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965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8965B1 KR101328965B1 KR1020110102834A KR20110102834A KR101328965B1 KR 101328965 B1 KR101328965 B1 KR 101328965B1 KR 1020110102834 A KR1020110102834 A KR 1020110102834A KR 20110102834 A KR20110102834 A KR 20110102834A KR 101328965 B1 KR101328965 B1 KR 101328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support
- display unit
- support members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화면 출력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구동회로에 의하여 각 화소의 발광상태가 구현되어 전체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구동방식에 따라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EL) 표시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우징 내부에는 전자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과, 소정의 정보처리를 위한 회로장치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장부품들이 장착된 회로기판 등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벽걸이 방식으로 벽면 등에 고정되거나, 스탠드 방식으로 책상 등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설치용 브라켓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일부가 편평한 플레이트의 형태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스탠드에 장착된다.
종래 기술 중 한국 공개특허 10-2005-00558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일종인 LCD모니터와 그 스탠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모니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와, 상기 스탠드 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탠드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나, 그 조절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디스플레이부의 슬림화 경향에 맞추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용이한 각도 조절이 구현가능한 지지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의 용이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2 지지부재와,
상기 제1,2지지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2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지지면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는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공의 상하직경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연결되며 상항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1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2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2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의 간격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상기 가이드 홈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는 제1,2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가이드 홈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가이드홈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되,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2 지지부재와,
상기 제1,2지지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2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지지면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할수록,
상기 제1,2지지부재 간의 간격은 넓어지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탄성력을 가진 절곡된 지지부재를 디스플레이 후면에 장착하게 하고, 이 지지부재의 회동운동을 제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접촉부만으로 지지구조가 구성되기 때문에 지지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회동각도의 변화 폭이 종전 발명에 비하여 현저하게 커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지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로 놓거나, 또는 수평상태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4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5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6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4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5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6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유닛(11)이 수용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하우징(12)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20)가 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접촉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과 상기 하우징(12)을 합하여 디스플레이부(10)라고 하겠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 후방에는 개방부(13)가 마련되는데, 상기 개방부(13)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면의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부(12)의 테두리에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방부(13) 테두리 양측에는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헤드부(40)가 마련되며, 상기 헤드부(40)에는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터널 형태의 삽입공(45)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ㄷ' 형태로 절곡되어져 마련되며, 그 단부는 폭 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에서 절곡된 부분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0)에 삽입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방에 플립(Flip)형태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해서 접힐 수 있거나 또는 펴질 수 있게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2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지면에 대한 배치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삽입공(45)에 삽입되어 지지되되, 각각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지지부재(21,22)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와 연결되고 피지지면과 접촉하는 제3지지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연결 다리 형태로 마련되어, 지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그 외주면이 지지면에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40)도 상기 개방부(13)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부(30) 또한 상기 개방부(13)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단부는 각각 상기 개방부(13)의 양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헤드부(40)의 삽입공(45)을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30)가 'ㄷ'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지지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단부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 위치로 복귀하려는 특성을 갖는다.
즉, 상기 탄성복원력은 양측 방향으로 가해지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상기 제1,2지지부재(31,32)가 상기 접촉부(30)에 대하여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20)를 금속성 재질이나, 또는 소정의 수지물로 제작한 경우, 그러한 탄성 복원력의 특성이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부재(20)가 상기 접촉부(30)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와 상기 접촉부(30)의 접촉위치에 따라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접촉부(30)는 상기 삽입공(45)보다 외측에 마련되되, 상기 개방부(13)의 측면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내측을 돌출되게 마련되는 돌출부(33)와, 상기 돌출부(33)의 상부에 마련되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부(31)와, 상기 돌출부(33)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항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33)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경사부(31)에 접촉되어 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넘어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후방 위쪽으로 회동하려 하여도, 상기 돌출부(33)에 걸려서 그 회동운동이 제한되고, 상기 돌출부(3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지지부재(23)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를 잡고 위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상기 돌출부(33)을 타고 넘어가서,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에 접촉할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간의 간격이 최소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그 간격이 넓어진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상기 제2경사부(32)에 가해지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제2경사부(32)에 지지될 수 있는 마찰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2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지면의 수직선에 대해서 제1배치각도(θ1)를 유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1배치각도(θ1) 범위는 대략 20°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 측면과 상면이 상기 제2경사부(32)와, 상기 돌출부(33)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1배치각도(θ1)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상기 지지부재(20)를 후방으로 힘을 가하고, 이러한 후방으로 미는 힘은 상기 지지부재(20) 후방 상부 방향(A방향)으로 회동시키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제2경사부(32)에 대하여 작용하고,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측면 또는 상면이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있기 때문에, A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수직선에 대하여 제1배치각도(θ1)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도3(a)와 도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도2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측면 및 측상면은 상기 제2경사부(32)와 접촉을 하면서,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지지된다.
