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169A - 포터블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9169A KR20140139169A KR1020130059405A KR20130059405A KR20140139169A KR 20140139169 A KR20140139169 A KR 20140139169A KR 1020130059405 A KR1020130059405 A KR 1020130059405A KR 20130059405 A KR20130059405 A KR 20130059405A KR 20140139169 A KR20140139169 A KR 201401391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member
- insertion groove
- groove
- coupling
- engag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6—General purpose computing application
- G06F2212/161—Portable computer, e.g. noteb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컴퓨팅 장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진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제1 결합 각도로 결합되는 제1 결합 포지션,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상기 제1 결합 각도와는 다른 제2 결합 각도로 결합되는 제2 결합 포지션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터블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둘 이상의 결합 각도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 컴퓨터는 휴대가 간편하고 중량이 가벼운 이점으로 인해 그 보급량이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태블릿 컴퓨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팅부(이른바, 본체부)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어 있으므로, 다른 기기와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특히, 다른 입력 장치의 도움 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태블릿 컴퓨터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태블릿 컴퓨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보다 빠르고 편리한 입력 작업을 위해 태블릿 컴퓨터는 키보드 기기에 일시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태블릿 컴퓨터는 다른 거치대에 거치되지 않고 키보드 기기에 직접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키보드 기기는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로써, 태블릿 컴퓨터는 그것의 하단부가 키보드 기기에 마련된 장착 슬롯에 결합됨으로써 키보드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블릿 컴퓨터가 키보드 기기에 특정적인 하나의 결합 각도로만 결합됨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다양한 결합 각도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다른 예로써, 태블릿 컴퓨터와 키보드 기기가 힌지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키보드 기기에 대한 태블릿 컴퓨터의 각도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힌지 구조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태블릿 컴퓨터 또는 키보드 기기에 구비됨으로써, 태블릿 컴퓨터의 외관 디자인 또는 키보드 기기의 외관 디자인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 구조 없이도 둘 이상의 결합 각도를 지원할 수 있는 포터블 기기(예로써 태블릿 컴퓨터)와 키보드 기기 간의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진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제1 결합 각도로 결합되는 제1 결합 포지션,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상기 제1 결합 각도와는 다른 제2 결합 각도로 결합되는 제2 결합 포지션을 갖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각각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매칭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디바이스는, 특정 돌출각으로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각은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은 각각 상기 고정 부재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영상 표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상기 제2 결합 각도가 서로 달라지도록,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과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과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 간의 차이는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상기 제2 결합 각도 간의 차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내측면에는 전송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전송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간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핀홈이 구비되고, 상기 1 디바이스의 제2 단부에는 상기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1 핀홈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2 핀홈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각각에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 및 상단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3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포지션,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4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포지션을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제2 단부,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 상단부,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태블릿 컴퓨터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키보드 기기일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키보드 기기의 상단부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제1 단부에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 단부에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이 형성된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고정 부재를 가진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과 상기 고정 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제1 결합 각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과 상기 고정 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결합 각도와는 다른 제2 결합 각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영상 표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상기 제2 결합 각도가 서로 달라지도록,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과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1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Ⅰ-Ⅰ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2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2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제2 디바이스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의 A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고정 부재 삽입홈과 제2 디바이스의 고정 부재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6c는 도 6a의 A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핀홈과 제2 디바이스의 가이드 핀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b는 도 7a의 B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고정 부재 삽입홈과 제2 디바이스의 고정 부재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7c는 도 7a의 B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핀홈과 제2 디바이스의 가이드 핀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8a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 및 제2 디바이스의 상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 및 제2 디바이스의 상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1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가 그것의 좌측단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가 그것의 우측단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비사용 중에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서로 포개지도록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1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Ⅰ-Ⅰ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2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2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제2 디바이스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의 A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고정 부재 삽입홈과 제2 디바이스의 고정 부재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6c는 도 6a의 A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핀홈과 제2 디바이스의 가이드 핀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b는 도 7a의 B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고정 부재 삽입홈과 제2 디바이스의 고정 부재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7c는 도 7a의 B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핀홈과 제2 디바이스의 가이드 핀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8a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 및 제2 디바이스의 상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 및 제2 디바이스의 상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1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가 그것의 좌측단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가 그것의 우측단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비사용 중에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서로 포개지도록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컴퓨팅 장치(10)는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태블릿 컴퓨터로서 다른 기기의 도움 없이도 독립적으로 컴퓨팅 작업 및 영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타 신호 연산 및 데이타 신호 저장 등을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미도시)을 독자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영상 표시를 위한 영상 표시면(10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영상 표시면(101)은 영상 표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입력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영상 표시면(102)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 (100)에는 LCD 패널,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되는 표시 패널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태블릿 컴퓨터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대안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컴퓨팅 시스템과 영상 표시 수단이 하나의 장치로 통합된 다른 유형의 포터블 기기일 수도 있다.
