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리드 아르메니아
Zakarid Armenia자카리드 아르메니아 Զաքարյան Հայաստան | |||||||||||
---|---|---|---|---|---|---|---|---|---|---|---|
1201–1350 | |||||||||||
자본의 | 아니 | ||||||||||
공용어 | 아르메니아어 | ||||||||||
종교 | 아르메니아 사도좌파 | ||||||||||
정부 | 군주제 | ||||||||||
자카리드스 | |||||||||||
역사시대 | 중세 | ||||||||||
• 설립 | 1201 | ||||||||||
• 초바니데스에게 정복당함 | 1350 | ||||||||||
|
자카리드 아르메니아(아르메니아어: զ աքարյան հ այաստան, 로마자: 자카리아 하야스탄)는 조지아 왕국의 아르메니아 가신들이 자카리드-므카르젤리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던 중세 시대의 역사적 시기를 묘사합니다. 아니라는 도시는 공국의 수도였습니다. 자카리드는 조지아의 바그라티오니 왕조의 가신이었지만 자주 독립적으로[6] 활동했고 때로는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7][8] 1236년, 그들은 지방 자치권을 가진 봉건 국가로서 몽골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습니다.
조지 5세와 바그라트 5세의 통치 기간 동안 자카리드 영토는 다시 조지아 왕국으로 돌아갔습니다.[9][10] 자카리드 왕조는 1350년경 초반족에 의해 정복되고 황폐해질 때까지 애니를 계속 통치했습니다.[11]
인셉션
13세기의 아르메니아 역사가 키라코스 간자케치와 바르단 대왕은 이바네의 증조할아버지가 "바비르의 쿠르드족 부족과 결별"하고 아르메니아 북부에 자리를 잡았다고 보고했습니다.[12][13] 그 후 그는 타시르 조라겟 지역에서 아르메니아 왕들의 쿠리키드 왕조의 가신이자 친척이 되었습니다. 그는 요새를 받고 아르메니아 미아피사이트 교회의 기독교인이 되었습니다.[12]
1045년 아르메니아의 바그라투니 왕조가 붕괴된 후 아르메니아는 비잔티움에 의해 점령되었고,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셀주크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14] 역사적으로 추적 가능한 자카리드 가문의 첫 번째 구성원인 Khosrov Zakarian은 11세기 초 셀주크 침략 당시 아르메니아에서 조지아 남부로 이주했습니다. 그 후 100년 동안, 자카리드는 점차 조지아 궁정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그곳에서 그들은 음하르그델리 (긴 어깨) 또는 아르메니아어로 ե րկայնաբազուկ (예르카이나바주크)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한 가족의 전설에 따르면 이 이름은 아케메네스의 조상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가 "롱아메드" (기원전 404년–358년)를 언급한 것이라고 합니다.[15][16]
12세기 동안 조지아의 바그라티족은 재집권을 누렸고, 셀주크가 점령한 아르메니아로 확장하는 데 성공했습니다.[17] 전 아르메니아의 수도 아니는 1124년에서 1209년 사이에 다섯 번이나 함락되었습니다.[18] 조지아의 조지 3세의 통치하에서 사르기스 자카리안은 1161년 아니의 총독으로 임명되었습니다. 1177년, 자카리드는 뎀나 왕자와 오르벨리 가문의 반란 동안 반란군들에 대항하여 군주제를 지지했습니다. 봉기는 진압되었고, 조지 3세는 그의 반대자들을 박해하고 자카리드를 높였습니다.
자카레와 이바네
조지 3세의 통치 기간에 약간의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성공은 타마르 여왕의 통치 기간에도 계속되었습니다.[17] 이것은 주로 아르메니아 장군 자카레와 이바네 때문이었습니다.[21][22] 1199년경, 그들은 아니시를 되찾았습니다.[17] 자카레와 이바네는 거의 30년 동안 조지아-아르메니아 군대를 지휘했고, 1195년 샴코르와 1203년 베이시안에서 주요한 승리를 거두었고, 1210년 페르시아 북부로 기습을 이끌었습니다.
