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137B1 -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6137B1 KR100626137B1 KR1020040022291A KR20040022291A KR100626137B1 KR 100626137 B1 KR100626137 B1 KR 100626137B1 KR 1020040022291 A KR1020040022291 A KR 1020040022291A KR 20040022291 A KR20040022291 A KR 20040022291A KR 100626137 B1 KR100626137 B1 KR 1006261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control
- crusher
- shearing
- hydraulic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02C21/026—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self-propel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파쇄물의 종별 (種別) 에 따라 파쇄기를 적정하게 제어하여 과부하나 막힘 등에 의한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이다. 이를 위해, 파쇄 제어 장치는 피파쇄물의 종별마다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 (59) 와, 모드마다 그 모드에 적합한 회전축 (11, 11) 의 제어 태양을 기억하는 ROM (33a) 과,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소정의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태양을 ROM 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제어 태양이 되도록 회전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33)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단 파쇄기를 탑재한 자주식 (自走式) 파쇄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자주식 파쇄기계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한 전단 파쇄기의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 패널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에 관한 멀티 모니터의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 는 실시형태에 관한 모니터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 는 파쇄물별 모드 선택 메뉴 화면이고, 도 6b 는 타이어 모드 화면이다.
도 7a 및 도 7b 는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모니터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 는 다다미 모드 (straw matting mode) 화면이고, 도 7b 는 팔레트 모드 (pallet mode) 화면이다.
도 8 은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모터 출력축 토크와, 유압 모터 입구 압력 및 유압 모터 회전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판독 전용 메모리에 기억되는, 피파쇄물에 대한 맵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주식 파쇄기계 3 : 차체
4 : 파쇄기 5 : 동력부
6 : 벨트 컨베이어 30 : 전환 밸브
31 : 솔레노이드 32 : 스프링
33 : 컨트롤러 39 : 조작 패널
44 : 멀티 모니터 45 : 라이트 스위치
46 : 모드 전환 스위치 47 : 무선제어 전환 스위치
48 : 자동 크리닝 다이얼 49 : 크러셔 스피드 다이얼
59 : 모드 선택 스위치
본 발명은 건축폐재, 가전제품의 폐품 등을 파쇄하는 데에 사용되고, 커터를 갖는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커터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해체현장이나 가전제품의 폐품 현장 등에서, 건축폐재나 폐가전제품 등의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자주식 파쇄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 파쇄기계는 좌우 한 쌍의 장궤식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 상에 파쇄기와 호퍼와 동력원을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의 주행체 사이에 배출 컨베이어를 기복 자유롭게 설치한 구조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 자주식 파쇄기계에 있어서는, 호퍼 내에 투입된 피파쇄물 을 파쇄기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하고, 파쇄편을 파쇄기의 저부에 설치한 배출구로부터 배출 컨베이어 상에 배출하며, 이 배출 컨베이어에 의해 차체 외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쇄기계에 탑재되는 파쇄기는 동력원인 엔진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하고, 이 유압 펌프의 토출 압유에 의해 회전되는 유압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며, 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커터 사이에 피파쇄물을 사이에 두고 파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행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79135호가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자주식 파쇄기계는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이 파쇄기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피더 등의 작업기와 주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기에 의한 파쇄작업을 실시하는 작업모드와, 주행장치에 의한 주행을 실시하는 주행모드와, 파쇄기의 파쇄부의 공극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 모드를 선택 가능한 선택 수단을 설치하고, 조정 모드 선택시에 작업 모드 및 주행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파쇄기 중 특히 전단 파쇄기로 처리되는 피파쇄물로서는, 타이어와 같이 비교적 점성이 있어 막히기 쉬운 것, 다다미와 같이 경부하로 얽히기 쉽고 막히기 쉬운 것, 목제 팔레트와 같이 경부하인 것, 철제 가전제품과 같이 단단한 것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단 파쇄기에서는 그러한 피파쇄물의 종별 (種別) 에 따라 