제2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제1 디바이스(100)을 위한 타이핑 등의 입력 작업을 보조하는 키보드 기기이다. 이에 제2 디바이스(200)의 상면(201)에는 복수의 입력키들(203)이 구비되어 있으며, 마우스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터치패드(205)가 또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디바이스(200)를 가지고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0)을 위한 입력 작업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의 상단부(210)에는 제1 디바이스(1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220)이 제2 디바이스(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디바이스(200)가 사용될 때, 이러한 결합홈(220)에 제1 디바이스(100)의 일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제1 디바이스(100)가 제2 디바이스(200)에 장착된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언제라도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키보드 기기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대안적으로 제2 디바이스(200)는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제1 디바이스(100)를 단순히 고정 및 지지하는 거치대(스탠드)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1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Ⅰ-Ⅰ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에는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 및 두 개의 제1 핀홈(161,162)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 및 두 개의 제1 핀홈(161,162)은 제1 디바이스(100)의 하측에 배치된 테두리면(edge surface)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은 두 개의 제1 핀홈들(161,16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 및 두 개의 제1 핀홈(161,162)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가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또한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에는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 및 두 개의 제2 핀홈(163,164)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 및 두 개의 제2 핀홈(163,164)은 제1 디바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된 테두리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은 두 개의 제2 핀홈들(163,164)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2) 및 두 개의 제2 핀홈(163,164)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가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은 제1 디바이스(100)의 하측 테두리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내측면(151a,152b)과 그 사이에 배치된 제3 내측면(151c)을 포함하는 내측면을 갖는다.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에는 제1 전방 표면(111) 및 제1 후방 표면(112)이 형성되며, 두 표면들(111,112) 사이에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이 배치된다.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은 제1 디바이스(100)의 영상 표시면(101)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의 경사각은 0°이다. 여기서,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의 경사각은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내측면(151a,151b)과 영상 표시면(101)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의 경사각은 0°이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그 경사각은 다른 값(예로써, 5도, 10도, 15도 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의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1 핀홈(161,162)(도 2 참조)은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핀홈들(161,162)의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경사각은 0°이다.
도 3을 또한 참조하면,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은 제1 디바이스(100)의 상측 테두리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내측면(152a,152b)과 그 사이에 배치된 제3 내측면(152c)을 포함하는 내측면을 갖는다.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에는 제2 전방 표면(121) 및 제2 후방 표면(122)이 형성되며, 두 표면들(121,122) 사이에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이 배치된다.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은 제1 디바이스(100)의 영상 표시면(10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경사각(α)은 0°가 아니다. 여기서,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경사각(α)은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내측면(152a,152b)과 영상 표시면(101)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경사각(α)은 대략 20°이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그 경사각(α)은 다른 값(예로서, 15도, 25도, 30도 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제2 핀홈(163,164)(도 2 참조)은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2 핀홈들(163,164)의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경사각은 대략 20°이다.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경사각(α)은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의 경사각(= 0°)과 다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의 경사각과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경사각(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가 제2 디바이스(120)에 결합될 때 두 디바이스(100, 200) 사이의 각도와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가 제2 디바이스(120)에 결합될 때 두 디바이스(100, 200)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2 디바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제2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제2 디바이스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4b 및 5를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 내에는 두 개의 가이드 핀(241,242)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고정 부재(230)가 구비된다.
