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2945B1 -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945B1
KR100952945B1 KR1020080020834A KR20080020834A KR100952945B1 KR 100952945 B1 KR100952945 B1 KR 100952945B1 KR 1020080020834 A KR1020080020834 A KR 1020080020834A KR 20080020834 A KR20080020834 A KR 20080020834A KR 100952945 B1 KR100952945 B1 KR 10095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anese
fiber
volatile organic
fibrous adsorbent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725A (ko
Inventor
이완진
오길영
주용완
정홍련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9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72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53/48 - B01D53/70, e.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2Compounds of Mn, 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6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more than 10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과 망간전구체의 혼합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산화안정화, 탄화, 활성화한 나노사이즈의 포어를 갖는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등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효과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는 섬유상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섬유상 흡착제는 평균직경이 200 ~ 400 nm이며, 비표면적이 853 내지 1300 m2/g, 미세세공의 직경인 약 5.6 내지 6.0 Å, 중대기공의 직경이 59 내지 91 Å이며, 종래 입상활성탄에 비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력이 매우 우수하다.
섬유상 흡착제, 휘발성유기화합물,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망간전구체, 흡착, 혼합 전기방사

Description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Fibrous Adsorb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VOC absorbent}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과 망간전구체를 혼합한 섬유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특정 대기 유해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 또한 광화학 반응을 통하여 오존 등과 같은 2차 오염물질인 광화학 산화물을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발암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화학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유독하며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 광화학 스모그, 악취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벤젠의 경우에는 백혈병과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매우 낮은 농도의 벤젠에 노출되었던 사람에게도 염색체 이상이 종종 발견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유기 용제류는 그 자체가 독성을 지니고 있거나 그 속에 포함된 이 물질들이 독성이 높아서 문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유기용제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가 있으며 이 물질은 다양한 배출원에서 배출되는데, 우리나라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배출량은 도장산업의 배출량이 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이 그 뒤를 이어 28%를 차지하고 있다.
활성탄은 휘발성유기화합물를 제거하기 위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흡착제이며 활성탄 이외의 흡착제로는 실리카겔,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하고 있다. 활성탄 제조 원료로는 나무, 석탄, 코코넛 열매와 같은 탄소함유 물질을 사용하며 종류로는 분말탄, 입상탄 그리고 섬유상 활성탄 등이 있다.
이중 입상활성탄은 충분히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압력강하가 적고 흡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비교적 쉽게 회수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섬유상 활성탄은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흡착제이며, 이는 섬유상 활성탄의 기공 크기가 미세공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흡착부분이 섬유 표면으로부터 직접 미세공으로 연결되어 있어 흡착과 탈착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벌집구조나 판형 등 여러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 표면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능력이 매우 우수한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균직경이 200 ~ 400 nm이며, 비표면적이 853 ~ 1300 ㎡/g 이고, 세공의 직경이 