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9422B1 -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422B1
KR100499422B1 KR10-2001-0043762A KR20010043762A KR100499422B1 KR 100499422 B1 KR100499422 B1 KR 100499422B1 KR 20010043762 A KR20010043762 A KR 20010043762A KR 100499422 B1 KR100499422 B1 KR 10049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fting
link
link member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431A (ko
Inventor
기쿠사와이사오
야마구치마사히로
마쓰오다다하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7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열차의 문의 개구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를 제공한다.
링크기구(60)의 제3링크부재(63)가 그 상부링크(63a)의 일끝단부(631)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그 하부링크(63b)의 다른 끝단부(632)가 문수납난간(11)의 측방으로 요동함으로써, 제3링크부재의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연결부인 중간부(633)에 연결된 제1승강문(20)에 제3링크부재의 하부링크(63b)의 다른 끝단부 (632)에 연결된 제2승강문(30)을 연동하여,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이 병행하여 열차(TR)의 문(DR)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MOVABLE PLATFORM FENCE DEVICE}
본 발명은, 플랫폼상의 옆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어 플랫폼의 정위치에 정지한 열차와의 사이에 벽을 이루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철도여객업계에서는, 인건비삭감 등의 관점에서 열차의 원맨운전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랫폼에 가동 플랫폼 난간 등을 설치하여,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의 가동 플랫폼 난간에는, 플랫폼의 정위치에 정지한 열차의 승객 문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양측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어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문이 설치되어 있고, 각 승강문의 양쪽에는, 각 승강문이 열렸을 때에 이것을 수납하는 문수납난간이 고정 설치된다.
통상 열차는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정지하지만, 이 기준에 대하여 정위치에 대하여 소정범위내의 허용오차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플랫폼 난간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승강문의 개구량, 즉 양쪽 문수납난간의 폭은 열차의 정지오차를 예상하여, 열차측의 승객문의 개구테두리폭보다도 넓게 설정된다.
이러한 열차문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2000-1775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즉, 승강문을 2개의 슬라이드문으로 구성하고, 제1슬라이드문이 제1걸어멈춤부 및 제2걸어멈춤부를 가지고, 제1슬라이드문이 문수납난간의 측방으로 어느정도 돌출하면, 제1걸어멈춤부 또는 제2걸어멈춤부가 제2슬라이드문에 접촉하여, 제2슬라이드문이 제1슬라이드문을 따라 문수납난간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한편, 제1슬라이드문이 문수납난간쪽으로 어느정도 몰입하면, 제1걸어멈춤부 또는 제2걸어멈춤부가 제2슬라이드문에 접촉하고, 제2슬라이드문이 제1슬라이드문을 따라, 문수납난간쪽으로 몰입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슬라이드문(1)을 문수납난간(2)에 양측에서 몰입시켜, 포갠 상태로 하여 문수납난간(2)에 수납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동 플랫폼 난간에서는, 전자에 있어서 제1슬라이드문이 어느정도 돌출하거나, 몰입하기도 하여 제2슬라이드문이 제1슬라이드문에 연동하기까지는 제2슬라이드문은 출몰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열차문의 개구를 신속하게 개폐하기 위해서는, 제1슬라이드문을 고속으로 구동시킬 필요가 있고, 제1슬라이드문을 고속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원동기가 필요하게 되며, 그에 따라 장치전체가 대형이 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에 있어서는, 열차 TR의 문(DR)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각 슬라이드문(1)의 스트로크가 길고,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문(1)을 고속으로 구동시키도록 고출력의 원동기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동부에 의해서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이 병행하여 개폐동작을 하도록 하고, 열차문의 개구를 신속히 개폐할 수가 있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것은, 다음 각 항의 발명에 있다.