특히,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서 일종의 마찰력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힘의 분포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넘지 못한다.
상기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그 간격이 넓어지게 되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그 간격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제2경사부(32) 전체에 압력을 가한다.
하지만 그러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경사부(32)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결국 힘의 평형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가 상기 돌출부(33)의 하부 방향, 즉, 상기 제2경사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고정된다.
도4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20)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를 유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수직선에 대한 상기 제2배치각도(θ2)는 상기 제1배치각도(θ1)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배치각도(θ2)는 수직선에 대해서 대략 5°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가 되면, 도2의 경우와 비교하여 지면에 대하여 보다 수직상태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삽입공(45)의 상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삽입공(45)의 형태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도2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을 상향회동시키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타고 넘은 후 상기 제1경사부(31)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 측면과 측하면이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돌출부(33)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상기 지지부재(20)에 대하여 하방으로 힘을 가한다.
이러한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도 하측 방향(B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제1경사부(31)에 대하여 가하는 힘과,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측면 또는 측하면이 상기 돌출부(33)의 상측에 걸려 있기 때문에, B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도5(a)와 도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도3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측면 및 측하면은 상기 제1경사부(31)와 접촉을 하면서,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지지된다.
특히,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서 일종의 마찰력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힘의 분포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넘지 못한다.
상기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2지지부재는 그 간격이 넓어지게 되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그 간격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제1경사부(31) 전체에 압력을 가한다.
하지만 그러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경사부(32)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결국 힘의 평형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가 상기 돌출부(33)의 상부 방향, 즉, 상기 제2경사부(32)에 의하여 지지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도3의 경우보다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에 가까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6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해서 눕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10) 후면에 대해서 완전하게 접혀지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지면과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후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θ3)는 도3의 경우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지면과 평행상태에 근접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를 통상 태블릿 PC와 같이 지면에 놓고 쓰는 것을 감안한 지지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는 상기 삽입공(45)의 상단부까지 이르게 된다.
이 지지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20)를 잡고 회동시켜서, 상기 제3지지부재(23)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후면까지 이르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7(a)과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5와 같은 지지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회동하여 상기 헤드부()의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상기 제1경사부(31) 및 상기 돌출부(33)와 이격될 수 있다.
도6 내지 도7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세워진 상태가 아니라 거의 눕혀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2내지 도5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가 상기 제1,2경사부()과 접촉하고, 상기 돌출부(33)에 의하여 걸려서 지지될 필요가 없다.
다만 이 경우에서도,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는 그 양측 방향(E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헤드부(40)로부터 이탈되지는 않는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120)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100)가 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 후방에는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21)과, 상기 가이드 홈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고정홈(122)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홈(121)은 곡선형태로 형성되거나,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가이드홈(121)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1)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방에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우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제1가이드홈(121a)이라고 하고, 좌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제2가이드홈(121b)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가이드홈(121a)과 상기 제2가이드 홈(121b) 간의 간격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1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부재(210,220)와,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연결하는 제3지지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통상적으로 지면에 대해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200)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에 대해서 절곡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의 단부도 절곡되어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양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그 양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그 사이가 오므라들게 되면 오므라드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헤드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홈(121)의 하부 테두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홈(122)이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고정홈(122)은 그 아래부터 위까지 상기 제1고정홈(122a), 제2고정홈(122b), 제3고정홈(122c)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제1,2가이드홈(121a, 122b)에 대해서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지면에 대한 수직선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간의 각도 변화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어떻게 지지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8(a) 내지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수직선에 대해서 제4각도범위(θ4)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부(100)가 수직 상태에 가장 근접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4각도범위(θ4)는 대략 10°내외로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상기 제1고정홈(122a)에 걸리게 되는데, 도8(b)에서는 그 위치를 ①번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양쪽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홈(122a)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122a)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1고정홈(122a)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