최적의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예컨대 막히기 쉬운 피파쇄물을 투입한 경우에, 막 힘이 발생하여 과부하에 의해 파쇄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피파쇄물의 종별에 따라 파쇄기를 적정하게 제어함으로써, 과부하나 막힘 등에 의한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는 커터를 갖는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커터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로서, 피파쇄물의 종별마다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수단과, 모드마다 그 모드에 적합한 회전축의 제어 태양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소정의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태양을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제어 태양이 되도록 회전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단단한 물체, 부드러운 물체, 점성 물체, 긴 물체 등의 피파쇄물의 종별마다의 모드가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면,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마다의 회전축의 제어 태양이 판독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그 제어 태양이 되도록 회전축이 제어된다. 이렇게 하여, 피파쇄물의 종별에 따라 항상 최적의 파쇄 조건으로 전단 파쇄기의 회전축이 제어되게 되고, 과부하나 막힘 등에 의한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파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모드 선택 수단은 피파쇄물이 다다미, 타이어 또는 팔레트 중 어느 하나의 종별을 선택하고, 제어 수단은 회전축을 구동하는 유압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막힘 요인이 비교적 큰 다다미 혹은 타이어와 파쇄성이 비교적 양호한 경부하 목재인 팔레트의 어느 하나의 종별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이 단순하면서 용이하고, 더구나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파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유압 모터의 정역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방향 제어 밸브의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유지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회전축의 회전 속도뿐만 아니라 점성물을 파쇄할 때 등에 있어서 회전축의 정역회전 방향이 소정 시간마다 전환된다. 이로써, 전단 파쇄기에 막힘이 생긴 경우라도 그 막힌 피파쇄물 또는 파쇄물을 전단 파쇄기로부터 재전단 파쇄 또는 낙하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태양
본 발명에 따른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자주식 파쇄기계 (1) 는 좌우 한 쌍의 장궤식 주행체 (2) 를 구비하는 차체 (3) 와, 차체 (3) 상의 길이방향 일단부 근처에 부착되는 파쇄기 (크러셔 : 4) 와, 차체 (3) 상의 길이방향 타단부 근처에 부착되는 동력부 (5) 와, 좌우의 주행체 (2) 사이에 설치되는 배출용 벨트 컨베이어 (6) 와, 파쇄기 (4) 와 동력부 (5) 사이에 설치되는 운전석 (38) 과, 동력부 (5) 의 길이방향 외방으로 배출용 벨트 컨베이어 (6) 의 상방에 설치되는 자선기 (磁選機; 100)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동력부 (5) 는 엔진 (7 : 도 3 참조) 과, 엔진 (7) 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 (8 : 도 3 참조) 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 (3) 에는 유압 펌프 (8) 로부터의 오일을 제어하는 유압 제어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다.
파쇄기 (4) 는 하우징 (9) 내에 커터 (10) 를 갖는 한 쌍의 회전축 (11) 을 회전 자유롭게 횡가 지지한 2 축 전단형으로 되고, 이들 한 쌍의 회전축 (11) 이 유압 펌프 (8) 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모터 (12) 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9) 의 상부에는 호퍼 (13) 가 부착되고, 호퍼 (13) 상부의 투입구에서 피파쇄물이 투입되게 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호퍼 (13) 내에 투입된 피파쇄물은 한 쌍의 회전축 (11) 의 회전에 의해 전단 파쇄되고, 그 파쇄편이 하우징 (9) 의 바닥판에 형성된 배출구에서 벨트 컨베이어 (6) 상으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도 3 의 제어 시스템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7) 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 (8) 의 토출 유로 (14) 및 리턴 유로 (15) 는 방향 제어 밸브 (16) 를 통하여 제 1 주회로 (17) 또는 제 2 주회로 (18) 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토출 유로 (14) 로부터의 토출압은 릴리프 밸브 (19) 로 소정압으로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주회로 (17) 는 유압 모터 (12) 의 정전 포트 (20) 에 접속되 고, 제 2 주회로 (18) 는 유압 모터 (12) 의 역전 포트 (21) 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방향 제어 밸브 (16) 를 도시의 중립 위치 (N) 로부터 정전 위치 (A) 로 전환하면, 토출 유로 (14) 로부터의 압유는 제 1 주회로 (17) 를 통하여 유압 모터 (12) 의 정전 포트 (20) 에 공급된다. 이와 함께, 역전 포트 (21) 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제 2 주회로 (18), 방향 제어 밸브 (16) 및 리턴 유로 (15) 를 통하여 탱크 (22) 에 리턴됨으로써 유압 모터 (12) 는 정전한다. 한편, 방향 제어 밸브 (16) 를 역전 위치 (B) 로 전환하면, 토출 유로 (14) 로부터의 유압은 제 2 주회로 (18) 를 통하여 유압 모터 (12) 의 역전 포트 (21) 에 공급된다. 이와 함께, 정전 포트 (20) 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제 1 주회로 (17), 방향 제어 밸브 (16) 및 리턴 유로 (15) 를 통하여 탱크 (22) 에 리턴됨으로써 유압 모터 (12) 는 역전한다.