[1]플랫폼상의 옆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플랫폼의 정위치에 정지한 열차와의 사이에 벽을 이루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세워져 설치된 문수납난간과, 이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열차문의 개구를 닫는 한편, 상기 문수납난간에 몰입하여 상기 열차문의 개구를 열 수 있는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과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링크기구를 가지며,상기 링크기구는, 구동하는 상기 제1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1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문수납난간측에 연결된 일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재는, 다른 끝단부가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상기 링크부재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 사이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쪽이 연결되고,상기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이 병행하여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삭제
[2]플랫폼상의 옆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플랫폼의 정위치에 정지한 열차와의 사이에 벽을 이루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세워져 설치된 문수납난간과, 이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열차문의 개구를 닫는 한편, 상기 문수납난간에 몰입하여 상기 열차문의 개구를 열 수 있는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과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링크기구를 가지며,상기 링크기구는, 구동하는 상기 제1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1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문수납난간측에 연결된 일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제1링크부재, 제2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문수납난간에 제1링크부재를 통해 연결된 일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한쪽에 제2링크부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끝단부가 상기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요동가능한 제3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3링크부재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 사이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쪽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삭제
삭제
[3]상기 링크기구(60)는, 상기 문수납난간(11)쪽에 연결된 일끝단부(631)를 대략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승강문(20) 또는 상기 제2승강문(30)의 한쪽에 연결된 다른 끝단부(632)가 상기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요동가능한 링크부재(61, 62, 63)를 가지고,
삭제
삭제
상기 링크부재(63)의 일끝단부(631)와 다른 끝단부(632) 사이의 중간부(633)에는, 상기 제1승강문(20) 또는 상기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4]상기 제1승강문(20)은, 상기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상기 문수납난간(11)에 지지되고,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2승강문(30)은 상기 제1승강문(20)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상기 제1승강문(20)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2]에 기재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5]상기 제1승강문(20) 및 상기 제2승강문(30)은, 상기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상기 문수납난간(11)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다음에 상기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술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에서는 상기 문수납난간(11)에 있는 구동부(50)에 의하여 구동하는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동하고,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 (30)은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정위치에 정차한 열차(TR)의 문(DR)의 개구테두리를 덮도록 닫혀 있다.
승객이 열차(TR)로 승강할 때는, 구동부(50)에 의해서 구동하는 제1승강문 (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동하여,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이 문수납난간(11)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고, 열차(TR)의 문(DR)의 앞에서 측방으로 이동하여, 그대로 상기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에 수납된다.
이상과 같이, 구동부(50)에 의해서,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동함으로써,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 각각의 개폐동작이 병행이 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고, 제1승강문 (20) 및 제2승강문(30)의 개폐동작이 연속적인 것에 비하여, 열차(TR)의 문(DR)의 개구를 신속히 개폐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동부(50)는 링크기구(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링크기구(60)에 의해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이 출몰하면,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동한다.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을 연동시키는 링크기구(60)를 설치함으로써,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50)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다.
링크기구(60)의 제3링크부재(63)는, 문수납난간(11)쪽에 연결된 일끝단부(631)를 중심으로 하여 다른 끝단부(632)가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요동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제3링크부재(63)의 일끝단부(631)와 다른 끝단부(632) 사이의 중간부 (633)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을 연결하고, 제3링크부재(63)의 다른 끝단부(632)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을 연결하면,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3링크부재(63)의 중간부(633)에서 제3링크부재(63)의 다른 끝단부(632)쪽이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크게 요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3링크부재(63)의 중간부(633)에 연결된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의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양보다, 제3링크부재(63)의 다른 끝단부(632)에 연결된 제1승강문 (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크게 돌출하게 된다.
링크기구(60)는 상기와 같이 1개의 링크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좋지만, 제1링크부재(61), 제2링크부재(62) 및 제3링크부재(63)의 3가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즉, 문수납난간(11)에 제1링크부재(61)를 통해 연결된 제3링크부재(63)의 일끝단부(631)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제3링크부재(63)의 다른 끝단부(632)가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3링크부재(63)의 일끝단부(631)와 다른 끝단부(632) 사이의 중간부 (633)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을 연결하고, 제3링크부재(63)의 다른 끝단부(632)에 제2링크를 통해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을 연결하면,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에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동하게 된다.
제3링크부재(63)의 중간부(633)에는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끝단부(632)에는 제1승강문(20) 또는 제2승강문(30)의 다른쪽이 연결되는 것이지만, 제3링크부재(63) 등의 중간부(633)를 변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제3링크부재(63) 등의 일끝단부(631)와 중간부(633) 사이의 길이와, 제3링크부재(63) 등의 다른 끝단부(632)와 중간부(633) 사이의 길이의 비를 바꿀 수 있으며, 제1승강문(20)이나 제2승강문(30)의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돌출한 위치, 반대로 문수납난간(11)측으로 몰입한 위치 및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출몰하는 양을 각각 바꿀 수 있다.
