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코리누스
Moschorhinus모스코리누스 | |
---|---|
모쇼리누스 키칭기 복원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Clade: | 시냅시다 |
Clade: | 테랍시다속 |
서브오더: | †테로세팔리아 |
패밀리: | †아키드노그나스과 |
속: | †모스코리누스 빗자루, 1920 |
모식종 | |
키친기 빗자루, 1920 |
Moschorhinus는 Akidnognathidae에 속하는 멸종된 수두류 속이며, 단 하나의 종인 M. Kitchingi만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남아프리카 카루 슈퍼 그룹의 후기 페름기에서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발견된 육식성 시냅시드였다.그것은 몸길이가 1.5미터(4.9피트)에 달하며, 가장 큰 두개골은 사자에 버금가는 크기였다.그것은 길고 곧은 송곳니를 가진 넓고 뭉툭한 코를 가지고 있었다.그것은 생태학적으로 고르곤옵시드를 대체한 것으로 보이며, 큰 고양이처럼 사냥했다.후기 페름기에 가장 풍부했지만, 이 트라이아스기 개체들은 성장을 멈췄지만 페름기 멸종 후에도 조금 살아남았다.
분류법
모스코리누스라는 속명은 송아지나 어린 동물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μμμμμμμμομ(모스코스) moschos, 코나 코를 뜻하는 rhin/rino-에서 유래했으며, 짧고 넓은 코를 가리키는 말이다.종명인 키칭기는 원래 이 [1]표본을 발견했지만 묘사하지는 않았던 제임스 키칭 씨를 지칭한다.
키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니우 베데스다 마을 근처에 있는 카루 슈퍼그룹에서 두개골인 완모식표본을 발견했다.그것은 고생물학자 로버트 브룸에 의해 [1]1920년에 처음 기술되었다.그것은 이제 슈퍼그룹에서 [2]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잘 알려진 테랍시드 중 하나이다.
모스코리누스 유골은 상부 페름기에서 하부 트라이아스기 [2][3][4]보포트 그룹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발견되었다.
분류
Moschorhinus는 신두증 동물로 유테리오돈티아의 일원으로 신노돈트와 현생 포유류의 자매 분류군이다.Moschorhinus는 강한 두개골과 큰 [5]윗쪽 송곳니를 가진 다른 크고 육식성 테라스피드와 함께 Akidnognathidae과로 분류된다.
모스코리누스는 한때 고르곤옵시드가 지배하던 틈새를 물려받았다.두 그룹 모두 큰 고양이처럼 생겼다.트라이아스기에 의해 모스코리누스가 멸종한 후, 시노돈트도 비슷한 [5]틈새를 차지했다.
묘사
모스코리누스는 몸길이 1.5미터(4.[6]9피트)에 이르는 큰 육식동물이었다.두개골은 고르고놉시드의 두개골과 비슷하며, 큰 측두엽(총 3개)과 볼록하게 구부러진 입천장을 가지고 있다.두개골의 크기는 모니터 도마뱀이나 사자에 버금가는 것이었다.그들은 특징적으로 짧고 넓은 코를 가지고 있다.그들은 검 이빨 고양이의 [5][7]송곳니처럼 눈에 띄게 긴 한 쌍의 앞니를 가지고 있다.
Moschorhinus 턱의 측면도, 이러한 큰 앞니에 필요한 운동 범위와 코의 상부 구개골 회음부. (van Valkenburgh and Jenkins, 2002).[5]
코
모스코리누스의 주둥이는 특징적으로 짧고 넓다.코의 뭉툭한 끝은 중앙선을 따라 [5][3]전두골까지 이어지는 능선을 특징으로 합니다.아래턱은 다른 [5][3]뇌수종보다 훨씬 넓다.어린 [3]시절에는 윗코가 앞니보다 조금 더 튀어나와 있다.
콧구멍은 크고 [3]코끝을 향해 위치해 있었다.
이빨.
Moschorhinus는 I6의 치과용 조제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C1.M3, 윗턱 [1]양쪽에 6개의 앞니, 1개의 송곳니, 3개의 포스트캐닌이 있습니다.
앞니는 전악실 안에 들어있다.그것들은 크고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단면이 종 모양이다.그들은 매끄러운 절단면을 가지고 있었고, 다른 신두증과는 달리 마모와 [3]마모로 인한 면이나 줄무늬가 없었다.