이 두 형제는 앨라배마 출신 데이비드 소슬란과 함께 조지아를 다시 우승 궤도에 올려놓는데 성공했습니다.[23] 그들의 성공 덕분에 자카레와 이바네는 조지아 군대와 궁정의 높이에 도달했습니다.[24] 타마르 여왕은 그들에게 "자카리아인"이라는 이름을 가진 나하르 봉건 영주의 지위를 주어 자카레를 기렸습니다. 그녀는 아니를 수도로 하는 거의 모든 아르메니아 영토를 그들에게 지배권을 주었습니다.[24][17][25] 아니에 있는 자카레의 교회에 있는 비문에서 이 형제는 "아르메니아의 왕"이라고 불립니다.[26]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바네와 자카레는 조지아인들의 칼케도니아 신앙보다는 아르메니아의 미아피즘에 대한 종교적 연고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 적대감에 직면했습니다.[27] 동생 이바네는 결국 개종하여 두 형제가 조지아의 종교적 스펙트럼을 완전히 연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바네는 조지아 군대를, 자카레는 아르메니아 군대를 지휘했습니다.[27] 1204년 군사 작전에서와 같이 양군 간에 헌신적인 관행에 대한 갈등이 여전히 발생하여 조정된 작전을 방해하고 있습니다.[28] 최고위급에서 시노드를 소집해야 했고, 아르메니아인들은 몇 가지 관행을 조화시키기로 합의했습니다.[29]
아르메니아 통치의 통합 (1201-1239)
그 후 자카리드는 높은 수준의 자율성을 유지했고 자주 독립적으로 행동했습니다.[7] 무역량은 13세기 초에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적어도 1237년에 몽골에 의해 이 지역이 점령되기 전까지는 자카리드 왕자 아래에서 도시는 번성했습니다. 자카리아인들은 아르메니아 북부 전역을 통치하면서 많은 재산을 모았습니다. 자카레와 그의 후손들은 아니를 수도로 하는 아르메니아 북서부를 통치했고, 이바네와 그의 후손들은 드빈시를 포함한 아르메니아 동부를 통치했습니다. 결국, 그들의 영토는 바그라티드 아르메니아의 영토와 닮게 되었습니다.[14] 그들은 명목상 조지아의 종주권 하에 있으면서도 법원과 세금을 징수할 권리를 가진 아르메니아 국가의 역할을 하면서 높은 수준의 지방 자치권을 유지했습니다.[6][30] 그들이 조지아 왕의 가신이었을 때, 자카리드들은 자주 독립적으로 행동했고 그들만의 정치와 세금 체계를 확립했습니다. 조지아 왕들에 대한 그들의 충성은 대부분 전쟁 기간 동안 왕들에게 군사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에 국한되었습니다.[6] 그들의 수도인 아니에서, 그들은 조지아의 왕들로부터 그들의 독립적인 야망을 보여주는 "아니의 왕들"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8] 자카리드는 오르벨인과 바추티아인을 포함한 자신들의 가신들이 있었고, 프로시아 일족의 경우처럼 자신들의 최고 장군 계급에서 선발된 자신들의 나하르 봉건 가신들을 세울 수 있는 능력도 있었습니다.[24][31] 그들은 자신들의 이름과 칭호에 "샤한샤"(왕)라는 칭호를 채택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기독교와 무슬림 왕권의 과시"를 채택했습니다.[32] 티그란 호넨츠의 헌신적인 비문에서, 자카리아인들은 유일한 "오버로드", 그리고 "우주의 강력한 주인들"로 언급됩니다.[32][33]
종교
역사적인 아르메니아의 정복된 지역들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주로 미아피사이트이고 조지아인들과 그리스인들은 칼케도니아 기독교인들로 관계가 종종 갈등을 빚었습니다.[38] 하지만 경계는 움직일 수 있었습니다. 이바네 1세 자카리안은 13세기 초 칼케도교로 개종했고,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자발적이든 아니든 그를 따라왔습니다.[38]
자카리드는 두 신앙 사이에 모호함을 조장하고 자발적으로 두 신앙 사이의 요소를 혼합하여 차이를 최소화했으며, 아마도 그들의 영역을 더 잘 통치하도록 돕는 정치적 편법으로 보입니다.[39] 1215년 아니에서 헌정된 티그란 호넨츠의 성 그레고리 교회에서 아르메니아와 조지아의 복음주의자들의 신화와 장면의 결합은 아르메니아의 미아피사이트와 조지아의 칼케도니아 의식의 대화를 암시할 수 있습니다.[38] 자카리드인들은 또한 교회 평의회에서 미아피사이트와 칼케도니아 신앙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유명하며, 특히 의식과 아이콘의 사용과 같은 그들의 겉으로 표현하는 것과 관련하여 더욱 그러합니다.[40][39]
건축활동
1199-1200년부터 조지아의 지배하에 있던 자카리드는 1215년 아니에 지어진 티그란 호넨츠의 성 그레고리 교회 또는 키즈칼레 교회와 같은 종교적 기념물의 활발한 건설자였습니다.[41] 티그란 호넨츠의 성 그레고리의 기증자들은 그들의 비문에서 아르메니아인 미아피사이트로 확인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예술 프로그램은 오히려 칼케도니아 신앙을 반영했고, 이는 교회가 조지아 양식과 관습을 채택하기로 선택한 칼케도니아 아르메니아인 공동체에 속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42] 또는 이 교회는 아르메니아인과 조지아인 모두의 더 큰 공동체를 위해 봉사했을 수도 있고,[43] 적어도 자카리드 통치자들이 종종 원하는 대로 겉으로 표현했을 때, 미아피사이트와 칼케도니아 신앙의 통일의 본보기가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40][39]
- 하리차방크 대성당은 자카레 2세 자카리안이 지었습니다.