구동부(50)의 링크기구(60)는, 제1승강문(20)이 연결된 제4링크부재(64)와, 제2승강문(30)이 연결된 제5링크부재(65)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즉, 제4링크부재(64) 및 제5링크부재(65)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제1승강문 (20) 및 제2승강문(30)은 문수납난간(11)내에 몰입하여, 제4링크부재(64) 및 제5링크부재(65)가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변동하면,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이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은,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각각 출몰가능한 것이지만, 제1승강문(20)이 문수납난간(11)에 출몰가능하게 지지되고, 그와 같은 제1승강문(20)에 제2승강문(30)이 제1승강문(20)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한편,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이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문수납난간(11)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대표하는 하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는, 플랫폼(PF) 상의 옆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플랫폼(PF)에 연장되는 선로상의 정위치에 정지하는 열차 사이에 벽을 이루고, 열차 승강시에 있어서의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는, 문수납난간 (11)과, 이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한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을 가지고 있다.
플랫폼(PF)에 세워져 설치되는 문수납난간(11)과, 제1승강문(20)과, 제2승강문(30)은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문수납난간(11)내에는 구동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는, 제1승강문(20)이 정확히 수납되는 안쪽 칫수로 형성되고, 제2승강문(30)은 제1승강문(20)내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는, 플랫폼(PF)의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정지하는 열차(TR)의 문(DR)에 해당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는 한 쌍으로 사용되고, 양쪽의 문수납난간(11)의 폭은 열차(TR)의 문(DR)의 개구틀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양쪽 문수납난간(11)의 폭은 열차(TR)의 문(DR)의 개구틀의 폭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구동부(50)는,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을 돌출방향으로 각각 구동하고 열차(TR)의 문(DR)의 개구를 덮도록 닫는 한편, 몰입방향으로 각각 구동하여 문(DR)의 개구를 여는 것이며, 링크기구(60)를 가지고 있다.
문수납난간(11) 내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문수납난간(11)의 거의 폭 길이에 걸쳐 수평으로 배치된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프레임(13)의 표면에는, 개폐이동하는 제1승강문(20)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안내레일(15)이, 또한 하부프레임(14)의 하면에는 마찬가지로 제1승강문(20)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안내레일(16)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부(50)는, 전동모터(53)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크류부재(51)와, 이 스크류부재(51)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나사맞춤하고, 제1승강문(20)에 고정 설치된 너트부재(52)를 구비한다.
스크류부재(51)는, 상기 하부프레임(14)의 표면쪽을 따라 연장되고, 축받이 (55,55a)에 의해서 양끝단이 회동이 자유롭게 하부프레임(14)상에 지지되어 있다. 스크류부재(51)의 길이는 제1승강문(20)의 개폐행정거리보다 조금 길게 설정되어 있다. 전동모터(53)는 상기 하부프레임(14)상에 축받이(55)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모터(53)의 출력축은, 축이음(54)을 통해 스크류부재(51)의 기초끝단부에 회전력이 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너트부재(5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승강문(20)의 측벽의 기초끝단측에 전후이동이 불가능하고 또한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문수납난간(11)의 내부에는, 전동모터(53)의 구동제어 등을 하기 위한 각종의 전기부품을 설치한 제어반(도시생략)이 부착되어 있다. 또, 제어반과 전동모터(53) 등의 사이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에 의해서 전기배선되어 있다.
제1승강문(20)은, 상기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에 맞는 크기의 편평한 직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승강문(20)에 있어서의 문수납난간(11)에 치우친 기초끝단측 근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안내레일(15)에 양쪽에서 끼우도록 하여 접촉하는 상단문 가이드롤러(27)가, 또한 하부에는 상기 하부안내레일(16)에 상하방향으로서 끼우도록 하여 접촉하는 하단문 가이드롤러(27a)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롤러(27,27a)가 안내레일(15,16)을 따라 굴러감으로써 제1승강문 (20)은 수평인 출몰방향으로 부드럽게 미끄러져 개폐하게 되어 있다. 제1승강문 (20)은 상기 구동부(50)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 열차(TR)의 문(DR)의 개구틀을 덮도록 닫고, 몰입방향으로 구동되면 열어서 상기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에 수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승강문(20)에는 다음에 서술할 제2승강문(30)을 수납하는 수납부 (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50)는 제2승강문(30)을 측방으로 출몰시키는 개폐동작을 하는 것이다.
