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
Unsymmetrical dimethylhydrazine이름 | |
---|---|
우선 IUPAC 이름 1,1-디메틸히드라진[1] | |
기타 이름 디마진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605261 | |
체비 | |
켐스파이더 | |
ECHA 정보 카드 | 100.000.287 |
EC 번호 |
|
케그 | |
메쉬 | 디마진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유니 | |
UN 번호 | 1163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
특성. | |
H2NN(CH3)2 | |
외모 | 무색 액체 |
냄새 | 암모니아산, 비린내 |
밀도 | 791 kg−3 m (22 °C에서) |
녹는점 | -57°C, -71°F, 216K |
비등점 | 64.0°C, 147.1°F, 337.1K |
혼재[2] | |
증기압 | 13.7kPa(20°C에서) |
굴절률(nD) | 1.4075 |
열화학 | |
열용량 (C) | 164.05 JK−1−1 몰 |
표준 어금니 엔트로피 (S | 200.25 J K−1−1 몰 |
표준 엔탈피/ 형성 (δHf⦵298) | 48.3kJ몰−1 |
표준 엔탈피/ 연소 (δHc⦵298) | - 1982.3 – - 1975.1 kJ−1 mol |
위험 요소 | |
산업안전보건(OHS/OSH): | |
주요 위험 요소 | 산화제와 접촉하면 자연 발화되는 발암물질 |
GHS 라벨링: | |
위험. | |
H225, , , , , , | |
P210, , , , , | |
NFPA 704(파이어 다이아몬드) | |
플래시 포인트 | - 10 °C (14 °F, 263 K) |
248 °C (478 °F, 521 K) | |
폭발 한계 | 2–95% |
치사량 또는 농도(LD, LC): | |
LD50(중간선량) |
|
LC50(중간 농도) |
|
NIOSH(미국 건강 노출 제한): | |
PEL(허용) | TWA 0.5ppm (1mg/m3) [피부][2] |
REL(권장) | Ca C 0.06ppm (0.15mg/m3) [2시간][2] |
IDLH(즉시 위험) | Ca [15ppm][2]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표준 상태(25°C[77°F], 100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UDMH; 1,1-디메틸히드라진, δδ 또는 코드네임 겔틸)은 로켓 추진제로 사용되는 화학식2 HNN(CH3)2의 화합물이다.유기 아민 특유의 날카롭고 비린내 나는 암모니아 같은 냄새를 가진 무색의 액체입니다.샘플은 공기에 노출되면 노란색으로 변하고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그것은 물, 에탄올, 등유와 섞일 수 있다.공기 중 농도 2.5~95%에서 증기는 인화성이 있습니다.충격에 민감하지 않습니다.대칭 디메틸히드라진, 1,2-디메틸히드라진도 알려져 있지만 유용하지는 [4]않다.
생산.
UDMH는 2개의 [4]루트에 의해 산업적으로 생산됩니다.Olin Raschig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가지 방법은 모노클로로민과 디메틸아민을 반응시켜 1,1-디메틸히드라지늄 염화물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 (CH3)2NH + NHCl2 → (CH3)2NNH2 h HCl
적절한 촉매가 존재하는 경우 포름알데히드 및 수소를 사용하여 아세틸히드라진을 N-디메틸화하여 N,N-디메틸-N'-아세틸히드라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 가수분해될 수 있습니다.
- CHC3(O) NHNH2 + 2CHO2 + 2H2 → CHC3(O) NHN(CH3)2 + 2HO2
- CHC3(O) NHN(CH3)2 + HO2 → CHCOOH3 + HNN2(CH3)2
사용하다
UDMH는 산화제 질소 사산화물과 함께 2중 추진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IRFNA(금지된 적색발연질산) 또는 액체산소와 함께 사용되는 빈도는 낮습니다.UDMH는 히드라진의 유도체이며 히드라진이라고도 합니다.연료로서 미국의 [5]MIL-PRF-25604 사양에 설명되어 있다.
UDMH는 안정적이고 로켓 연료 시스템에 장기간 부하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에도 불구하고 많은 액체 로켓 엔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우주왕복선의 OMS나 조종 엔진과 같은 일부 용도에서는 모노메틸히드라진이 약간 더 높은 비임펄스로 인해 대신 사용됩니다.일부 등유 연료 로켓에서 UDMH는 등유로 전환하기 전에 연소를 시작하고 로켓 엔진을 따뜻하게 하는 시동 연료로 기능합니다.
UDMH는 특히 높은 온도에서 히드라진보다 안정성이 높고 대체물로 사용하거나 혼합물로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UDMH는 많은 유럽, 러시아, 인도 및 중국의 로켓 설계에 사용됩니다.러시아 SS-11 세고(일명 8K84) ICBM, SS-19 스틸레토(일명 15A30) ICBM, 프로톤, 코스모스-3M, R-29RMU2 레이너, R-36M, Rokot(15A30 기준) 3월 2일 및 3월 2일 긴 비행기다.타이탄, GSLV 및 델타 로켓군은 각각 다른 [7]단계에서 50%의 히드라진과 50%의 UDMH(Aerozine 50)의 혼합물을 사용합니다.북한이 2017년 [8]개발해 실험한 탄도미사일에 사용된 연료라는 추측이 있다.
안전.
히드라진과 그 메틸 유도체는 독성이 있지만 LD50 값은 [9]보고되지 않았다.발암물질인 디메틸니트로사민의 전구체입니다.[10]과학 자료에 따르면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로켓에 UDMH를 사용하는 것은 환경과 지역 주민에게 악영향을 끼쳤다.[11]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dimazine – Compound Summary". PubChem Compound. USA: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6 March 2005. Identification. Retrieved 21 February 2012.
- ^ a b c d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227".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1,1-Dimethylhydrazine".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or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a b Schirmann, Jean-Pierre; Bourdauducq, Paul (2001). "Hydrazine".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13_177.
- ^ "PERFORMANCE SPECIFICATION PROPELLANT, uns-DIMETHYLHYDRAZINE (MIL-PRF-25604F)". ASSIST Database Quicksearch. 2014-03-11. Retrieved 2020-05-26.
- ^ "Following Russian rocket explosion, experts warn of 'major contamination'". 2 July 2013.
- ^ Clark, John D. (1972). Ignition! An Informal History of Liquid Rocket Propellants. Rutgers University Press. p. 45. ISBN 0-8135-0725-1.
- ^ Broad, William J.; Sanger, David E. (17 September 2017). "The Rare, Potent Fuel Powering North Korea's Weapons". The New York Times.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06. Retrieved 2018-07-06.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Gangadhar Choudhary, Hugh Hansen (1998). "Human health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xposure to hydrazines: A review". Chemosphere. 37 (5): 801–843. Bibcode:1998Chmsp..37..801C. doi:10.1016/S0045-6535(98)00088-5. PMID 9717244.
- ^ Abdrazak, P. Kh; Musa, K. Sh (21 June 2015). "The impact of the cosmodrome "Baikonur" on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8 (1): 26–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16. Retrieved 2 August 2016 – via ijbch.kaznu.kz.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