻을 수 있다.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가, 저온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서,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와 핵제(D)에 더하여, 추가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는, 하기 요건 (F-1) 및 (F-2)를 만족시키고, 추가로 하기 요건 (F-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이용하여도 좋다.
(F-1)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 내지 20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한편, 탄소 원자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도데센, 4-메틸-1-펜텐, 2-메틸-1-뷰텐, 3-메틸-1-뷰텐, 3-메틸-1-뷰텐, 3,3-다이메틸-1-뷰텐, 다이에틸-1-뷰텐, 트라이메틸-1-뷰텐, 3-메틸-1-펜텐, 에틸-1-펜텐, 프로필-1-펜텐, 다이메틸-1-펜텐, 메틸에틸-1-펜텐, 다이에틸-1-헥센, 트라이메틸-1-펜텐, 3-메틸-1-헥센, 다이메틸-1-헥센, 3,5,5-트라이메틸-1-헥센, 메틸에틸-1-헵텐, 트라이메틸-1-헵텐, 에틸-1-옥텐, 메틸-1-노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로서는, 물성과 경제성의 균형의 관점에서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로서는, 그 중에서도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1-뷰텐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1-옥텐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1-뷰텐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1-옥텐의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과 1-뷰텐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F-2)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89℃ 이하이거나, 또는 결정 융점에 근거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는다. 결정 융점을 갖는 경우에는,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 융점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가 저온 내충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결정 융점은, JIS-K7121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F-3)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F[g/cm3])가 0.865 내지 0.900g/cm3의 범위이다. 상기 밀도는 0.870 내지 0.900g/cm3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이 우수하고, 저온 내충격성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B[g/cm3]) 및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F[g/cm3])는 하기 요건 (X-1)을 만족시킨다.
(X-1) dB[g/cm3]>dF[g/cm3]이며, 0.010[g/cm3]≤(dB-dF)[g/cm3]≤0.050[g/cm3]이다. 즉,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밀도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밀도보다도 작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와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밀도 차이(dB-dF)가 0.010 내지 0.050[g/cm3]이다. 한편, 밀도 차이(dB-dF)는 0.010 내지 0.040[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 차이(dB-dF)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이 우수하고, 또한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로서는,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0.1 내지 50g/10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30g/10분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내지 10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분산성이 양호해져, 광택, 저온 충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지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이어도,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이어도 좋다.
<핵제(D)>
본 발명에는 핵제(D)를 이용한다. 핵제(D)로서는,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 카복실산 금속염 조핵제, 폴리머 조핵제, 소르비톨계 조핵제 및 무기 화합물 조핵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핵제(D)는, 다층 블로우 용기의 악취를 악화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핵제(D)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로서는, 이하의 화학식 III 및/또는 IV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I]
[화학식 IV]
상기 화학식 III, IV 중, R1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며,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며, M은 1 내지 3가의 금속 원자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이다.
화학식 III으로 나타내는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나트륨-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리튬-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리튬-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에틸리덴-비스(4-i-프로필-6-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리튬-2,2'-메틸렌-비스(4-메틸-6-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리튬-2,2'-메틸렌-비스(4-에틸-6-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뷰틸리덴-비스(4,6-다이메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뷰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t-옥틸메틸렌-비스(4,6-다이메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t-옥틸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칼슘-비스-(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마그네슘-비스[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바륨-비스[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메틸렌-비스(4-메틸-6-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메틸렌-비스(4-에틸-6-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에틸리덴-비스(4-m-뷰틸-6-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메틸렌-비스(4,6-다이메틸페닐)포스페이트, 나트륨-2,2'-메틸렌-비스(4,6-다이에틸페닐)포스페이트, 칼륨-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칼슘-비스[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마그네슘-비스[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바륨-비스[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알루미늄-트리스[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알루미늄-트리스[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닐)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로서는, 화학식 IV로 나타내는 하이드록시알루미늄포스페이트 화합물도 사용 가능하고, 특히 R2 및 R3가 함께 tert-뷰틸기인, 화학식 V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V]
화학식 V에 있어서, R1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며, m은 1 또는 2이다. 특히 바람직한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은, 화학식 VI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VI]
화학식 VI에 있어서, R1은 메틸렌기 또는 에틸리덴기이다. 화학식 VI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포스페이트](다른 명칭: 비스(2,4,8,10-테트라-t-뷰틸-6-하이드록시-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폰-6-옥사이드)수산화알루미늄염) 또는 하이드록시알루미늄-비스[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포스페이트]이다.
카복실산 금속염 조핵제으로서는, 예컨대 p-t-뷰틸벤조산알루미늄염, 아디프산알루미늄, 벤조산나트륨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머 조핵제로서는 분지상 α-올레핀 중합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분지상 α-올레핀 중합체의 예로서,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의 단독 중합체, 또는 그들 상호의 공중합체, 또한, 그들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머 조핵제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을 제조할 때에, 직접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프로필렌계 수지(A) 제조 시, 프로필렌계 수지(A)의 중합 전 또는 후에 블록적으로 상기 분지상 α-올레핀의 중합을 행하여, 핵제(D)로서 분지상 α-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한 프로필렌계 수지(A)를 이용함으로써 배합할 수도 있다(폴리머 조핵제 배합 프로필렌계 수지(A')로 한다). 폴리머 조핵제 배합 프로필렌계 수지(A')를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머 조핵제 배합 프로필렌계 수지(A') 중에 포함되는 폴리머 조핵제의 양을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 중의 핵제(D)의 배합량으로 한다. 또한, 폴리머 조핵제 배합 프로필렌계 수지(A')로부터 폴리머 조핵제의 양을 뺀 부분을,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 중의 프로필렌계 수지(A)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 조핵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체(A), 중합체(B), 중합체(F)를 제조할 때의 예비 중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중합체(B), 중합체(F)를 제조할 때에 블록 공중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그때, 폴리머 조핵제 배합 프로필렌계 수지(A')와 폴리머 조핵제를 포함하지 않는 프로필렌계 수지(A)를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폴리머 조핵제 배합 프로필렌계 수지(A')와 다른 핵제(D)를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의 폴리머 조핵제는,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이 후술하는 그 밖의 수지류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밖의 수지류와, 폴리머 증핵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를,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을 제조할 때에 이용함으로써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터 배치를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마스터 배치 중에 포함되는 폴리머 증핵제의 양을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 중의 핵제(D)의 배합량으로 한다. 한편, 마스터 배치와 다른 핵제(D)를 병용하여,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여도 좋다.
폴리머 조핵제로서는 투명성, 저온 내충격성, 강성의 특성이 양호한 것,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특히 3-메틸-1-뷰텐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소르비톨계 조핵제로서는, 노니톨, 1,2,3-트라이데옥시-4,6:5,7-비스-O-[(4-프로필페닐)메틸렌]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 조핵제로서는, 예컨대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핵제(D) 중에서도, 투명성, 저온 내충격성, 강성 및 저악취라는 관점에서 노니톨, 1,2,3-트라이데옥시-4,6:5,7-비스-O-[(4-프로필페닐)메틸렌] 및 비스(2,4,8,10-테트라-t-뷰틸-6-하이드록시-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6-옥사이드)수산화알루미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핵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비스(2,4,8,10-테트라-t-뷰틸-6-하이드록시-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6-옥사이드)수산화알루미늄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핵제(D)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아데카 스타브 NA-21(ADEKA사제)은 비스(2,4,8,10-테트라-t-뷰틸-6-하이드록시-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6-옥사이드)수산화알루미늄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한 조핵제로서 시판되고 있고, 노니톨, 1,2,3-트라이데옥시-4,6:5,7-비스-O-[(4-프로필페닐)메틸렌]은, 미라드 NX8000(미리켄사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본 발명에 이용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은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최외층에 사용되는 수지이며, 전술한 프로필렌계 수지(A) 80 내지 98중량부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2 내지 20중량부(단, (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임)와 핵제(D) 0.01 내지 0.5중량부로 형성되는 조성물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가, 저온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서,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와 핵제(D)에 더하여, 추가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0.1 내지 20중량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 블로우 용기에 저온 내충격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하지 않고서 형성되는 조성물인 것도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수지(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사용량은, 끈적임성이 양호하다고 하는 관점, 및 경제성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95.5 내지 98중량부이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2 내지 4.5중량부(단, (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을 얻기 위해서 이용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98중량부보다 많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2중량부보다 적은 경우, 다층 블로우 용기의 내충격성, 다른 층과의 접착성이 뒤떨어지고,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에 배합되는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80중량부보다 적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20중량부보다 많은 경우 끈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다층 블로우 용기가, 저온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끈적임과 경제성의 관점에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에 배합되는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가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핵제(D)는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중량부 이용함으로써,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핵제(D)의 첨가량이 0.01중량부보다 적으면 광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적다. 핵제(D)의 첨가량이 0.5중량부보다 많이 첨가하여도, 효과가 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불리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은 하기 요건 (E-1)을 만족시킨다.