제1승강문(20)의 내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승강문(20)의 거의 폭길이에 걸쳐 수평으로 배치된 상부프레임(23) 및 하부프레임(24)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프레임(23)에는 개폐이동하는 제2승강문(30)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안내레일(25)이, 또한 하부프레임(24)에는 마찬가지로 제2승강문(30)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안내레일 (26)이 부착되어 있다.
제2승강문(30)은 상기 제1승강문(20)의 수납부(22)에 맞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승강문(30)에 있어서의 제1승강문(20)에 치우친 기초끝단측 근방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안내레일(25)을 양측에서 끼우도록 하여 접촉하는 상단문 가이드롤러(31)가, 또한 하부에는, 상기 하부안내레일(26)을 양측에서 끼우도록 하여 접촉하는 하단문 가이드롤러(32)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롤러(31,32)가 안내레일(25,26)을 따라 굴러감으로써 제2승강문 (30)은, 수평인 출몰방향으로 부드럽게 미끄러져 개폐하게 되어 있다. 제2승강문 (30)은 구동부(50)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 열차(TR)에 있는 문(DR)의 개구틀의 한 쪽 대략 반을 덮도록 닫히고, 몰입방향으로 구동되면 열어 상기 제1승강문(20)의 수납부(22)에 수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열차(TR)의 문(DR)의 개구틀 한 쪽의 대략 반은,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에 대향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 (10)의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구동부(50)는 링크기구(60)를 가지고 있다.
링크기구(60)는,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하는 제1승강문(20)에 제2승강문(30)을 연동시키고, 또한 제1승강문(20)의 출몰하는 양보다 크고 제2승강문(30)을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링크기구(60)는 문수납난간(11)측에 연결된 일끝단부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제2승강문(30)측이 연결된 다른 끝단부가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요동가능한 제3링크부재(63)를 가지고 있다. 제3링크부재(63)는,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로 이루어진다.
제3링크부재(63)의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연결부인 중간부(633)에는 제1승강문(20)이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승강문(20)의 뒤가장자리에 장치된 부착브래킷(28)의 축지지핀(29)에 의해 제3링크부재(63)의 중간부(633)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제3링크부재(63)의 상부링크(63a)의 일끝단부(631)는 제1링크부재(61)의 일끝단부(611)에 연결되고, 제1링크부재(61)의 다른 끝단부 (612)는 문수납난간(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링크부재(63)의 하부링크(63b)의 다른 끝단부(632)는, 제2링크(62)의 일끝단부(621)에 연결되고, 제2링크(62)의 다른 끝단부(622)는 제2승강문(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연결부인 중간부(633)는, 변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중간부(633)는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길이의 비를 바꿈으로써 변위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제1승강문(20)의 뒤가장자리에 대한 부착브래킷(28)의 상하위치를 이동조절함으로써 제3링크부재(63)의 중간부(633)를 피봇부착하는 축지지핀 (29)의 위치가 이동하고, 제3링크부재(63)의 일끝단부(631)와 중간부(633) 사이의 길이와, 제2링크부재(62)와 중간부(633) 사이의 길이와의 비를 바꿀 수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승객이 열차에 승강할 때 이외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의 문수납난간 (11)에 있는 구동부(50)에 의해,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은, 돌출방향으로 각각 구동되어 있고, 제1승강문(20)은 문수납난간(11)에서 측방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한 상태의 제1승강문(20)보다 더욱 측방으로 제2승강문(30)이 돌출하여, 정위치에 정차한 열차문의 개구틀을 덮도록 닫혀 있다.
승객이 열차에 승강할 때는, 구동부(50)에 의해서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이 몰입방향으로 각각 구동되고, 열차문의 앞으로부터 측방으로 이동하여, 그대로 상기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에 수납된다. 이 때,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내에 수납된 제1승강문(20)의 수납부(22)에 제2승강문(30)이 더욱 수납된 상태가 된다.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에 수납되는 제1승강문(20)은, 상하의 가이드롤러(27,27a)나 너트부재(52)가 있는 기초끝단측만을 문수납난간(11)내에 남기고, 돌출방향으로 닫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제1승강문(20)의 첨단측에서는, 제2승강문(30)이 상하의 가이드롤러(31,32)나 제2링크부재(62)가 있는 기초끝단측만을 상기 제1승강문(20)내에 남기고, 돌출방향으로 닫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승강문(20)과 제2승강문(30)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는 범위는, 이들이 수납되는 문수납난간(11)의 폭보다도 상당히 큰 것이 되어, 상기 열차 (TR)의 문(DR)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승강문(20)을 닫을 때, 구동부(50)의 전동모터(53)에 의해서 스크류부재 (51)가 한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너트부재(52)가 전동모터(53)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1승강문(20)은 제2승강문(30)을 수납한 상태에서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돌출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위치에 정차하는 열차(TR)의 문(DR)의 개구틀을 덮도록 닫는다.