도9(a) 내지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수직선에 대해서 제5각도범위(θ5)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8의 상태보다 약간 눕혀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5각도범위(θ5)는 대략 30°내외로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리게 되는데,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리는 위치는 ①번에서 ②로 바뀐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릴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재()를 잡고 그 폭을 약간 줄여서 상기 제1고정홈(122a)과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지지부재()를 들어올린 후,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상기 제2고정홈(122b)이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놓으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 간의 폭이 확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이동하여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양쪽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2고정홈(12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2고정홈(122b)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
도10(a) 내지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수직선에 대해서 제6각도범위(θ6)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9의 상태보다 약간 눕혀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6각도범위(θ6)는 대략 45°내외로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리게 되는데,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리는 위치는 ②번에서 ③으로 바뀐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릴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재(200)를 잡고 그 폭을 약간 줄여서 상기 제2고정홈(122b)과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지지부재(200)를 들어올린 후,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상기 제3고정홈(122c)이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놓으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 간의 폭이 확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이동하여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양쪽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3고정홈(122c)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3고정홈(122c)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20)의 회동상태 및 상기 가이드홈(121)과 상기 고정홈(122)간의 걸림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지면에 대한 배치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10, 100: 디스플레이부 20, 200: 지지부재
30: 접촉부 31: 제1경사부
32: 제2경사부 33: 돌출부
40,140: 헤드부 45: 삽입공
121: 가이드홈 122: 고정홈
30: 접촉부 31: 제1경사부
32: 제2경사부 33: 돌출부
40,140: 헤드부 45: 삽입공
121: 가이드홈 122: 고정홈
Claims (16)
-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타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지지면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연결되며 상항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할 때,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의 간격이 최소로 유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제2 경사부와 접촉할 때,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재는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상하직경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1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2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2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2834A KR101328965B1 (ko) | 2011-10-10 | 2011-10-10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2834A KR101328965B1 (ko) | 2011-10-10 | 2011-10-10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8464A KR20130038464A (ko) | 2013-04-18 |
KR101328965B1 true KR101328965B1 (ko) | 2013-11-14 |
Family
ID=4843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2834A KR101328965B1 (ko) | 2011-10-10 | 2011-10-10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89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0614B1 (ko) * | 2016-08-11 | 2023-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616671B1 (ko) * | 2021-12-13 | 2023-12-21 | 주식회사 케이시스 | 각도 조절이 용이한 led 디스플레이 유니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1298U (ko) * | 1999-05-25 | 2000-12-26 | 서평원 | 휴대폰 |
KR20110068284A (ko) * | 2009-12-16 | 2011-06-22 | (주)진명 |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
-
2011
- 2011-10-10 KR KR1020110102834A patent/KR1013289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1298U (ko) * | 1999-05-25 | 2000-12-26 | 서평원 | 휴대폰 |
KR20110068284A (ko) * | 2009-12-16 | 2011-06-22 | (주)진명 |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8464A (ko) | 201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67388B2 (en) | Support assembly and computer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0553677B1 (ko) |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 |
JP6077060B2 (ja) | スタンド機構、および電子機器 | |
US10386666B2 (en) |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 |
KR20140075411A (ko) | 접이식 컴퓨팅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세우는 방법 | |
KR20140139169A (ko) | 포터블 컴퓨팅 장치 | |
EP3136714A1 (en) | Display device | |
JP4344385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 | |
KR10132896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EP3406958B1 (en) |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 |
KR102012958B1 (ko) | 태블릿 기기 | |
US20070201196A1 (en) |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TWI433540B (zh) | 螢幕固定機構與顯示裝置 | |
KR101506035B1 (ko) | 디스플레이 기기 | |
JP4561866B2 (ja) | 表示画面支持機構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 |
JP3125333U (ja) | 携帯ゲーム機用スタンド装置 | |
JP3229910U (ja) | ノートパソコン用外付けモニター | |
US801855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0658837B1 (ko) |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 |
KR200496368Y1 (ko) | 대형 전자칠판 조립대 | |
JP6997407B1 (ja) | スタンド付きキーボード及び電子機器 | |
KR100686068B1 (ko) | 영상 표시 장치의 스탠드 | |
TWI731661B (zh) | 電子裝置的固定座 | |
US20240218957A1 (en) | Display device | |
KR101633126B1 (ko) |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