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소예비치
Vasojevići시리즈의 일부 |
몬테네그로의 부족 |
---|
바소예비치(키릴 문자: Васојевићи, ʋ ̞예 ̞ʋ이트 ͡ɕi)는 역사적인 고지대 부족이자 몬테네그로의 브르다 지역입니다. 남쪽의 리예바 리예카에서 북쪽의 비옐로폴제 아래의 비호르까지, 서쪽의 마테셰보에서 동쪽의 플라브까지 지역을 차지하는 역사적인 부족 중 가장 큰 규모입니다. 알바니아계일 가능성이 높은 이 부족의 16세기 이전 역사는 대부분 구전 역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비공식적인 중심지는 몬테네그로 북동부의 안드리예비카이지만, 이 부족은 몬테네그로 중부의 리예바 리예카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부족은 중앙 바소예비치 부족의 통치하에 연합된 다양한 부족들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 이 부족들은 나중에 코모비 산맥과 림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이주는 오늘날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다른 지역으로 계속되었습니다.
부족의 소속감은 최근 몇 년 동안 줄어들었지만, 과거의 일은 아닙니다. 부족 연합과 조직은 여전히 존재합니다(예: Udru ženje Vasojevica "Vaso"). 이는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에서 바소예비치가 야권을 통합하면서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리학
바소예비치 강은 남쪽으로는 리예바 리예카에서 북쪽으로는 비옐로폴예 근처의 비호르, 서쪽으로는 마테셰보에서 동쪽으로는 플라브 사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남쪽으로는 바소예비치족이 인접한 쿠치족, 브라토노 ž리치족과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동쪽으로는 알바니아와의 국경이 있고, 북동쪽 경계는 과거에 자주 바뀌었고 점차 바소예비치가 그 방향으로 확장되었습니다. 리예바 리예카(Lijeva Rijeka)는 숲이 우거진 구릉지대로, 개울과 해협이 산재해 있으며, 모든 상부 바소예비치(Upper Vasojevichi)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로어 바소예비치(Lower Vasojevichi)는 강 주변에 평야가 더 많아 산악 지형이 더 완만합니다.
오늘날 몬테네그로의 바소예비치 지역은 다음과 같은 지방 자치체에 속합니다. 베란주, 포드고리차주, 콜라신주, 플라브주, 비옐로폴제주(몬테네그로의 약 15%).[1]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인 콤 바소예비치키(Kom Vasojevicki, 2,461m (8,074피트)는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후자가 거주하는 전체 지역은 종종 "바소예비치"("Vasojevici")라고 불립니다.[2][3]
오리진스
시리즈의 일부 |
알바니아계 부족 |
---|
알바니아 출신일 가능성이 높은 바소예비치(알바니아어: 바사즈(Vasaj, Vasoviqi[4] 또는 Vasojeviqi[5])는 인근 슬라브족에 점진적으로 문화적으로 통합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6][4][7][8][9][10][11][12]
바소예비치(Vasojevichi)는 평범한 부계 조상을 가진 부족(플렘)이 아니라 새로운 영토로 확장되면서 다른 많은 형제 지역으로 이름을 확장한 중앙 부족의 통치하에 형성되었습니다.[13]
역사
초기역사
바소예비치는 1444년 10월 29일 라구산 상인들이 제출한 라구산 원로원 보고서에 처음 언급되어 있습니다. 그 당시 그들은 부족이 아니라 민족으로 묘사되었는데, 그들은 아직 완전히 형성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블라흐와 알바니아의 목축 공동체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카툰으로 조직된 종족이었기 때문입니다.[14] 이 보고서는 비엘로파블리치족, 피페리족과 함께 라구산 상인들을 공격하여 현재의 리예바 리예카 마을 근처에서 그들에게 물질적인 피해를 주었을 때 바소예비치족(그리고 그들의 지도자 바소[15])을 언급하고 있습니다.[16] 1455년 브란지나 조약에는 바소예비치족이 언급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15세기 후반 현재의 브라토노 ž리치와 리예바 리예카를 포함한 피페리 영토의 작은 공동체로 보이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바소예비치족은 1485년 오스만 제국의 슈코드 ë르의 퇴역 군인인 바소예비치족(Vasojevichi)에 언급되어 있는데, 여기서 레치차 마을은 바소예비치의 대체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퇴역자에 따르면, 바소예비치와 브라토노 ž리치는 아직 확립되지 않은 부족이었고, 바소예비치 부족의 형성은 16세기 말까지 지속된 긴 과정이었고, 그들은 피페리의 나히야에서 분리되어 완전히 형성된 부족 단위로 분리되었습니다.