(E-1)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MFR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성형 시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유동성이 성형에 바람직한 범위가 되어, 성형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멜트 프랙쳐(MF)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블로우 성형에서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두께 불균일이 방지되고, 평활성이 우수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얻을 수 있다.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10g/10분보다 높으면 성형성이 뒤떨어지고, 5g/10분보다 낮으면 광택성이 뒤떨어진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에 관한 요건 (E-1), 즉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은,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조정이 가능하다.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함께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인 경우에는, 프로필렌계 수지(A)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으로써 (E-1)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것 이외의 경우, 예컨대, 프로필렌계 수지(A)로서,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5g/10분 미만 정도의, 비교적 MFR이 낮은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프로필렌계 수지(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핵제(D)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을 형성할 때에,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을 행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수지(A)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또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변성을 행하여,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MFR을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의 항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는, 프로필렌계 수지(A)로서 MFR이 10g/10분을 넘는, 비교적 MFR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로서 MFR이 낮은 것을 이용함으로써,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MFR을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은,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0 내지 15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 융점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광택이 양호하며, 내충격성이 양호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결정 융점은, JIS-K7121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프로필렌계 수지(A)의 결정 융점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은, 반(半)결정화 시간(t1 /2)이 50 내지 1000초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초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블로우 성형 시에 금형 전사성이 양호해져, 광택이 양호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반결정화 시간(t1 /2)은, 125℃ 등온 조건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결정화시키고, 이때 결정화에 따르는 발열량을 측정하여, 발열 개시(결정화 개시)로부터 발열량이 전체 발열량의 반값이 되기까지의 시간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반결정화 시간(t1 /2)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에 포함되는 핵제(D)의 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에 포함되는 핵제(D)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반결정화 시간(t1 /2)을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역으로, 핵제(D)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반결정화 시간(t1 /2)을 느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에는, 전술한 프로필렌계 수지(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및 핵제(D) 이외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 (B), (F) 및 (D)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그 밖의 수지류, 각종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수지류로서는, 예컨대, 프로필렌계 수지(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및 핵제(D)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계 수지(A) 이외의 프로필렌계 수지(P)를 예시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수지(P)로서는, 프로필렌계 수지(A)와 다른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신디오택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등을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보통, 프로필렌계 수지(P)의,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한 Tm은 140 내지 155℃이다. 또한, 프로필렌계 수지(P)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로서는 0.01 내지 20g/10분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내지 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밖의 수지로서, 예컨대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을 예시할 수도 있다. 한편, 광택의 금형 표면 조도 의존성을 작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이다.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로서는, 스타이렌 함유량 1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 및 공액 다이엔 함유량 3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중량%의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로서는, 스타이렌계 중합체 블록 성분(이하, 스타이렌 블록이라는 경우가 있음)과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 블록 성분(이하, 다이엔 블록이라는 경우가 있음)으로 이루어지는 스타이렌계 블록 공중합체나, 스타이렌·뷰타다이엔 랜덤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 랜덤 공중합체, 스타이렌·클로로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스타이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이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중합체 블록 성분은 스타이렌 또는 그 유도체로 구성되고, 모노머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클로로스타이렌, 바이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스타이렌이 바람직하다. 이들 모노머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이 바람직하다. 이들 모노머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된다.
스타이렌계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스타이렌 블록과 다이엔 블록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타이렌 블록·다이엔 블록 또는 스타이렌 블록·[다이엔 블록·스타이렌 블록] n(여기서, n은 1 내지 5)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스타이렌계 블록 공중합체 중의 스타이렌계 중합체 블록 성분의 함유량은 1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 블록 성분의 함유량은 3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이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하중 2160g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0.1g/10min 이상,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0g/10min,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이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PS),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IS) 및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그 밖의 수지류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한이 보통은 2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며, 하한이 보통은 0.1중량부이다.
그 밖의 수지로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P)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P)는, 상기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한이 보통은 2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며, 하한이 보통은 0.1중량부이다.
그 밖의 수지로서,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은, 상기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한이 보통은 2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며, 하한이 보통은 0.1중량부이다.
그 밖의 수지로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P) 및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P)와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의 합계는, 상기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한이 보통은 2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며, 하한이 보통은 0.1중량부이다.
또한, 광택의 금형 표면 조도 의존성이 적은 것이 바람직한 경우는,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P)를 첨가하지 않는 태양,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을 첨가하지 않는 태양이 보다 바람직한 태양이며,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P) 및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을 첨가하지 않는 태양이 더욱 바람직한 태양이다.
또한,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을 이용하는 경우, 끈적임의 점에서,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가 소량이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 중 하나이다.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프로필렌계 수지(A) 80 내지 98중량부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2 내지 20중량부(단, (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임)와, 임의 성분인, Tm이 140 내지 155℃인 프로필렌계 수지(P) 및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체 0 내지 20중량부((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양이다)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을 이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합한 태양 중 하나이다. 이 중에는 Tm이 140 내지 155℃인 프로필렌계 수지(P) 및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그 수소 첨가물(S)의 합계가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인 경우도 포함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란,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이, 그 밖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지만, 그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첨가제로서는, 산화 방지제, 염산 흡수제, 내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안료, 염료, 분산제, 동해(銅害) 방지제, 중화제, 발포제, 가소제, 기포 방지제, 가교제, 과산화물 등의 유동성 개량제, 용접 강도 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양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의 양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 (A)와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통은 0.01 내지 1.0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은, MFR이 특정한 범위에 있기 때문에,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만으로는 블로우 성형하기 어렵지만, 다층 블로우 성형체의 표층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층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광택을 나타내고,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프로필렌계 수지(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핵제(D), 임의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그 밖의 수지류 및 첨가제를, 헨셸 믹서, 반버리 믹서, 텀블러 믹서 등의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을 행하고, 이어서, 수득된 혼합물을 1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에 의해 성형하여,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스트랜드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랜드는, 보통 블로우 성형을 하기 전에, 펠렛타이저 등을 이용하여 펠렛에 성형된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서, 유기 과산화물 등의 과산화물, 가교제 등의 반응성의 첨가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혼합기에 의한 혼합 시에, 프로필렌계 수지(A)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나,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변성을 수반하여도 좋다.
또한, 최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을 이용하여 형성된 다층 블로우 용기가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특정 범위의 결정 융점을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프로필렌계 수지(A)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미분산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그 때문에, 얻어지는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 표면 외관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높아지고, 또한 내충격성과 낮은 끈적임성이 양립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최외층과 접하는 내층을 형성하는 중합체로서, 후술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G) 또는 에틸렌계 중합체(H)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층과 최외층의 접착점이 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미분산되기 때문에, 접착점의 수가 많아지고, 내층과의 접착성도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한 경우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개재 하에서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는 프로필렌계 수지(A)에 미분산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그 때문에, 광택, 표면 외관이 우수하고, 내충격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높아지고, 또한 미분산되기 때문에 끈적임성도 낮게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다층 블로우 용기>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최외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전술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최외층 이외의 층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내층을 갖는다.
다층 블로우 용기를 형성하는 다른 층(내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보통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G), 에틸렌계 중합체(H),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ABS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 또는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및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수지 2종 이상의 혼합물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프로필렌계 중합체(G), 에틸렌계 중합체(H)가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필렌계 중합체(G)란, 프로필렌 유래된 구성 단위를 51몰% 이상 갖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이며, 에틸렌계 중합체(H)란, 에틸렌 유래된 구성 단위를 51몰% 이상 갖는 에틸렌계 중합체이다.