기념비적인 종교화
아르메니아는 13세기 이전에는 기념비적인 그림의 전통이 상대적으로 부족했습니다.[46] 아르메니아에서 기념비적인 종교화의 발전은 아마도 그들의 영역을 더 잘 통치하도록 돕는 정치적인 편법으로서 "아르메니아" 미아피즘과 "조지아" 칼케도니즘 사이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자카리드들의 노력과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39] 자카레 2세 자카리아누스는 미아피파가 칼케도니아인들과 함께 제사와 신앙 표현에 있어서 칼케도니아인들과 함께 최고위층에서 시노드를 소집했습니다.[47] 특히 시노드는 "구세주와 모든 성도의 아이콘이 받아들여져야 하며, 마치 이교도 이미지인 것처럼 멸시해서는 안 된다"고 인정해 아니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기념비적인 종교 그림을 만들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47][48]
그 후 자카리드 가족은 비잔틴, 아르메니아 및 조지아 전통을 혼합한 기념비적인 회화 예술의 대규모 프로그램을 후원했습니다.[49] 1205-1216년 이바네 1세 자카리안이 의뢰한 아크탈라 수도원의 아름다운 벽화는 비잔틴, 아르메니아, 조지아 양식을 혼합하고 조지아, 그리스, 아르메니아어로 새겨진 아르메니아-칼레도니아 예술의 한 예입니다.[50]
자카리드 수도 아니의 유적에서는 그림이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가장 초기의 것은 1215년의 티그란 호넨츠의 성 그레고리의 것입니다.[51] 그루지야어와 그리스어로만 표기된 이 그림들은 양식, 기법(청색의 강렬한 배경), 도상학적 세부 사항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그루지야 예술 전통에 속했을 수 있습니다.[51] 이 그림들은 칼케도니아 교회의 주요 축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52]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특징과 도상학적 세부 사항은 분명히 아르메니아어이며 미아피즘과 관련이 있습니다.[53] 비잔티움과 아르메니아인들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조지아 예술가들이 이러한 화보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고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46][54]
몽골과 킵차크의 침략
13세기 아르메니아 역사가 키라코스 간자케치에 따르면, 1220년에 몽골의 조지아 침공의 일부인 수부타이 치하에서 최초의 몽골 침공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제1파동은 3투멘(3만 명)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실제로는 도망친 콰리즈미의 통치자 무함마드 2세를 찾고 있었습니다.[56] 이바네 1세 자카리안은 타베그(총독)와 아미르스파살라르(총사령관)로 활동하면서 그들을 격퇴하기 위해 조지아의 조지 4세 국왕 밑에서 일했습니다.[57] 게오르기와 아르메니아군은 패배했지만 몽골군은 큰 손실을 입고 후퇴했습니다.[56] 몽골군은 이듬해에 돌아왔지만 7만 명의 군대에 의해 트빌리시로 가는 길에 막혔습니다.[56] 몽골군은 다시 승리했지만 타브리즈로 후퇴했습니다.[56] 같은 해 세 번째 조우는 사실상 조지아 군대를 소멸시켰고, 몽골군은 북쪽으로 계속해서 솔다이아까지 킵차크족과 칼카강 전투에서 루스 공국과 맞섰습니다.[58] 요르요 4세는 죽기 전에 여동생 루수단과 에르주룸 토후의 아들 기아스 아드딘과 결혼하여 룸 술탄국과 동맹을 맺었습니다.[58]
