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칙손해
Penal damages계약법 |
---|
관습법 시리즈의 일부 |
계약형성 |
형성에 대한 방어 |
계약해석 |
불이행에 대한 변명 |
제3자의 권리 |
계약 위반 |
치료법 |
준계약의무 |
관련법 분야 |
기타 관습법 영역 |
형벌적 손해배상이란 합당한 보상적 손해배상을 초과하는 청산적 손해배상을 말하며, 관습법상 무효가 된다. 청산된 손해 조항은 상대방이 계약을 위반할 경우 예상되는 손해에 대해 한 당사자에게 사전 합의된 가치를 정하지만, 형벌적 손해는 더 나아가 위반 당사자에게 위반으로 인한 합당한 손실을 넘어 불이익을 주려 한다.[1] 형벌로 판명된 많은 조항들은 청산된 손해배상 조항으로 표현되지만 법원에서는 과도한 것으로 간주되어 무효가 되었다.[2]
형벌 피해에 대한 사법적 접근은 계약법에서 사법적 온정주의의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중요하다. 강제성이 없는 두 당사자가 형벌 조항을 포함하는 계약에 동의하기를 원하더라도, 그들은 동의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담배를 끊기를 원하는 사람은 제3자와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수치는 계약상 손실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영국 대법원은 2015년 카벤디시 광장 홀딩 BV v 탈랄 엘 막데시[3] 판결에서 벌칙 조항에 대한 영국법률의 전면 재검토(형벌적 손해배상 반대)를 실시했다.
다른 유형의 피해와 구별됨
형벌적 손해는 원고에 위해를 가한 행위에 대해 특정 유형의 불법 행위에서 주어지는 징벌적 손해와 구별된다. 벌칙 피해도 특정 경기법 및 관련법 위반에 대해 일반적으로 법령으로 정하는 3배 피해와는 다르다.
참고 항목
참조
- ^ Esanda Finance Corporation 대 Plessnig [1989] HCA 7, (1989) 166 CLR 131, High Court (호주)
- ^ Dunlop 공압 타이어 주식회사 v New Garage & Motor 주식회사 [1914] [4] UKHL 1 [4], House of Lords (영국)
- ^ 캐번디쉬 스퀘어 홀딩 BV v 탈랄 엘 막데시[2015] UKSC 67, 대법원(영국), 대법원 판결 목적으로 파킹아이 주식회사 v 비비스(ParkingEye Ltd v Beavis)와 함께 가입한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