17세기
1613년, 오스만 제국은 몬테네그로의 반란 부족들에 대항하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바소예비치는 쿠치, 비엘로파블리치, 피페리, 카스트라티, 켈멘디, 슈크렐리, 호티 부족과 함께 "산악의 연합" 또는 "알비니아 산맥"으로 알려진 정치 군사 연합을 결성했습니다. 지도자들은 그들의 공동 집회에서 다가오는 오스만 원정에 전력을 다해 저항하겠다는 맹세를 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의 자치권을 보호하고 북부 고지에서 오스만 스파히스의 권위를 세우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봉기는 오스만 제국을 그들의 영토에서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방적인 성격을 가졌습니다.[21][22] 마리아노 볼리자는 1614년에 바소예비치가 세르비아 정교회의 총 90개의 집을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습니다. 니콜라 호타세우(니콜라 호타세프)와 랄레 부오프(랄레 보조프)가 지휘했으며 최대 280명의 병사를 투입할 수 있었습니다.[23]
1658년 쿠치, 바소예비치, 브라토노 ž리치, 피페리, 켈멘디, 호티, 그루다의 7개 부족이 베네치아 공화국과 동맹을 맺고 오스만 제국에 맞서 이른바 "7중 기치" 또는 "알라즈바르작"을 수립했습니다. 1689년 피페리, 로브카, 비엘로파블리치, 브라토노 ž리치, 쿠치, 바소예비치에서 봉기가 일어났고, 동시에 프리즈렌, 페하, 프리스티나, 스코페에서 봉기가 일어났고, 10월 크라토보와 크리바 팔랑카에서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18세기와 19세기
1737년 시작된 오스트리아-터키 전쟁에서 세르비아 총대주교 아르세니예 4세 요바노비치 샤카벤타가 봉기를 일으켰고 세르비아와 브르다의 정교회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총대주교와 함께, 바소예비치와 다른 브르다 부족의 우두머리들은 세르비아에서 오스트리아군과 합류하여 1737년 7월 니시와 노비 파자르를 점령하는 것을 도왔습니다.[26] 세르비아 총대주교와 쿠치족의 음유시인 라돈자 페트로비치가 이끄는 또 다른 3,000명의 고지인들은 오스트리아군이 철수한 다음 날 인적이 드문 노비 파자르에 도착했습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바소예비치와 쿠치 고지인들 중 일부는 비호르를 약탈하고 불태웠습니다.[27][28][29] 오스만 제국의 반란군에 대한 보복은 1737년 10월에 시작되었고, 이바르 강, 서모라바 강, 림 강, 타라 강의 계곡에 사는 사람들에게 끔찍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호다베르디 파샤 마흐무드베고비치(Hodaverdi Pasha Mahmudbegović)의 오스만 군대는 그 길에 있는 모든 마을을 불태우고 파괴했고, 이로 인해 수천 명의 세르비아인들과 가톨릭 알바니아인들이 이주했습니다.[28] 1737년 말 오스만 군대는 비옐로 폴제에서 코모비 산맥에 이르는 거의 모든 마을을 불태우고 파괴하면서 바소예비치 지역 전체를 황폐화시켰습니다.[30][31] 1738년 두르제비 스투포비 수도원과 슈디코보 수도원 등 대부분의 교회와 수도원들도 불에 타 소실되었지만, 이후에는 재건되지 않았습니다.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오스트리아의 패배는 1739년 주민들 중 일부가 노예가 되거나 심지어 메토히자로 추방되는 동안 인구가 감소한 상부 림 계곡의 인구의 대규모 이주로 이어졌습니다.[27][30]
상바소예비치 지역은 1858년 그라호바크 전투 이후 사실상 몬테네그로 공국에 편입되었고,[32] 20년 후 베를린 조약으로 확정되었고, 하바소예비치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습니다.[33]
1860년 몬테네그로 정부는 동화 운동의 일환으로 ž플레타, 재킷, 앞치마 등 바소예비치 여성 의상의 다양한 부분에서 특정 자수와 장식을 제거하고 대신 몬테네그로 전통 의상을 착용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나중에 관리들은 바소예비치로 보내져 판결을 집행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34] 바소예비치 부족의 여성들은 20세기 초까지 전통 민속 의상을 유지했습니다.