다층 블로우 용기가, 다른 층(내층)으로서 스타이렌계 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ABS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등의 극성 수지로 형성되는 층을 갖는 경우에는, 최외층과, 스타이렌계 중합체 또는 극성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층의 사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I)로 형성되는 층을 갖는 것이, 층간의 접착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최외층, 즉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형성되는 층은 고광택이다. 또한, 다층 블로우 용기는 내충격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최외층, 즉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형성되는 층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유동성의 지표인 MFR이 특정한 범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블로우 성형에서, 금형에 접촉하기 직전의 가열 용융 수지의 표면이 용이하게 평활하게 되기 쉽고, 블로우 성형한 후에 있어서도 표면이 평활해지기 쉬운 것으로 추정되고, 이것에 의해 표면 광택성이 우수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유동성의 지표인 MFR이 특정한 범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외관도 양호해진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은, 상기 조성물의 원료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사용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특정 범위의 결정 융점을 갖기 때문에, 수득된 성형체는 전술한 층간 접착성이 우수하고, 끈적임성이 낮다는 등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 외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프로필렌계 수지(A)에 대한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내충격성을 개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특정 범위의 융점을 가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라멜라 두께를 갖고, 라멜라와 라멜라를 잇는 결합 분자의 양도 최적의 것으로 되어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은, 상기 조성물의 원료로서, 필요에 따라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가 사용된다.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는 프로필렌계 수지(A)에 대한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저온 내충격성을 개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고광택인 동시에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한 경우에는 저온 내충격성도 우수하다고 본 발명자들은 추정했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충격에 의한 크랙 등이 억제되고, 최외층이 고광택이기 때문에, 용기가 투명감이 있는 광택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층 블로우 용기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저온 조건에서, 수송, 저장 등이 되어 있는 경우이더라도, 외부에서의 충격에 의한 크랙 등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층 구성으로서는, 최외층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층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컨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최외층과, 최내층의 2층 구성(최외층/최내층의 순으로 배치된 층 구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최외층과, 상기 최외층에 인접하는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에 인접하는 최내층의 3층 구성(최외층/중간층/최내층의 순으로 배치된 층 구성),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최외층과, 상기 최외층에 인접하는 중간층(1)과, 상기 중간층(1)에 인접하는 중간층(2)과, 상기 중간층(2)에 인접하는 최내층의 4층 구성(최외층/중간층(1)/중간층(2)/최내층의 순으로 배치된 층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최외층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층을 내층으로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 중간층은 내층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내층을 적어도 한 층을 갖고, 2층 이상 갖고 있어도 좋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을 최외층에 갖는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에서, 최외층에 인접하는 층이 프로필렌계 중합체(G) 또는 에틸렌계 중합체(H)로 형성되는 경우, 이른바 접착 수지를 이용하지 않아도 강고한 접착성을 발현했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최외층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최외층과 인접하는 층은, 프로필렌계 중합체(G) 또는 에틸렌계 중합체(H)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과 인접하는 층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G) 및 에틸렌계 중합체(H) 이외의 층인 경우에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최외층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접착성 수지층을 개재시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는 최외층과, 다른 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임의의 층이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G)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G)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로서는, 0.1 내지 20.0g/10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내지 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00 내지 168℃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계 중합체(H)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이른바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계 중합체(H)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는 0.860 내지 0.980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로서는 0.01 내지 20g/10분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내지 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I)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산 변성에 사용되는 산은, 예컨대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이타콘산과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변성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 블로우 용기 중의, 최외층과 인접하는 층 이외의 내층은, 프로필렌계 중합체(G), 에틸렌계 중합체(H), 스타이렌계 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ABS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 또는 폴리염화바이닐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층 이외의 층에는, 그 밖의 수지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성형법으로서는, 블로우 성형이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좋다. 성형법으로서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중공 성형법),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사출 중공 성형법), 압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 시트 블로우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다층 블로우 용기로서는, 대량 생산을 행할 때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 또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성형하여 수득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다층 블로우 용기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다층 블로우용 다이를 이용하여,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및 그 밖의 수지를,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최외층이 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득된 파리손이 아직 용융 상태에 있는 사이에, 블로우 형(型)으로 끼우고, 파리손 내에 유체를 취입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형성되는 층이 최외층이 되기 때문에, 고광택의 다층 블로우 용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E)는, 그 MFR을 감안하면, 단독으로는 블로우 성형에 제약을 받는 경우(예컨대, 대형 블로우 성형에는 약간 곤란이 있는 경우가 있다)가 있지만, 본원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최외층 이외의 층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예컨대 (G)나 (H)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광택 등과 대형화 등을 동시에 달성할 수도 있다.
성형 조건은, 수지의 성상에도 좌우되지만, 유체를 취입할 때의 수지의 온도, 즉 성형 온도가 120 내지 260℃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체의 취입 압력이 2 내지 10kg/cm2인 것이 바람직하고, 블로우 비(比)가 1.2 내지 5.0인 것이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블로우 비란, 압출기 다이부로부터 압출된 통 형상 용융 파리손의 외경으로, 성형되는 보틀의 외경을 나눈 값을 말한다.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다층 블로우 용기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및 그 밖의 수지를,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최외층이 되도록,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프리폼(preform)을 성형한다. 이어서 이 프리폼이 용융 상태 또는 연화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또는 일단 프리폼을 고화시킨 후 재가열한 후, 이 프리폼을 연신봉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세로 연신하고, 그 후 가로 방향으로 추가로 연신하기 위해서 프리폼 내에 가압 유체를 압입함으로써 다층 블로우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의해 프리폼을 성형하는 때에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사출 온도가 보통은 160 내지 260℃의 범위이다. 상기 세로 연신 직전의 프리폼의 온도는 1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세로 연신 배율은 1.5 내지 4.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로 연신 배율은 1.5 내지 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두께, 크기는, 다층 블로우 용기의 용도 등에 의해서 적절히 결정되지만, 보통은, 두께 0.3 내지 10.0mm, 크기는 직경 10 내지 300mm, 높이 10 내지 300mm이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최외층의 두께는, 외층과 그 밖의 내층의 두께의 비(외층/내층)가,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5/9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1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외층의 고광택이 가장 발현되기 쉽고, 성형성도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최외층 이외의 층에도 투명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투명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JIS-K7105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헤이즈 값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내용물의 시인성이 매우 양호한, 부가 가치가 높은 보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는, 광택이 우수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최외층의 JIS-K7105에 준거하여 광택계로 측정한 60도 광택도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우수한 광택 외관을 나타내는, 부가 가치가 높은 보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블로우 용기는,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지만, 예컨대 소스, 드레싱, 쥬스, 과일, 감미료, 삶은 야채 등의 식품을 충전하는 용기, 화장품, 샴푸 등의 화장 용품을 충전하는 용기, 액체 세제 등의 위생 용품을 충전하는 용기로서 적합하다.
〔다층 블로우 용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층 블로우 용기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및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최외층을 형성하고,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내층을 형성하도록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 또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수지(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핵제(D),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및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다층 블로우 용기〕의 항에서 설명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다층 블로우 용기〕의 항에서 설명한 그 밖의 수지류, 각종 첨가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 또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최외층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형성되는 다층 블로우 용기를 성형한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다층 블로우 용기는, 상기 다층 블로우 용기의 최외층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함유되기 때문에, 고광택이다. 또한, 다층 블로우 용기는 내충격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다층 블로우 용기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크랙 등이 억제되고, 최외층이 고광택이기 때문에, 용기가 투명감이 있는 광택성을 갖는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필렌계 수지(A-1)의 제조〕
(1) 고체 촉매 성분의 조제
무수 염화마그네슘 95.2g, 데케인 442ml 및 2-에틸헥실알콜 390.6g을 130℃에서 2시간 가열 반응을 행하여 균일 용액으로 한 후, 이 용액 중에 무수 프탈산 21.3g을 첨가하고, 추가로 130℃에서 1시간 교반 혼합을 행하여, 무수 프탈산을 용해시켰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균일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20℃로 유지한 4염화타이타늄 200ml 중에, 이 균일 용액의 75ml를 1시간에 걸쳐 적하 장입했다. 장입 종료 후, 이 혼합액의 온도를 4시간에 걸쳐 110℃로 승온시키고, 110℃에 도달한 때에 프탈산다이아이소뷰틸(DIBP) 5.22g을 첨가하고, 이로부터 2시간 동일 온도에서 교반 유지했다.