5.6 내지 6.0 Å, 중기공의 직경이 59 ~ 91Å인 섬유상의 흡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제로 사용되는 종래 입상활성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흡착제를 사용할 경우, 톨루엔의 흡착능력이 기존의 입상 활성탄에 비하여 2배가량 높은 점을 인지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섬유상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수지를 용매에 용해한 후, 망간전구체를 전체 고형분 함량 중 0.1 ~ 5 중량%로 첨가하여 섬유전구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섬유전구체 조성물을 주사바늘이 부착된 실린지에 넣고, 20 ~ 30kV의 전압을 가하여 전기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섬유를 250 ~ 300℃까지 승온시키고, 공기분위기 하에서 0.5 ~ 3시간 동안 산화안정화시키는 단계;
d) 상기 산화안정화된 섬유를 불활성분위기 또는 진공상태에서 800 ~ 1000℃로 탄화시키는 단계;
e) 상기 탄화된 섬유를 600 ~ 800℃, 스팀분위기에서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전구체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10 ~ 30 중량%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 제조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성물의 적절한 점도인데, 10 중량% 미만으로 제조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낮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기 때문에 방사하기에 적절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출발물질인 섬유전구체 조성물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수지를 용매에 용해한 후, 망간전구체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나,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수지와 망간전구체를 각각 용매에 용해한 후, 전체 고형분 함량 중 망간전구체의 고형분 함량이 0.1 ~ 5 중량%가 되도록 두 용액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5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임의의 통상적인 합성고분자일 수 있다. 50,000 미만인 경우 섬유전구체 조성물의 점도가 낮고, 500,000을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망간전구체는 망간아세테이트, 망간아세테이트테트라하이드레이트, 망간아세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망간아세티아세토네이트, 망간클로라이트에서 선택 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망간전구체의 함량은 섬유전구체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함량 중 0.1 ~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5 중량%의 범위로 혼합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과도한 혼합은 오히려 중대기공을 증가시킴으로써 비표면적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과 망간전구체를 혼합하여 섬유전구체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전기방사, 산화안정화, 탄화, 활성화 단계를 거쳐 섬유상의 흡착제로 제조함으로써, 활성화과정에서 섬유의 내부 및 외부에 고르게 존재하는 망간전구체에 의한 촉매활성과 열에 의한 물리적 이동을 통해 활성탄소섬유의 기공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 역시 간편하고, 비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제조한 조성물을 균질화한 후 주사바늘이 부착된 실린지에 넣고, 20 ~ 30kV의 전압을 가하여 전기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고, 상기의 방식으로 제조된 섬유를 250 ~ 300℃까지 승온시키고, 공기분위기 하에서 0.5 ~ 3시간 동안 산화안정화시킨다.
보통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에서 탄소화 및 활성화를 하면 용융되거나 섬유간의 융착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산화안정화 공정을 통해 열경화성 수 지로 변환시킨다. 즉, 산화안정화 공정은 열가소성 수지를 열경화성 수지로 변환시켜 후속 고온 탄소화, 활성화 공정에서 섬유의 융착 및 열용융을 방지하기 위해 섬유를 표면으로부터 산화처리하는 과정이다. 산화안정화 공정을 행하지 않고 직접 탄소화나 활성화를 하면 개환 및 탈수소 등의 발열반응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탄화되기보다는 연소된다. 본 발명에서 산화안정화 과정은 산소의 가교, 또는 강한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후속하는 고온 탄소화나 활성화 공정에 있어서 휘발분을 감소시켜 고상 탄소화 반응이 되며 탄소화 과정에서도 섬유의 치수 및 구조가 유지된다.