20세기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을 때, 로어 바소예비치 가문은 급진적으로 변했고 재빨리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몬테네그로와 오스만 제국의 경계에 있는 지역에서 이것은 두 나라 모두에게 어려운 일이었습니다.[35] 1911년 오스만 제국은 로어 바소예비치를 포르테의 지배하에 두겠다는 제안을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35] 부족민들을 달래지 못한 오스만 당국은 부족민들을 모집해 본국으로 추방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1912년 여름 몬테네그로의 지원을 받아 로어 바소예비치가 반란을 일으킨 예상 밖의 결과를 가져왔습니다.[36] 루고바, 플라브, 구신제 및 다른 인근 지역의 준군사들의 도움으로 오스만 정규군은 반란을 진압하고 하부 바소예비치 마을과 농작물을 파괴했으며, 두르제비 스투포비 수도원은 약탈당하고 불에 탔습니다.[37]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몬테네그로 왕국은 1916년 1월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 바소예비치의 중요한 일원이었던 라도미르 베쇼비치 준장은 몬테네그로 군대를 해산하고 점령군과 조건을 협상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그렇게 하지 못한 장군은 오스트리아군이 그를 체포하기 위해 보낸 사람을 죽였습니다. 이 저항 행위는 몬테네그로에서 특히 베쇼비치의 바소예비치 친족들 사이에서 저항 운동을 일으켰고, 오스트리아군의 가혹한 보복 운동이 뒤따랐습니다.[38]
전쟁이 끝난 후 1918년 11월 19일 포드고리차에서 몬테네그로의 미래상을 결정하기 위한 대국민회의가 열렸습니다. 선거는 세르비아와의 일방적인 통일을 지지한 백인(세르비아어: 비엘라시)의 승리를 가져왔고, 세르비아에 의한 몬테네그로의 합병으로 보는 사람들은 녹색당(세르비아어: 젤레나시)이라고 불렸습니다. 비엘로파블리치족, 니치치족, 그라호블자니족과 함께 바소예비치족은 백인들을 지지하는 부족에 속했고, 승리 이후 범세르비아주의를 자축했습니다.[39]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바소예비치는 세르비아계 체트니크인(왕당파)과 유고슬라비아계 파르티잔인(공산주의자)으로 나뉘어 싸웠습니다[40]. 그 결과 부족 구조 내에서 갈등이 확산되었습니다.[40] 파르티잔들은 별개의 바소예비치 대대를 구성했습니다. 콜라신에서 체트니크족이 진격하는 동안 체트니크족 200명과 이탈리아군 160명을 이끌고 페시차 호수를 방어했습니다.[41]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다른 몬테네그로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그리고 부족의 소속감이 완전히 멈춘 것은 아니지만, 한 부족으로서의 바소예비치는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유고슬라비아 국가의 붕괴는 전통적으로 베오그라드와 가까운 북부 몬테네그로 부족들의 부활을 선호했습니다.[42] 몬테네그로의 분리주의 당국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미르 불라토비치의 사회주의 인민당과 세르비아 정교회의 영향 아래 이 역사적인 부족 지역에서 부족 회의가 마련되었습니다.[42] 역사적으로 세르비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바소예비치 가문은 바소예비치 지역의 주요 도시인 안드리예비카와 베라네 인구의 대부분을 의존할 수 있는 불라토비치의 가장 강력한 지지자 중 하나였습니다.[43] 1994년 7월 12일, 전통적인 성(聖)에서. 베드로의 날 모임에서, 그 부족의 유명한 구성원들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서 분리된다면 그들의 지역이 세르비아에 합류할 것이라고 결정했습니다.[44]
21세기
2006년 5월,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의 미래에 대한 국민 투표를 거쳐 독립했습니다. 그러나 바소예비치 지역의 비공식 중심지인 안드리예비차 시의 유권자 72%는 몬테네그로 독립에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이는 세르비아와의 주 연합을 깨는 것에 대한 두 번째로 높은 결과였습니다.[45]