유압 펌프 (8) 는 경사판 (23) 의 경전각을 변경함으로써 용량을 제어하는 가변 용량형 펌프로서, 경사판 (23) 의 경전각은 서보 실린더 등의 용량 제어 부재 (24) 에 의해 변경된다. 유압 펌프 (8) 의 용량은 압력과 1 회전당 토출 유량의 곱, 즉 흡수 토크가 일정해지도록 제어된다. 유압 모터 (12) 는 경사판 (25) 의 경전각을 변경함으로써 용량을 제어하는 가변 용량형 모터로서, 경사판 (25) 의 경전각은 용량 제어 부재로서의 실린더 (26) 에 의해 제어된다. 실린더 (26) 는 내장의 스프링 (27) 에 의해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수압실 (28) 에 압유가 공급되면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실린더 (26) 의 수압실 (28) 에는 컨트롤 유압 펌프 (29) 로부터의 토출 유압이 전환 밸브 (30) 를 통하여 공급된다. 전환 밸브 (30) 는 솔레노이드 (31) 에 통전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 (32)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드레인 위치 (30a : 도시의 위치) 가 되어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대(大) (크러셔의 회전 속도 = Lo : 저속) 가 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31) 에 통전되었을 때에는, 스프링 (32)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공급 위치 (30b) 가 되어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소(小) (크러셔의 회전 속도 = Hi : 고속) 가 된다. 이렇게 하여 경사판 (25) 의 경전각은 2 단계로 전환된다. 솔레노이드 (31) 의 통전 제어는 컨트롤러 (33) 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2 단계 전환에만 한정하지 않고, 컨트롤러 (33) 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연속적으로 가변으로 하여 경사판 (25) 의 경전각을 임의로 (예컨대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방향 제어 밸브 (16) 는 상시 중립 위치 (N) 로 유지되고 있고, 제 1 솔레노이드 (34) 에 통전되면 정전 위치 (A) 로 전환되며, 제 2 솔레노이드 (35) 에 통전되면 역전 위치 (B) 로 전환된다. 제 1 솔레노이드 (34) 및 제 2 솔레노이드 (35) 는 컨트롤러 (33) 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주회로 (17) 에는 고압측의 유압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압력 센서 (36) 와, 저압측의 유압 신호를 검지하는 제 2 압력 센서 (37) 가 사이에 삽입되고, 각 센서 (36, 37) 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컨트롤러 (33) 에 입력된다. 운전석 (38 : 도 1 참조) 에는 조작 패널 (39) 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 패널 (39) 로부터의 조작 지시 신호가 컨트롤러 (33) 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컨트롤러 (33) 는 소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 (CPU) 와, 이 프로그램 및 피파쇄물별 모드에 따른 맵 등의 각종 맵을 기억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 33a) 와,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에 필요한 워킹 메모리로서, 또한 각종 레지스터로서의 기록 가능 메모리 (RAM) 와, 이 프로그램 중의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맵을 기억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 (33a) 가 본 발명에서의 기억 수단에 대응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패널 (39) 에 있어서는 상부에 비상 정지 스위치 (40), 혼 스위치 (41), 키 스위치 (42) 및 연료 다이얼 (43) 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좌측에 멀티 모니터 (44), 라이트 스위치 (45), 작업 모드 또는 주행 모드의 어느 하나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 (46), 무선제어의 