2시간의 반응 종료 후, 열 여과로써 고체부를 채취하고, 이 고체부를 275ml의 4염화타이타늄에 재현탁시킨 후, 다시 110℃에서 2시간 가열했다. 반응 종료 후, 다시 열 여과로써 고체부를 채취하고, 110℃의 데케인 및 헥세인으로써 용액 중에 유리된 타이타늄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세정했다. 세정 후의 고체부를,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A)으로 했다.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A)은, 데케인 슬러리로서 보존했지만, 이 중의 일부를 촉매 조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건조시켰다. 상기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A)의 조성은 타이타늄 2.3중량%, 염소 61중량%, 마그네슘 19중량%, DIBP 12.5중량%였다.
한편, 상기 유리 타이타늄 화합물의 검출은 다음 방법으로 행했다. 미리 질소 치환한 100ml의 가지 달린 슐렌크에 상기 고체 촉매 성분의 상등액 10ml를 주사기로 채취하여 장입했다. 다음으로, 질소 기류에서 용매 헥세인을 건조시키고, 추가로 30분간 진공 건조시켰다. 이것에, 이온 교환수 40ml, 50용량% 황산 10ml를 장입하여 30분간 교반했다. 이 수용액을 여과지를 통해서 100ml 메스플라스크로 옮기고, 계속해서 철(II) 이온의 마스킹제로서 conc. H3PO4 1ml와 타이타늄의 발색 시약으로서 3% H2O2 수용액 5ml를 가하고, 추가로 이온 교환수로 100ml로 희석시켰다. 이 메스플라스크를 진탕 혼합하고, 20분 후에 UV를 이용하여 420nm의 흡광도를 관측하여 유리 타이타늄의 검출을 행했다. 이 흡수가 관측되지 않을 때까지 유리 타이타늄의 세정 제거 및 유리 타이타늄의 검출을 행했다.
(2) 예비 중합 촉매 성분의 조제
내용적 500ml의 교반기 달린 3구 플라스크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탈수 처리한 헵테인을 400ml, 트라이에틸알루미늄 19.2mmol, 다이사이클로펜틸다이메톡시실란 3.8mmol, 상기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A) 4g을 가했다. 내부 온도를 2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프로필렌 가스를 8g/hr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도입했다. 1시간 후, 교반을 정지하고 결과로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A) 1g당 2g의 프로필렌이 중합된 예비 중합 촉매 성분(B)을 수득했다.
(3) 중합
내용적 10L의 교반기 달린 스테인레스제 오토클레이브를 충분히 건조하고, 질소 치환 후, 탈수 처리한 헵테인 6L, 트라이에틸알루미늄 12.5mmol, 다이사이클로펜틸다이메톡시실란 0.6mmol을 가했다. 계 내의 질소를 프로필렌으로 치환한 후에, 수소를 0.30MPa-G 장입하고,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도입했다. 한편, 도입량은, 중합조 내의 기상부의 에틸렌 농도가 1.5mol%가 되도록 조정했다.
내부 온도 80℃, 전체 압력 0.8MPa-G로 계 내가 안정된 후, 상기 예비 중합 촉매 성분(B)을 Ti 원자 환산으로 0.10mmol 포함한 헵테인 슬러리 20.8ml를 가하고, 전체 압력과 에틸렌 농도를 유지하도록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80℃에서 3시간 중합을 행했다.
소정 시간 경과한 때에 50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강온, 탈압시켰다. 내용물을 전량 필터 부착된 여과조로 옮기고 60℃로 승온시켜 고액 분리했다. 또한, 60℃의 헵테인 6L에서 고체부를 2회 세정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프로필렌계 수지(A-1))를 진공 건조시켰다.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A-1)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이 3.2중량%,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5℃, Mw/Mn(분자량 분포)는 5.3이었다.
〔프로필렌계 수지(A-2)의 제조〕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에서, 중합조 내의 기상부의 에틸렌 농도가 2.2mol%가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중합을 행했다.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A-2)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이 4.8중량%,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36℃, Mw/Mn(분자량 분포)는 5.5였다.
〔프로필렌계 수지(A-3)의 제조〕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에서, 중합조 내의 기상부의 에틸렌 농도가 0.8mol%가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중합을 행했다.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A-3)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이 1.0중량%,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56℃, Mw/Mn(분자량 분포)는 5.0이었다.
〔프로필렌계 수지(A-4)의 제조〕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에서, 계 내의 질소를 프로필렌으로 치환한 후에, 수소를 0.15MPa-G 장입한 것 이외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중합을 행했다.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A-4)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3.0g/10분,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이 3.2중량%,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5℃, Mw/Mn(분자량 분포)는 5.3이었다.
〔프로필렌계 수지(A-5)의 제조〕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에서, 계 내의 질소를 프로필렌으로 치환한 후에, 수소를 0.45MPa-G 장입한 것 이외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1)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중합을 행했다.
수득된 프로필렌계 수지(A-5)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15.0g/10분,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의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이 3.2중량%,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5℃, Mw/Mn(분자량 분포)는 5.3이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의 제조〕
(1) 촉매의 조제
충분히 질소 치환한 300리터의 반응기에 600℃에서 10시간 건조시킨 실리카 10.0kg과 톨루엔 154리터를 장입하고, 현탁상으로 하여 0℃까지 냉각시켰다. 그 후, 이 현탁액에, 메틸알루미녹세인의 톨루엔 용액(Al = 3.02몰/리터) 23.4리터를 1시간 걸쳐 적하시켰다. 이때, 계 내의 온도를 0 내지 5℃의 범위로 유지했다.
계속해서 0℃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이어서 1.5시간 걸쳐 95℃까지 승온시키고, 그 온도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60℃까지 강온시키고, 상등액을 디켄테이션법에 의해 제거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고체 성분을 톨루엔으로 2회 세정한 후, 톨루엔 100리터로 재현탁시켜, 전량을 160리터로 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현탁액에, 비스(1,3-n-뷰틸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지르코늄다이클로라이드의 톨루엔 용액(Zr = 25.6mmol/리터) 20.0리터를 35℃에서 30분간 걸쳐 적하시키고, 추가로 35℃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헥세인으로 2회 세정함으로써 고체 촉매 성분 1g당 3.2mg의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고체 촉매 성분(1)을 수득했다.
(2) 예비 중합 촉매 성분의 조제
충분히 질소 치환한 350리터의 반응기에, 상기에서 조제한 고체 촉매 성분(1) 7.0kg과 헥세인을 장입하여, 전체 용적을 285리터로 했다. 계 내를 10℃까지 냉각시킨 후, 에틸렌을 8Nm3/hr의 유량으로 5분간 헥세인 중에 취입시켰다. 그 사이, 계 내의 온도는 10 내지 15℃로 유지했다. 그 후, 에틸렌의 공급을 정지하고, 다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DIBALH) 2.4몰 및 1-헥센 1.2kg을 장입했다. 계 내를 밀폐계로 한 후, 8Nm3/hr의 유량으로 에틸렌의 공급을 재차 개시했다. 15분 후, 에틸렌의 유량을 2Nm3/hr으로 내리고, 계 내의 압력을 0.08MPaG로 했다. 그 사이에, 계 내의 온도는 35℃까지 상승했다. 그 후, 계 내의 온도를 32 내지 35℃로 조절하면서, 에틸렌을 4Nm3/hr의 유량으로 3.5시간 공급했다. 그 사이, 계 내의 압력은 0.07 내지 0.08MPaG로 유지되고 있었다. 이어서, 계 내를 질소에 의해 치환을 행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헥세인으로 2회 세정했다. 이렇게 하여 고체 촉매 성분 1g당 3g의 폴리머가 예비 중합된 예비 중합 촉매(2)를 수득했다.