바소예비치 인민의회는 몬테네그로인을 제외하고 모든 바소예비치는 세르비아인이므로[46][47]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몬테네그로가 분리되는 것을 강력히 반대하고 반대해 왔다고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48][49] 2003년 몬테네그로 인구조사에 따르면 바소예비치족의 89,81%가 세르비아인이라고 선언했고, 9,43%가 몬테네그로인이라고 선언했습니다. 2011년 인구조사에서는 바소예비치 족과 관련된 대부분의 정착지에서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안드리예비카에서는 세르비아인의 2/3, 몬테네그로인의 1/3 정도가 확인되었습니다.[50]
2010년대
우크라이나 전쟁 중, 바소예비치 부족의 일부인 안드리예비카 마을의 일부 주민들은 "우리는 형제입니다"라고 말하면서 러시아에 땅을 무료로 팔고 포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51]
인류학
문화
족보와 부족과 가족의 역사를 정확히 알고 조상에 대한 존경심을 표하는 것이 모든 형제의 전통입니다. 이것은 또한 씨족의 구성원들이 단결하고, 함께 행동하며, 항상 친족을 인식할 수 있게 해줍니다.[52] 전통적인 관습으로 볼 때, 19세기 말까지 북부 알바니아 카눈의 변형된 흔적이 바소예비치에서 사용되었습니다.[53] 두층집은 Kula로[54] 알려졌습니다.
바소예비치의 전통 의상은 알바니아-몬테네그린 국경 지대의 다른 부족들의 의상과 비슷합니다. 특히 이 여성의 옷은 오블라자 또는 두 ž페레타(후자는 아랍어 주바에서 온 터키어에서 온 것)라고 불리는 모직 종 모양의 치마로, 인근 말리소르 부족 출신의 알바니아 여성들이 입는 주블레타와 비슷합니다.
Srbljaci and Ašani
15세기 중반에 처음 언급된 이후 17세기 말까지 바소예비치 가문은 브르다 요람에 남아 있었고, 그 중심은 리예바 리예카였습니다. 그 당시 인근의 림 상류 계곡에는 세르비아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바소예비치족은 그들과 정기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그들은 스르블랴크(Srbljaci,sing. 스르블랴크)라고 불렀습니다.[59] 그러나, 이 최초의 스르블라치족들은 1651년 이후에 집단으로 이주했고, 몬테네그로와 브르다의 다양한 형제와 가족들로 서서히 대체되었습니다.[60] 바소예비치족은 18세기에 림 상류 계곡으로 점차 확장되었고, 그들이 만난 모든 다른 형제와 가족들을, 그들이 다른 브르다 부족이나 몬테네그로 부족에서 온 최근의 사람들이든, 또는 원래의 스르블랴치의 남아있는 후손들이든, 그들을 스르블랴치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61]
비슷한 시기에 아샤니(아샤닌)sing.라는 용어가 등장했는데, 이는 바소예비치족이 하스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베라네 주변 지역에 붙여진 이름입니다.[62] 당시 오스만 제국은 베라네가 중심이 되는 행정 구역을 지정하기 위해 하스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주민들은 바소예비치족뿐만 아니라 산악 부족들에게도 아샤니족이라고 불렸습니다. 그리고 당시 베라네는 스르블랴치족만이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샤닌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서 스르블랴크와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63]
따라서 스르블랴치는 원래 아샤니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두 용어는 점차 서로 동의어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19세기부터 두 용어는 바소예비치 지역에 사는 다른 출신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2][3][52]
민속 전통
바소예비치 가문은 바소예라는 단일 남성 조상의 후손인 한 가족 또는 씨족으로 여겨집니다. 이 조상에 대한 설화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앞서 언급한 바소제가 눈에 띄는데, 그의 후손이라고 하는 바소도 이 두 이름이 서로 다른 전설 속에 섞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64] 이 시조는 이 지역이 황량하던 시기에 리예바 리예카에 정착하여 노 ž리카 하천의 오른쪽 둑에 집을 지었다고 합니다. 부족의 기원에 관한 전설 중에서 바소제는 부칸 네만치의 손자이며, 바소는 그 자신이 바소제의 증손자라고 생각합니다.[65] 민간 신화에 따르면 바소예비치 형제 세 명은 바소의 세 아들인 라제, 노박, 미오만의 후손이라고 합니다.[66]