섬유의 치수 및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안정화 과정을 거친 후 다시 휘발성의 비탄소 성분을 제거하거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수 조건하에서 고온으로 원료물질을 가열해 줌으로써 탄화 및 활성화를 한다. 이때 안정화 온도 및 시간은 임의의 조건으로 주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정화된 섬유를 불활성분위기 또는 진공상태에서 800 ~ 1000℃로 탄화한 후, 다시 600 ~ 800℃, 스팀분위기에서 활성화하여 섬유상의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활성화공정은 세공구조를 제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활성화 방법으로는 가스활성화법과 약품활성화법을 주로 행하고 있으며, 가스활성화법은 수증기, 탄산가스, 산소 등을 혼합한 상태에서 탄소화된 원료와 1000℃ 부근에서 접촉 반응시켜 미세한 다공질의 흡착탄을 만드는 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탄화온도보다 낮은 온도범위(600 ~ 800℃)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활성화 하였다. 안정화 온도 및 시간은 임의의 조건으로 주어질 수 있으나 금속의 촉매작용이 유발되지 않도록, 탄화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00℃ 이상의 고온에서 활성화할 경우 최종생산물의 거의 남지 않고 번-오프(burn-off)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는 섬유의 직경이 200 ~ 400 nm이고, 평균직경이 250 nm이며, 비표면적이 853 ~ 1300 ㎡/g이고, 미세기공의 직경이 5.6 내지 6.0 Å, 중대기공의 직경이 59 ~ 91Å 이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력이 40 ~ 68g/100g 인 우수한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력은 상기 섬유상 흡착제를 임의로 제작한 직경 6mm, 길이 15mm 흡착셀에 충진하고, 200 ppmv의 톨루엔이 함유되어있는 질소가스를 분당 180ml 흘려준 뒤 톨루엔 흡착량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발명은 섬유의 기공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량을 조절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흡착제는 종래 입상활성탄에 비하여 매우 높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특성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입자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공정의 단순화 및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제로서 기대효과가 매우 크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물성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직경분포 및 표면 이미지는 주사현미경(FE-SEM, Hitachi, S-4700)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비표면적 및 기공분포는 질소가스(N2)의 흡착동온선을 이용하였다. 질소의 흡탈착실험은 Micromeritics의 ASAP2020, USA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시료를 300℃에서 24시간 전처리한 후 77K의 등온조건에서 질소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휘발성화합물의 흡착량은 톨루엔흡착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흡착제의 입출구에서 흡착가스의 농도 변화인 파괴 곡선으로부터 흡착량을 구했다.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섬유상 흡착제를 임의로 제작한 직경 6mm, 길이 15mm 흡착셀에 0.05내지 0.06g로 충진하고, 200 ppmv의 톨루엔이 함유되어있는 질소가스를 분당 180ml 흘려준 뒤 톨루엔 흡착량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실온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실시예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중량평균분자량 86,200)를 디메틸포름아미드(N,N- dimethylforamide) 용매에 고형분 10 중량%로 가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용해하여 고분자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분자용액에 망간아세테이트를 0.5 중량% 첨가하여 균질화하였다.
상기 균질화된 섬유전구체 용액을 전기방사기를 이용하여 전기방사하였다. 이때 방사조건은 0.5mm의 주사바늘이 부착된 30ml 실린지에 상기 섬유전구체 용액을 넣고 20 kV의 전압을 가하여 전기방사 하였다. 이때 주사바늘과 집전체간의 거리는 18cm로 유지하고 섬유전구체 용액의 용출속도는 1ml/h로 하며, 집전체에서 섬유가 집적되면 부직포를 떼어내어 분리하였다.
분리된 섬유 웹을 280℃, 공기분위기에서 1시간가량 산화안정화 하였다. 이때 1℃/분씩 승온하고, 280℃에서 1시간가량 유지하였다.
충분히 산화안정화를 거친 후, 1000℃에서 1시간 가량 탄화과정을 거친 후 30 부피% 스팀(H2O/N2)을 이용하여 800℃에서 30분간 활성화하였다. 이때 승온속도는 5℃/분으로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섬유상 흡착제의 주사현미경사진 및 투과현미경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질소흡탈착 등온선을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섬유의 세공분포는 도 5에 나타내었으며, 톨루엔흡착의 파괴곡선(Breakthrough)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고분자용액에 망간아세테이트를 1.0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섬유상 흡착제의 주사현미경사진 및 투과현미경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질소흡탈착 등온선을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섬유의 세공분포는 도 5에 나타내었으며, 톨루엔흡착의 파괴곡선(Breakthrough)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고분자용액에 망간아세테이트를 1.5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섬유상 흡착제의 주사현미경사진 및 투과현미경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질소흡탈착 등온선을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섬유의 세공분포는 도 5에 나타내었으며, 톨루엔흡착의 파괴곡선(Breakthrough)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1, 2, 3은 800℃에서 30분간 스팀활성화 방법으로 제조한 섬유상 흡착제에 대한 주사현미경사진과 