두 개의 가이드 핀(241,242)은 전술한 제1 핀홈들(161,162) 또는 전술한 제2 핀홈들(163,164)에 삽입됨으로써, 제2 디바이스(200)에 대한 제1 디바이스(10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 및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된 제1 디바이스(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핀(241,242)은 제1 핀홈들(161,162) 및 제2 핀홈들(163,164)과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핀(241,242)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이드 핀(241,242)의 형상은 다른 형상(예로써, 사각 기둥, 타원 기둥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고정 부재(230)는 전술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 또는 전술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에 삽입됨으로써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된 제1 디바이스(1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부재(230)는 제1 디바이스(100) 내에 배치된 베이스부(230A), 및 결합홈(220) 안으로 돌출된 결합부(230B)로 구성된다. 고정 부재(230)의 결합부(230B)는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 및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에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230)의 결합부(230B)는 균일한 두께를 지닌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외측면(231), 제2 외측면(232), 및 제3 외측면(233)을 포함하는 외측면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고정 부재(230)는 베이스부(230A) 없이 결합부(230B) 만을 구비하여 그 결합부(230B)가 제2 디바이스(200) 내부로 좀더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고정 부재의(230)의 결합부(230B)는 특정된 돌출각(β)으로 결합홈(220)의 내측면(221,222)으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돌출각(β)은 제2 디바이스(200)의 상면(201)에 대한 고정 부재(230)(보다 정확히는 결합부 230B)의 경사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 돌출각(β)은 제2 디바이스(200)의 상면(201)에 대한 고정 부재(230)(보다 정확히는 결합부 230B)의 제1 및 제2 외측면(231,232)의 경사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각(β)은 대략 105°이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돌출각(β)은 다른 값들로 선택될 수 있다.
고정 부재(230)의 결합부(230B)에 의해,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을 구성하는 내측면은 제1 지지면(221)과 제2 지지면(222)으로 나뉘어진다. 결합홈(220)의 제1 지지면(221)에는 하나의 보호 부재(221a)가 부착되어 있고, 결합홈(220)의 제2 지지면(222)에는 두 개의 보호 부재(222b,222c)가 부착되어 있다. 보호 부재(222b,222c)는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형성되어, 결합 과정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외표면이 제2 디바이스(200)에 의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한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6b는 도 6a의 A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고정 부재 삽입홈과 제2 디바이스의 고정 부재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며, 도 6c는 도 6a의 A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핀홈과 제2 디바이스의 가이드 핀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그것의 하단부(110)가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 도 5 참조)에 제1 결합 각도(θ1)로 결합되는 제1 결합 포지션을 갖는다. 여기서 결합 각도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가 결합되었을 때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사이의 각도로 정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가 결합되었을 때 제1 디바이스(100)의 영상 표시면(101)과 제2 디바이스(200)의 상면(201) 사이의 각도로 정의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가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결합된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구비된 고정 부재(230)가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에 형성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에 삽입됨으로써 제2 디바이스(200)를 고정 및 지지한다.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은 영상 표시면(101)에 대해 평행하므로 즉,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의 경사각은 0°이므로,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제1 결합 각도(θ1)는 고정 부재(230)의 돌출 각도(β)와 같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230)의 돌출 각도(β)는 대략 105°이므로 제1 결합 각도(θ1) 또한 대략 105°가 된다.