1222년 몽골의 참화를 피해 도망친 킵차크족은 아르메니아의 도시 간자크로 와서 다시 패배한 아타베그 이바네 자카리안의 군대와 마주쳤습니다.[59][60][61] 1223년 결국 조지아인들이 승리했지만, 자카리아 왕자 그리고르 카흐바키안은 킵차크 투르크에 의해 붙잡혀 고문당해 죽었습니다.[60]
1226-1230년 잘랄 딘 망부르니 휘하의 콰라즈미인들이 이 지역을 침략했을 때 드빈은 나이가 든 이바네의 지배를 받았는데, 그는 아니를 자카레의 아들인 조카 샨샤에게 주었습니다. Dvin은 길을 잃었지만 Kars와 Ani는 항복하지 않았습니다.[17]
몽골군은 1238-39년에 대규모 공세를 이끌었고, 1239년에 아니를 점령했습니다. 그들은 자카리드들의 항복을 받아내고, 그들의 지역에 그들을 남겨두었습니다.[17] 그들은 그의 영지에서 샨세를 확인하였고, 거기에 이바네의 아들 아바그의 영지까지 추가하였습니다. 게다가, 1243년에 그들은 아클라트를 이바네의 딸 탐타 공주에게 주었습니다.[17]
몽골 종주권 (1239-1357)
1238-39년 초마칸 장군 휘하의 몽골인들은 역사적인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전체를 정복했고, 1239년 조약에서 조지아 왕국의 항복을 이끌어냈습니다. 1239년부터 1244년까지 총 세 번의 몽골군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1239년 아니와 카르스를 점령했고, 1242년 카린을 점령했고, 1243-44년 쾨세 다 ğ 전투에서 셀주크 술탄을 패배시켰습니다. 몽골인들이 아니를 점령한 후, 자카리족은 바그라티족의 가신이 아니라 아르훈 아카의 통치하에 몽골인들의 가신으로 통치했습니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몽골의 지배하에 있는 동안, 자카리아인들은 그들 자신이 몽골의 지류였던 조지아인들에게 명목상의 종주권을 유지했습니다.[41]
1236년에서 1256년 사이에 일한국이 탄생하기 전에 코카서스는 초르마칸의 군사적 통치하에 놓였고, 5개의 빌라예트(주)로 나뉘었습니다. 그루지야(구르지스탄), 대아르메니아, 시르반, 아란, 무한 등 아르메니아 공국들은 분열되고 본질적으로 독립하게 되었습니다.[64] 1256년 이후 아르메니아는 훌레구가 세운 일한국에 직접 편입되었고, 다시 잘레이리드와 초반드 몽골 계승자 아래에서 타메를란이 완전히 새로운 파괴의 시대를 가져왔습니다.[63][41]
프로샨 왕조는 서기 13-14세기 동안 자카리드 아르메니아의 지배하에 있던 아르메니아 귀족의 가문이었습니다. 그들은 자카리드족과 오르벨리족처럼 몽골족의 동맹국으로 너무 번창했습니다.[65] 그들은 몽골의 지배하에 있는 중국으로의 무역로로부터 이익을 얻었으며, 많은 훌륭한 교회와 수도원을 지었습니다.[65] 후대의 자카리드 왕들은 1360년까지 아니에 대한 지배를 계속했고, 그들은 아니를 수도로 만든 카라 코윤루 투르코만 부족에게 패했습니다.[14]
몽골의 통치는 1292년 아르메니아 콜로폰에 의해 묘사된 바와 같이 특히 가혹하다고 여겨졌습니다.[66]
이 책은 아르메니아 달력 741년(1292년) 우리의 죄 때문에 온 세상을 침략한 카세이의 불순한 종족 타타르라 불리는 이상한 모습과 무자비한 모습으로 쓰여졌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너무 무자비하고 잔인해서 형제는 죽이고 아버지는 아들을 죽이지만 하나님의 벌은 올 것입니다.