투과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900℃이상의 고온에서 활성 할 경우 최종생산물의 거의 남지 않고 번-오프(burn-off) 되었는데, 이는 전기방사로 제조된 섬유의 직경이 매우 작고 혼입된 망간에 의해 촉매활성도가 증가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어 본 발명에서는 800℃로 활성화 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활성탄소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약 250nm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적인 섬유제조 방법인 용융방사, 용액방사, 겔상태 방사로부터 만들어진 섬유직경이 약 10㎛인데 반해 훨씬 가는 섬유로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섬유의 표면을 보면 중대기공들이 망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 투과현미경사진의 결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투과현미경사진의 흰색을 띄는 덩어리는 망간원소 집합체로 판단되며, 망간집합체의 앞뒤로 나타나는 검은색 기공채널(Pore)은 망간입자의 이동경로를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0.5 중량%의 망간이 함유된 실시예 1의 경우 수개의 망간원소 집합체와 그 집합체의 이동경로를 따라 기공채널이 관찰되었다. 1.0 중량% 망간이 함유된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과 비슷한 크기의 망간원소 집합체와 그로 인한 기공 채널수가 0.5 중량%에 비해 훨씬 많이 나타났다. 이런 기공채널의 형성은 활성화 과정에서 망간 입자들의 열에 의한 이동에 기인한다. 망간입자의 크기는 약 5 내지 10 nm로 이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함유 활성탄소섬유에서 나타나는 10 내지 40 nm 보다는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그 분포도 훨씬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중량% 망간이 함유된 활성탄소섬유는 50 nm 정도로 기공채널의 길이가 훨씬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망간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망간 원소들의 합체가 증가하고 증가된 망간 원소 집합체는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기공채널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결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기공채널 함유 활성탄소나노섬유의 제조법은 나노사이즈의 균일한 탄소섬유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섬유의 치수 및 구조를 잘 유지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안정화 및 활성화 조건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망간의 함유량에 따른 활성탄소나노섬유의 질소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내는 도표이며, 도 5는 망간의 함유량이 각기 다른 활성탄소나노섬유의 세공분포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망간아세테이트 전구체를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용액에 혼합하여 제조한 탄소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단독 방사하여 제조한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적이 853㎡/g 인데 반해 비교적 표면적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망간의 함유량이 0.5 중량%인 경우 1053㎡/g, 1.0 중량%인 경우 1229㎡/g으로 가장 높은 표면적이 나타났고 1.5 중량%인 경우 918㎡/g으로 오히려 표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망간의 함유량을 컨트롤하면 표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공크기도 망간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0.5 중량%인 경우 5.7Å, 1.0 중량%인 경우 5.8Å으로 가장 높은 표면적을 보였으며, 1.5 중량%인 경우 5.6Å으로 마찬가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망간전구체는 일정량 첨가할 경우 비표면적 및 세공크기를 증가시키는데 좋은 역할을 하지만 일정량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표면적 및 세공크기가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망간 전구체의 컨트롤은 표면적 및 기공크기를 컨트롤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을 통해 개시한다.
상기의 탄화 및 활성화과정이 완료된 기공채널이 발달된 활성탄소나노섬유의 흡착실험은 흡착제의 입출구에서 흡착가스의 농도 변화인 파과 곡선으로부터 계산식에 의해 흡착량을 구하는 방식으로 행해졌다. 스테인레스재질로 길이 약 15 mm, 내경 약 6 mm인 흡착셀에 흡착시료 약 0.05내지 0.06g을 충진하여 표준가스농도는 200ppmw 톨루엔(질소 발란스)을 180ml/min의 유속으로 흘리면서 흡착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흡착실험은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도 7은 각 망간 함유 탄소나노섬유의 톨루엔 흡착성질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망간 함유량에 따른 활성탄소나노섬유의 파과시간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단독 방사섬유를 이용한 활성탄소나노섬유의 경우 1.5시간이며, 망간의 함유량이 0.5, 1.0, 1.5 중량%일 때 각각 2.3, 3.3, 2.0시간 이였고 최종 흡착량은 40/100g, 50g/100g, 68g/100g, 47g/100g으로 나타났으며, 1.0 중량%를 함유한 경우 가장 긴 파과시간과 가장 높은 흡착량을 보였다.