제1승강문(20)이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링크부재(63)의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연결부인 중간부 (633)도 상기 돌출방향으로 요동한다. 그에 따라 제3링크부재(63)가 일끝단부 (631)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다른 끝단부(632)도 중간부(633)의 돌출하는 양보다 크게 문수납난간(11)의 측방으로 요동한다. 그에 따라 제2승강문(30)은 제1승강문 (20)보다 더욱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돌출방향으로 이동하고, 정위치에 정차하는 열차(TR)의 승객 문(DR)의 개구틀의 한 쪽 대략 반을 덮도록 닫는다.
문(DR)의 개구틀의 한 쪽 대략 반은,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10)에 대향함과 동시에 가동 플랫폼 난간(10)의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에 의해 닫혀진다. 승객이 열차(TR)에 승강할 때 이외에는,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승객이 열차(TR)로 승강하는 경우는, 제2승강문(30)이 구동부(50)에 의해서 몰입방향으로 구동된다. 즉, 구동부(50)의 전동모터(53)에 의해서 스크류부재(5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너트부재(52)가 전동모터(53)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가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승강문(30)은 열차(TR)의 문(DR) 앞에서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에 몰입하여 그대로 수납된다. 제1승강문(20)이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에 몰입하도록 이동하면, 제3링크부재 (63)의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연결부인 중간부(633)도 상기 몰입방향으로 요동한다. 그에 따라, 제3링크부재(63)의 상부링크(63a)가 일끝단부(631)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하부링크(63b)의 다른 끝단부(632)도 중간부(633)의 몰입하는 양보다 크게 몰입방향으로 요동한다.
그에 따라, 제2승강문(30)은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에 몰입해가는 제1승강문(20)의 수납부(22)에 더욱 몰입되며, 정위치에 정차하는 열차(TR)의 문(DR) 앞에서 측방으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문(DR)의 개구틀을 열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50)의 링크기구(60)에 의해서 제1승강문(20)에 제2승강문 (30)이 연동하게 되기 때문에,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 각각의 개폐동작이 병행이 되고, 예컨대 제1승강문(20)의 개폐동작을 한 뒤에 제2승강문(30)의 개폐동작을 이행하는 구성에 비하여, 열차(TR)의 문(DR)의 개구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가 있다. 또한 링크기구(60)를 마련함으로써 제1승강문(20)용의 구동부와, 제2승강문 (30)용의 구동부와 같은, 2개의 구동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1승강문(20)이나 제2승강문(30)의 문수납난간(11)의 수납부(12)내에 몰입한 위치, 문수납난간(11)의 측방으로 돌출한 위치, 혹은 제1승강문(20)이나 제2승강문(30) 각각의 출몰하는 양(스트로크)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좋다.
예컨대,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 각각의 길이를 바꾼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제3링크부재(63)의 상부링크(63a)의 일끝단부(631)와 중간부(633) 사이의 길이와, 하부링크(63b)의 다른 끝단부(632)와 중간부(633) 사이의 길이의 비를 바꿀 수 있고, 제1승강문(20)이나 제2승강문(30)의 몰입한 위치 혹은 돌출한 위치 또는 출몰하는 양(스트로크)을 각각 바꿀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링크(61)의 다른 끝단부(612) 혹은 제2링크(62)의 다른 끝단부(622)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문수납난간(11)내에서 제1링크(61) 혹은 제2링크(62)를 대략 수평인 자세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61)의 다른 끝단부(612) 혹은 제2링크(62)의 다른 끝단부 (622)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제1링크(61)나 제2링크(62)가 문수납난간(11)에 내장하는 다른 기구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는, 전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문수납난간(11)에 제1승강문(20)을 수용함과 동시에, 제1승강문(20)에 제2승강문(30)을 수납하는 타입이 아니라, 제1승강문(20)과 제2승강문 (30)을 포갠 상태로하여 문수납난간(11)에 수납하는 타입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승강문(20)이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문수납난간(11)에 안내지지되고, 또한 제2승강문(30)이 제1승강문 (20)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제1승강문(20)에 안내지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이 문수납난간(11)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문수납난간(11)에 각각 안내지지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승강문(2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승강문(20)에 제2승강문(30)이 연동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제2승강문(3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승강문(30)에 제1승강문(20)이 연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링크기구(60)를 제1링크부재(61)∼제3링크부재 (63){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의 3가지의 링크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제1링크부재(61)나 제2링크부재(62)를 사이에 끼우지 않고도, 캠과 캠플로어로 이루어지는 캠기구를 통해, 제3링크부재(63)의 상부링크(63a)의 일끝단부(631) 및 하부링크(63b)의 다른 끝단부(632)를 문수납난간(11) 및 제2승강문 (30)에 각각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 캠과 캠플로어의 한쪽이 제3링크부재(63)에 설정되고, 캠과 캠플로어의 다른쪽이 문수납난간(11) 혹은 제2승강문(30)에 설정되게 된다. 이 때, 링크기구(60)를 구성하는 링크로서는 제3링크부재(631)의 하나가 된다.
