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용역성지수
Present serviceability index현재의 사용가능성 지수(PSI)는 포장 성과 측정이다. 미국도로교통공무원협회(AASHTO)가 도입한 PSI는 포장상태지수(PCI)와 국제난도지수(IRI)에 이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포장실적 지표 중 하나이다.[1][2] 이 성능 지표는 0과 5 사이의 범위, 즉 0은 고장 난 포장도로를 나타내며 5는 우수 포장도로를 나타낸다. PSI는 경사 분산을 수반하기 때문에 IRI 등 거칠기와 관련된 성능 지표와 상관관계가 있다.[3]
역사
PSI는 AAASHO 도로 주행 테스트의 현재 사용 가능 등급(PSR)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AASHO 도로주행시험은 1956년부터 1961년까지 AASHTO에 의해 수행된 일련의 실험이었다.[4] 관심의 포장도로를 넘어 차량에 탑승하도록 감시단이 요구했던 승차감 등급이었던 PSR과 달리 PSI는 전문가 패널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대규모 도로망에서는 더욱 실용적인 접근방식이었다.
계산
현재 사용가능성은 여러 변수의 함수다. 유연한 포장도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변수가 포함된다.[5]
참조
- ^ Piryonesi, S. M.; El-Diraby, T. E. (2020) [Published online December 21, 2019]. "Data Analytics in Asset Management: Cost-Effective Prediction of the Pavement Condition Index". Journal of Infrastructure Systems. 26 (1): 04019036. doi:10.1061/(ASCE)IS.1943-555X.0000512.
- ^ Piryonesi, S. M. (2019). The Application of Data Analytics to Asset Management: Deterior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Ontario Road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 ^ Hall, Kathleen; Muñoz, Carlos (1999-01-01). "Estimation of Present Serviceability Index from International Roughness Index:".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doi:10.3141/1655-13.
- ^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July 2007). "Pavement Lessons Learned from the AASHO Road Test and Performance of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PDF). Washington D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 ^ Cary, W. N.; Irick, P. E. (1960). "The pavement serviceability-performance concept" (PDF).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