이 결과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를 단독으로 방사하여 제조한 활성탄소나노섬유에 비해 모두 높은 값으로 망간 혼합에 의해 제조된 활성탄소나노섬유가 흡착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표면적값과 세공크기, 그리고 세공부피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망간이 1.0 중량% 함유된 탄소나노섬유의 경우 톨루엔 흡착에 최적인 비표면적과 기공크기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망간전구체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의 혼합 전기방사 후 제조된 활성탄소나노섬유는 기공채널을 잘 형성할 수 있었으며, 적절한 크기의 기공채널은 톨루엔 흡착에 더 용이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면서, 800℃, 900℃, 1000℃에서 각각 탄화를 실하여하여 탄화온도에 따른 흡착량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높은 온도로 활성화한 탄소나노섬유의 톨루엔 흡착성질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800℃에서 톨루엔 42g /흡착체 100g, 900℃에서 55g/100g, 1000℃에서 68g/100g, 의 톨루엔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탄화온도가 높아질수록 흡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1000℃에서 활성화한 경우 800℃에서 활성화한 경우에 비해 1.6배 높은 흡착량을 나타났다.
이는 높은 온도에서 탄화 할수록 섬유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세공직경 또한 증가하여 1000℃에서 활성화 한 경우 톨루엔이 흡착 가능한 유효한 세공분포를 가장 많이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보이며, 이에 1000℃에서 탄화한 활성탄소나노섬유가 가장 긴 파과시간과 가장 많은 흡착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1 ~ 3에서 제조한 섬유상 흡착제와 기존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제로 사용되던 입자상활성탄의 흡착용량을 비교실험하였다. 이때 입자상 활성탄은 유니온카본사(나주)에서 구입하였으며, 흡착셀에 일정량 충진하여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은 50g/100g, 실시예 2는 68g/100g, 실시예 3은 47g/100g이었으며, 입자상활성탄은 24g/100g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3의 경우 기존의 입자상 활성탄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흡착용량을 나타내었으며,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제로 주로 사용되는 입상활성탄의 대체를 가져올 정도로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0.5 중량%의 망간을 함유하는 실시예 1에 따른 주사현미경사진과 투과현미경사진이다. 위의 사진은 30,000배 확대된 이미지이고, 아래 사진은 300,000배로 확대된 이미지이다.
도 2는 1.0 중량%의 망간을 함유하는 실시예 2에 따른 주사현미경사진과 투과현미경사진이다. 위의 사진은 30,000배 확대된 이미지이고, 아래 사진은 300,000배로 확대된 이미지이다.
도 3은 1.5 중량%의 망간을 함유하는 실시예 3에 따른 주사현미경사진과 투과현미경사진이다. 위의 사진은 30,000배 확대된 이미지이고, 아래 사진은 300,000배로 확대된 이미지이다.
도 4는 망간 함유량에 따른 탄소나노섬유의 질소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망간 함유량에 따른 활성탄소나노섬유의 세공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톨루엔흡착의 파괴곡선(Breakthrough)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a)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수지를 용매에 용해한 후, 망간전구체를 전체 고형분 함량 중 0.1 ~ 5 중량%로 첨가하여 섬유전구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섬유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20 ~ 30kV의 전압을 가하여 전기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섬유를 250 ~ 300℃까지 승온시키고, 공기분위기 하에서 0.5 ~ 3시간 동안 산화안정화시키는 단계;
    d) 상기 산화안정화된 섬유를 불활성분위기 또는 진공상태에서 800 ~ 1000℃로 탄화시키는 단계;
    e) 상기 탄화된 섬유를 600 ~ 800℃, 스팀분위기에서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비표면적이 853 ~ 1300 ㎡/g이고, 미세기공의 직경이 5.6 내지 6.0 Å, 중대기공의 직경이 59 ~ 91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전구체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10 ~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전구체는 망간아세테이트, 망간아세테이트테트라하이드레이트, 망 간아세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망간아세티아세토네이트, 망간클로라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비표면적이 853 ~ 1300 ㎡/g이고, 미세기공의 직경이 5.6 내지 6.0 Å, 중대기공의 직경이 59 ~ 91Å 인 섬유상흡착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흡착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량이 40 ~ 68g/10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흡착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흡착제는 섬유의 평균직경이 200 ~ 4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흡착제.
