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투리아

Nocturia
녹투리아
기타 이름닉투리아
전문비뇨기과

녹투리아는 국제연속협회(ICS)에 의해 "개인이 배뇨를 위해 한 번 이상 밤에 일어나야 한다는 불만(즉, 소변)"[1]으로 정의된다. 이 용어는 라틴어 nox, night, 그리스어 [τα] ούα, 뇨에서 유래되었다. 원인은 다양하고 분간하기 어려울 수 있다.[2] 모든 환자가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밤마다 2~3회 이상 공허함을 깨우며 심한 녹투리아에 대한 치료를 받는다.

유병률

연구에 따르면 20~50세의 5~15%, 50~70세의 20~30%, 70세 이상의 연령대의 10~50%가 하루에 최소 2번 이상 소변을 본다고 한다.[3] 녹투리아는 나이가 들면서 더 흔해진다. 60세 이상 남녀의 50% 이상이 많은 지역사회에서 녹투리아에 걸린 것으로 측정되었다. 심지어 80세 이상의 사람들은 밤에 녹투리아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녹투리아 증상도 나이가 들면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녹투리아 비율은 남녀 모두 거의 같지만, 자료에 따르면 젊은 여성보다 젊은 여성, 나이 든 여성보다 나이든 남성에게서 유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5]

임팩트

연구에 따르면 60% 이상의 사람들이 녹투리아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3] 이로 인한 불면증수면부족은 피로감, 기분변화, 졸음, 생산성 저하, 피로감, 사고위험 증가, 인지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6][7][8] 노인들이 경험하는 낙상의 25%는 밤에 발생하며, 그 중 25%는 공허함을 깨우는 동안 발생한다.[9]

녹투리아를 경험한 사람들을 위한 삶의 질 테스트가 2004년에 출판되었다. 그 시범 연구는 남성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10]

진단

녹투리아 진단은 환자의 야행성 소변량(NUV)을 알아야 한다. ICS는 NUV를 "개인이 잠을 자려는 의도로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상승하려는 의도로 잠을 깨는 시간 사이에 통과하는 소변의 총량"[11]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NUV는 잠자리에 들기 전 마지막 빈 공간은 제외하지만 소변 욕구가 환자를 깨운 경우 첫 번째 아침 빈 공간을 포함한다. 환자가 받는 수면의 양, 그리고 받고자 하는 양을 진단에서도 고려한다.[citation needed]

어떤 환자와 마찬가지로, 그 환자의 정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제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필요하다. 녹투리아에 대한 주요 진단 도구는 배뇨 방광 일지다. 의사는 일지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지구적 다뇨증, 야행성 다뇨증, 방광 저장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배뇨 방광 일지는 다음을 기록해야 한다.[citation needed]

  • 공차 수
  • 공극의 타이밍
  • 배뇨량
  • 유체 흡입 부피와 시간

환자는 NUV에 첫 번째 아침 빈 공간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첫 번째 아침 공극은 야간 공극 횟수에 포함되지 않는다.[citation needed]

원인들

폴리우리아

다뇨증은 과다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소변을 생산하거나 통과한다. 소변의 생성과 통로의 증가는 이뇨증이라고도 할 수 있다.[12][13] 다뇨증은 보통 다른 질환증상이나 징후(그 자체로는 질병이 아님)로 보이나, 적어도 근본 원인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장애로 분류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글로벌 폴리우리아

전지구적 다뇨증은 수면시간에만 국한되지 않는 소변의 지속적인 과잉생산이다. 전지구적 다뇨증은 유체 섭취 증가에 대응하여 발생하며, 40 mL/kg/24시간 이상의 소변 출력으로 정의된다. 전지구적 다뇨증의 일반적인 원인은 당뇨병당뇨인시피두스(DI)와 같은 일차적 갈증 장애다. 배뇨 불균형은 다식증을 유발하거나 순환기 붕괴를 막기 위한 과도한 갈증을 유발할 수 있다. 중앙당뇨병인시피두스바소프레신(ADH(항이뇨 호르몬), 아르기닌 바소프레신(AVP) 또는 아르기프레신으로도 불린다. ADH는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며 후뇌 뇌하수체에서 저장 및 방출된다. ADH는 신장 네프론집수관 시스템에서 수분 흡수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소변 생산을 감소시킨다. ADH는 체내의 수화 수준을 조절한다. 수위 조절에 도움이 되는. 신장결핍증 DI에서는 신장이 정상적인 ADH 양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는다.[14]

