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435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7435B1 KR100607435B1 KR1020040057777A KR20040057777A KR100607435B1 KR 100607435 B1 KR100607435 B1 KR 100607435B1 KR 1020040057777 A KR1020040057777 A KR 1020040057777A KR 20040057777 A KR20040057777 A KR 20040057777A KR 100607435 B1 KR100607435 B1 KR 100607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water
- washing tank
- tank
- deterg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과제) 세척 탱크 안에 생기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해결수단) 세척 탱크 안에 급수를 실시할 때, 급수관 (54) 과 컵 노즐 (55) 의 틈으로부터 세척 탱크의 바닥면 전체에 샤워형상으로 수돗물을 분사시킨다. 또한,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하는 세척수의 일부를 세척 탱크의 후면 (3C) 에 형성된 작은 구멍 (58) 으로부터 히터 커버를 향하여 분사시킨다.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식기 세척기를 정면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식기 세척기를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오른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떼어낸 상태로 식기 세척기를 앞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 는 식기 세척기를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위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하부 도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에서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세척 탱크의 후면의 일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에서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는 천장면 노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천장면 노즐을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 은 천장면 노즐을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 는 세척 탱크를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서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기 세척기
3: 세척 탱크
3B: 바닥면
9: 식기 바구니
9A: 상부 바구니
9B: 하부 바구니
13: 컵 수용부
15: 저수부
19A: 전용 세제 수용부
20: 세척 겸 배수 펌프
26: 회전 노즐 아암
29: 고정 노즐 아암
35: 천장면 노즐
39: 히터
40: 히터 커버
48: 히터 수용 오목부
53: 돌기부
54: 급수관
55: 컵 노즐
58: 작은 구멍
본 발명은,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식기 세척기는, 세척 탱크 안에 저장한 물에 전용 세제를 혼합함으로써 세척수를 생성하고, 그 세척수를 식기를 향하여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세척 탱크 안에는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어 있고,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는 세척 펌프에 의해 흡입되어 복수의 노즐로부터 식기를 향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 탱크 안에 모이고 다시 복수의 노즐로부터 식기를 향하여 분사된다.
식기 세척기에서는 복수의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세차게 분사시키는 동시에 세척 탱크 안의 세척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순환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식기를 손으로 씻는 경우보다도 세제의 거품이 일어나기 쉽다. 특히, 식기를 한번 손으로 씻은 후에 식기 세척기로 세척하는 경우와 같이 식기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이 적은 경우에는 세제의 거품이 더 잘 일어나, 세척 탱크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길 우려가 있다. 세척 탱크 안에서 거품이 대량으로 발생하면 세척 성능이 저하되거나 세척기 외부로 거품이 새어나가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전용 세제는 손으로 씻을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부엌 세제보다도 거품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40919호
그러나, 전용 세제를 일부러 준비하는 것은 번거롭기 때문에 부엌 세제를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면 편리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부엌 세제를 사용하면 세척 탱크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세척 탱크 안에 생긴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엌 세제를 사용하여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발명의 효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 (3) 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 (20, 26, 29, 35) 과,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식기의 세척시에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울 수 있는 히터 (39) 와, 상기 히터의 위쪽에 배치된 히터 커버 (40) 와, 상기 히터 커버를 향하여 물 (수돗물일 수도 있고, 세척수일 수도 있다) 을 분 사함으로써, 상기 히터 커버 위에 고인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 제거 수단 (20, 5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 이다.
또, 괄호 안의 영자, 숫자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대응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히터 커버 위에 고인 거품을 거품 제거 수단에 의해 양호하게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안에 생기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 (plate basket: 9B) 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 제거 수단 (20, 58) 은,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과 상기 식기 바구니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히터 커버 (39) 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세척 탱크 (3) 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 탱크 안의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 (구체적으로는, 배수로의 가장 높은 위치의 근방) 에 연결되어 통해 있는 압력 조정 구멍 (58) 을 포함하며, 상기 거품 제거 수단 (20, 58) 이 상기 압력 조정 구멍으로부터 물을 분사시키는 것이면, 압력 조정 구멍을 이용하여 거품 제거 수단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세척 탱크 안의 거품을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거품 제거 수단 (20, 58) 은, 상기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할 때에,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히터 커버를 향하여 분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식기 세척 기 (1) 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 히터 커버 위에 남은 거품이나, 히터 수용부 안에 형성된 틈에 고인 세제 (부엌 세제) 를 거품 제거 수단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와 함께 씻어 낼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세척 탱크 안에 급수가 실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세척 행정 후에 세척 탱크 안의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일단 배출된 후, 세척 탱크 안에 다시 수돗물이 공급되어 헹굼 행정이 실시되는 경우 등) 에, 공급된 물에 거품이 녹아 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헹굼 행정이 실시된 경우에 헹굼 성능이 저하되거나, 다음 행정 (예를 들어, 세척 행정) 시에 다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안에 생기는 거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 (3) 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배치된, 식기를 유지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 (9, 9A) 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식기 바구니의 위쪽에서부터 해당 식기 바구니에 유지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 (20, 35) 과,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할 때에, 상기 세척 수단으로부터 물 (수돗물일 수도 있고, 세척수일 수도 있다) 을 분사시킴으로써, 상기 세척 탱크 안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 제거 수단 (20, 3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 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 세척 탱크 안 (식기 바구니 등) 에 남은 거품을 세척 수단으로부터 분사된 물과 함께 씻어 낼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세척 탱크 안에 급수가 실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세척 행정 후에 세척 탱크 안의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일단 배출된 후, 세척 탱크 안에 다시 수돗물이 공급되어 헹굼 행정이 실시되는 경우 등) 에, 공급된 물에 거품이 녹아 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헹굼 행정이 실시된 경우에 헹굼 성능이 저하되거나, 다음 행정 (예를 들어, 세척 행정) 시에 다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안에 생기는 거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척 수단 (20, 35) 은, 샤워형상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면 보다 광범위하게 세척수를 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안에 생긴 거품을 보다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식기 바구니 (9, 9A) 는, 컵을 유지하기 위한 컵 유지부 (13)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수단 (20, 35) 은, 상기 컵 유지부의 위쪽에서부터 해당 컵 유지부에 유지된 컵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 (3) 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 (20, 26, 29, 35) 과,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 (3B) 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식기를 유지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 (9, 9B) 와,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과 상기 식기 바구니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물 (수돗물일 수도 있고, 세척수일 수도 있다) 을 샤워형상으로 분사함으로써,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에 고인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 제거 수단 (54, 5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 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의 바닥면에 고인 거품을 거품 제거 수단에 의해 양호하게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안에 생기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거품 제거 수단 (54, 55) 은, 상기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을 향하여 분사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 (54) 과, 이 급수관의 선단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대향 부재 (55) 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과 상기 대향 부재의 틈 (57) 을 통과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이라면, 급수관과 대향 부재의 틈으로부터 보다 양호하게 샤워형상으로 물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하게 물을 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의 바닥면에 고인 거품을 보다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거품 제거 수단 (54, 55) 은, 상기 세척 탱크 (3) 안에 급수를 실시할 때에 수돗물을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 (3B) 을 향하여 분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 (3) 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 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 (20, 26, 29, 35) 과, 식기의 세척시에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울 수 있는 히터 (39) 와,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부 (48) 와, 부엌 세제를 식기의 세척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하는 부엌 세제를 수용 가능한 세제 수용부 (19A) 와, 상기 세제 수용부측으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부엌 세제가 공급될 때에, 부엌 세제가 상기 히터 수용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 (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 이다.