— Colophon of Xalbakeank.[66]
세금과 반란
1236년부터 1250년까지 몽골인들은 기본적으로 아르메니아의 통치 구조를 그대로 두었습니다. 그들은 처음에는 약탈과 약탈로 만족했지만, 1243년부터 구유크 칸은 모든 재산에 대해 1/13에서 1/10의 일반세로 구성된 영구적인 형식적인 세금의 도입을 명령했고, 남자 한 명당 60개의 은제람 스피탁(아스퍼)의 큰 머리 세금으로 구성되었습니다.[60] 궁수의 민족사에 따르면, 사람이 돈을 내지 못하면 두들겨 맞고 개들에게 산 채로 주어졌다고 합니다.[69] 훌레구 치하의 일한국 통치 기간(재위 1256–1265)에 세금은 더 증가했습니다.[69]
훌레구는 태거라 불리는 세금을 왕실 등기부에 등재된 각 개인으로부터 징수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그는 거기서 곡식 100리터와 포도주 50리터, 쌀 2리터와 허스 3포대, 스피탁 1개, 화살 1개, 뇌물은 말할 것도 없고, 그들이 요구한 동물 20마리와 스피탁 20마리를 요구했습니다. 돈을 낼 수 없는 사람들로부터 그들은 아들과 딸을 돈으로 받았습니다.
— Kirakos Gandzaketsi, History of Armenia, 182.[69]
1251년 이래로, 아르메니아 킬리키아 코스탄딘의 가톨릭 신자들(1221–1267)은 맘루크족과 셀주크족에 대한 헤툼 1세의 외교적 지원을 얻기 위해 대 아르메니아의 귀족들에게 몽골족에 대한 반란을 피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쿠브추르라고 불리는 새로운 몽골 세금이 귀족들에게 그들의 영지를 저당 잡히도록 강요했고, 1259-1260년에 귀족들의 반란을 일으켰고, 아르훈 아카는 맹렬한 군사 작전으로 대응했습니다. 조지아 공주 곤차와 아르메니아 왕자 자카레는 처형되었고, 그의 아버지 샨샤는 람손을 위해 석방되었습니다.[70]
1260년경부터 일한국은 새로운 영토인 아르메니아에 돌로 새기고 제국령을 전시했습니다. 기둥이나 벽에 새겨진 수도 아니의 성 사도 교회에서 몇 가지 사례가 발견되었습니다. 이것들은 세금과 수입 관세를 발표하거나 규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칸의 이름으로"라는 공식을 사용하는 공식적인 발표였습니다.[67] 이 비문들은 아르메니아어를 사용했지만 형식과 일부 용어는 몽골어였습니다.[67]
정치적 자치
1236년 몽골의 정복 이후 조지아와 자카리드 공국은 8개의 행정 단위(투만)로 나뉘어진 속주로 조직되었습니다. 투만족 중 5명은 조지아인이었고, 나머지 3명은 카르스와 아니의 자카리드 공국, 그리고 슈니크와 아르차크의 아와기즈로 구성된 아르메니아인이었습니다.[72] 1236년부터 1246년까지 몽골은 자카리드 국가의 통치 구조에 간섭하지 않고 자카리드를 투만의 수장으로 임명했습니다.[72] 자카리드 아르메니아가 몽골의 속국이었기 때문에 세금과 칸에 대한 충성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그들은 그렇지 않으면 스스로를 통치하도록 방치되었고 이 기간 동안 상대적인 자치권을 가졌습니다.[73]
13세기 내내, 고위직인 아타베그 (총독)와 아미르스파살라르 (조지아 군대의 총사령관)는 자카리드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몽골의 조지아 침략 이후 몽골 승리자들은 1272년에 만카베르드의 "탈영자" 사둔 (Sadun)에게 이 관직을 맡겼습니다.[74] 아바카가 새로운 몽골 통치자가 되었을 때, 사둔은 조지아 바그라티드 왕국의 아타베그 아미르스파살라르의 칭호를 받았습니다.[75][76]
워페어
아르메니아인들은 몽골인들의 대부분의 캠페인에 참여해야만 했습니다. 그들은 1258년 바그다드 공방전에 참가했습니다. 1259년부터 1260년까지 샨샤 자카리안은 아르메니아 왕자 프로쉬 카흐바키안과 함께 몽골드가 주도한 마야파리크 ī 공방전에 참가했습니다. 축소된 조지아 왕국(1256–1329)도 몽골의 지배하에 있었고, 이러한 대부분의 캠페인에도 참여했습니다.[78]
1265년, 아르메니아군과 조지아군은 골든 호드와 일한국군 사이의 분쟁에 참여하여 결국 시르반에서 베르케를 물리쳤습니다.[79]