(3) 중합
연속식 유동상 기상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전압 2.0MPaG, 중합 온도 70℃, 가스 선속 0.7m/초로, 에틸렌과 1-헥센의 공중합을 행했다.
상기에서 조제한 예비 중합 촉매(2)를 4.1g/hr 및 TIBA를 5mmol/hr의 비율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하는 사이 일정한 가스 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에틸렌, 1-헥센, 수소, 질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가스 조성(mol비); 1-헥센/에틸렌 = 0.04, 수소/에틸렌 = 4.0×10-4, 에틸렌 농도 = 71%).
수득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의 수득량은 6.0kg/hr이며,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98℃이며,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903g/cm3이며, MFR(ASTM-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이 7.0g/10분, Mw/Mn(분자량 분포)는 2.6이었다.
한편, 수득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로도 기재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의 제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의 제조에서, 중합 온도를 80℃로 변경하고, 가스 조성(mol비)을 1-헥센/에틸렌 = 0.03, 수소/에틸렌 = 4.2×10-4, 에틸렌 농도 = 71%로 변경한 것 이외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수득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의 수득량은 6.0kg/hr이며,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13℃이며,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913g/cm3이며, MFR(ASTM-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이 7.0g/10분, Mw/Mn(분자량 분포)는 2.6이었다.
한편, 수득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로도 기재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3)의 제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의 제조에서, 중합 온도를 80℃로 변경하고, 가스 조성(mol비)을 1-헥센/에틸렌 = 0.02, 수소/에틸렌 = 4.6×10-4, 에틸렌 농도 = 7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수득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의 수득량은 5.8kg/hr이며,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20℃이며,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924g/cm3이며, MFR(ASTM-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이 7.0g/10분, Mw/Mn(분자량 분포)는 2.6이었다.
한편, 수득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3)로도 기재한다.
〔실시예 A1〕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7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3중량부, 추가로 핵제(D)로서 아데카 스타브 NA-21(ADEKA사제: 비스(2,4,8,10-테트라-t-뷰틸-6-하이드록시-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6-옥사이드)수산화알루미늄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한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계 조핵제)를 0.15중량부 및 첨가제로서 페놀계 산화 방지제[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0.10중량부, 인계 산화 방지제[트리스(2,4-다이-t-뷰틸페닐)포스파이트]을 0.10중량부, 중화제로서 스테아르산칼슘을 0.09중량부, 대전 방지제로서 스테아르산모노그리세라이드를 0.10중량부 헨셸 믹서로써 교반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나카타니기계사제의 2축 압출기(NR-36)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2축 압출기 조건)
형식: NR-36
스크류 회전수 250rpm
수지 온도 200℃
수득된 스트랜드를 수냉 후 펠렛타이저로써 절단하는 것에 의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의 펠렛을 수득했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이어서,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했다.
3종 3층 다층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기(주식회사플라코사제, 3B50·40·40 블로우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 조건으로서 실린더 온도가 200℃, 유체의 취입 압력을 5.0kg/cm2로 설정하고, 다이 홀 크기 14.0mm, 코어 크기 12.5mm의 크로스헤드 다이에 의해 외경 20.0mm 통 형상의 용융 파리손을 성형하고, 중량 34g, 내용량 780ml, 입구부 나사 외경 27.0mm, 몸통 외경 72mm, 몸통 평균 두께 0.5mmt의 2층 구조의 원통상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내층의 압출기를 이용하지 않고, 실린더 온도를 200℃로 설정한 중간층과 외층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기재(내층)용으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B251VT((주)프라임폴리머사제,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1.2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6℃)를 중간층의 압출기에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을 외층의 압출기에서, 외층 두께 비율 15%가 되도록 용해하고, 크로스헤드 다이에 의해 통 형상의 용융 파리손을 성형한 후, 물 순환 회로에 의해 25℃로 온도 조정한 블로우 금형에 끼워, 압축 공기로써 금형에 연신 밀착시켜 냉각 고화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한편, 블로우 금형으로서는, 표면 처리로서 샌드 블라스트 처리 #400을 행한 금형 및 샌드 블라스트 처리 #200을 행한 금형의 2종류의 금형을 이용하고, 각각의 금형을 이용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수득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시험용 보틀로서 이용하여, 하기 기재의 평가 방법에 의해 헤이즈, 광택(gloss), 성형성, 접착성,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 끈적임성을 측정했다. 한편, 금형의 표면 처리가, 얻어지는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에 영향을 주는지 어떤지를 조사하기 위해, 2종류의 금형을 이용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작성하여, 각각의 광택을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2〕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5.5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4.5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A2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2)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3〕
다층 블로우 성형 시, 기재(내층)용으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B251VT((주)프라임폴리머사제) 대신에 프로필렌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 B511QA((주)프라임폴리머사제,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는 1.2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58℃)을 중간층에서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4〕
다층 블로우 성형 시, 기재(내층)용으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B251VT((주)프라임폴리머사제) 대신에 PE계 수지 HDPE, HZ-6008B((주)프라임폴리머사제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0.7g/10분,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958g/cm3)을 중간층에서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5〕
프로필렌계 수지(A-1)를 80.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20.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행했다. 실시예 A5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3)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8℃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6〕
핵제(D)로서 아데카 스타브 NA-21(ADEKA사제) 0.15중량부 대신에 겔 올 MD(신니폰케미컬(주)사 제품명, 화학명=1,3,2,4-다이(p-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표 중에 G-MD로 기재) 0.3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실시예 A6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7)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9℃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7〕
프로필렌계 수지(A-1)를 프로필렌계 수지(A-4)로 교체하고, 헨셸 믹서로 교반 혼합할 때에, 유기 과산화물로서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세인]을 0.006중량부 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실시예 A7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20)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
프로필렌계 수지(A-1)를 10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1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4)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배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본 청구항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배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접착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2〕
프로필렌계 수지(A-1)를 70.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30.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2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5)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2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배합량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많다. 이 때문에 끈적임성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3〕
핵제(D)로서 아데카 스타브 NA-21(ADEKA사제)을 첨가하지 않았다는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3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6)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5℃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3에서는, 핵제(D)를 배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본 청구항 1의 안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것 때문에 광택(gloss)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4〕
프로필렌계 수지(A-1) 대신에 프로필렌계 수지(A-2)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4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8)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38℃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4에서는, 프로필렌계 수지(A)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낮다. 이 때문에 성형성과 끈적임성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5〕
프로필렌계 수지(A-1) 대신에 프로필렌계 수지(A-3)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5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9)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58℃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5에서는, 프로필렌계 수지(A)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높다. 이 때문에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6〕
프로필렌계 수지(A-1) 대신에 프로필렌계 수지(A-4)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6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0)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3.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6에서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낮다. 이 때문에 광택(gloss)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7〕
프로필렌계 수지(A-1) 대신에 프로필렌계 수지(A-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7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1)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15.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7에서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높다. 이 때문에 성형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8〕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8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2)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8에서 이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높다. 이 때문에 접착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또한, 내충격성과 끈적임 특성의 균형이 좋지 않다.
〔비교예 A9〕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0.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를 10.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비교예 A8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9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3)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9에서 이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높다. 이 때문에 접착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또한, 내충격성과 끈적임 특성의 균형이 좋지 않다.
〔비교예 A10〕
프로필렌계 수지(A-1)를 80.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를 20.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비교예 A8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10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4)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0에서 이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높다. 이 때문에 접착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또한, 내충격성과 끈적임 특성의 균형이 좋지 않다.
〔비교예 A1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3)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11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5)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1에서 이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3)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청구항에 규정된 범위보다 높다. 이 때문에 광택(gloss)과 접착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또한, 내충격성과 끈적임 특성의 균형이 좋지 않다.
〔비교예 A12〕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 대신에 메탈로센 촉매가 아닌 지글러-나타 촉매로써 제조되는 PE계 수지 L-LDPE(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ULT ZEX 1030L((주)프라임폴리머사제, 밀도 0.909g/cm3,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 g/10min,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1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2와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12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6)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2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대신에 ULT ZEX 1030L을 이용했다. ULT ZEX 1030L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은 115℃이며, 청구항에 규정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DSC 융점의 범위보다 높다. 또한, ULT ZEX 1030L은, 메탈로센 촉매가 아닌 지글러-나타 촉매로 중합되기 때문에,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6)로 형성되는 다층 블로우 용기는, 접착성, 끈적임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또한, 내충격성과 끈적임 특성의 균형이 좋지 않다.