도 6b를 더 참조하면,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의 전면부 즉 제1 전방 표면(111)은 결합홈(220)의 제1 지지면(221)에 지지되며, 이때 제1 지지면(221)에 구비된 보호 부재(221a)는 결합 과정에서 제1 전방 표면(1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의 후면부 즉 제1 후방 표면(112)은 결합홈(220)의 제2 지지면(222)에 지지되며, 이때 제2 지지면(222)에 구비된 보호 부재들(222a,222b)은 결합 과정에서 제1 후방 표면(1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 핀들(241,242)은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핀홈들(161,162)에 삽입됨으로써,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 및 제1 결합 포지션에 있는 제1 디바이스(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7b는 도 7a의 B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고정 부재 삽입홈과 제2 디바이스의 고정 부재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며, 도 7c는 도 7a의 B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핀홈과 제2 디바이스의 가이드 핀의 결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그것의 하단부(120)가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 도 5 참조)에 제2 결합 각도(θ2)로 결합되는 제2 결합 포지션을 갖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가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결합된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구비된 고정 부재(230)가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에 형성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에 삽입됨으로써 제2 디바이스(200)를 고정 및 지지한다.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제2 결합 각도(θ2)는 고정 부재(230)의 돌출 각도(β)와 영상 표시면(101)에 대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경사각(α)(도 3 참조)을 더한 값이 된다.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의 경사각(α)은 대략 20°이고 고정 부재(230)의 돌출 각도(β)는 대략 105°이므로 제2 결합 각도(θ2)는 대략 125°가 된다. 제2 결합 포지션에서의 제2 결합 각도(θ2)는 전술한 제1 결합 포지션에서의 제1 결합 각도(θ1)과 상이함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b를 더 참조하면,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의 전면부 즉 제2 전방 표면(121)은 결합홈(220)의 제1 지지면(221)에 지지되며, 이때 제1 지지면(221)에 구비된 보호 부재(221a)는 결합 과정에서 제2 전방 표면(12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의 후면부 즉 제2 후방 표면(122)은 결합홈(220)의 제2 지지면(222)에 지지되며, 이때 제2 지지면(222)에 구비된 보호 부재들(222a,222b)은 결합 과정에서 제2 후방 표면(12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결합홈(220)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 핀들(241,242)은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핀홈들(163,164)에 삽입됨으로써,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 및 제2 결합 포지션에 있는 제1 디바이스(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0)가 제1 결합 포지션(도 6a 참조) 또는 제2 결합 포지션(도 7a 참조)을 갖도록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시킨 후, 제2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타이핑 등의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디바이스(100)를 붙잡고 있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음은 물론, 입력 작업에 전문화된 제2 디바이스(200)를 이용하므로 입력 작업을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타 신호들은 무선통신 방식(예로써, 블루투스)으로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디바이스(20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타 신호들은 유선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될 수 있다.
유선 방식에 의한 데이타 신호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및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1,152)에 전송 커넥터를 구비하는 형태로 선택되고 제2 디바이스(200)는 고정 부재(230)에 그 전송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홈을 구비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 실시예에 대해 도 8a, 8b, 9a, 및 9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a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 및 제2 디바이스의 상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a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 및 제2 디바이스의 상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의 상단부가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제1 디바이스(100)의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에는 그것의 내측면(151c)에 제1 전송 커넥터(171)가 구비되는 한편, 제2 디바이스(200)의 고정 부재(230)에는 그것의 외측면(233)에 커넥터 삽입홈(235)이 형성된다. 제1 전송 커넥터(171)에는 데이타 신호 전송 및 전력 전송을 위한 복수의 핀들(171a,171b)이 구비되어 있으며, 커넥터 삽입홈(235)에는 그 복수의 핀들(171a,171b)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들(235a,235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230)는 제2 디바이스(200)에 내장된 데이타 신호 및 전력 전송을 위한 인쇄회로기판(PCB)(270)에 장착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가 제1 결합 포지션을 갖는 경우, 고정 부재(230)가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1 전송 커넥터(171)가 커넥터 삽입홈(235)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전송 커넥터(171)의 핀들(171a,171b)과 커넥터 삽입홈(235)의 핀들(235a,235b) 간의 접속을 통해, 제2 디바이스(20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타 신호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될 수 있고 또한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전력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제1 