  9. 삭제
KR1020080020834A 2008-03-06 2008-03-06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34A KR100952945B1 (ko) 2008-03-06 2008-03-06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834A KR100952945B1 (ko) 2008-03-06 2008-03-06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616A Division KR20100023946A (ko) 2010-02-18 2010-02-18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725A KR20090095725A (ko) 2009-09-10
KR100952945B1 true KR100952945B1 (ko) 2010-04-15

Family

ID=4129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834A KR100952945B1 (ko) 2008-03-06 2008-03-06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9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1537B2 (en) 2010-10-29 2014-12-16 Lg Chem, Ltd. Adsorb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dsorption method using thereof
KR20210076605A (ko) 2019-12-16 2021-06-24 (주)인우코퍼레이션 인 흡착능이 개선된 아크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US11980873B2 (en) 2020-02-10 2024-05-14 Uif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Method for producing hollow activated carbon nanofiber for activating peroxymonosulfate, catalyst for purifying water,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494B1 (ko) 2020-02-19 2021-12-0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금속함유 활성탄소섬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628A (ko) * 1998-12-18 2000-07-05 신현준 고비점탄화수소 흡착제 및 이 흡착제를 이용한 탄화수소의 연속제거방법
KR100485603B1 (ko) * 2002-06-14 2005-04-27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섬유를 이용한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628A (ko) * 1998-12-18 2000-07-05 신현준 고비점탄화수소 흡착제 및 이 흡착제를 이용한 탄화수소의 연속제거방법
KR100485603B1 (ko) * 2002-06-14 2005-04-27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섬유를 이용한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1537B2 (en) 2010-10-29 2014-12-16 Lg Chem, Ltd. Adsorb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dsorption method using thereof
KR20210076605A (ko) 2019-12-16 2021-06-24 (주)인우코퍼레이션 인 흡착능이 개선된 아크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US11980873B2 (en) 2020-02-10 2024-05-14 Uif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Method for producing hollow activated carbon nanofiber for activating peroxymonosulfate, catalyst for purifying water,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725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Key factors and primary modification methods of activated carbon and their application in adsorption of carbon-based gases: A review
US6030698A (en) Activated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CN104583120B (zh) 具有高活性表面积的活性炭
Khalili et al. Synthesis of activated carbon/polyaniline nanocomposites for enhanced CO 2 adsorption
Tian et al. Ultra-microporous N-doped carbon from polycondensed framework precursor for CO2 adsorption
WO1996033801A1 (fr) Adsorbant charbonneux, son procede de production, et technique et appareil pour la separation de gaz
JP6902536B2 (ja) 活性炭、並びにそれを用いた吸着フィルターおよび浄水器
JP7491506B2 (ja) 活性炭
KR100952945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íez et al. N-enriched ACF from coal-based pitch blended with urea-based resin for CO2 capture
JP2022132348A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Wang et al. Co@ NC@ ZIF-8-hybridized carbon molecular sieve membranes for highly efficient gas separation
Thu et al. Highly microporous activated carbon from acorn nutshells and its performance in water vapor adsorption
KR100967622B1 (ko) 혼합 전기방사를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흡착제의 제조방법
JP2004182511A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Gomez-Delgado et al. Influence of the carbonization atmosphere on the development of highly microporous adsorbents tailored to CO2 capture
KR20100023946A (ko)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1710B1 (ko) 활성탄의 제조 방법
JPH11240707A (ja) 活性炭
JP4876307B2 (ja) 活性炭の製造方法
KR20210021451A (ko) 활성탄
JP6719709B2 (ja) 活性炭
CA2347009C (en) Carbon fiber composite molecular sieve electrically regenerable air filter media
TW202222705A (zh) 碳質材料及其製造方法、以及去除含氟有機化合物之材料、淨水用過濾器及淨水器
KR102588393B1 (ko) 이산화탄소 포집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수를 위한 구리 기반 배위 고분자 입자 표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