〔비교예 A13〕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 대신에 PE계 수지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HZ-2100J((주)프라임폴리머사제, 밀도 0.956g/cm3,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11.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31℃, Mw/Mn(분자량 분포)는 7.0)로 변경하고,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0.0중량부 및 PE계 수지 HDPE, HZ-2100J((주)프라임폴리머사제)를 10.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13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7)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8.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3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대신에 HZ-2100J를 이용했다. HZ-2100J의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은 131℃ 이며, 청구항에 규정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DSC 융점의 범위보다 높다. 또한, HZ-2100J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956g/cm3이다. 이 때문에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7)로 형성되는 다층 블로우 용기는, 접착성과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이 뒤떨어져 있다. 또한, 내충격성과 끈적임 특성의 균형이 좋지 않다.
〔비교예 A14〕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로서 타프머 P-0680(폴리에틸렌 고무(EPR), 미쓰이화학(주)사제, 밀도 0.870g/cm3,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1.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측정되지 않는다.)로 변경하고,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0.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로서 타프머 P-0680(미쓰이화학(주)사제)를 10.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14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8)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6.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4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대신에, 타프머 P-0680(미쓰이화학(주)사제)을 이용하고 있다. 타프머 P-0680은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측정되지 않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1.0g/10분,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도 0.870g/cm3였다.
이 때문에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8)로 형성되는 다층 블로우 용기는 광택성(gloss), 접착성과 끈적임성이 뒤떨어져 있다.
〔비교예 A15〕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 대신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로서 타프머 P-0180(폴리에틸렌 고무(EPR), 미쓰이화학(주)사제, 밀도 0.870g/cm3,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8.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측정되지 않는다.)로 변경하고,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0.0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로서 타프머 P-0180(미쓰이화학(주)사제)를 10.0중량부의 비율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A15에서 수득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9)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 및 다층 블로우 용기 시험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A15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대신에, 타프머 P-0180(미쓰이화학(주)사제)을 이용하고 있다. 타프머 P-0180은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측정되지 않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밀도는 0.870g/cm3였다. 이 때문에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19)로 형성되는 다층 블로우 용기는 접착성과 끈적임성이 뒤떨어져 있다.
〔실시예 B1〕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7중량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3중량부, 추가로 핵제(D)로서 아데카 스타브 NA-21(ADEKA사제: 비스(2,4,8,10-테트라-t-뷰틸-6-하이드록시-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6-옥사이드)수산화알루미늄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한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계 조핵제)을 0.15중량부,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로서,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P-0280(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 0.870g/cm3, 지글러-나타 촉매,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 관찰되지 않음, MFR(ASTM-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 5.4g/10분)을 15중량부, 및 첨가제로서 페놀계 산화 방지제[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0.10중량부, 인계 산화 방지제[트리스(2,4-다이-t-뷰틸페닐)포스파이트]]를 0.10중량부, 중화제로서 스테아르산칼슘을 0.09중량부를 헨셸 믹서로써 교반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나카타니기계사제의 2축 압출기(NR-36)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2축 압출기 조건)
형식: NR-36
스크류 회전수 250rpm
수지 온도 200℃
수득된 스트랜드를 수냉 후 펠렛타이저로 절단함으로써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21)의 펠렛을 수득했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E-21)의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7.0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7℃였다.
결과를 반결정화 시간, 악취의 측정 결과와 함께 표에 나타내었다.
이어서,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했다.
3종 3층 다층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기(주식회사플라코사제, 3B50·40·40 블로우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 조건으로서 실린더 온도가 200℃, 유체의 취입 압력을 5.0kg/cm2로 설정하고, 다이 홀 크기 14.0mm, 코어 크기 12.5mm의 크로스헤드 다이에 의해 외경 20.0mm 통 형상의 용융 파리손을 성형하고, 중량 34g, 내용량 780ml, 입구부 나사 외경 27.0mm, 몸통 외경 72mm, 몸통 평균 두께 0.5mmt의 2층 구조의 원통 형상 다층 블로우 용기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내층의 압출기를 이용하지 않고, 실린더 온도를 200℃로 설정한 중간층과 외층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기재(내층)용으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B251VT((주)프라임폴리머사제, 용융 유량(MFR)(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은 1.2g/10분,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6℃)를 중간층의 압출기에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21)을 외층의 압출기에서, 외층 두께 비율 15%가 되도록 용해하여, 크로스헤드 다이에 의해 통 형상의 용융 파리손을 성형한 후, 물 순환 회로에 의해 25℃로 온도 조정한 블로우 금형에 끼워, 압축 공기로써 금형에 연신 밀착시켜 냉각 고화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한편, 블로우 금형으로서는, 표면 처리로서 샌드 블라스트 처리 #400을 행한 금형 및 샌드 블라스트 처리 #200을 행한 금형의 2종류의 금형을 이용하고, 각각의 금형을 이용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수득된 다층 블로우 용기를 시험용 보틀로서 이용하여, 하기 기재의 평가 방법에 의해 헤이즈, 광택(gloss), 성형성, 접착성, 끈적임,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 및 저온 내충격성(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을 측정했다. 한편, 금형의 표면 처리가 얻어지는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에 영향을 주는지 어떤지를 조사하기 위해, 2종류의 금형을 이용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작성하여, 각각의 광택을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B2〕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P-0280으로부터,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A-4085S(에틸렌-뷰텐 공중합체,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 0.885g/cm3,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 70℃, MFR(ASTM-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 6.7g/10분)로 변경하고, 그 배합량을 15중량부로부터 7중량부로 변경하고, 대전 방지제로서 스테아르산모노그리세라이드를 0.1중량부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행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행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B3〕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0중량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10중량부로 변경하고,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P-0280으로부터,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A-4085S로 변경하고, 그 배합량을 15중량부로부터 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B4〕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P-0280으로부터,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A-4085S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B5〕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하지 않았다는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B6〕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5.5중량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4.5중량부로 변경하고,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하지 않고, 대전 방지제로서 스테아르산모노그리세라이드를 0.1중량부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B7〕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0중량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10중량부로 변경하고,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이용하지 않았다는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참고예 B1〕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5.5중량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4.5중량부로 변경하고,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15중량부로부터 2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B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1)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로 변경하고, 프로필렌계 수지(A-1)를 95.5중량부로 변경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2)를 4.5중량부 이용하고,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를,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P-0280으로부터, 미쓰이화학사제, 타프머 P-0275(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 0.860g/cm3, DSC 융점(JIS-K7121에 준거,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 관찰되지 않음, MFR(ASTM-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 5.4g/10분)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랜드를 수득했다.
상기 스트랜드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B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블로우 용기를 수득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평가 방법〕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프로필렌계 중합체(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또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에 나타낸다.
〔MFR(용융 유량)〕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및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MFR은 ASTM D-1238, 측정 온도 230℃, 하중 2.16kg에 따라서 측정했다.
ASTM D-1238에 근거하여, MFR 계측 시에 얻어지는 스트랜드를 채취하여, 하기 밀도의 측정에 사용한다.
〔융점(Tm)〕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및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결정 융점은 JIS-K7121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계(DSC, 퍼킨 엘머사제(Diamond DSC))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했다. 여기서 측정한 제 3 단계에서의 흡열 피크의 정점을 결정 융점(Tm)으로 정의했다. 흡열 피크가 복수인 경우는 피크 높이가 최대로 되는 흡열 피크 정점을 결정 융점(Tm)으로 정의한다.
(측정 조건)
측정 환경: 질소 가스 분위기
샘플량: 5mg
샘플 형상: 프레스 필름(230℃ 성형, 두께 200 내지 400㎛)
제 1 단계: 30℃로부터 10℃/min로 240℃까지 승온시키고, 10분간 유지한다.
제 2 단계: 10℃/min로 60℃까지 강온시킨다.
제 3 단계: 10℃/min로 240℃까지 승온시킨다.