통상 부엌 세제는 전용 세제와는 달리 액체이기 때문에,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된 부엌 세제가 히터 수용부 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히터 수용부 안의 액체가 고이기 쉬운 부분 (예를 들어, 히터 커버와 히터 수용부의 접촉부나, 히터 수용부의 바닥부에 배치된 금속판과 히터 수용부의 바닥면의 틈 등) 에 부엌 세제가 고여, 세척 탱크 안에 수돗물을 공급했을 때에 대량의 거품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된 부엌 세제가 규제 수단에 의해 히터 수용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되기 때문에, 히터 수용부 안으로 부엌 세제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안에 수돗물을 공급했을 때에 히터 수용부 안에 고인 부엌 세제가 공급된 물에 녹아 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헹굼 행정이 실시된 경우에 헹굼 성능이 저하되거나, 다음 행정 (예를 들어, 세척 행정) 시에 다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규제 수단 (53) 은, 상기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규제 수단 (53) 은, 상기 세제 수용부 (19A) 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에 부엌 세제가 공급될 때에 부엌 세제가 상기 히터 수용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세제 수용부와는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세제 수용부와는 다른 수용부에 부엌 세제를 수용한 경우나, 상기 세제 수용부로부터 부엌 세제가 넘친 경우 등) 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에 부엌 세제가 공급될 때에, 부엌 세제가 상기 히터 수용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에 형성되고, 식기의 세척시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수 오목부 (15) 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 수단 (53) 은, 상기 세제 수용부 (19A) 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된 부엌 세제를 상기 저수 오목부측으로 유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 (3) 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 (20, 26, 29, 35) 과, 식기의 세척시에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울 수 있는 히터 (39) 와,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부 (48) 와, 부엌 세제를 식기의 세척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하는 부엌 세제를 수용 가능한 세제 수용부 (19A, 19B) 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 수용부는, 해당 세제 수용부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되는 부엌 세제가 상기 히터 수용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 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된 부엌 세제가 히터 수용부에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안에 수돗물을 공급했을 때에 히터 수용부 안에 고인 부엌 세제가 공급된 물에 녹아 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헹굼 행정이 실시된 경우에 헹굼 성능이 저하되거나, 다음 행정 (예를 들어, 세척 행정) 시에 다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부 (48) 는,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부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세제 수용부 (19A, 19B) 는, 상기 히터 수용부 (48) 의 위쪽에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제 수용부 (19A, 19B) 는, 상기 세척 탱크 (3) 를 닫기 위한 도어 (5, 6) 의 이면 (닫혔을 때에 상기 세척 탱크측이 되는 면) 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세척해야 할 식기를 유지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 (의 앞부분) 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식기 세척기 (1) 를 정면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이 식기 세척기 (1) 는 그 외형이 대략 직사각체형인 케 이스체 (2)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케이스체 (2) 는 좌우 방향의 길이 (폭) 에 비하여 전후 방향의 길이 (깊이) 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 (2) 의 내부에는 세척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척 탱크 (3)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세척 탱크 (3) 의 앞쪽면에는 개구 (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개구 (4) 는 케이스체 (2) 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2 개의 도어 (상부 도어 (5) 및 하부 도어 (6)) 에 의해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부 도어 (5) 에 의해 개구 (4) 의 상측 절반 정도를 덮을 수 있고, 하부 도어 (6) 에 의해 개구 (4) 의 하측 절반 정도를 덮을 수 있다. 상부 도어 (5) 는 앞쪽 상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편, 하부 도어 (6) 는 앞쪽 하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상부 도어 (5) 및 하부 도어 (6) 를 닫은 상태에서는, 개구 (4) 가 덮여 세척 탱크 (3) 에서 물이 새지 않게 닫힌다.
하부 도어 (6) 의 상단부에는,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해당 하부 도어 (6) 를 열 때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 (7) 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7) 를 잡고 앞쪽으로 당김으로써 하부 도어 (6) 를 앞쪽 하측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상부 도어 (5) 는 하부 도어 (6) 에 연동하여 개폐하게 되어 있어, 하부 도어 (6) 가 앞쪽 하측으로 회전운동되면 그것에 연동하여 상부 도어 (5) 가 앞쪽 상측으로 회전운동되고 개구 (4) 가 크게 개방된다.
케이스체 (2) 의 전면 하부에는, 이 식기 세척기 (1) 에서의 운전 내용 (운전 코스 등) 을 설정하거나 운전 상황을 표시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 표시 패널 (8) 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는 식기 세척기 (1) 를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오른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 도 3 은 상부 도어 (5) 및 하부 도어 (6) 를 떼어낸 상태로 식기 세척기 (1) 를 앞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단, 도 3 에서는 식기 세척기 (1) 의 하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세척 탱크 (3) 안에는 세척해야 할 식기를 유지하기 위한 2 개의 식기 바구니 (9;상부 바구니 (9A) 및 하부 바구니 (9B)) 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부 바구니 (9A) 및 하부 바구니 (9B) 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부 도어 (5) 및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로 개구 (4) 를 통하여 앞쪽으로 끌어 내어 식기를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바구니 (9B) 의 우측 부분 (우단으로부터 1/3 정도의 범위) 은, 중간 크기 접시나 큰 접시 등 비교적 큰 접시를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큰 접시 수용부 (10) 로 되어 있다. 또, 하부 바구니 (9B) 의 중앙부로부터 좌측에 걸친 부분 (좌단으로부터 2/3 정도의 범위) 은, 밥그릇, 국그릇 및 대접 등의 오목한 그릇을 옆으로 세운 상태로 수용 가능한 오목 그릇 수용부 (11) 로 되어 있다.
상부 바구니 (9A) 의 우측 부분 (우단으로부터 1/3 정도의 범위) 은 작은 그릇을 수용하기 위한 작은 그릇 수용부 (12) 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바구니 (9A) 의 중앙부로부터 좌측에 걸친 부분 (좌단으로부터 2/3 정도의 범위) 은, 컵이나 잔 등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 (13) 로 되어 있다. 작은 그릇 수용부 (12) 에는 전후 2 열로 각각 2 개씩 (합계 4 개) 의 작은 그릇을 좌우로 나란히 수 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컵 수용부 (13) 에는 전후 3 열로 각각 4 개씩 (계 12 개) 의 컵을 좌우로 나란히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작은 그릇 수용부 (12) 에 수용되는 작은 그릇, 및 컵 수용부 (13) 에 수용되는 컵이나 찻잔 등은 각각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게 하여 세트된다.