ON/OFF 를 전환하는 무선제어 전환 스위치 (47), 커터 (10) 의 자동 크리닝을 실시하기 위한 회전축 (11) 의 정전시간을 설정하는 자동 크리닝 다이얼 (48), 회전축 (11) 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크러셔 스피드 다이얼 (49) 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우측에 벨트 컨베이어 (6) 의 ON/OFF 를 전환하는 컨베이어 스위치 (50), 크러셔 자동의 ON/OFF 를 전환하는 크러셔 자동 스위치 (51), 크러셔 수동의 ON/OFF 를 전환하는 크러셔 수동 스위치 (52), 이차 컨베이어 (도시 생략) 의 ON/OFF 를 전환하는 이차 컨베이어 스위치 (53), 자선기 (100 : 도 1 참조) 의 ON/OFF 를 전환하는 자선기 스위치 (54)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멀티 모니터 (44) 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모니터 화면 (55) 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크러셔 회전 자동 변속 (AUTO) 스위치 (56), 크러셔 회전 Hi 고정 스위치 (57), 크러셔 회전 Lo 고정 스위치 (58), 모드 선택 스위치 (59) 등 각종 스위치류를 구비하고 있다. 그 중의 9 개의 스위치에는 1 내지 9 의 숫자키로서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숫자키로서 각각의 우측 숄더부의 부분에 할당된 수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드 선택 스위치 (59) 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피파쇄물이 다다미, 타이어 또는 팔레트의 어느 하나의 파쇄물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모드 선택에 따라 전환 밸브 (30) 의 솔레노이드 (31) 의 통전 제어 및 방향 제어 밸브 (16) 의 솔레노이드 (34, 35) 의 통전 제어가 실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컨트롤러 (33) 내의 판독 전용 메모리 (33a) 에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파쇄물에 대응하는 크러셔 회전 속도 (커터 (10) 의 회전 속도) 와, 크러셔 자동 크리닝 시간 (커터 (10) 의 정전 시간 (正轉時間) 및 역전 시간 (逆轉時間)) 이 맵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이 맵을 판독함으로써 소요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이 되도록 각 솔레노이드 (31, 34, 35) 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어떠한 파쇄물별 모드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는 조작 패널 (39) 의 크러셔 자동 크리닝 다이얼 (48) 과 크러셔 스피드 다이얼 (49) 을 수동으로 설정하고, 또한 멀티 모니터 (44) 의 크러셔 회전 자동 속도 (AUTO) 스위치 (56), 크러셔 회전 Hi 고정 스위치 (57) 또는 크러셔 회전 Lo 고정 스위치 (58) 의 어느 하나의 선택을 매뉴얼 선택함으로써 크러셔 회전 설정에 기초한 매뉴얼 모드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피파쇄물이 타이어인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모드 선택 스위치 (59) 를 가압 조작하면, 모니터 화면 (55) 은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쇄물별 모드 선택 메뉴 화면으로 전환된다. 다음에, 이 화면에 있어서 선택상 스위치 (60) 또는 선택하 스위치 (61 : 도 5 참조) 를 조작하여 커서 (선택되면 색이 들어오게 되어 있음) 를 「01 타이어 모드」의 위치에 맞추고, 또는 숫자키를 조작하여 각 파쇄물별 모드에 따른 숫자를 입력하여 확정 스위치 (62 : 도 5 참조) 를 누르면, 모니터 화면 (55) 은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어 모드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 타이어 모드 화면에 있어서, 우상측에는 타이어의 도안이 표시되고, 좌상측에는 크러셔 회전 속도가 Lo 고정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 화면 중앙에는 파쇄기계의 가동 상태 및 부하 상태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모드 선택 스위치 (59) 등에 의해 타이어 모드가 선택되면, 그 선택 신호가 컨트롤러 (33) 에 입력된다. 