큰 검처럼 생긴 송곳니는 상악골 안에 있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모스코리누스의 특징입니다.그것들은 특히 두껍고 튼튼하며 단면이 독특하게 원형이다.길이로 볼 때, 이 검들은 고르곤옵시드에 버금간다.실제 현대적 유사성은 없지만, 가장 유사한 살아있는 예는 구름표범(Neofelis nebulosa)[5]일 것입니다.
다른 신두학자들처럼, 모스코리누스는 맥실라에 보관된 포스트카닌의 수가 줄어들었다.대부분의 신두증에서 익상골의 "치아" 또는 다소 이빨 같은 돌기(치)는 크게 감소하거나 누락되며, 모스코리누스에서는 없다.[3][8]
해골 지붕
두개골의 지붕을 더듬어 보면, 모스코리누스는 눈 위에 작은 전두골과 그 다음에 크고 넓어진 전두골을 가지고 있다.두정골은 두개골의 중앙선을 따라 매우 기본적인 송과공으로 이루어진 좁은 시상정맥을 [1][3]형성합니다.움푹 패인 곳은 측두엽에서 볼 수 있으며, 볏의 양쪽에 움푹 패인 곳은 [9]뇌에 공급되는 많은 혈관과 신경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아이 소켓
누골은 축소된 전전두골보다 크고 안구의 대부분을 형성합니다.누골은 궤도에 뼈 모양의 보스(둥근 손잡이)가 있고 안쪽을 향해 큰 구멍이 있습니다.안구의 아래쪽 가장자리는 주갈골과 [1]상악골을 형성합니다.주갈은 눈구멍에서 끝나며, 후기의 몇몇 [3]뇌종양처럼 볼록하지 않다.
미각
전반적으로, 입천장은 볼록하고, 넓은 삼각형 모양의 돌기, 쌍으로 이루어진 결절, 둥근 돌기가 [5][3]복부를 가리키며, 다른 아키드노그나티드와 [1]유사하다.구개골(입천장 뒷부분을 형성하는)은 특히 상악골과 결합하는 바깥쪽 가장자리가 크고 두꺼워요.안쪽 가장자리에서 구개골은 익상골과 코의 보머와 결합되어 비강 둘레의 일부를 형성합니다.구개골과 상악골 사이, 송곳니 바로 뒤에 큰 유공이 있는데, 아마도 신경을 고려한 것 같습니다.구개 중앙을 따라 비스듬히 나 있는 능선은 아마도 부드러운 입천장을 지탱했고, 이로 인해 공기가 코와 [5]폐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세이버는 입을 크게 벌려야 사용하기 때문에 먹이를 먹기가 어렵습니다.밀접한 관련이 있는 프로모쇼린쿠스는 코와 목의 경계에 단단한 주름(초아날 볏)을 보이며, 이를 열어두고 먹을 때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두개골의 2차 입천장의 발달은 신두증에서 점차적으로 진화했고, 후기의 모든 [8]신두증에서 초아날 관능이 특징입니다.
고생물학
모쇼리누스는 길고 긴 송곳니로 피부를 뚫고 몸부림치는 먹이를 붙잡을 수 있는 고양이 같은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이것은 이런 종류의 사냥 기술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튼튼하게 디자인되고, 두꺼운 코, 거대한 송곳니, 그리고 강력한 턱 근육을 감안할 때, 모스코리누스는 위압적인 [5]포식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고생태학
카루 분지에서 많은 척추동물 화석이 발견되었다.같은 암반의 다른 신두증은 테트라사이노돈과 프로모쇼린쿠스이다.[2]Moschorhinus 표본은 유일하게 큰 신두증이었다.[10][3]
모스코리누스는 페름기 대멸종 후 251mya에 동물 종의 80~95%와 함께 대량 저산소증으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보인다.[11][12][13]이것은 성장 [2]부진, 극심한 계절, 생태계의 다양성 감소, 그리고 [3]숲의 상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화석 증거는 트라이아스기 모쇼리누스가 페름기보다 더 빨리 자라면서 전자의 신체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페름기 멸종 [2][14][3]이후 가장 가혹한 환경 변화의 영향이라고 주로 믿어진다.페름기 두개골은 길이가 평균 207mm(8.1인치)인 반면 트라이아스기 두개골은 179mm(7.0인치)[2]에 불과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라이아스기 모스코리누스는 그 [2][10]시대의 가장 큰 신두증 환자였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Broom R (1920). "On Some New Therocephalian Reptiles from the Karroo Beds of South Afric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351–354.