큰 접시 수용부 (10) 에 수용되는 큰 접시 등은 오목 그릇 수용부 (11) 에 수용되는 밥그릇 등보다도 상하 방향의 수용 공간을 더 필요로 하는 한편, 작은 그릇 수용부 (12) 에 수용되는 작은 그릇은, 컵 수용부 (13) 에 수용되는 컵 등보다도 상하 방향의 수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작은 그릇 수용부 (12) 를 큰 접시 수용부 (10) 의 위쪽에 배치하고, 컵 수용부 (13) 를 오목 그릇 수용부 (11) 의 위쪽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컵 수용부 (13) 를 작은 그릇 수용부 (12) 보다도 한 단 낮게 형성함으로써, 상부 바구니 (9A) 및 하부 바구니 (9B) 에 효율적으로 식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부 바구니 (9A) 및 하부 바구니 (9B) 의 둘레가장자리부 등의 빈 공간에는 작은 접시를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세척 탱크 (3) 의 좌우 내측면 (3A) 의 상부에는, 상부 바구니 (9A) 의 좌우 측가장자리부와 걸어 맞추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2 쌍의 레일 (14) 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각 쌍의 좌측 레일 (14) 만이 보임).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나란히 배치된 2 쌍의 레일 (14) 중 어느 것에 상부 바구니 (9A) 의 좌우 측가장자리부를 걸어 맞출 것인지에 따라 상부 바구니 (9A) 의 높이를 2 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 상부 바구니 (9A) 의 좌우 측가장자리부를 상측 레일 (14) 에 걸어 맞춰 상부 바구니 (9A) 를 높은 위치 쪽에 유지시키면 큰 접시 수용부 (10) 의 위쪽에 비교적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큰 접시라 해도 큰 접시 수용부 (10) 에 양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4 는 식기 세척기 (1) 를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위쪽에서 본 단면도이고,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 도 4 를 참조하여,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앞쪽에서 왼쪽부분으로 세척수를 저장해 두기 위한 저수부 (15) 가 한 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세척 탱크 (3) 안에는, 예를 들어 세척기 외부의 급수 설비로부터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세척 탱크 (3) 안으로 공급된 수돗물은 저수부 (15) 를 포함한 세척 탱크 (3) 의 하부에 모이도록 되어 있다. 식기의 세척에 사용하는 세척수는, 세척 탱크 (3) 안에 세제를 투입함으로써 그 세제가 세척 탱크 (3) 안으로 공급된 수돗물과 섞여 생성된다.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 (또는 수돗물) 의 수위는, 세척 탱크 (3) 의 뒤쪽 하부에 배치된 수위 센서 (16;압력 센서) 에 의해 검지된다. 저수부 (15) 에는 에어 트랩 (17) 이 연결되어 통해 있고, 이 에어 트랩 (17) 과 수위 센서 (16) 가 에어 호스 (18)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 (3) 안의 수위 변화에 따라 에어 트랩 (17) 안의 공기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 에어 트랩 (17) 안의 공기의 압력 변화를 수위 센서 (16) 로 검지함으로써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를 검지할 수 있다.
하부 도어 (6) 의 내면 (닫힌 상태에서 세척 탱크 (3) 측이 되는 면) 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전용 세제 (통상은 분말) 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전용 세제 수용부 (19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의 좌측으로 부엌 세제 (통상은 액체) 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부엌 세제 수용부 (19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이 식기 세척기 (1) 에서는,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전용 세제를 수용하고 그 전용 세제를 세척 탱크 (3) 안으로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코스 (전용 세제 코스) 나,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에 부엌 세제를 수용하고 그 부엌 세제를 세척 탱크 (3) 안으로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코스 (부엌 세제 코스) 등의 각종 운전 코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전용 세제 수용부 (19A) 및 부엌 세제 수용부 (19B) 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용 세제 수용부 (19A)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부엌 세제 수용부 (19B)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에서는 전용 세제 수용부 (19A) 및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의 개구가 각각 위를 향한 상태가 되어 전용 세제 및 부엌 세제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전용 세제를 수용한 후, 또는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에 부엌 세제를 수용한 후 하부 도어 (6) 를 닫으면,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수용되어 있는 전용 세제 또는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에 수용되어 있는 부엌 세제가 세척 탱크 (3) 안로 낙하되어 세척 탱크 (3) 안으로 공급되는 수돗물과 혼합된다.
부엌 세제 코스로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 사용하는 부엌 세제의 양은 5㎖ 정 도가 바람직하다. 부엌 세제에는 중성, 약알칼리성 및 약산성의 세제가 있고, 세제량을 5㎖ 정도로 하면 어떠한 종류의 부엌 세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식기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세척 탱크 (3) 의 아래쪽 (저수부 (15) 의 뒷부분) 에는 식기 세척시에 세척 탱크 (3) 안의 세척수를 순환시키거나 세척 탱크 (3) 안의 세척수를 배수하거나 하기 위한 세척 겸 배수 펌프 (2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세척 겸 배수 펌프 (20) 는 그 내부가 세척 펌프실과 배수 펌프실로 구획되어 있고, 세척 펌프실 및 배수 펌프실에는 각각 펌프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 가능한 세척용 임펠러 및 배수용 임펠러가 구비되어 있다.
세척 펌프실의 흡입구 (21) 는 저수부 (15) 의 뒷벽에 형성된 순환구 (22) 에 접속되어 있고, 세척 펌프실의 토출구 (23) 는 세척 탱크 (3) 의 아래쪽에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통수로 (通水路: 24) 에 접속되어 있다. 이 통수로 (24) 는 후술하는 회전 노즐 아암 및 고정 노즐 아암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모터가 정회전하면 세척 펌프실 안의 세척용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저수부 (15) 로부터 순환구 (22) 를 통하여 세척 펌프실 안으로 세척수가 흡입되고, 그 세척수가 토출구 (23) 로부터 통수로 (24) 로 이송된다. 통수로 (24) 를 통하여 압송된 세척수는 회전 노즐 아암 및 고정 노즐 아암으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의 식기를 향하여 분사된다. 회전 노즐 아암 및 고정 노즐 아암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다시 세척 탱크 (3) 의 바닥부에 모여 저수부 (15) 로부터 순환구 (22) 를 통하여 세척 겸 배수 펌프 (20;세척 펌프실) 로 흡입된다. 이렇게 하여 저수부 (15) 에 모인 세척수는 식기 세척기 (1) 내에서 순환되어 식기 세척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배수 펌프실의 흡입구는 저수부 (15) 의 좌측벽에 형성된 배수구 (25) 에 접속되어 있고, 배수 펌프실의 토출구는 세척기 외부로 연결되어 통해 있는 배수로 (도시 생략) 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모터가 반전되면, 배수 펌프실 안의 배수용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저수부 (15) 로부터 배수구 (25) 를 통하여 배수 펌프실 안으로 세척수가 흡입되고, 그 세척수가 배수로를 통하여 세척기 외부로 배출된다.
세척 탱크 (3) 의 바닥부에는 하부 바구니 (9B) 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2 개의 회전 노즐 아암 (26) 이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회전 노즐 아암 (26) 은 각각 대략 타원형의 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공통된 노즐 베이스 (27) 에 의해 각각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노즐 베이스 (27) 는 통수로 (24) 에 연결되어 통해 있다.
각 회전 노즐 아암 (26) 의 상면에는 복수 (예를 들어, 6 개) 의 노즐 (28) 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 겸 배수 펌프 (20) 로부터 통수로 (24) 및 노즐 베이스 (27) 를 통하여 각 회전 노즐 아암 (26) 으로 이송된 세척수는, 각 회전 노즐 아암 (26) 의 노즐 (28) 로부터 위쪽을 향해 분사된다. 각 회전 노즐 아암 (26) 의 노즐 (28) 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각 회전 노즐 아암 (26) 에 대하여 반력(反力)이 생기고, 그 반력에 의해 각 회전 노즐 아암 (26) 은 노즐 (28) 로부 터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것으로 인해, 각 회전 노즐 아암 (26) 의 위쪽에 위치하는 식기에 빈틈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 탱크 (3) 의 후면 (3C) (내면) 에는 상부 바구니 (9A) 와 하부 바구니 (9B) 사이에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고정 노즐 아암 (29) 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노즐 아암 (29) 은 그 하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후, 도중에서 제 1 아암 (30) 과 제 2 아암 (31) 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정 노즐 아암 (29) 은 그 하단이 통수로 (24) 에 연결되어 통해 있다.