컨트롤러 (33) 에 있어서는, ROM (33a) 에 기억되어 있는 맵 데이터가 판독되고, 이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환 밸브 (30) 의 솔레노이드 (31) 에 통전 신호가 송신된다. 이로써, 전환 밸브 (30) 는 드레인 위치 (30a) 가 되고 컨트롤 유압 펌프 (29) 로부터의 토출 유압은 실린더 (26) 의 수압실 (28) 에 공급되지 않으며,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대 (크러셔의 회전 속도 = Lo) 로 설정되고, 유압 모터 (12) 는 「Lo」의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동시에, 상기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33) 로부터 방향 전환 밸브 (16) 의 각 솔레노이드 (34, 35) 에 대해서, 제 1 솔레노이드 (34) 를 60 초간 통 전한 후에 제 2 솔레노이드 (35) 를 5 초간 통전한다는 통전 신호가 발신된다. 이로써 유압 모터 (12) 의 정전시에 한 쌍의 회전축 (11) 이 정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피파쇄물이 파쇄되고, 소정 시간 (상기 예에서는 60 초) 후에 그 회전축 (11) 이 역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파쇄기 (4) 의 커터 (10) 와 스크레이퍼 (도시 생략) 의 공극에 밀려들어간 파쇄물이 낙하 배출된다. 각 솔레노이드 (34, 35) 의 통전 시간은 컨트롤러 (33) 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에 의해 계시된다. 2 축 전단 파쇄기 (4) 의 커터 (10) 사이에 끼인 파쇄 곤란한 피파쇄물도 역전에 의해 반복 파쇄되어 막힘이 방지된다.
한편, 도 6a 에 나타낸 파쇄물별 모드 선택 메뉴 화면에 있어서, 「02 다다미 모드」가 선택되면, 도 7a 에 나타낸 다다미 모드 화면 (우상측에 다다미의 도안이 표시되어 있음) 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에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러셔 회전 속도는 Lo 고정으로 되고, 크러셔 정전 시간은 30 초, 크러셔 역전 시간은 5 초로 각각 설정되어 상기 타이어 모드와 동일하게 각 솔레노이드 (31, 34, 35) 가 제어된다.
파쇄물별 모드 선택 메뉴 화면에 있어서 「03 팔레트 모드」가 선택되면,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상측에 팔레트의 도안이 표시된 팔레트 모드 화면으로 전환된다. 동시에, 크러셔의 회전 속도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AUTO 변속」으로 설정된다. AUTO 변속시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압력 센서 (36) 및 제 2 압력 센서 (37) 에 의해 검출되는 제 1 주회로 (17) 의 유압에 따라 컨트롤러 (33) 에 의해 전환 밸브 (30) 가 전환 제어된다.
여기에서, 예컨대 전환 밸브 (30) 가 공급 위치 (30b) 로 전환되고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소로 설정되어 유압 모터 (12) 가 회전되고 있다고 한다. 이 상태에서는 유압 모터 (12) 가 1 회전에 필요로 하는 유압의 유량이 적기 때문에, 유압 모터 (12) 는 고속 회전으로 출력축 토크는 작고 (도 8 의 C, D 참조), 파쇄기 (4) 는 저토크로 고속회전된다. 이 때, 제 1 주회로 (17) 의 압력은 제 1 설정압 (P1 : 예컨대 15 MPa)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압측의 제 2 압력 센서 (37) 는 ON 이 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파쇄기 (4) 의 부하가 커져 제 1 주회로 (17) 의 압력이 제 2 설정압 (P2 : 예컨대 31 MPa) 이 되면, 고압측의 제 1 압력 센서 (36) 가 ON 작동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 (33) 로부터 솔레노이드 (31) 로의 통전이 차단되고, 전환 밸브 (30) 는 드레인 위치 (30a) 로 전환되며,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대가 된다. 이 결과, 유압 모터 (12) 가 1 회전에 필요로 하는 유압의 유량은 많아져 유압 모터 (12) 는 저속 회전으로 출력축 토크는 대가 되고 (도 8 의 E, F 참조), 파쇄기 (4) 는 고토크로 저속 회전된다. 이 때, 제 1 주회로 (17) 의 압력은 제 2 설정압 (P2) 보다도 저하한다.