또한, 링크기구(60)는 제1링크부재(61)∼제3링크부재(63)에 의해 구성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승강문(20) 및 제2승강문(30)을 문수납난간(11)의 측방으로 출몰시키도록,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링크부재(64)및 제5링크부재(65)를 전개된 상태(도 5a에 나타낸 상태)와 접힌 상태(도 5b에 나타낸 상태)로 변동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3링크부재(63)의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연결부인 중간부 (633)의 변위는, 전술한 상부링크(63a)와 하부링크(63b)의 각 길이 조절에 한정시키지 않고, 예컨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3링크부재의 중간부(633)에 긴 구멍을 형성하여, 그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축지지핀(29)을 이동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부(50)를 스크류부재(51)와 너트부재 (52)에 의해 구성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벨트구동, 유압 또는 공기압력실린더, 혹은 리니어 등에 의해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에 따르면,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할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한쪽에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다른쪽을 연동시켜,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의 각각의 개폐동작이 병행이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의 개폐동작이 연속적인 것에 비하여, 열차문의 개구를 신속히 개폐할 수가 있다.
또한, 링크기구에 의해서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한쪽에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다른쪽이 연동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구동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3링크부재의 중간부에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끝단부에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다른쪽이 연결되어, 링크부재 등의 중간부를 변위가능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링크부재등의 중간부를 변위시켜, 링크부재 등의 일끝단부와 중간부 사이의 길이와, 링크부재 등의 다른 끝단부와 중간부 사이의 길이의 비를 바꿀 수 있으며, 제1승강문이나 제2승강문의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한 위치, 반대로 문수납난간측으로 몰입한 위치 및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하는 양을 각각 바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의 설치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의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의 설치상태의 정면도.
도 6은 종래예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의 설치상태의 정면도.
도 7은 종래예에 관한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의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R : 문 PF : 플랫폼
TR : 열차 10 :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11 : 문수납난간 12 : 수납부
13 : 상부프레임 14 : 하부프레임
15 : 상부안내레일 16 : 하부안내레일
20 : 제1승강문 22 : 수납부
28 : 부착브래킷 29 : 축지지핀
30 : 제2승강문 50 : 구동부
51 : 스크류부재 52 : 너트부재
53 : 전동모터 54 : 축이음
55, 55a : 축받이 60 : 링크기구
61 : 제1링크부재 62 : 제2링크부재
63 : 제3링크부재 63a : 상부링크
63b : 하부링크 64 : 제4링크부재
65 : 제5링크부재 631 : 일끝단부
632 : 다른 끝단부 633 : 중간부

Claims (8)

  1. 플랫폼상의 옆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플랫폼의 정위치에 정지한 열차와의 사이에 벽을 이루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세워져 설치된 문수납난간과, 이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열차문의 개구를 닫는 한편, 상기 문수납난간에 몰입하여 상기 열차문의 개구를 열 수 있는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과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링크기구를 가지며,
    상기 링크기구는, 구동하는 상기 제1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1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문수납난간측에 연결된 일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재는, 다른 끝단부가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 사이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쪽이 연결되고,
    상기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이 병행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2. 플랫폼상의 옆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플랫폼의 정위치에 정지한 열차와의 사이에 벽을 이루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세워져 설치된 문수납난간과, 이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열차문의 개구를 닫는 한편, 상기 문수납난간에 몰입하여 상기 열차문의 개구를 열 수 있는 제1승강문 및 제2승강문과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링크기구를 가지며,
    상기 링크기구는, 구동하는 상기 제1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한쪽에 상기 제1승강문의 다른 쪽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문수납난간측에 연결된 일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문수납난간에 제1링크부재를 통해 연결된 일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제2승강문의 한쪽에 제2링크부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끝단부가 상기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요동가능한 제3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3링크부재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 사이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승강문 또는 상기 제2승강문의 다른쪽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변위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문은, 상기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상기 문수납난간에 지지되고,