제 1 아암 (30) 은, 상부 바구니 (9A) 의 컵 수용부 (13) 보다도 약각 낮은 위치에서 좌측으로 분기되고, 후면 (3C) 의 좌단 근방까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아암 (30) 에는 컵 수용부 (13) 의 마지막열 (3 열째) 에 수용된 컵을 향해 위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32) 이, 컵 수용부 (13) 의 마지막열에 수용할 수 있는 컵의 수와 동일 수 (4 개) 만큼 구비되어 있다. 각 노즐 (32) 은 컵 수용부 (13) 의 마지막열에 수용되는 4 개의 컵에 대응되어 있고, 대응하는 컵 안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 아암 (31) 은, 제 1 아암 (30) 의 분기 위치보다도 더 위쪽까지 연장된 후, 작은 그릇 수용부 (12) 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에서 우측으로 굴곡되어 후면 (3C) 의 우단 근방까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아암 (31) 에는 작은 그릇 수용부 (12) 에 수용된 작은 그릇을 향해 위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 (예를 들어 3 개) 의 노즐 (33) 이 구비되어 있다. 또, 제 2 아암 (31) 에는 큰 접시 수용부 (10) 에 수용된 큰 접시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임펠러형 노즐 (34) 이 복수 (예를 들어 2 개) 구비되어 있다. 이 임펠러형 노즐 (34) 에서는, 세척수의 분사에 수반하여 임펠러가 회전되어 광범위하게 세척수를 살포할 수 있다. 이 임펠러형 노즐 (34) 에 의해, 우측의 회전 노즐 아암 (26) 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도달되기 힘든 큰 접시의 윗 부분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세척 탱크 (3) 의 천장면 (3D) (내면) 에는, 컵 수용부 (13) 중앙부의 거의 바로 위가 되는 위치에 아래쪽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천장면 노즐 (35)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천장면 노즐 (35) 은 송수관 (36) 을 통하여 세척 겸 배수 펌프 (20) 의 세척 펌프실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 모터가 정회전하여 세척 펌프실 안의 세척용 임펠러가 회전하면, 저수부 (15) 로부터 순환구 (22) 를 통하여 세척 펌프실로 흡입된 세척수가 송수관 (36) 을 통하여 천장면 노즐 (35) 로 이송되어 천장면 노즐 (35) 로부터 아래쪽으로 분사된다. 천장면 노즐 (35) 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좌우 방향으로 확산되어, 해당 천장면 노즐 (35) 의 바로 아래에 가까운 위치와 천장면 노즐 (35) 보다도 후방측 위치에 분사된다. 이에 따라 컵 수용부 (13) 의 2 열째 및 3 열째에 수용된 컵의 외면을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2 참조).
저수부 (15) 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메시형상의 음식물 찌꺼기 필터 (37) 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세척시에 식기로부터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는 이 음식물 찌꺼기 필터 (37) 에 의해 포획되어 저수부 (15) 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 도록 되어 있다. 음식물 찌꺼기 필터 (37) 의 전단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38) 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 손잡이 (38) 를 잡고 음식물 찌꺼기 필터 (37) 를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식기 세척기 (1) 는 세척 후 식기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앞쪽 중앙부에서부터 우단에 걸친 부분 (저수부 (15) 의 우측) 에는, 세척시에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우거나 건조시에 세척 탱크 (3) 안의 공기를 데우거나 하기 위한 루프형 히터 (39) 가 배치되어 있다. 히터 (39) 의 위쪽에는 복수의 관통구멍 (도시 생략) 이 형성된 금속제 히터 커버 (40) 가 배치되어 있다.
전용 세제 코스에는, 예를 들어,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는 세척 행정과, 세척 행정 후, 세척 탱크 (3) 안의 세척수를 일단 배수하고, 세척 탱크 (3) 안에 다시 공급된 수돗물을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는 헹굼 행정과, 헹굼 행정 후, 세척 탱크 (3) 안의 세척수를 배수하고, 히터 (39) 에 의해 세척 탱크 (3) 안의 공기를 데워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이 포함된다. 또한, 부엌 세제 코스에는, 예를 들어, 상기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 외에, 세척 행정 전에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고 일정 시간만큼 방치하는 불림 행정이 포함된다. 부엌 세제 코스에서는, 세척 행정 전에 불림 행정을 실시함으로써, 세척 탱크 (3) 안에 거품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불림 행정, 세척 행정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되는 세척수 (또는 수돗물) 의 수위는 각각 동일 수위로 설 정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수위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불림 행정시의 수위가 헹굼 행정시나 세척 행정시의 수위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케이스체 (2) 전면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부 (세척 탱크 (3) 보다도 외측) 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음용 시일 (41) 이 부착되어 있다 (도 3 참조). 이 방음용 시일 (41) 의 기능에 의해 해당 식기 세척기 (1) 를 운전할 때 세척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는, 하부 도어 (6) 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a) 는, 도 4 에서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b) 는, 도 4 에서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를 참조하여, 전용 세제 수용부 (19A) 는,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에서 거의 수평인 평탄면이 되는 바닥면벽 (42) 과, 이 바닥면벽 (42) 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세워져 있는 측면벽 (후면벽 (43), 전면벽 (44) 및 좌우 측면벽 (45)) 을 갖고 있다. 후면벽 (43) 은 전면벽 (44) 보다도 위쪽 (약 2 배 정도의 높이) 까지 연장되어 있어, 위쪽을 향함에 따라서 뒤쪽으로 넓어지도록 약간 기울어져 있다. 한편, 전면벽 (44) 은 위쪽을 향함에 따라서 앞쪽으로 넓어지도록 기울어져 있고, 그 수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예를 들어, 45°정도) 는 후면벽 (43) 의 경사 각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전용 세제 코스로 세척하는 경우,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로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전용 세제를 수용한 후 하부 도어 (6) 를 닫으면,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의 바닥면벽 (42) 이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어, 이 바닥면벽 (42) 의 아래쪽에 후면벽 (43) 이 위치하게 된다.