이 상태에서 파쇄기 (4) 의 부하가 감소하여 제 1 주회로 (17) 의 압력이 제 1 설정압 (P1) 보다 저하하고, 저압측의 제 2 압력 센서 (37) 가 OFF 가 되면, 컨트롤러 (33) 로부터 솔레노이드 (31) 에 통전 신호가 송신되고, 전환 밸브 (30) 는 공급 위치 (30b) 로 전환되어 경사판 (25) 의 경전각이 소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유압 모터 (12) 는 고속 회전으로 출력축 토크가 작아지고, 파쇄기 (4) 는 저 토크로 고속 회전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주회로 (17) 의 압력에 따라, 바꾸어 말하면 파쇄기 (4) 의 부하에 따라, 유압 모터 (12) 의 회전 속도가 Lo 위치와 Hi 위치로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이 팔레트 모드에 있어서는, 비교적 경부하의 목재를 취급하기 때문에, 크러셔 정전 시간은 60 초, 크러셔 역전 시간은 5 초로 각각 설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퍼레이터가 모드 선택 스위치 (59) 등을 조작하여 피파쇄물의 종별을 다다미, 타이어 또는 팔레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 피파쇄물의 종별에 따라 컨트롤러 (33) 내의 맵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마다의 회전축 (11) 의 제어 태양이 판독된다. 그리고, 회전축 (11) 의 회전 속도와 정역 회전 시간이 제어되고, 막힘 요인이 비교적 큰 다다미 혹은 타이어와, 파쇄성이 비교적 양호한 경부하 목재인 팔레트의 각 종별에 따라, 항상 최적의 파쇄 조건 (회전 속도와 정역 회전 시간) 에서 파쇄기 (4) 가 제어된다. 이로써, 과부하나 막힘 등에 의한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이 단순하면서 용이하고 더구나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파쇄물이 다다미, 타이어 혹은 팔레트의 어느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피파쇄물의 종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종별을 추가하여 그 성상에 맞추어 맵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회전축은 1 축일 수도 있 고, 혹은 3 축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사판 타입의 유압 모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경사축 타입의 유압 모터를 갖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단단한 물체, 부드러운 물체, 점성 물체, 긴 물체 등의 피파쇄물의 종별마다의 모드가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면,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마다의 회전축의 제어 태양이 판독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그 제어 태양이 되도록 회전축이 제어된다. 이렇게 하여, 피파쇄물의 종별에 따라 항상 최적의 파쇄 조건으로 전단 파쇄기의 회전축이 제어되게 되고, 과부하나 막힘 등에 의한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막힘 요인이 비교적 큰 다다미 혹은 타이어와 파쇄성이 비교적 양호한 경부하 목재인 팔레트의 어느 하나의 종별을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이 단순하면서 용이하고, 더구나 가동 정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축의 회전 속도뿐만 아니라 점성물을 파쇄할 때 등에 있어서 회전축의 정역회전 방향이 소정 시간마다 전환된다. 이로써, 전단 파쇄기에 막힘이 생긴 경우라도 그 막힌 피파쇄물 또는 파쇄물을 전단 파쇄기로부터 재전단 파쇄 또는 낙하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 커터 (10, 10) 를 갖는 회전축 (11, 11) 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터 (10, 10) 로 피파쇄물을 전단 파쇄하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로서,상기 피파쇄물의 종별마다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수단 (59) 과,상기 모드마다 그 모드에 적합한 상기 회전축 (11, 11) 의 제어 태양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 (33a) 과,상기 모드 선택 수단 (59) 에 의해 소정의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태양을 상기 기억 수단 (33a) 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제어 태양이 되도록 상기 회전축 (11, 11) 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3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수단 (59) 은 피파쇄물이 다다미, 타이어 또는 팔레트 중 어느 하나의 종별을 선택하고,상기 제어 수단 (33) 은 상기 회전축 (11, 11) 을 구동하는 유압 모터 (12) 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유압 모터 (12) 의 정역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제어 밸브 (16) 를 구비하고,상기 제어 수단 (33) 은 상기 방향 제어 밸브 (16) 의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유지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104792 | 2003-04-09 | ||
JP2003104792 | 2003-04-09 | ||
JP2003302400A JP2004322076A (ja) | 2003-04-09 | 2003-08-27 | せん断破砕機の破砕制御装置 |