DI 진단은 야간 물 부족 검사를 통해 할 수 있다. 이 테스트는 환자가 일정 기간(일반적으로 약 8-12시간) 동안 액체 섭취를 제거해야 한다. 첫 번째 아침 공극이 고도로 집중되지 않으면 환자는 DI로 진단된다. 센트럴 DI는 보통 데스모프레신이라고 불리는 ADH의 합성 대체물로 치료될 수 있다. 데스모프레신은 갈증과 잦은 배뇨를 조절하기 위해 복용한다.[15] 신장결핵 DI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유체 섭취를 신중하게 조절하여 치료할 수도 있다.[citation needed]

야행성 다뇨증

야행성 다뇨증은 야간 중 소변 생산량이 증가하지만 주간 소변 생산량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여 24시간 소변량이 정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된다. 24시간 소변생성이 정상 한계 이내인 상황에서 야행성 다뇨증은 야행성 다뇨 지수(NPi)가 정상 24시간 소변량의 35%를 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NPi는 단순히 NUV를 24시간 소변량으로 나눈 값이다.[16] 방뇨를 조절할 수 없는 것과 유사하게, 녹투리아에 대해 아르기닌 바소프레신(ADH) 수준의 교란이 제안되었다. 일반 환자에 비해 녹투리아 환자는 야행성 ADH 수치가 감소한다.[citation needed]

야행성 다뇨증의 다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질병이 있다.

방광창고

정상적인 인체 방광 저장 용량은 사람마다 다르며 400~600 mL로 간주된다.[18] 방광 저장 장애는 작은 부피 공극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어떤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대개 방광의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로하 증상들과 관련이 있다. 일부 녹투리아 환자는 위의 기준에 따라 전지구적 또는 야행성 다뇨증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한 환자들은 대부분 야간 배뇨나 수면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방광 저장 장애를 가지고 있다. 야행성 방광 용량(NBC)은 수면 기간 중 가장 큰 배뇨량으로 정의된다.[citation needed]

NBC의 감소는 최대 방뇨량이 감소하거나 방광 저장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적할 수 있다. 감소된 NBC는 다음과 같은 다른 장애와 관련될 수 있다.

복합원인

상당수의 녹투리아 사례는 원인의 조합에서 발생한다. 혼합녹투리아는 많은 현실보다 더 흔하며 야행성 다뇨증과 야행성 방광 용량 감소의 조합이다. 194명의 녹투리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citation needed]

  • 7%는 야행성 다뇨증만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 57%만이 NBC를 줄였다.
  • 36%는 둘의[2] 원인이 혼재되어 있었다.

복합적인 요인은 종종 근본적인 비뇨기과적 조건과 관련이 없다. 혼합녹투리아는 환자의 방광일기 유지 및 분석을 통해 진단된다. 원인 기여도 평가는 공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관리

생활양식의 변화

녹투리아에 대한 치료법은 없지만 여러 가지 행동이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

  • 카페인알코올 섭취 금지. 둘 다 이뇨작용이 있다.[1]
  • 음료 소비 규제. 녹투리아와 관련하여, 이것은 특히 취침 전 3시간 이상 유체를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광이 하룻밤 동안 보관할 수 있는 유체를 적게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긴급한 요실금을 가진 사람들을 돕는다.[20] 그러나 노인성 환자에 대한 한 연구에서는 야간 배뇨를 소량만 줄였고 노인들의 노뇨증 관리에 차선책이라는 결과가 나왔다.[20] 누울 때 액체가 동원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한 제3의 유체간격으로 인해 항뇨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유체제한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citation needed]
  • 압박 스타킹은 심장마비나 다른 절제없는 한 다리에 액체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루 종일 착용할 수 있다.
  • 소변 통과를 증가시키는 약물은 세 번째 유체 간격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또한 녹투리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약물

  • 데스모프레신[21], 바소프레신 등의 ADH 대체품
  • 선택적 알파-1 차단제는 BPH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이다.[22] 알파-1 차단제는 남성의 BPH 증상에 대한 1선 치료법이다.[23][24][25][26] 독사조신, 테라조신, 알후조신, 탐술로신 등은 모두 양성 전립선 과대증상으로 인한 하부 소변관 증상(LUTS)을 줄이기 위한 치료에서 잘 확립되어 있다. 그들은 모두 이와 비슷한 목적을 위해 유사한 효과가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 프라조신과 같은 1세대 알파-1 차단제는 혈압저하 효과 때문에 요로하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는다. 이 세분류에 속하는 후기 세대의 약품들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23][27] 어떤 경우에는 알파-1 차단기가 5-알파 환원효소 차단기와 결합된 치료에 사용되었다. 두타스테라이드와 탐술로신은 복합요법과 결과를 통해 단일요법에 비해 증상이 크게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27][28]
  • 요로 감염이 원인이라면 요로 항균제로 치료할 수 있다.[29]
  • 특히 옥시부티닌, 톨테로딘, 솔리페나신 등의 항시무스카린제는 방광 수축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과다한 방광과 긴급 요실금으로 인해 녹투리아를 겪는 환자에게 사용된다.[30]