1284년,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군대는 일-카나테 통치자 테쿠데르와 아르훈 사이의 왕조 분쟁에 참여해야 했고, 조지아 알리나크 노얀의 부관 아래 그리고 테쿠데르 자신의 휘하에 군대가 있었습니다.[80]
수도회 후원
몽골 통치하에서 아르메니아는 13세기 말부터 14세기 초까지 상대적인 정치적 안정과 번영을 누렸습니다.[81] 아르메니아인들은 테쿠데르에 대항한 몽골의 통치자 아르훈과 우호적인 관계를 즐겼습니다. 그 결과 아르훈은 아르메니아 귀족들, 특히 교회를 지지했고 150개의 수도원들에게 세금을 면제해주었습니다.[82]
특히, 슈닉성은 지적, 문학적, 예술적 창의력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81] 수많은 수도원들을 짓고 그들에게 다양한 재정적 자원을 제공했던 프로시아인들과 오르벨인들의 후원 아래 수도원 설립은 성장했습니다.[81] Smbat Orbelian (1249/50-73)은 Möngke Khan으로부터 압류된 수도원 재산을 반환해야 하며 세금에서 자유로울 것이라고 입수했습니다.[81] 몽골인들의 사유 재산에 대한 일반적인 무거운 세금과는 대조적으로, 이 세금 면제 상태는 귀족들이 보호를 위해 재산의 일부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수도원 기관으로 이전하도록 장려했습니다. 이 모든 것은 몽골 칙령에 의해 확보되었습니다.[81] 어떤 경우에는 귀족의 구성원들이 수도원이 되어 이러한 성직자 자원의 직접적인 소유권과 관리를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81] 주요 수도원 보유지 중 일부는 케차루익과 게하르트 수도원, 아그호츠 반크 또는 타나하트 수도원 (1273-1279)에 있었습니다.[81] 이 시기부터 1321년 모미크의 예술적 감독 아래 요반네스 오르벨리안 주교에 의해 아레나 교회가 세워졌고, 1321년 프로샨 가문에 의해 스피타카보르 수도원 교회가 세워졌습니다.[83]
- 1240년경에 자카리드 암각화 교회, 게가드.
- 1321년 프로샨 가문에 의해 지어진 스피타카보르 수도원
- 에치 프로시안 왕자가 1300년에 바친 채식주의자 성십자가(호타케라츠)의 보물
의류 스타일 및 묘사
1318-1321년 자카리드 프로샨 왕조의 두 왕자인 아버지 에치와 아들 아미르 하산이 세운 스피타카보르 수도원처럼 몽골 통치하의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몇 가지 묘사가 알려져 있습니다.[89][90][91] 교회의 건설은 프로시 카흐바키안의 손자인 에치 프로시안 왕자(1318년 사망)에 의해 시작되었고, 그의 아들 아미르 하산 2세에 의해 1321년에 완공되었습니다.[89][90] 각각의 프로시안(-1318)은 스피타카보르에서 부조를 받고, 황금색 술잔 위에 기도하며 두 손을 들고 몽골식 드레스(구름 옷깃)를 입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92]
또한 수도원에서 부조는 활을 든 왕자 복장을 한 어린 기수를 나타내며, ա մ ր հ ս (AMR HS)라는 글자는 아버지가 시작한 교회를 완공한 에치 프로시안의 아들인 프로시안의 아미르 하산 2세 왕자를 나타냅니다. 부조는 교회가 완성된 날짜인 1320년에서 132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93][94] 이들 묘사에서 프로샤인들은 화려한 벨트와 높은 모자로 몸에 꼭 맞는 옷을 입고 있으며, 몽골 시대 아르메니아 특유의 스타일로 동그란 뺨과 아몬드 모양의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95] 말을 타고 있는 아미르 하산 왕자는 14세기 몽골 귀족의 특징인 딱 맞는 튜닉과 두 개의 리본이 달린 세 개의 뾰족한 모자를 쓰고 있으며, 얼굴 생김새는 몽골인들과 비슷합니다.[88] 1300년경에 제작된 에치 프로시안 왕자는 몽골식 왕실 드레스(구름 옷깃)를 입고 있는 모습입니다.[96]
참고문헌
아르메니아의 역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