    상기 제2승강문은, 상기 제1승강문에서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상기 제1승강문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문 및 상기 제2승강문은, 상기 문수납난간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상기 문수납난간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1-0043762A 2001-03-06 2001-07-20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KR100499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2024A JP2002264798A (ja) 2001-03-06 2001-03-06 可動ホーム柵装置
JPJP-P-2001-00062024 2001-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431A KR20020071431A (ko) 2002-09-12
KR100499422B1 true KR100499422B1 (ko) 2005-07-07

Family

ID=1892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762A KR100499422B1 (ko) 2001-03-06 2001-07-20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64798A (ko)
KR (1) KR100499422B1 (ko)
TW (1) TW54542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798A (ja) * 2001-03-06 2002-09-18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装置
JP6677501B2 (ja) * 2015-12-17 2020-04-0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多重扉および多重扉開閉装置
JP6899463B2 (ja) * 2015-12-17 2021-07-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多重扉および多重扉開閉装置
CN106672172B (zh) * 2017-01-16 2024-09-13 上海科得威船舶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水密门开启结构
JP6567578B2 (ja) * 2017-02-16 2019-08-28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可動式ホーム柵
JP7021987B2 (ja) * 2018-03-15 2022-02-17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可動式ホーム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294A (ja) * 1992-07-25 1994-02-22 Nippon Signal Co Ltd:The ゲート装置
JP2000108890A (ja) * 1998-10-02 2000-04-18 Fuji Electric 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2000177580A (ja) * 1998-12-14 2000-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2264798A (ja) * 2001-03-06 2002-09-18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330A (ja) * 1992-03-06 1993-09-24 East Japan Railway Co 可動ゲート付き安全柵
JP3303212B2 (ja) * 1992-03-09 2002-07-15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ムにおける安全扉
JP2000127955A (ja) * 1998-10-27 2000-05-09 Hitachi Ltd レール組み込み型駅ホームドア
JP2002160625A (ja) * 2000-11-29 2002-06-04 Toyo Electric Mfg Co Ltd ホームドア装置
JP2002173019A (ja) * 2000-12-08 2002-06-18 Toyo Electric Mfg Co Ltd ホーム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294A (ja) * 1992-07-25 1994-02-22 Nippon Signal Co Ltd:The ゲート装置
JP2000108890A (ja) * 1998-10-02 2000-04-18 Fuji Electric 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2000177580A (ja) * 1998-12-14 2000-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2264798A (ja) * 2001-03-06 2002-09-18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431A (ko) 2002-09-12
JP2002264798A (ja) 2002-09-18
TW545421U (en) 200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9700A (en) Lift for wheelchairs
US6792717B2 (en) Vehicle door operating mechanism
US20070056810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Maintenance and Inspection Operations at an Elevator Installation
JP4141790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US20070056809A1 (en) Elevator Car with Maintenance Platform and Method for Maintenance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US20030090081A1 (en) Passenger ingress and egress system for transit vehicle
RU21070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шахтной двери с дверью кабины лифта для их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0488253B1 (ko) 플랫폼의 추락방지장치
KR10111116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JP3942346B2 (ja) 扉装置
EP1247675A1 (en) W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ruck
KR100499422B1 (ko)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KR100836204B1 (ko)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CN215244823U (zh) 隐藏式操纵台及司机室、轨道车辆
JP2951648B1 (ja) 可動ホーム柵装置
US5275461A (en) Tilt and slide roof with links
KR200175450Y1 (ko) 차량 차단기
CN210554815U (zh) 一种对开门设备及轿厢
EP0782658A1 (en) Lifting folding door
KR200400746Y1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폐장치
KR100394951B1 (ko)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EP0461448B1 (en) Roof of a railway wagon
EP1555369B1 (en) Sliding door
ITTO940050A1 (it) Dispositivo da salita per autoveicoli, in particolare per autobus a piano ribassato
JP4141616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