JPJP-P-2003-00302400 | 2003-08-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7879A KR20040087879A (ko) | 2004-10-15 |
KR100626137B1 true KR100626137B1 (ko) | 2006-09-21 |
Family
ID=3210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2291A KR100626137B1 (ko) | 2003-04-09 | 2004-03-31 |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303159B2 (ko) |
JP (1) | JP2004322076A (ko) |
KR (1) | KR100626137B1 (ko) |
DE (1) | DE102004017524A1 (ko) |
FI (1) | FI2004511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55143B2 (ja) * | 2008-12-26 | 2013-02-27 | 日立建機株式会社 | 木材破砕機 |
US9205431B2 (en) * | 2013-03-14 | 2015-12-08 | Joy Mm Delaware, Inc. | Variable speed motor drive for industrial machine |
CN104014411B (zh) * | 2014-06-23 | 2016-05-04 |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 一种电驱动的移动破碎站 |
KR102403975B1 (ko) * | 2015-12-09 | 2022-05-30 | 아스텍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엔진 연료 소비 제어부를 구비한 수평 분쇄기 |
CN110152781B (zh) * | 2018-04-13 | 2021-02-09 | 南通太洋高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无机非金属新材料制备用原料粉碎装置 |
US11484886B2 (en) | 2018-05-23 | 2022-11-01 |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 Shredder for comminuting bulk material |
CN109127006B (zh) * | 2018-07-13 | 2021-03-02 | 内蒙古兆丰河套面业有限公司 | 一种小麦冷制粉加工工艺 |
CN109174418A (zh) * | 2018-10-29 | 2019-01-11 | 李维生 | 一种带远程自动控制系统的自行式骨料破碎机 |
US20230341049A1 (en) * | 2022-04-26 | 2023-10-26 | Caterpillar Inc. | System for providing rotary power to implements of machin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0865B1 (ko) * | 1994-08-04 | 1998-11-16 | 카타다 테쯔야 | 파쇄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
KR0160863B1 (ko) * | 1994-07-20 | 1998-11-16 | 카타다 테쯔야 |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기 제어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14A (en) * | 1878-03-05 | Improvement in pneumatic, hydraulic, or steam pressure apparatus | ||
DE2937846C2 (de) | 1979-09-19 | 1985-05-15 | Engelbrecht + Lemmerbrock Gmbh + Co, 4520 Melle | Maschine zum Zerkleinern von sperrigem Material |
US4635858A (en) | 1981-01-09 | 1987-01-13 | W. R. Grace & Co. | Methods of operating ball grinding mills |
US4793561A (en) * | 1982-05-24 | 1988-12-27 | Mac Corporation Of America | Speed-responsive reversing hydraulic drive for rotary shredder |
DE3412306A1 (de) | 1984-04-03 | 1985-10-10 | Feinwerktechnik Schleicher & Co, 7778 Markdorf | Steuerungseinrichtung fuer den antrieb beispielsweise eines aktenvernichters oder aehnlichen geraetes |
JP2628054B2 (ja) | 1987-12-25 | 1997-07-09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破砕プラントの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
FI81279C (fi) * | 1989-02-15 | 1990-10-10 | Onninen Oy | Kross. |
JP2575323B2 (ja) | 1991-02-22 | 1997-01-22 | 日立精機株式会社 | データ抽出平均法による切削負荷監視方法 |
JP2799296B2 (ja) | 1994-11-07 | 1998-09-17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旋動破砕機 |
DE19518390C2 (de) | 1995-05-19 | 1999-02-18 | Inofex Gmbh |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teuerung und Regelung eines Antriebssystems für die Verarbeitung eines Rohstoffes, vorzugsweise für Fleischereimaschinen |
DE19632977B4 (de) * | 1996-08-16 | 2009-04-02 | Claas Kgaa Mbh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zugssteuerung eines Feldhäckslers |
JPH1133424A (ja) | 1997-07-15 | 1999-02-09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ロールクラッシャ制御装置 |