〔반결정화 시간(T1 /2)〕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반결정화 시간(T1 /2)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 퍼킨 엘머사제(DSC7))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했다. 125℃ 등온 조건 하에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을 결정화시키고, 이때 결정화에 수반되는 발열량을 측정하여, 발열 개시(결정화 개시)부터 발열량이 전체 발열량의 반값이 되기까지의 시간(초)을 반결정화 시간(t1 /2)으로서 측정했다. 반결정화 시간(t1 /2)의 값이 작을수록 결정화 속도가 빠른 것을 의미한다.
(측정 조건)
측정 환경: 질소 가스 분위기
샘플량: 5mg
샘플 형상: 프레스 필름(230℃ 성형, 두께 200 내지 400㎛)
제 1 단계: 30℃로부터 10℃/min로 220℃까지 승온시키고, 3분간 유지한다.
제 2 단계: 60℃/min로 125℃까지 강온시킨다.
〔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밀도는, 상기 MFR의 측정 시에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스트랜드를 각각 120℃에서 1시간 열처리하고, 1시간 걸쳐 실온까지 서냉한 후, 밀도 구배관으로 측정했다.
〔Mw/Mn(분자량 분포)〕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Mw/Mn은, 하기 측정법으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 평균 분자량(Mn)으로부터 구했다.
Mw 및 Mn은 워터즈사제 GPC-150C Plus를 이용하여 이하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했다.
분리 컬럼에는 TSKgel GMH6-HT 및 TSKgel GMH6-HTL을 이용하고, 컬럼 크기는 각각 내경 7.5mm, 길이 600mm이며, 컬럼 온도는 140℃로 하고, 이동상에는 o-다이클로로벤젠(와코쥰야쿠공업(주)) 및 산화 방지제로서 BHT(와코쥰야쿠공업(주)) 0.025중량%를 이용하고, 1.0ml/분으로 이동시키고, 시료 농도는 0.1중량%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500㎕로 하고, 검출기로서 시차 굴절계를 이용했다.
표준 폴리스타이렌은, 분자량이 Mw<1000 및 Mw>4×106에 관해서는 도소(주)제를 이용하고, 1000≤Mw≤4×106에 관해서는 프레셔 케미컬사제를 이용했다.
〔헤이즈〕
다층 블로우 용기의 헤이즈는 용기 몸통부로부터 측정 부위를 잘라내어, JIS-K7105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NIPPON DENSHOKU(NDH2000))로 헤이즈(헤이즈 값)를 측정했다. 헤이즈의 값이 작을수록 투명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광택〕
광택성의 평가는 하기의 광택의 측정에 의해 평가했다. 다층 블로우 용기의 광택은, 용기 몸통부로부터 측정 부위를 잘라내어, JIS-K7105에 준거하여 광택계(NIPPON DENSHOKU(VG2000))로 외층의 60도 광택도를 측정했다. 광택의 값이 클수록 우수한 광택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성형성〕
다층 블로우 용기의 성형성은, 수득된 용기 외관을 관찰하여, 용기 몸통부에 블로우 시의 용융 파리손의 표면 피부 거침에 의한 주름의 유무로 평가했다.
AA: 주름이 전혀 없거나 또는 눈에 띄지 않고, 성형성이 양호함.
BB: 주름이 관찰되거나 또는 눈에 띄고, 성형성이 뒤떨어짐.
〔접착성〕
다층 블로우 용기의 본원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형성되는 최외층과 인접하는 층의 층간에서, 용기 성형 시에 버(burr) 절단부, 즉 용기 상부 및 용기 하부의 핀치-오프(pinch-off)부에 발생하는 층 박리에 의한 끈 형상이나 띠 형상으로 관찰되는 외관 불량의 유무를 평가한다.
AA: 외관 불량이 없고, 접착성이 양호함.
BB: 잘 보면 외관 불량이 관찰되고, 접착성이 약간 뒤떨어짐.
CC: 명백한 외관 불량이 있고, 접착성이 뒤떨어짐.
〔악취〕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의 악취는, 상기 조성물의 펠렛 10g을 100ml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뚜껑 마개로서 밀봉하고, 100℃ 오븐에서 1시간 가열 후 꺼내고, 직후에 뚜껑 마개를 열어, 발생한 악취를 관능 시험으로써 아래와 같이 우열 판단했다.
AA···악취 없음.
BB···약간 악취 있음.
CC···악취 있음.
〔내충격성〕
내충격성의 평가는, 하기 만수 낙하 충격 강도 측정법에 의한 표면 균열의 발생 유무에 의해 평가했다. 다층 블로우 용기(내용량 780ml)에 물을 가득 채운 충전 용기를 5℃(내충격성의 평가)로 냉각시키고, 각 온도로 냉각시킨 각각 10개의 용기를 용기의 저면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1m의 높이가 되는 위치에서 수직 낙하시켜, 다음 낙하 기준에 따라서 평가를 행했다. 균열의 판정은 표층 균열의 발생 유무로써 판단했다.
AA: 전체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음.
BB: 반수 이상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지만, 적어도 1개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함.
CC: 과반수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함.
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 측정법의 평가가 양호할수록, 내충격성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저온 내충격성〕
저온 내충격성의 평가는, 하기 만수 낙하 충격 강도 측정법에 의한 표면 균열의 발생 유무에 의해 평가했다. 다층 블로우 용기(내용량 780ml)에, 에틸렌글라이콜/물 = 5/5(부피/부피)로 이루어진 액체를 가득 채운 충전 용기를 -5℃(저온 내충격성의 평가)로 냉각시키고, 각 온도로 냉각시킨 각각 10개의 용기를 용기의 저면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1m의 높이가 되는 위치에서 수직 낙하시켜, 다음 낙하 기준에 따라서 평가를 행했다. 균열의 판정은 표층 균열의 발생 유무로써 판단했다.
AA: 전체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음.
BB: 반수 이상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지만, 적어도 1개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함.
CC: 과반수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함.
만수 낙하 내충격 강도 측정법의 평가가 양호할수록, 저온 내충격성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끈적임성〕
다층 블로우 용기의 표면의 감촉에 대하여, 성형 후 48 내지 72시간 23℃에서 상태 조정한 보틀의 표면에 대하여, 끈적끈적한 촉감의 유무를 관능 시험으로써 아래와 같이 우열 판단했다.
AA: 전혀 끈적임을 느끼지 않음.
BB: 거의 끈적임을 느끼지 않음.
CC: 다소 끈적임을 느낌.
DD: 끈적임을 느낌.
본원 청구의 다층 블로우 용기에서는, 끈적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끈적임이 발생하는 것은 끈적임성이 뒤떨어진다고 했다.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계 수지 중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
13C-NMR에 의해 산출한,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와,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중량%로 했을 때,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 유래의 구성 단위의 중량은 13C-NMR의 측정에 근거하여 하기와 같이 하여 측정·산출하여 결정했다.
13C-NMR 측정 조건
측정 장치: 니폰전자제 LA400형 핵자기 공명 장치
측정 모드: BCM(Bilevel Complete decoupling)
관측 주파수: 100.4MHz
관측 범위: 17006.8Hz
펄스 폭: C핵 45°(7.8μ초)
펄스 반복 시간: 5초
시료관: 5mmφ
시료관 회전수: 12Hz
누적 회수: 20000회
측정 온도: 125℃
용매: 1,2,4-트라이클로로벤젠: 0.35ml/중벤젠: 0.2ml
시료량: 약 40mg
코모노머가 에틸렌인 경우, 수득된 13C-NMR 스펙트럼을 하기 문헌(1)에 준거하여 모노머 연쇄 분포(다이애드(2연자) 분포)의 비율을 결정하고, 프로필렌계 수지의 (A)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몰 분율(mol%)(이하 E(mol%)로 기재함) 및 프로필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몰 분율(mol%)(이하 P(mol%)로 기재함)을 산출했다. 구해진 E(mol%) 및 P(mol%)로부터 중량%로 환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A) 중의 프로필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중량% 및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중량%를 산출했다.