디바이스(100)의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에는 그것의 내측면(152c)에 제2 전송 커넥터(172)가 구비되며, 제2 전송 커넥터(172)에는 커넥터 삽입홈(235)의 복수의 핀들(235a,235b)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들(172a,172b)이 구비되어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가 제2 결합 포지션을 갖는 경우, 고정 부재(230)가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 전송 커넥터(172)가 커넥터 삽입홈(235)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 전송 커넥터(172)의 핀들(172a,172b)과 커넥터 삽입홈(235)의 핀들(235a,235b) 간의 접속을 통해, 제2 디바이스(20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타 신호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될 수 있고 또한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전력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1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가 그것의 좌측단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디바이스가 그것의 우측단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 및 제1 핀홈들(161,162)은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에 형성되지 않는 대신 제1 디바이스(100)의 좌측단부(130)에 형성되고, 한편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 및 제2 핀홈들(163,164)은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에 형성되지 않는 대신 제1 디바이스(100)의 우측단부(140)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는 그것의 좌측단부(130)가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는 결합 포지션을 갖거나,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는 그것의 우측단부(140)가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는 결합 포지션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151)과 제1 핀홈들(161,162)이 제1 디바이스(100)의 하단부(110) 및 좌측단부(130)에 각각 형성되고 제2 고정 부재 삽입홈(152)과 제2 핀홈들(163,164)이 제1 디바이스(100)의 상단부(120) 및 우측단부(14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4개의 결합 포지션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0)는 그것의 하단부(110)가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는 제1 결합 포지션(도 6a 참조), 그것의 상단부(120)가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는 제2 결합 포지션(도 7a 참조), 그것의 좌측단부(130)가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포지션(도 11 참조), 및 그것의 우측단부(140)가 제2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포지션(도 12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포터블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로서 비사용 중에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서로 포개지도록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컴퓨팅 장치(1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 또는 운반하는 중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는 서로 포개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그것의 영상 표시면(101)(도 1 참조)이 제2 디바이스(200)의 상면(201)과 마주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200)의 상면(201)에는 4개의 마찰 패드들(251,252,253,254)이 구비되어 있다. 예로써 마찰 패드들(251,252,253,254)은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마찰 패드들(251,252,253,254)은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도 13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10)의 배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디바이스(100, 200) 각각의 내부에는 마찰 패드들(251,252,253,254)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자석 부재들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4개의 자석 부재와 제2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4개의 자석 부재 사이에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10)의 배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컴퓨팅 장치(10)에 의하면, 다양한 결합 포지션을 가지고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합 각도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결합은 외관 디자인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힌지 구조의 적용 없이 수행되므로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외관 디자인 품질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10 : 포터블 컴퓨팅 장치 100 : 제1 디바이스(포터블 컴퓨터)
101: 영상 표시면 110 : 하단부
120 : 상단부 130 : 좌측단부
140 : 우측단부 151 :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161,162 : 제1 핀홈 163,164 : 제2 핀홈
152 : 제2 고정 부재 삽입홈 171 : 제1 전송 커넥터
172 : 제2 전송 커넥터 200 : 제2 디바이스(키보드 기기)
210 : 상단부 220 : 결합홈
230 : 고정 부재 235 : 커넥터 삽입홈
241,242 : 가이드 핀 251,252,253,254 : 마찰 패드
101: 영상 표시면 110 : 하단부
120 : 상단부 130 : 좌측단부
140 : 우측단부 151 :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161,162 : 제1 핀홈 163,164 : 제2 핀홈
152 : 제2 고정 부재 삽입홈 171 : 제1 전송 커넥터
172 : 제2 전송 커넥터 200 : 제2 디바이스(키보드 기기)
210 : 상단부 220 : 결합홈
230 : 고정 부재 235 : 커넥터 삽입홈
241,242 : 가이드 핀 251,252,253,254 : 마찰 패드
Claims (20)