ITMI980943A1 (it) | 1998-04-30 | 1999-10-30 | Carle & Montanari Spa |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premacinazione di materiale dolciario |
US6332582B1 (en) * | 1998-06-26 | 2001-12-25 | Komatsu Ltd. | 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 |
JP3445939B2 (ja) | 1998-08-31 | 2003-09-16 | 株式会社栗本鐵工所 | 破砕機の監視システム |
JP2000325823A (ja) | 1999-05-24 | 2000-11-28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自走式破砕機の電気回路装置及び自走式破砕機 |
JP4093517B2 (ja) | 1999-09-02 | 2008-06-04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破砕装置の歯先隙間調整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
JP2002079135A (ja) | 2000-09-08 | 2002-03-19 | Komatsu Ltd | 自走式破砕機械 |
JP3840381B2 (ja) | 2001-01-30 | 2006-11-01 | 日立建機株式会社 |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及び自走式破砕機の操作盤 |
JP2002346415A (ja) * | 2001-05-22 | 2002-12-0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木材破砕機 |
FR2832939B1 (fr) * | 2001-12-05 | 2004-02-27 | Cff Recycling | Installation amelioree de pre-broyage d'objets |
JP2004202376A (ja) * | 2002-12-25 | 2004-07-22 | Komatsu Ltd | 破砕装置 |
JP2004322075A (ja) | 2003-04-09 | 2004-11-18 | Komatsu Ltd | 破砕機の負荷表示装置 |
-
2003
- 2003-08-27 JP JP2003302400A patent/JP2004322076A/ja active Pending
-
2004
- 2004-03-18 US US10/805,618 patent/US730315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3-31 KR KR1020040022291A patent/KR1006261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4-05 FI FI20045119A patent/FI20045119A/fi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4-08 DE DE102004017524A patent/DE102004017524A1/de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0863B1 (ko) * | 1994-07-20 | 1998-11-16 | 카타다 테쯔야 |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기 제어장치 |
KR0160865B1 (ko) * | 1994-08-04 | 1998-11-16 | 카타다 테쯔야 | 파쇄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01608630000 |
100160865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I20045119A0 (fi) | 2004-04-05 |
JP2004322076A (ja) | 2004-11-18 |
KR20040087879A (ko) | 2004-10-15 |
US7303159B2 (en) | 2007-12-04 |
US20040200911A1 (en) | 2004-10-14 |
FI20045119A (fi) | 2004-10-10 |
DE102004017524A1 (de) | 2004-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60863B1 (ko) |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기 제어장치 | |
US5230475A (en) | Conveyor system for shredder | |
KR100626137B1 (ko) |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 |
US7318463B2 (en) | Self-propelling crusher | |
KR101083697B1 (ko) | 파쇄장치 | |
US6354524B1 (en) | Mobile crushing machine | |
KR100224291B1 (ko) | 자주식 파쇄기계 | |
KR100207760B1 (ko) |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장치 | |
US6474577B2 (en) | 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 | |
KR0160865B1 (ko) | 파쇄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 |
JP4637748B2 (ja) | 自走式リサイクル機の走行制御装置 | |
KR20040057922A (ko) | 파쇄장치 | |
JP2000325829A (ja) | 自走式破砕機のフィーダ制御装置 | |
JPH0824696A (ja) | 破砕装置 | |
JP3117054B2 (ja) | 自走式破砕機の破砕機駆動制御装置 | |
JP3681027B2 (ja) | 自走式破砕機 | |
JP2002219379A (ja) |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及び自走式破砕機の操作盤 | |
JP4753652B2 (ja) | 樹枝粉砕機 | |
JP4753298B2 (ja) | 破砕機における搬出コンベア制御装置 | |
JP2001121024A (ja) |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 |
JP2003170081A (ja) | 自走式破砕機 | |
JPH11156227A (ja) | 破砕機の駆動装置 | |
JP2001121023A (ja) |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 |
JP2003170076A (ja) | 自走式破砕機 | |
JP2002079135A (ja) | 自走式破砕機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