후면벽 (43) 의 경사 각도를 약간량으로 함으로써,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안에 분말인 전용 세제가 수용된 상태로 하부 도어 (6) 가 닫혔을 때에, 전용 세제가 세척 탱크 (3) 안으로 낙하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잘못하여 액체인 부엌 세제가 수용된 상태로 하부 도어 (6) 가 닫혔을 때에, 부엌 세제를 세척 탱크 (3) 안으로 양호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안에 전용 세제가 수용된 경우에는 전용 세제를 양호하게 세척 탱크 (3) 안의 물과 혼합할 수 있는 한편,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안에 잘못하여 부엌 세제가 수용된 경우에는,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안에 남은 부엌 세제가 헹굼 행정시 등에 세척 탱크 (3) 안의 물과 혼합되어 대량의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 를 참조하여, 부엌 세제 수용부 (19B) 는,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로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의 중앙부에서 전방측 부분을 구성하는 구면(球面)벽 (46) 과,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의 후방측 부분을 구성하는 평면벽 (47) 을 갖고 있다. 평면벽 (47) 은, 위쪽을 향함에 따라서 뒤쪽으로 넓어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부엌 세제 코스로 세척하는 경우,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로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에 부엌 세제를 수용한 후 하부 도어 (6) 를 닫으면,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의 평면벽 (47) 이 구면벽 (46) 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평면벽 (47) 이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에 수용되어 있는 부엌 세제를 평면벽 (47) 을 따라 세척 탱크 (3) 안으로 양호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도 6 은, 도 4 에서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앞쪽 중앙부에서부터 우단에 걸친 부분 (저수부 (15) 의 오른쪽) 에는, 히터 (39) 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 오목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히터 수용 오목부 (48) 는, 그 전면벽 (49) 및 후면벽 (50) 이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동일한 높이로 일단 안쪽으로 구부러지고, 다시 아래쪽으로 소정량만큼 연장되어 바닥면벽 (51) 에 결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전면벽 (49) 및 후면벽 (50) 에는, 각각 거의 동일한 높이에 단부 (49A, 50A) 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단부 (49A, 50A) 에 의해 히터 커버 (40) 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히터 커버 (40) 는,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과 대략 면이 일치하게 연장되는 평판형의 주면(主面)부 (40A) 와, 이 주면부 (40A) 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後端)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절곡부 (40B) 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절곡부 (40B) 의 하단이 단부 (49A, 50A) 에 의해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히터 수용 오목부 (48) 의 바닥면벽 (51) 의 상면 (히터 수용 오목부 (48) 의 바닥면) 에는 금속판 (52) 이 장착되어 있다. 이 금속판 (52) 은, 건조시에 히터 (39) 로부터 발생된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용 세제 코스를 선택하여,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로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전용 세제를 수용한 후 하부 도어 (6) 를 닫은 경우에는, 전용 세제가 세 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전단(前端)부 (히터 커버 (40) 의 좌단부의 전방) 에 낙하되어 세척 탱크 (3) 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된다. 한편, 부엌 세제 코스를 선택하여, 하부 도어 (6) 를 연 상태로 부엌 세제 수용부 (19B) 에 부엌 세제를 수용한 후 하부 도어 (6) 를 닫은 경우에는, 부엌 세제가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전단부 (저수부 (15) 의 전방) 에 낙하되어 저수부 (15) 안으로 흘러 들어오고 세척 탱크 (3) 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잘못하여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부엌 세제를 수용하고 하부 도어 (6) 를 닫은 경우에는, 부엌 세제가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전단부 (히터 커버 (40) 의 전방) 에 낙하된 후, 히터 커버 (40) 의 전방의 틈을 통과하여 히터 수용 오목부 (48) 안으로 흘러 들어 가게 된다. 이 경우, 히터 커버 (40) 의 앞쪽의 절곡부 (40B) 와 단부 (49A) 의 접촉부나 금속판 (52) 과 바닥면벽 (51) 의 틈 등에 부엌 세제가 고일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전단부 (히터 커버 (40) 의 좌단부의 전방) 에 좌우로 연장되는 돌기부 (53) 를 세워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돌기부 (53) 는 세척 탱크 (3) 의 우단부로부터 저수부 (15) 의 우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저수부 (15) 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뒤쪽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잘못하여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부엌 세제를 수용하고 하부 도어 (6) 를 닫은 경우에도, 부엌 세제가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의 전단부 (히터 커버 (40) 의 좌단부의 전방) 에 낙하된 후, 돌기부 (53) 를 따라 저수부 (15) 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히터 커버 (40) 의 앞쪽의 틈을 통과하여 히터 수용 오목부 (48) 안으로 부엌 세제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상 부엌 세제는 전용 세제보다도 거품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부엌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척 탱크 (3) 안에 되도록 거품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인 경우, 히터 커버 (40) 의 앞쪽의 절곡부 (40B) 와 단부 (49A) 의 접촉부나 금속판 (52) 과 바닥면벽 (51) 의 틈에 부엌 세제가 고여, 세척 탱크 (3) 안에 수돗물을 공급했을 때에 히터 수용 오목부 (48) 안에 고인 부엌 세제가 공급된 물에 녹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헹굼 행정이 실시된 경우에 헹굼 성능이 저하되거나, 다음 행정 (예를 들어, 세척 행정) 시에 다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부엌 세제 수용부 (19A) 에 부엌 세제를 과잉으로 넣어 넘친 경우에도, 하부 도어 (6) 의 오른쪽으로 흐른 부엌 세제가 하부 도어 (6) 를 닫음에 따라서 세척 탱크 (3) 안에 낙하될 때, 돌기부 (53) 에 의해 히터 수용 오목부 (48) 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 은, 세척 탱크 (3) 의 후면 (3C) 의 일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으로, 고정 노즐 아암 (29) 의 하단부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을 참조하여, 세척 탱크 (3) 의 후면 (3C) 은 고정 노즐 아암 (29) 의 하단부 근방의 높이에서 앞쪽으로 뻗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고정 노즐 아 암 (29) 의 하단부 근방의 높이에는, 세척 탱크 (3) 의 후면 (3C) 에서부터 앞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뻗고, 좌우 방향으로 직진 연장되는 수평면 (3E)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평면 (3E) 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는 현수면 (3F) 이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수평면 (3E) 에는, 고정 노즐 아암 (29) 의 하단부에 대하여 약간 좌측 위치에, 위쪽으로 돌출되는 급수관 (54) 이 형성되어 있다. 급수시에는, 급수관 (54) 으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으로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급수관 (54) 의 위쪽에는, 컵 노즐 (55) 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컵 노즐 (55) 은, 고정 노즐 아암 (29) 에 대하여 연결부 (56) 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급수관 (54) 의 상단부에 덮어 씌울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 은, 도 7 에서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을 참조하여, 컵 노즐 (55) 은 급수관 (54) 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원통부 (55A) 와, 이 원통부 (55A) 의 상면을 막는 우산부 (55B) 를 구비하고 있다. 우산부 (55B) 의 둘레가장자리부는,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 (55A) 는, 그 하단 가장자리가 급수관 (54) 의 상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정의 작은 간격 (예를 들어, 1㎜ 정도) 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수관 (54) 과 원통부 (55A) 의 작은 틈에 의해 구성되는 출구 (57) 근방의 수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급수관 (54) 을 통과하여 위쪽으로 이송되는 수돗물은, 출구 (57) 로부터 샤워형상으로 세차게 분사되게 된다.