수술

만약 녹투리아의 원인이 양성 전립선 비대증이나 과능성 방광과 관련이 있다면, 수술적 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조

  1. ^ a b Van Kerrebroeck, Philip; Abrams, Paul; Chaikin, David; Donovan, Jenny; Fonda, David; Jackson, Simon; Jennum, Poul; Johnson, Theodore; Lose, Gunnar; Mattiasson, Anders; Robertson, Gary; Weiss, Jeff;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2002). "The standardisation of terminology in nocturia: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21 (2): 179–83. doi:10.1002/nau.10053. PMID 11857672. S2CID 26193237.
  2. ^ a b Weiss, Jeffrey P.; Blaivas, Jerry G.; Stember, Doron S.; Brooks, Maria M. (1998). "Nocturia in adults: Etiology and classification".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17 (5): 467–72. doi:10.1002/(SICI)1520-6777(1998)17:5<467::AID-NAU2>3.0.CO;2-B. PMID 9776009.
  3. ^ a b c Schatzl, G; Temml, C; Schmidbauer, J; Dolezal, B; Haidinger, G; Madersbacher, S (2000). "Cross-sectional study of nocturia in both sexes: Analysis of a voluntary health screening project". Urology. 56 (1): 71–5. doi:10.1016/S0090-4295(00)00603-8. PMID 10869627.
  4. ^ Lundgren, Rolf (2004). "Nocturia: A new perspective on an old symptom". Scandinavian Journal of Urology and Nephrology. 38 (2): 112–6. doi:10.1080/00365590310020033. PMID 15204390. S2CID 24851592.
  5. ^ Park, Hyoung Keun; Kim, Hyeong Gon (2013). "Current Evaluation and Treatment of Nocturia". Korean Journal of Urology. 54 (8): 492–8. doi:10.4111/kju.2013.54.8.492. PMC 3742899. PMID 23956822.
  6. ^ Hetta, J (1999).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caused by nocturia". BJU International. 84 Suppl 1: 27–8. doi:10.1046/j.1464-410x.84.s1.3.x. PMID 10674891. S2CID 23611274.
  7. ^ Ancoli-Israel, Sonia; Bliwise, Donald L.; Nørgaard, Jens Peter (2011). "The effect of nocturia on sleep". Sleep Medicine Reviews. 15 (2): 91–7. doi:10.1016/j.smrv.2010.03.002. PMC 3137590. PMID 20965130.
  8. ^ Kobelt, G; Borgström, F; Mattiasson, A (2003). "Productivity, vitality and utility in a group of healthy professionally active individuals with nocturia". BJU International. 91 (3): 190–5. doi:10.1046/j.1464-410X.2003.04062.x. PMID 12581002. S2CID 3894775.
  9. ^ Jensen, J; Lundin-Olsson, L; Nyberg, L; Gustafson, Y (2002). "Falls among frail older people in residential ca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0 (1): 54–61. doi:10.1080/140349401753481592. PMID 11928835.
  10. ^ Abraham, Lucy; Hareendran, Asha; Mills, Ian W; Martin, Mona L; Abrams, Paul; Drake, Marcus J; MacDonagh, Ruaraidh P; Noble, Jeremy G (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ality-of-life measure for men with nocturia". Urology. 63 (3): 481–6. doi:10.1016/j.urology.2003.10.019. PMID 15028442.
  11. ^ Van Kerrebroeck P, Abrams P, Chaikin D, et al. (December 2002).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in nocturia: report from the standardiz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BJU Int. 90 Suppl 3: 11–5. doi:10.1046/j.1464-410x.90.s3.3.x. PMID 12445092. S2CID 417670.
  12. ^ "Definition of Diuresis". MedTerms. 30 October 2013. Retrieved 30 December 2014.
  13. ^ "Diuresis". The Free Dictionary. Retrieved 30 December 2014.
  14. ^ a b Weiss, JP; Blaivas, JG (2002). "Nocturnal polyuria versus overactive bladder in nocturia". Urology. 60 (5 Suppl 1): 28–32, discussion 32. doi:10.1016/S0090-4295(02)01789-2. PMID 12493348.
  15. ^ Rivkees, SA; Dunbar, N; Wilson, TA (2007). "The management of central diabetes insipidus in infancy: Desmopressin, low renal solute load formula, thiazide diuretics". Journal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20 (4): 459–69. doi:10.1515/JPEM.2007.20.4.459. PMID 17550208. S2CID 7139692.
  16. ^ Matthiesen, TB; Rittig, S; Nørgaard, JP; Pedersen, EB; Djurhuus, JC (1996). "Nocturnal polyuria and natriuresis in male patients with nocturia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The Journal of Urology. 156 (4): 1292–9. doi:10.1016/S0022-5347(01)65572-1. PMID 8808857.
