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아이덴티티
The Obama Identity오바마 아이덴티티: 소설(Or Is It?)은 에드워드 클라인과 전 공화당 하원의원 존 르부틸리에가 쓴 2010년 소설이다.무엇보다도 이 책은 버락 오바마 시민권 음모론과 버락 오바마 종교 음모론을 소설 형식으로 탐구하고 홍보한다.폭스앤프렌즈와의 인터뷰에서 르부틸리어는 이 책이 "실제"를 사용하고 있고 "실제"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1]인터뷰에 이어 '미국을 위한 미디어 매터스'는 이 책의 발췌문을 '해당하기 어려운 줄거리'[1]를 갖고 있다고 비판하는 기사에 실었다.
플롯 요약
이 책은 패러디한 것이다.오바마 당선에 앞서 주인공인 CIA 요원 테오도르 J. 히긴보템 3세는 버락 오바마를 둘러싼 방대한 음모를 파헤친다.오바마가 당선된 후, 주인공은 자살을 시도하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그 후, 그는 대통령을 위해 일하러 간다.[1]
플롯 디테일
이 책은 오바마 대통령과 다른 민주당원들에 대한 다양한 음모론을 사실로서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 오바마는 이슬람교 신자로, 인도네시아 이맘으로부터 어린 시절 가르침을 받았고, "언젠가는 높은 정부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 일어설 것이라는 희망으로 비무슬림 정부에 개종한 이슬람교도들을 심을 계획"이라고 묘사된 강간 미수범이다.이 책에서, 오바마의 할례는 이맘에 의해 "배리가 그의 불순한 미국 사상을 제거했다"고 묘사된다.
- 버락 오바마는 케냐의 맘바사에서 태어났다.
- 빌 클린턴은 비밀 CIA 요원이었기 때문에 초안을 피했다.
- 예레미야 라이트는 그의 교회 아래에 비밀 사무실이 있었는데, 이것은 오바마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조직하는 데 사용되었다.
- 오바마의 선거캠프는 '소로스 보좌관'의 도움을 받아 중국, 이란, 러시아,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UAE)가 후원했다.
- 2000년대 후반의 불황은 오바마를 당선시키기 위해 조지 소로스에 의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졌다.
- 버락 오바마는 러시모어 산에 자신의 얼굴을 추가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시카고의 이름을 바꾸고 싶어한다.
이 책에서 묘사된 다른 장면들에는 예레미야 라이트가 "흑인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매년 10만 원씩 배상하라"고 요구하고, 오바마가 "필리피노 관리인"에게 발을 씻기고, 그의 담배 연기를 "베레하게 차려입은 태국 소년들"에 의해 부채질하고, 케이티 쿠릭은 "정확한 젖꼭지"를 블라우스를 통해 선명하게 보인다.그녀는 그와 데이트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버락 오바마에 대해 낙담했다.[1]
리셉션
배니티 페어는 이 책에서 발췌한 부분을 출판했는데, 이 책에서 그것은 "자극적인"이라고 묘사했다.이 발췌문은 션 하니티 텔레비전 쇼의 가공된 에피소드를 묘사하고 있는데, 해니티가 존 F를 믿는 보수주의 운동가를 인터뷰하는 내용이다. 케네디는 아직 살아있고, 우리는 달에 착륙한 적이 없으며, 9/11은 내부 소행이며, 오바마의 캠페인은 "좌파들이 대통령 집무실에 무슬림을 심고, 우리 아이들이 집에 오면 신발을 벗을 수 있도록 끈 대신 벨크로와 신발을 신도록 가르치기 위한 거대한 음모"의 일환이라는 것이다.[3]
보수적인 웹사이트 Right Pundits의 Andrew Zarowny는 이 책에 대해 호의적인 리뷰를 썼는데, 그는 이것을 "재미있다"고 묘사했다.그는 또한 제리 델라 페미나가 쓴 이 책의 또 다른 리뷰를 인용했다.[4]
참조
- ^ a b c d Willis, Oliver (December 2, 2010). "Write about Obama and circumcision, get booked on Fox News". Media Matters for America. Retrieved December 4, 2010.
- ^ "The Obama Identity". Retrieved December 4, 2010.
- ^ Edward Klein and John LeBoutillier (September 27, 2010). "The Proof Is in the Placenta". Vanity Fair. Retrieved December 4, 2010.
- ^ "Right Pundits review". November 29, 2010. Retrieved December 1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