-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진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제1 결합 각도로 결합되는 제1 결합 포지션,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상기 제1 결합 각도와는 다른 제2 결합 각도로 결합되는 제2 결합 포지션을 갖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각각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매칭되는 외형을 갖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특정 돌출각으로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을 갖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각은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동일한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은 각각 상기 고정 부재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영상 표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상기 제2 결합 각도가 서로 달라지도록,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과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은 서로 다른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과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 간의 차이는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상기 제2 결합 각도 간의 차이와 같은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내측면에는 전송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전송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홈이 형성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간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핀홈이 구비되고, 상기 1 디바이스의 제2 단부에는 상기 제2 결합 포지션에서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핀홈이 형성된, 포터블 전자기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1 핀홈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 및 상기 제2 핀홈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포터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각각에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가 부착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 및 상단부인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인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3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포지션,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4 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포지션을 더 갖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제2 단부,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하단부, 상단부,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인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태블릿 컴퓨터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키보드 기기인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키보드 기기의 상단부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 단부에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 단부에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이 형성된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고정 부재를 가진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과 상기 고정 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제1 결합 각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과 상기 고정 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결합 각도와는 다른 제2 결합 각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배치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영상 표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 각도와 상기 제2 결합 각도가 서로 달라지도록,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과 상기 영상 표시면에 대한 상기 제2 고정 부재 삽입홈의 경사각은 서로 다른 포터블 컴퓨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9405A KR20140139169A (ko) | 2013-05-26 | 2013-05-26 | 포터블 컴퓨팅 장치 |
US14/079,697 US9389640B2 (en) | 2013-05-26 | 2013-11-14 | Portable compu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9405A KR20140139169A (ko) | 2013-05-26 | 2013-05-26 | 포터블 컴퓨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169A true KR20140139169A (ko) | 2014-12-05 |
Family
ID=5193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9405A KR20140139169A (ko) | 2013-05-26 | 2013-05-26 | 포터블 컴퓨팅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389640B2 (ko) |
KR (1) | KR2014013916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2091A (ko) * | 2014-12-30 | 2016-07-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평판표시장치 |
WO2021201512A1 (ko) * | 2020-03-31 | 2021-10-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17092B1 (en) | 2014-05-07 | 2015-04-2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Electronic connector |
US9785193B2 (en) * | 2014-11-19 | 2017-10-10 | Sony Corporation | Keyboard and terminal device |
CN104500557B (zh) * | 2015-01-04 | 2017-01-04 |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 卡合机构、具有该卡合机构的底座及其笔记本电脑 |
TWI566482B (zh) * | 2015-04-15 | 2017-01-11 | 宏碁股份有限公司 | 電子組件 |
US9728915B2 (en) | 2015-05-19 | 2017-08-0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Tapered-fang electronic connector |
KR102406557B1 (ko) * | 2015-07-15 | 2022-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
US20170090516A1 (en) * | 2015-09-25 | 2017-03-30 | Intel Corporation | Docking station |