우산부 (55B) 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전반부는, 원통부 (55A) 보다 약간 아래 쪽까지 연장되는 전방 우산부 (55C) 를 구성하고 있고, 우산부 (55B) 의 둘레가장자리부의 후반부는, 전방 우산부 (55C) 보다도 더 (전방 우산부 (55C) 의 2 배 정도) 아래쪽까지 연장되는 후방 우산부 (55D) 를 구성하고 있다. 출구 (57) 의 전반부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전방 우산부 (55C) 와 급수관 (54) 의 틈을 통과하여, 도 8 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작은 각도 (예를 들어, 10° 정도) 로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전체에 살포된다. 한편, 출구 (57) 의 후반부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후방 우산부 (55D) 와 급수관 (54) 의 틈을 통과하여 거의 아래쪽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엌 세제는 전용 세제보다도 거품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부엌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척 탱크 (3) 안에 생기는 거품을 양호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인 경우, 급수시에 급수관 (54) 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전체를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3)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3) 안에 생기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도 7 을 참조하여, 세척 탱크 (3) 의 수평면 (3E) 의 아래쪽에 형성된 현수면 (3F) 에는, 급수관 (54) 보다도 약간 좌측 위치 (좌우 방향의 위치가 히터 커버 (40) 의 좌단 근방) 에, 예를 들어 직경 3㎜ 정도의 작은 구멍 (5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 (58) 은, 세척 겸 배수 펌프 (20) 의 배수 펌프실에서 세척기 외부에 이르는 배수로에 연결되어 통해 있다. 작은 구멍 (58) 은, 세척시에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세척 탱크 (3) 로부터 세척 겸 배수 펌프 (20) 를 통하여 세척수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는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일단 상승한 후에 아래쪽을 향하고, 그 선단 (배수 호스의 선단) 이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된다. 작은 구멍 (58) 은, 배수로의 가장 높은 위치의 근방에 연결되어 통해 있다. 세척 탱크 (3) 안은, 배기구 (도시 생략) 등을 통하여 세척기 외부로 연결되어 통해 있고, 세척 탱크 (3) 안의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 겸 배수 펌프 (20) 를 구동시켜 세척 탱크 (3) 안의 세척수의 배수를 시작한 후, 세척 겸 배수 펌프 (20) 를 정지시킨 경우에, 배수로의 작은 구멍 (58)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류측 (세척 탱크 (3) 안을 포함함) 의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은 구멍 (58) 은 배수로에 연결되어 통해 있기 때문에, 배수시에는, 저수부 (15) 로부터 배수구 (25) 를 통하여 세척 겸 배수 펌프 (20) (배수 펌프실) 안으로 흡입된 세척수가 배수로를 통과하여 세척기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그 세척수의 일부가 작은 구멍 (58) 으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에 분사되게 된다. 이 작은 구멍 (58) 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오른쪽으로 비스듬한 전방을 향하여 히터 커버 (40) 위에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으로 인해, 배수시에는 작은 구멍 (58) 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히터 커버 (40) 를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3)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3) 안에 생기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 히터 커버 (40) 위에 남은 거품이나 히터 수용 오목부 (48) 안에 고인 부엌 세제를 작은 구멍 (58) 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와 함께 씻어 낼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세척 탱크 (3) 안에 급수가 실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세척 행정 후에 세척 탱크 (3) 안의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일단 배출된 후, 세척 탱크 (3) 안에 다시 수돗물이 공급되어 헹굼 행정이 실시되는 경우 등) 에 공급된 물에 거품이 녹아 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헹굼 행정이 실시된 경우에 헹굼 성능이 저하되거나, 다음 행정 (예를 들어, 세척 행정) 시에 다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3) 안에 생기는 거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 는 천장면 노즐 (35) 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오른쪽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 은 천장면 노즐 (35) 을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 은 천장면 노즐 (35) 을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9 ∼ 도 11 을 참조하여, 천장면 노즐 (35) 은 대략 원통형의 노즐부 (59) 와, 이 노즐부 (59) 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수평 방향) 으로 뻗어나온 대략 원고리형의 플랜지부 (60) 와, 이 플랜지부 (60) 보다도 더 위쪽으로 연장되고, 송수관 (36) 의 선단부를 삽입 통과하여 접속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의 접속부 (61) 를 구비하고 있다. 세척 탱크 (3) 의 천장면 (3D) 에는, 천장면 노즐 (35) 의 노즐부 (59) 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멍 (62) 이 형성되어 있다. 천장면 노즐 (35) 은, 그 노즐부 (59) 가 관통구멍 (62) 에 삽입 통과되고, 플랜지부 (60) 의 하면이 세척 탱크 (3) 의 외면에 맞닿도록 하여 장착된다.
노즐부 (59) 의 아래쪽에는, 서로 연결된 제 1 편향체 (63) 및 제 2 편향체 (64) 가 노즐부 (59) 하단의 개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편향체 (63) 는 노즐부 (59) 의 축선 부근으로부터 앞쪽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편향체 (64) 는 노즐부 (59) 의 축선 부근으로부터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으로 인해, 노즐부 (59) 의 하단 가장자리의 앞쪽과 제 1 편향체 (63) 사이에 제 1 분사구 (65) 가 형성되는 동시에, 노즐부 (59) 의 하단 가장자리의 뒤쪽과 제 2 편향체 (64) 사이에 제 2 분사구 (66) 가 형성되어 있다. 송수관 (36) 으로부터 노즐부 (59) 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 1 분사구 (65) 로부터 앞쪽으로 분사되는 동시에, 제 2 분사구 (66) 로부터 뒤쪽으로 분사되게 된다.
제 1 편향체 (63) 는, 노즐부 (59) 에 대향하는 대략 수평 (약간 앞쪽이 내려간 경사) 인 상면 (63A) 과, 상면 (63A) 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되는 후면 (63B) 와, 상면 (63A) 의 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제 1 돌기 (63C) 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부 (59) 로부터 제 1 편향체 (63) 를 향하는 세척수는, 상면 (63A) 에 닿아 이 상면 (63A) 을 따라 앞쪽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면 (63A) 을 따라 앞쪽으로 유도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제 1 돌기 (63C) 에 닿아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게 된다.
플랜지부 (60) 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현수벽 (67) 이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현수벽 (67) 은, 노즐부 (59) 및 제 1 편향체 (63) 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제 1 편향체 (63) 보다도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편향체 (63) 의 상면 (63A) 을 따라 앞쪽으로 유도되는 세척수 중 제 1 돌기 (63C) 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앞쪽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제 1 현수벽 (67) 에 닿아 좌우 방향으로 분산된다.
한편, 제 2 편향체 (64) 는, 노즐부 (59) 에 대향하는 뒤쪽이 내려간 경사를 갖는 경사면 (64A) 과, 이 경사면 (64A) 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제 2 돌기 (64B) 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부 (59) 로부터 제 2 편향체 (64) 로 향하는 세척수는, 경사면 (64A) 에 닿아 이 경사면 (64A) 을 따라 뒤쪽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경사면 (64A) 을 따라 뒤쪽으로 유도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제 2 돌기 (64B) 에 닿아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게 된다.