  17. ^ Parthasarathy, Sairam; Fitzgerald, Marypat; Goodwin, James L.; Unruh, Mark; Guerra, Stefano; Quan, Stuart F. (2012). Bayer, Antony (ed.). "Nocturia,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Cardiovascular Morbidity in a Community-Based Cohort". PLOS ONE. 7 (2): e30969. doi:10.1371/journal.pone.0030969. PMC 3273490. PMID 22328924.
  18. ^ "방광의 사진" 매튜 호프만 MD, webmd.com
  19. ^ Weiss, JP; Blaivas, JG (2003). "Nocturia". Current Urology Reports. 4 (5): 362–6. doi:10.1007/s11934-003-0007-1. PMID 14499058.
  20. ^ a b Griffiths, DJ; McCracken, PN; Harrison, GM; Gormley, EA (1993). "Relationship of fluid intake to voluntary micturition and urinary incontinence in geriatric patients".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12 (1): 1–7. doi:10.1002/nau.1930120102. PMID 8481726. S2CID 33718389.
  21. ^ Ebell, MH; Radke, T; Gardner, J (Sep 2014).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desmopressin for nocturia in adults". The Journal of Urology. 192 (3): 829–35. doi:10.1016/j.juro.2014.03.095. PMID 24704009.
  22. ^ Sokhal, Ashok Kumar; Sankhwar, Satyanarayan; Goel, Apul; Singh, Kawaljit; Kumar, Manoj; Purkait, Bimalesh; Saini, Durgesh Kumar (Aug 30, 2017). "A Prospective Study to Evaluate Sexual Dysfunction and Enlargement of Seminal Vesicles in Sexually Active Men Treated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y Alpha Blockers". Urology. 118: 92–97. doi:10.1016/j.urology.2017.08.025. PMID 28860050.
  23. ^ a b Nickel, J. Curtis; Méndez-Probst, Carlos E.; Whelan, Thomas F.; Paterson, Ryan F.; Razvi, Hassan (October 2010). "2010 Updat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anadian Urological Association Journal. 4 (5): 310–316. doi:10.5489/cuaj.10124. ISSN 1911-6470. PMC 2950766. PMID 20944799.
  24. ^ Lepor, Herbert (2007). "Alpha Blockers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Reviews in Urology. 9 (4): 181–190. ISSN 1523-6161. PMC 2213889. PMID 18231614.
  25. ^ Stanaszek, W. F.; Kellerman, D.; Brogden, R. N.; Romankiewicz, J. A. (April 1983). "Prazosin update. A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hypertension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Drugs. 25 (4): 339–384. doi:10.2165/00003495-198325040-00002. ISSN 0012-6667. PMID 6303744. S2CID 46973044.
  26. ^ Carruthers, S. G. (July 1994). "Adverse effects of alpha 1-adrenergic blocking drugs". Drug Safety. 11 (1): 12–20. doi:10.2165/00002018-199411010-00003. ISSN 0114-5916. PMID 7917078.
  27. ^ a b Tanguay, Simon; Awde, Murray; Brock, Gerald; Casey, Richard; Kozak, Joseph; Lee, Jay; Nickel, J. Curtis; Saad, Fred (June 2009).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primary care". Canadian Urological Association Journal. 3 (3 Suppl 2): S92–S100. doi:10.5489/cuaj.1116. ISSN 1911-6470. PMC 2698785. PMID 19543429.
  28. ^ Roehrborn, Claus G.; Siami, Paul; Barkin, Jack; Damião, Ronaldo; Major-Walker, Kim; Morrill, Betsy; Montorsi, Francesco (Feb 1, 2008). "The Effects of Dutasteride, Tamsulosin and Combination Therapy o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Men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Prostatic Enlargement: 2-Year Results From the CombAT Study". The Journal of Urology. 179 (2): 616–621. doi:10.1016/j.juro.2007.09.084. PMID 18082216.
  29. ^ Swamy, S.; Gill, K.; Kupelian, A.; Sathiananthamoorthy, S.; Horsley, H.; Collins, L.; Malone-Lee, J. (2013), Voiding symptoms cleared by treating infection,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30. ^ Rovner, ES; Wein, AJ (2003). "Update on overactive bladder: Pharmacologic approaches on the horizon". Current Urology Reports. 4 (5): 385–90. doi:10.1007/s11934-003-0013-3. PMID 14499063. S2CID 30475019.

외부 링크

분류
외부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