US9740245B2 (en) * | 2015-10-05 | 2017-08-2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Locking mechanism |
KR102439789B1 (ko) * | 2016-01-04 | 2022-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
US9660380B1 (en) | 2016-01-22 | 2017-05-23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lignment tolerant electronic connector |
US10511599B2 (en) | 2017-03-13 | 2019-12-1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ystem to filter impossible user travel indicators |
US10794093B2 (en) * | 2017-05-19 | 2020-10-0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ethod of optimizing memory wire actuator energy output |
US10445533B2 (en) | 2017-06-30 | 2019-10-1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ethod of optimizing memory wire actuator energy output |
US10303214B2 (en) | 2017-10-17 | 2019-05-2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ocking mechanisms and methods of restraining two portions of a computing device |
US10511127B2 (en) | 2018-03-20 | 2019-12-1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gh-speed electronic connector |
US20210389802A1 (en) * | 2020-06-11 | 2021-12-16 | HumanCentric Ventures LLC | Laptop docking st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9735B1 (ko) * | 1992-08-25 | 1994-10-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노우트 북 컴퓨터 |
TWI248017B (en) * | 2003-03-27 | 2006-01-21 | Benq Corp | A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s |
TW200514491A (en) * | 2003-06-13 | 2005-04-16 | Humanscale Corp | Laptop holder |
TWM245523U (en) * | 2003-11-20 | 2004-10-01 | Tatung Co | Portable computer keyboard expanding base |
WO2007055750A2 (en) * | 2005-11-09 | 2007-05-18 | George Moser | Portable computer with reconfigurable display |
US20110199319A1 (en) * | 2005-11-09 | 2011-08-18 | George Moser | Reconfigurable Computer |
US8422210B2 (en) * | 2005-11-09 | 2013-04-16 | George Moser | Reconfigurable computer |
US8264829B2 (en) * | 2005-11-09 | 2012-09-11 | George Moser | Reconfigurable computer |
JP5366588B2 (ja) * | 2009-02-23 | 2013-12-11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携帯用電子機器の支持装置 |
TWI439215B (zh) * | 2010-05-28 | 2014-05-21 | Asustek Comp Inc | 擴充基座及使用其之電子裝置 |
TWI414929B (zh) * | 2011-02-23 | 2013-11-11 | Pegatron Corp | 樞軸裝置及擴充基座 |
US9218024B2 (en) | 2011-06-23 | 2015-12-22 |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 Accessory and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s,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
SG187996A1 (en) * | 2011-08-12 | 2013-03-28 | Avaplas Ltd |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TWI502310B (zh) * | 2011-12-28 | 2015-10-01 | Wistron Corp | 電子裝置之擴充座及其連接器機構 |
KR101850818B1 (ko) * | 2012-01-03 | 2018-04-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기기 |
US8934234B2 (en) * | 2012-04-19 | 2015-01-13 | Good Way Technology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nd |
US8986029B2 (en) * | 2012-09-11 | 2015-03-24 | Apple Inc. | Dock connector with compliance mechanism |
US8599542B1 (en) * | 2013-05-17 | 2013-12-03 |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 Combined cover, keyboard and stand for tablet computer with reversable connection for keyboard and reading configuration |
TWI502323B (zh) * | 2013-08-23 | 2015-10-01 | Acer Inc | 擴充基座 |
-
2013
- 2013-05-26 KR KR1020130059405A patent/KR2014013916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1-14 US US14/079,697 patent/US938964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2091A (ko) * | 2014-12-30 | 2016-07-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평판표시장치 |
WO2021201512A1 (ko) * | 2020-03-31 | 2021-10-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347802A1 (en) | 2014-11-27 |
US9389640B2 (en) | 2016-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39169A (ko) | 포터블 컴퓨팅 장치 | |
CN111273733B (zh) | 输入设备附连 | |
US9176901B2 (en) | Flux fountain | |
KR102322377B1 (ko) |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452101B2 (en) | Alignment structure | |
KR20140075411A (ko) | 접이식 컴퓨팅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세우는 방법 | |
US9092193B2 (en) | Electronic device | |
EP3306172A1 (en) | Display apparatus | |
JP2017022177A (ja) | スタンド機構、および電子機器 | |
JP6152410B1 (ja) | 電子機器 | |
CN210109717U (zh) | 支撑架 | |
CN104571301A (zh) | 平板电脑基座 | |
TWI802308B (zh) | 電子裝置 | |
KR2013003846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040104086A (ko) | 듀얼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 |
JP2000214949A (ja) | 電子装置 | |
KR20130007153U (ko) | 휴대단말기 거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