- ^ a b c d e f g Huttenlocker AK, Botha-Brink J (2013). "Body size and growth patterns in the therocephalian Moschorhinus kitchingi (Eutheriodontia) before and after the end-Permian extinction in South Africa". Paleobiology. 39 (2): 253–77. doi:10.1666/1202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Huttenlocker, Adam (2013). The Paleobiology of South African Therocephalian Therapsids (Amniota, Synapsida) and the Effects of the End-Permian Extinction on Size, Growth, and Bone Microstructure (Ph.D). University of Washington.
- ^ Rubidge, B. S.; Sidor, C. A. (2001). "Evolutionary Patterns Among Permo-Triassic Therapsid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32: 449–480. doi:10.1146/annurev.ecolsys.32.081501.114113.
- ^ a b c d e f g h i j van Valkenburgh B, Jenkins I (2002). "EVOLUTIONARY PATTERNS IN THE HISTORY OF PERMO-TRIASSIC AND CENOZOIC SYNAPSID PREDATORS" (PDF). Paleontological Society Papers. 8: 267–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10-17.
- ^ 보타, J. &, 스미스, R.M.H.(2005년)."그Permo–Triassic 경계선에 걸쳐 카루 분지 남 아프리카 공화국에 리스트로사우루스 종구성".Lethaia.40(2):125–137. doi:10.1111/j.1502-3931.2007.00011.x."그Permo–Triassic 경계선에 걸쳐 카루 분지 남 아프리카 공화국에 리스트로사우루스 종구성"(PDF)에서 전체 온라인 버전이 온라인에서.2008-09-10에 있는 원본(PDF)에서 Archived.2008-07-02 Retrieved.
- ^ Huttenlocker Adam (2009). "An Investigation into the Cladistic Relationships and Monophyly of Therocephalian Theraspid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7 (4): 865–891. doi:10.1111/j.1096-3642.2009.00538.x.
- ^ a b Maier W, van den Heever J, Durand F (1996). "New therapsid specimens and the origin of the secondary hard and soft palate of mammals".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Research. 34: 9–19. doi:10.1111/j.1439-0469.1996.tb00805.x.
- ^ Durand J F (1991). "A revised descripction of the skull of moschorhinus (therapsida, therocephalia)". Annals of the South African Museum. 99: 381–413.
- ^ a b Christian A. Sidor; Roger M. H. Smith; Adam K. Huttenlocker; Brandon R. Peecook (2014). "New Middle Triassic Tetrapods from the Upper Fremouw Formation of Antarctica and Their Depositional Setting".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4 (4): 793–801. doi:10.1080/02724634.2014.837472.
- ^ Peter D Ward; Jennifer Botha; Roger Buik; Michiel O. De Kock; Douglas H. Erwin; Geoffrey H Garrison; Joseph L Kirschvink; Roger Smith (2005). "Abrupt and Gradual Extinction Among Late Permian Land Vertebrates in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Science. 307 (5710): 709–714. CiteSeerX 10.1.1.503.2065. doi:10.1126/science.1107068. PMID 15661973.
- ^ Botha J, Smith RM (2006). "Rapid vertebrate recuperation in the Karoo Basin of South Africa following the End-Permian extinction" (PDF). Journal of African Earth Sciences. 45 (4–5): 502–14. doi:10.1016/j.jafrearsci.2006.04.006.[데드링크]
- ^ Damiani, R.; Modesto, S.; Yates, A.; Neveling, J. (2003). "Earliest evidence of cynodont burrowing".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270 (1525): 1747–1751. doi:10.1098/rspb.2003.2427. JSTOR 3592240. PMC 1691433. PMID 12965004.
- ^ Richard J Twitchett (2007). "The Lilliput effect in the aftermath of the end-Permian extinction event" (PDF).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52 (1–2): 132–144. doi:10.1016/j.palaeo.2006.1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