노즐부 (59) 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현수벽 (68) 이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현수벽 (68) 은, 그 선단 (하단) 과 제 2 돌기 (64B)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2 편향체 (64) 의 경사면 (64A) 을 따라 아래쪽으로 유도되는 세척수 중 제 2 돌기 (64B) 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고 아래쪽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제 2 현수벽 (68) 에 닿아 좌우 방향으로 분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척시에는, 도 9 및 도 10 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사구 (65) 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어 샤워형상으로 비스듬하게 앞쪽 (거의 아래쪽) 을 향함과 동시에, 제 2 분사구 (66) 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어 샤워형상으로 비스듬하게 뒤쪽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분사구 (65) 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컵 수용부 (13) 의 2 번째 열에 수용된 컵의 외면을 세척할 수 있고, 제 2 분사구 (66) 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컵 수용부 (13) 의 3 번째 열에 수용된 컵의 외면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시에, 펌프 모터가 정회전됨으로써, 저수부 (15) 로부터 순환구 (22) 를 통하여 세척 겸 배수 펌프 (20: 세척 펌프실) 로 흡입된 세척수가 송수관 (36) 을 통하여 천장면 노즐 (35) 로 이송되어 천장면 노즐 (35) 로부터 아래쪽으로 분사되는 점에 대해서는 이미 서술했지만, 배수시에 펌프 모터가 반전되어 세척 펌프실 안의 세척용 임펠러가 세척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서도, 세척시보다는 매우 수압이 떨어지지만 세척 펌프실로부터 송수관 (36) 으로 세척수가 압송된다. 따라서, 배수시에도 약간량이기는 하지만 천장면 노즐 (35) 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수시에 천장면 노즐 (35) 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 탱크 (3) 나 식기 바구니 (9) 를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3)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3) 안에 생기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 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척 탱크 (3) 안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때에, 세척 탱크 (3) 나 식기 바구니 (9) 에 남은 거품을 천장면 노즐 (35) 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와 함께 씻어 낼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에 세척 탱크 (3) 안에 급수가 실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세척 행정 후에 세척 탱크 (3) 안의 세척수가 세척기 외부로 일단 배출된 후, 세척 탱크 (3) 안에 다시 수돗물이 공급되어 헹굼 행정이 실시되는 경우 등) 에, 공급된 물에 거품이 녹아 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헹굼 행정이 실시된 경우에 헹굼 성능이 저하되거나, 다음 행정 (예를 들어, 세척 행정) 시에 다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3) 안에 생기는 거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엌 세제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 는 세척 탱크 (3) 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풍로(風路) 부재 (69) 의 내부가 보이도록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2 를 참조하여, 세척 탱크 (3) 의 우측벽에는 송풍 장치 (도시 생략) 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에 세척기 외부의 공기를 이송할 때의 풍로를 구성하는 풍로 부재 (69) 가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풍로 부재 (69) 는 중공형 부재로서, 세척 탱크 (3) 의 오른쪽 중앙 하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근원부 (70) 와, 근원부 (70) 의 상단으로부터 뒤쪽에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 1 경사부 (71) 와, 제 1 경사부 (71) 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후 대략 U 자형으로 만곡하여 아래쪽을 향하는 만곡부 (72) 와, 만곡부 (72) 의 하단에서 앞쪽에서 비 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 (73) 와, 제 2 경사부 (73) 의 하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세척 탱크 (3) 의 우측벽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 송풍구 (75) 에 접속된 종단부 (74) 를 구비하고 있다.
풍로 부재 (69) 의 근원부 (70) 의 하단은 송풍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송풍 장치에 의해 기 안으로 흡입된 세척기 외부의 공기는 풍로 부재 (69)를 통해 송풍구 (75) 로부터 세척 탱크 (3) 안로 이송된다. 송풍구 (75) 는 히터 (39) 의 약간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송풍구 (75) 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의 바닥부로 이송된 공기는 히터 (39) 에 의해 데워진다.
풍로 부재 (69) 의 종단부 (74) 안에는 세척 탱크 (3) 안에 생긴 거품을 검지하기 위한 거품 검지 센서 (76) 가 배치되어 있다. 이 거품 검지 센서 (76) 는 예를 들어 광 센서이며, 종단부 (74) 의 후면에 부착되어 전방 (약간 앞이 내려간 방향) 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 (76A) 와, 이 발광부 (76A) 에 대향하도록 종단부 (74) 의 전면에 부착되어 발광부 (76A) 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 (76B) 를 구비하고 있다. 세척 탱크 (3) 안에서 거품이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 그 거품이 송풍구 (75) 를 통하여 풍로 부재 (69) 안 (종단부 (74) 안) 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풍로 부재 (69) 안으로 들어간 거품이 발광부 (76A) 에서 조사되는 빛의 광축까지 도달한 경우에는 수광부 (76B) 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광부 (76B) 에서 검지하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세척 탱크 (3) 안에서의 거품 발생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풍로 부재 (69) 의 만곡부 (72) 의 제 2 경사부 (73) 측 단부에는 배수로에 서 분기된 분기 호스 (77) 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시에는 세척 겸 배수 펌프 (20) 의 배수 펌프실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 호스 (77) 를 통하여 풍로 부재 (69) 안으로 유도되어, 만곡부 (72) 로부터 제 2 경사부 (73) 를 향하여 낙하한다. 풍로 부재 (69) 의 제 2 경사부 (73) 안에는 이 제 2 경사부 (73) 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리브 (7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리브 (78) 는 제 2 경사부 (73) 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분기 호스 (77) 로부터 제 2 경사부 (73) 안에 낙하된 세척수는 제 1 리브 (78) 를 따라 아래쪽으로 유도된다.
제 2 경사부 (73) 의 하단부에는 대략 역 V 자 모양의 제 2 리브 (79) 가 제 1 리브 (78) 의 하단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리브 (78) 를 따라 아래쪽으로 유도된 세척수는 제 2 리브 (79) 의 정상부에 낙하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리브 (79) 위에 낙하된 세척수는 전방 및 후방으로 분산되게 되어 있다. 제 2 리브 (79) 의 후단 및 전단은 각각 거품 검지 센서(76) 의 발광부 (76A) 및 수광부 (76B)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2 리브 (79) 위에 흐르는 세척수는 발광부 (76A) 및 수광부 (76B) 에 닿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수시에 풍로 부재 (69) 안으로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발광부 (76A) 및 수광부 (76B) 에 부착된 거품 등의 오물을 씻어낼 수 있다.
도 13 은 도 12 에서의 E-E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송풍구 (75) 에는, 해당 송풍구 (75) 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으로 이송되는 공기를 히터 (39) 측 (비스듬하게 아래쪽) 으로 유도하기 위한 후드 부재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 (3) 안에 생긴 거품이 후드 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풍로 부재 (69) 안 (종단부 (74) 안) 으로 양호하게 진입하지 않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해, 세척 탱크 (3) 안에 생긴 거품이 거품 검지 센서 (76) 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늦춰져, 양호하게 거품 검지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후드 부재를 형성하지 않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 송풍구 (75) 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에 이송되는 공기를 히터 (39) 측으로 유도할 수 없기 때문에, 송풍구 (75) 로부터의 공기를 히터 (39) 에 의해 양호하게 데우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풍로 부재 (69) 의 종단부 (74) 의 우측면 하부에 왼쪽이 내려간 경사면 (80) 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풍로 부재 (69) 안을 통과하여 송풍구 (75) 측으로 이송되는 공기는, 경사면 (80) 을 따라 왼쪽에서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유도되므로, 송풍구 (75) 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으로 이송되는 공기를 히터 (39)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구 (75) 로부터의 공기를 히터 (39) 에 의해 양호하게 데울 수 있기 때문에, 건조시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척 탱크 (3) 안에 생긴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기구로는, 이 실시형태에 나타낸 기구 외에, 회전 노즐 아암 (26) 의 하면에 분사구를 형성하고, 이 분사구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 탱크 (3) 의 바닥면 (3B) 를 씻어 낼 수 있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작은 구멍 (58) 이나 천장면 노즐 (35) 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돗물을 분사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작은 구멍 (58) 으로부터 수돗물이 분사되는 타이밍은 배수시가 아니라 급수시여도 된다.