바소의 후손들은 점차 북동쪽으로 확장하여 코모비 산맥, 안드리예비카, 베라네 주변의 리임 강가에 거주했습니다.[67][3][52] 그리하여 몬테네그로의 7개 고지대 부족(즉 바소예비치, 모라차니, 롭차니, 브라토노 ž리치, 쿠치, 피페리, 비엘로파블리치) 중에서 가장 큰 부족(플렘)을 형성했습니다. 터키의 지배에서 자유로워진 부족들 중 일부는 리예바 리예카와 안드리예비카(Upper Nahija)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어퍼 바소예비치(Upper Vasojevichi)라고 불립니다. 베라네 지역에는 로어 바소예비치(또는 로어 나히자)가 거주했습니다. 대부분의 로어 바소예비치인들은 20세기 발칸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터키의 통치권 안에 있었습니다.[3]
요한 게오르크 폰 한(Johann Georg von Hahn)은 1850년 슈코드 ë르(Shkod Gabriel)에서 가브리엘(Gabriel)이라는 이름의 가톨릭 사제로부터 바소예비치(Vasojevichi)에 대한 최초의 구전을 기록했습니다. 바소예비치의 최초의 직계 남성 조상은 오스만 제국의 정복을 피해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정착한 케카 가톨릭 알바니아인의 아들인 바스 케키였다고 합니다. 그의 아들들인 라즈 ë르 케키(호티의 조상), 반 케키(트리엡시의 조상), 카스테르 케키(크라스니키의 조상), 메르코타 케키(므르코예비치의 조상)는 현지인들을 살해한 뒤 마을을 떠나야 했습니다. 그러나 께크와 그의 작은 아들 피리케는 그곳에 남아 있었고, 피리족의 직계 조상이 되었습니다.[68][69][70]
18세기에 그 부족의 민속은 오스만 제국 중기에 발달한 정통 밀레나리아주의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러한 민간 전설에 따르면, 바소예비치의 장로인 스탄즈는 그리스의 성직자들에게 세르비아인들을 터키로부터 해방시켜줄 어두운 남자(crničovjek)의 등장을 예고했습니다. 이러한 신화들은 세르비아 정교회의 공식적인 교리의 일부로서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대한 사실상의 인정과 그것의 정당성에 대한 부정을 제공했습니다.[71]
민족지학적 설명
오스트리아-헝가리 영사 F가 작성한 각서에 따르면.이 지역의 인구학적 구조를 연구한 리피치족인 바소예비치족은 알바니아어의 북부 언어적 경계로 간주되며 슬라브화된 알바니아인의 경우를 구성합니다.[72][73]
마리 아멜리 폰 고딘(Marie Amelie von Godin)은 여행에서 여전히 바소예비치(Vasojevici) 지역에서 이중언어 사용의 흔적을 보고했습니다. 그녀의 보고에 따르면, 알바니아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지만, 일부 애도와 맹세는 여전히 알바니아어로 노래되고 암송되었다고 합니다.[74]
형제지간
바소예비치 사람들은 자신들을 라호, 노박, 미오만 세 명의 바소 아들의 후손으로 여깁니다. 이 지파의 3대 씨족(세르비아어: bratstva)은 다음과 같습니다.[75][76]
- 라예비치
- 노바코비치
- 미오마노비치
1935년에 출판된 그의 책 "Pleme Vasojevichi"에서, 부족의 일원이었던 역사가 라도슬라프 베쇼비치는 Vasojevichi의 구조에 대해 설명합니다.[77] 집필 당시에는 가족의 명단이 총망라되어 있었지만, 그 이후로 새로운 가족이 생겨났을 수도 있습니다. 아주 먼 족보와 함께 이름, 연대, 관계의 약간의 변형이 동시에 존재하지만, 바소예비치 구성원들 사이에서 어떤 가족이 형제, 지부, 하위 지부에 속하는지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78] 사실, 어떤 바소예비치 가문도 아래에 설명된 구조에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습니다.[79][78]
라예비치가 가장 큰 지점입니다. 차례로 세 갈래로 나뉩니다. 로파차니의 후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베치의 후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바체비치의 가족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바코비치는 두 번째로 큰 지점입니다. 노바코비치 형제단의 모든 가족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오마노비치는 바소예비치 가문의 가장 작은 형제지간입니다. 가족은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