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사흐 아리

Nusach Ari

누사흐 아리(Nusach Ari)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16세기 랍비 이삭 루리아의 사용법을 따르는 모든 기도 의식을 의미한다.

시드르의 역사

아리와 그의 직계 제자들은 기존의 세파르드 의식의 추가물로 쓰려는 여러 가지 특징적인 사용법을 정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기도서를 발표하지 않았다. 1572년 랍비 이삭 루리아가 세상을 떠난 후, 주로 세파르딕 랍비들과 공동체에 의해 그가 사용한 기도 형식을 담은 기도서를 출판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 예는 랍비 샬롬 샤라비싯두르이다. 이들 중 많은 수가 세파르딕 공동체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세파르딕 유대교를 참조하십시오.

세파르드 의식의 일부 버전이 포함된 기도서들은 아리족의 사용법에 따라 달라졌으며 전통적인 아슈케나즈 의식보다 아슈케나즈식 세계의 일부 갑발리즘 집단에서도 사용되고 있었다. 특히 초기 하시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기도서들은 아리잘의 버전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종종 발견되었고, 실제 기도서라기보다는 캐버노(명상)의 가르침과 적절한 기도 방법의 역할을 하였다.

아리잘의 싯두르에 바탕을 둔 다른 많은 싯두림은 누사흐 세파드라는 제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하시딕 유대교의 종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유대인은 자신의 가문 출신에 적합한 관습을 따르며 미츠보트(유대교의 명령)를 준수하게 되어 있다: 민아그 참조. 원래 루리아는 이스라엘의 12개 지파 각각에 하나씩 12개의 기도문이 존재한다고 가르쳤으며, 따라서 유대인 기도를 위한 12개의 누사흐("누사초 하테필라")가 그에 따라 흘러나왔다.[1][2] 이러한 개념의 변경으로, 특히 18/19세기 하시디즘에서는 우월한 누사흐 세파드가[3] 천국의 믿었던 "십삼 관문"(샤르 하-콜렐)에 도달할 것이라는 주장이 대두되었다.[4] 거의 자연스럽게 누사흐 세파드는 그것의 변종 누사흐 아리와 함께 하시디치 유대교의 다양한 종파들 사이에서 지배적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비 하시다 랍비들(미트나그딤 참조)은 아슈케나지 유태인들이 다소 최근에 고안한 이 서로 다른 18/19세기의 관습의 채택을 반대한다.[1]

아리잘의 싯두르에서 각색한 싯두림

  • 시드두르 테필라 예샤라(Siddur Radvil, 후에 해설 키터 네호라, 베르디체프)
  • 리아디의 랍비 슈네우르 잘만 편 싯두르 테힐라트 하셈
  • 싯두르 토라 오르 (랴디 원판의 랍비 슈네우르 잘만)
  • 시두르 테필롯 미콜 하사나
  • 싯두르 오드 요세프 하이(바그다디 제사)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세파르디 의식, 카탈루냐 의식, 아슈케나지 의식 등 [다양한] 기도서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나의 주인 [아리] 은 열두 부족에 해당하는 창문이 하늘에 열두 개 있고, 각 부족의 기도가 그 자신의 특별한 문을 통해 올라가는 것을 알려 주었다. [예체스켈]의 말미에 언급된 열두 성문의 비밀이다. 모든 부족의 기도가 같은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열두 개의 창과 대문이 필요치 않을 것이며, 각 대문은 각자의 길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오히려 그들의 기도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부족이 각자의 대문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 부족의 영혼의 근원과 뿌리에 따라, 그 기도의 의식도 그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개인이 그의 조상들의 관습적인 소송 의식을 유지하는 것은 적절하다. 너희는 이 지파에서 누가 왔는지, 그 지파에서 누가 왔는지 알지 못한다. 그리고 그의 조상들이 어떤 풍습을 행하였으므로 아마도 그는 이 풍습이 적절한 그 부족 출신일 것이며, 만약 그가 지금 와서 그것을 바꾸면, 그의 기도가 그 의례에 따라 바쳐지지 않을 때 [하늘에] 오르지 않을지도 모른다. (샤라르 하-카바노트, 인얀 누사흐 하-테필라)" Navon, Chaim (Rav); Strauss, translated by David. "THe various rites of Jewish liturgy". The Israel Koschitzky Virtual Beit Midrash. Yeshivat Har Etzion. Retrieved 9 March 2015.
  2. ^ Sears, Dovid (Rabbi). "Tefillah be-Kavanah". breslev.co.il. Breslev Israel. Retrieved 9 March 2015.
  3. ^ 누사흐 세파드는 아슈케나지 풍습과 아리족의 (원래로 믿어지는) 갑발리즘 풍습을 조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형태의 유대인 싯두림의 이름이다. 참조: 베르테임, 아론, 하시디즘의 법과 관습, Ktav 출판사, Inc. 호보켄, NJ, 1992, p146
  4. ^ Remer, Daniel (Rabbi). "SIDDUR TEFILLAT HAIM". virtualgeula.com. VirtualGeula,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5, 2007. Retrieved 9 March 20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