문헌(1): Kakugo, M.; Naito, Y.; Mizunuma, K.; Miyatake, T., Macromolecules 1982, 15, (4), 1150-1152
한편, 다층 블로우 용기의 물성에 대한 평가 중, 헤이즈, 성형성, 접착성, 내충격성, 저온 내충격성 및 끈적임성에 관해서는, 샌드 블라스트 처리 #400을 행한 금형을 이용하여 작성된 다층 블로우 용기에 대하여 측정했다.
Claims (13)
- 최외층에 사용되는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A) 80 내지 98중량부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2 내지 20중량부(단, (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임)와 핵제(D) 0.01 내지 0.5중량부로 형성되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하기 요건 (A-1) 및 (A-2)를 만족시키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하기 요건 (B-1) 및 (B-2)를 만족시키고,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하기 요건 (E-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A-1)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A-2)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140 내지 155℃의 범위이다.
(B-1)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B-2)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85℃ 이상 110℃ 미만의 범위이다.
(E-1)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E)이 추가로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 0.1 내지 20중량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가 하기 요건 (F-1) 및 (F-2)를 만족시키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B[g/cm3]) 및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의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F[g/cm3])가 하기 요건 (X-1)을 만족시키는 다층 블로우 용기.
(F-1)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 내지 20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F-2) JIS-K7121에 준거하여 DSC로 측정한 결정 융점이 89℃ 이하이거나, 또는 결정 융점에 근거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는다.
(X-1) dB[g/cm3]>dF[g/cm3]이며, 0.010[g/cm3]≤(dB-dF)[g/cm3]≤0.050[g/cm3]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4)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B-4)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880 내지 0.910g/cm3의 범위이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4a)를 만족시키고, 상기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F)가 추가로 하기 요건 (F-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B-4a)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B[g/cm3])가 0.890 내지 0.910g/cm3의 범위이다.
(F-3) 밀도 구배관법으로 측정한 밀도(dF[g/cm3])가 0.865 내지 0.900g/cm3의 범위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추가로 하기 요건 (A-4)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A-4)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이 4.0 이상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추가로 하기 요건 (A-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A-3)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B-5) GPC에 의해 측정한 Mw/Mn이 1.2 내지 3.0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추가로 하기 요건 (B-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B-3) ASTM D-1238에 준거하여 측정 온도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MFR이 5 내지 10g/10분의 범위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D)가 방향족 인산에스터 화합물, 카복실산 금속염 조핵제, 폴리머 조핵제, 소르비톨계 조핵제 및 무기 화합물 조핵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A)가 95.5 내지 98중량부이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가 2 내지 4.5중량부(단, (A)와 (B)의 합계는 100중량부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블로우 용기가, 적어도 하나의 내층으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G) 또는 에틸렌계 중합체(H)로 형성되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블로우 용기가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 또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성형하여 수득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 - 제 1 항에 기재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및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이 최외층을 형성하고,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E)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내층을 형성하도록,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 또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블로우 용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012354 | 2010-01-22 | ||
JPJP-P-2010-012354 | 2010-01-22 | ||
JPJP-P-2010-031430 | 2010-02-16 | ||
JP2010031430 | 2010-02-16 | ||
PCT/JP2011/050939 WO2011090101A1 (ja) | 2010-01-22 | 2011-01-20 | 多層ブロー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4436A KR20120104436A (ko) | 2012-09-20 |
KR101333450B1 true KR101333450B1 (ko) | 2013-11-26 |
Family
ID=4430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1432A KR101333450B1 (ko) | 2010-01-22 | 2011-01-20 | 다층 블로우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379247B2 (ko) |
KR (1) | KR101333450B1 (ko) |
CN (1) | CN102712186B (ko) |
WO (1) | WO20110901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77956B (zh) * | 2013-03-28 | 2017-05-17 | 优泊公司 | 模内成型用标签及使用其的带标签的塑料容器 |
JP6634008B2 (ja) * | 2014-03-10 | 2020-01-22 |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延伸容器 |
EP3246158B1 (en) * | 2015-01-16 | 2021-05-26 | Prime Polymer Co., Ltd. | Laminate, container,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 and sheet for laminate raw material |
US10173813B2 (en) * | 2016-09-29 | 2019-01-08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Flexible container with pop-up spout |
JP7055598B2 (ja) * | 2017-05-31 | 2022-04-18 |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 滅菌容器 |
JP6980452B2 (ja) * | 2017-08-09 | 2021-12-15 | 住友化学株式会社 | 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ブローフィルシール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
JP6935748B2 (ja) * | 2018-01-09 | 2021-09-15 |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
BR112021003442A2 (pt) * | 2018-09-26 | 2021-05-18 | Borealis Ag | composição de copolímero de propileno com excelentes propriedades mecânicas e ópticas |
KR102157673B1 (ko) * | 2020-04-28 | 2020-09-21 | 라니홀딩스(주) | 식품 포장용 용기 |
KR20230033636A (ko) | 2020-06-30 | 2023-03-08 |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 열 성형을 위한 선명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796A (ja) * | 1992-07-14 | 1994-02-08 | Chisso Corp |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中空容器 |
JPH09166476A (ja) * | 1995-12-13 | 1997-06-24 | Kyoto Puratetsuku:Kk | 液面センサ |
JP2009013333A (ja) | 2007-07-06 | 2009-01-22 | Sumitomo Chemical Co Ltd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65476A (ja) * | 1995-12-15 | 1997-06-24 | Chisso Corp | 多層中空容器 |
KR100565151B1 (ko) * | 1999-02-04 | 2006-03-30 |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및 제조 방법 |
CN101384627A (zh) * | 2006-02-15 | 2009-03-11 | 三井化学株式会社 | 乙烯系树脂以及由其形成的吹塑成型体 |
AU2007295404B2 (en) * | 2006-09-12 | 2010-10-28 | Mitsui Chemicals, Inc. | Polypropylene resin and blow molded container |
-
2011
- 2011-01-20 KR KR1020127021432A patent/KR1013334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1-20 CN CN201180006278.4A patent/CN102712186B/zh active Active
- 2011-01-20 JP JP2011550944A patent/JP5379247B2/ja active Active
- 2011-01-20 WO PCT/JP2011/050939 patent/WO201109010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796A (ja) * | 1992-07-14 | 1994-02-08 | Chisso Corp |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中空容器 |
JPH09166476A (ja) * | 1995-12-13 | 1997-06-24 | Kyoto Puratetsuku:Kk | 液面センサ |
JP2009013333A (ja) | 2007-07-06 | 2009-01-22 | Sumitomo Chemical Co Ltd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4436A (ko) | 2012-09-20 |
JPWO2011090101A1 (ja) | 2013-05-23 |
JP5379247B2 (ja) | 2013-12-25 |
WO2011090101A1 (ja) | 2011-07-28 |
CN102712186B (zh) | 2014-07-16 |
CN102712186A (zh) | 2012-10-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3450B1 (ko) | 다층 블로우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89950B1 (ko) |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및 이 적층체를 사용한 의료 용기 | |
JP5525847B2 (ja) | プロピレン系多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圧処理用包装袋 | |
JP2009154332A (ja) | 積層体 | |
JP2024500675A (ja) | ランダムアルファ-オレフィンコポリマー及び追加のポリマーを含むリサイクル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 |
JP2009155422A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 |
JP5439293B2 (ja) | プロピレン系樹脂多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熱処理用包装体 | |
JP2000190438A (ja) | 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 | |
CN101280087B (zh) | 聚丙烯树脂组合物和含有该组合物的模塑制品 | |
JP6098221B2 (ja) | 多層中空容器 | |
JP4694762B2 (ja) | 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 | |
JP5224763B2 (ja) | シュリンクラベル | |
KR102411761B1 (ko) |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용기 | |
JP2012030802A (ja) | 熱成形容器 | |
JP2000212348A (ja) |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 |
JP2008266502A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フィルム | |
JP3948252B2 (ja) | 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 | |
JP4575576B2 (ja) |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 |
CN101611087B (zh) | 聚丙烯类树脂组合物及含有其的成形体 | |
JP2009084377A (ja) | シュリンクフィルム | |
JP2016155890A (ja) |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積層フィルム | |
JP2006225536A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からなる中空容器 | |
JP7126601B2 (ja) |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 |
JP4449131B2 (ja) |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中空成形容器 | |
JP5821234B2 (ja) |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