또한, 급수관 (54) 은, 수돗물을 분사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급수관 (54) 으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타이밍은 급수시가 아니라 배수시여도 된다.
부엌 세제를 전용 세제 수용부 (19A) 에 수용한 경우에, 전용 세제 수용부 (19A) 로부터 세척 탱크 (3) 안에 낙하된 부엌 세제가 히터 수용 오목부 (48)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하는 수단은, 돌기부 (53) 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오목열이어도 된다.
전용 세제 수용부 (19A) 및 부엌 세제 수용부 (19B) 는, 하부 도어 (6) 의 이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식기 바구니 (9) 의 앞부분 등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천장면 노즐 (35) 은, 컵 수용부 (13) 에 수용된 컵을 세척하기 위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기 바구니 (9) 에 수용된 다른 식기를 향하여 위쪽에서부터 세척수를 분사하여 이들 식기를 세척하는 것이어도 된다.
식기 바구니 (9) 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단은, 회전 노즐 아암 (26), 고정 노즐 아암 (29) 및 천장면 노즐 (35) 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세척 탱크 (3) 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노즐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식기 바구니 (9) 는, 서로 분리된 상부 바구니 (9A) 및 하부 바구니 (9B)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 바구니 (9A) 및 하부 바구니 (9B) 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세척 탱크 안에 고인 거품을 양호하게 씻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탱크 안에 대량의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와,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과,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식기의 세척시에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울 수 있는 히터와,상기 히터의 위쪽에 배치된 히터 커버와,상기 히터 커버를 향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히터 커버 위에 고인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 제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제거 수단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할 때에,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히터 커버를 향하여 분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와,상기 세척 탱크 안에 배치된, 식기를 유지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와,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식기 바구니의 위쪽에서부터 해당 식기 바구니에 유지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과,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할 때에, 상기 세 척 수단으로부터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상기 세척 탱크 안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 제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바구니는, 컵을 유지하기 위한 컵 유지부를 포함하고,상기 세척 수단은, 상기 컵 유지부의 위쪽에서부터 해당 컵 유지부에 유지된 컵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세척기 외부의 급수 설비로부터 공급된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와,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과,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식기를 유지하기 위한 식기 바구니와,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과 상기 식기 바구니 사이를 통하여,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물을 샤워형상으로 분사하여,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에 고인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거품 제거 수단은,상기 세척 탱크 안에 세척기 외부의 급수 설비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과,상기 급수관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노즐을 구비하고,상기 노즐은 상기 급수관의 상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기 급수관의 물을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샤워형상으로 분사할 수 있는 틈을 두고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제거 수단은, 상기 세척 탱크 안에 급수를 행할 때에 수돗물을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 는 식기 세척기.
-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와,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과,식기의 세척시에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울 수 있는 히터와,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부와,부엌 세제를 식기의 세척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하는 부엌 세제를 수용 가능한 세제 수용부와,상기 세제 수용부측으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부엌 세제가 공급될 때에, 부엌 세제가 상기 히터 수용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식기의 세척시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수 오목부를 포함하고,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세제 수용부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된 부엌 세제를 상기 저수 오목부측으로 유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와,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세척 수단과,식기의 세척시에 상기 세척 탱크 안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울 수 있는 히터와,상기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를 수용하기 위한 히터 수용부와,부엌 세제를 식기의 세척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하는 부엌 세제를 수용 가능한 세제 수용부를 포함하며,상기 세제 수용부는, 해당 세제 수용부로부터 상기 세척 탱크 안으로 공급되는 부엌 세제가 상기 히터 수용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205459 | 2003-08-01 | ||
JP2003205459A JP2005052176A (ja) | 2003-08-01 | 2003-08-01 | 食器洗い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6016A KR20050016016A (ko) | 2005-02-21 |
KR100607435B1 true KR100607435B1 (ko) | 2006-08-02 |
Family
ID=3436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7777A KR100607435B1 (ko) | 2003-08-01 | 2004-07-23 | 식기 세척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5052176A (ko) |
KR (1) | KR100607435B1 (ko) |
CN (1) | CN100372495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78201B2 (ja) * | 2009-07-01 | 2013-09-0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JP5136523B2 (ja) * | 2009-07-09 | 2013-02-0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CN103799937B (zh) * | 2012-11-01 | 2017-07-28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餐具清洗机 |
KR102402029B1 (ko) * | 2015-11-13 | 2022-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CN108420377A (zh) * | 2018-02-07 | 2018-08-21 | 宁波美高厨具有限公司 | 一种水槽洗碗机及洗碗方法 |
CN111053507A (zh) * | 2018-10-16 | 2020-04-24 |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 极速洗碗方法以及具有极速洗功能的洗碗机 |
WO2020094295A1 (en) * | 2018-11-06 | 2020-05-14 | Arcelik Anonim Sirketi | A dishwasher comprising a heat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6401U (zh) * | 1988-07-06 | 1989-04-26 | 孙惠明 | 餐具清洗机 |
KR940009563B1 (ko) * | 1992-09-04 | 1994-10-15 | 대우전자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
US5687440A (en) * | 1995-04-29 | 1997-11-18 | Daewoo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the formation of suds in a washing machine |
CN2384571Y (zh) * | 1999-07-07 | 2000-06-28 | 海尔集团公司 | 带有内胆清洗装置的洗碗机 |
CN2383469Y (zh) * | 1999-10-11 | 2000-06-21 | 刘京生 | 双向喷淋式餐具果蔬消毒清洗机 |
-
2003
- 2003-08-01 JP JP2003205459A patent/JP2005052176A/ja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07-22 CN CNB2004100544717A patent/CN100372495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7-23 KR KR1020040057777A patent/KR1006074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5052176A (ja) | 2005-03-03 |
CN100372495C (zh) | 2008-03-05 |
KR20050016016A (ko) | 2005-02-21 |
CN1579313A (zh) | 2005-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3305B1 (ko) | 식기 세척기 | |
KR100610139B1 (ko) | 식기세척기 | |
KR100607435B1 (ko) | 식기 세척기 | |
KR100769777B1 (ko) | 식기 세척기 | |
KR100663306B1 (ko) | 식기 세척기 | |
JP2002065562A (ja) | 食器洗い乾燥機及び食器かご | |
KR20190104700A (ko) | 식기세척기 | |
KR100610140B1 (ko) |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 |
JP5636894B2 (ja) | 食器洗い機 | |
JP2005329068A (ja) | 食器洗い機 | |
KR101268821B1 (ko) | 식기 세척기 | |
JP5636896B2 (ja) | 食器洗い機 | |
JP5636895B2 (ja) | 食器洗い機 | |
JP3773637B2 (ja) | 食器洗浄機 | |
JP7205759B2 (ja) | 洗浄器 | |
JP3773639B2 (ja) | 食器洗浄機 | |
JP2001190474A (ja) | 簡易食器洗浄機 | |
JP2005021598A (ja) | 食器洗い機 | |
JP2006288923A (ja) | 食器洗い機 | |
JP2001204675A (ja) | 食器洗浄機 | |
JPH10192071A (ja) | 洗浄装置 | |
JP2005329066A (ja) | 食器洗い機 | |
JP2019165818A (ja) | 食器洗浄機 | |
JP2006000125A (ja) | 食器洗浄機 | |
JP2005329067A (ja) | 食器洗い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