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탈로
Mainalo메인탈로 | |
---|---|
미날로의 그리스 전나무 숲 | |
최고점 | |
피크 | 타조아키나 또는 리익리스 일리아스 |
표고 | 1,981m(6,499ft)[1] |
좌표 | 37°38′37″N 22°16′47″E / 37.6436°N 22.2797°E좌표: 37°38′37″N 22°16′47″E / 37.6436°N 22.2797°E |
이름 지정 |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μαααλννν(마이나론)로부터 |
네이티브 이름 | Μαίναλο (그리스어) |
지리 | |
지질학 | |
산형 | 마운트 |
등반 | |
가장 쉬운 경로 | 하이킹 |
메날로(그리스어: μαίαλοο, 고대 그리스어: μαααλς or or 또는 μαίαλνννν, 로마자: Mainalos 또는 Mainalon; 라틴어: Maenalus[2])는 펠로폰네세스의 메날론 고원 지대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그리스 아르카디아에 위치한다. 고대에 그 산은 판에게 특히 신성했다.[2]
이 산의 최고점은 1,981m(6,499ft)의 높이로,[1][3] 리니시스 일리아스와 타조키나 둘 다로 알려져 있으며,[1] 아르카디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4] 이 산의 길이는 트리폴리 남서쪽에서 비티나 북동쪽으로 15~20km(9.3~12.4mi), 지고비스티에서 카파스까지 5~10km(3.1~6.2mi)의 넓이를 가지고 있다.[4] 이 산은 2011년 3월에 226.4 평방 킬로미터(87.4 평방 미터)의 면적을 가진 나투라 2000 부지의 일부다.[5]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이 산은 아파노 크레파라고 알려져 있었다.[6]
마인날로는 고도 1600m(5,200ft)에서 발견되는 스키 리조트가 있는 곳으로, 고도 1550~1770m(5,090~5,810ft)에 있는 스키 슬로프 7개와 리프트 4개가 있다.[7][4]
지리
Mainalo의 땅은 다양한 석회질 기판들 중에서 주로 석회질로 만들어진다.[5]
Mainalo는 여러 가지 명명된 봉우리를 가지고 있다. 높이별로 나열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다음과 같다.[1][3]
- Ostrakina (Greek: Οστρακίνα) or Profitis Ilias (Greek: Προφήτης Ηλιας) at 1,981 metres (6,499 ft)
- 파테르리차(그리스어: πατρρίίτ:α)는 1,875m(6,152ft)에서
- 1849m(6,066ft)에서 아이다이니(그리스어:ααΔδίηηη)
- 마브리 코리피(그리스어: μαύηηηη ηηη)ή))는 1,818m(5,965ft)에 위치한다.
- 1794m(5,886ft)에서 모우치아(그리스어: μ μρρτζάάάά)
- 메소부니(그리스어: μεοοβούιιιι))는 1,730m(5,680ft)에서
- 크레바티아(그리스어: κκρββάτα)는 1,563m(5,128ft)이다.
- 에파노 체레파(그리스어: επάωωωωωωωααα)는 1,559m(5,115ft)에 이른다.
- Lioritsi(그리스어: λιοιίιιι)는 1,155m(3,789ft)에서 태어났다.
- 스테나(그리스어: σ ft ft atα)는 1,071m(3,514ft)이다.
생태학
그 산에는 그리스 전나무와 크림 소나무의 많은 숲이 있다. 나투라 2000은 이러한 숲을 "펠로폰니소스에서 [그리스 전나무와 크림 소나무] 최고의 대표작"[5]으로 꼽고 있다.
Mainalo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몇 가지 생태 환경을 가지고 있다.[5]
- 지중해 형광 성분은 산의 8.96 평방 킬로미터(3.46 평방 미)에 이르며, 이 환경은 지중해와 형광 주니퍼 아래에 묶인 지하의 경작성 상록수 관목으로 이루어져 있다.[8]:59
- 산 5.57 평방 킬로미터(2.15 평방 미)에 이르는 고레와 함께 있는 토착적인 오로-메이드리히스, 이 환경은 건조한 산악 환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중해 히스는 보통 제니스타가 지배하는 반면, 아칸톨리몬, 아스트라가랄루스, 에리나케아, 부플루룸, 프틸로트리쿰, 에치노스파르툼, 안틸리스와 같은 다양한 다른, 종종 스팽글한 관목을 포함하고 있다. 이 환경은 또한 다양한 아스테라과와 라미아과가 포함된다.[8]:53
- 산 0.22 평방 킬로미터(0.085평방 미)를 덮고 있는 초식성 식물들이 있는 석회암 바위 비탈진 이 환경은 석회암 절벽과 비취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태적 다양성이 매우 뛰어나며, 바위 내 균열에서 많은 고유 식물들이 자라고 있다.[8]:96
많은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 곤충, 그리고 야행성 포식 조류들이 Mainalo에 서식한다. 여기에는 그 밖의 사항이 포함된다.[5]
- 발칸 회초리뱀, 마르게 된 거북이, 코츠키의 도마뱀, 그리스의 암석 도마뱀, 펠로폰네스의 벽도마뱀, 유럽의 구리 스링크, 뿔 달린 독사 등의 파충류들이 있다.
- 유럽산토끼, 비치마텐, 유럽산 오소리, 작은 마디박쥐, 먹을 수 있는 기숙사쥐, 토마스의 솔방울, 그리고 서쪽의 넓은 발가락의 들쥐와 같은 포유류들.
- 유럽 녹색 두꺼비, 유럽 나무 개구리, 시리아의 삽발과 같은 양서류.
- 북고시호크, 유라시아 참새호크, 공동 버자드, 공통 케스트렐, 송골매와 같은 새.
- 크레타니아 세피루스 나비, 페르시아의 선장 나비, 동쪽 오렌지색 끝 나비, 그리고 작은 흰 나비 같은 곤충들.
저명인사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마날로 정상 부근에 서 있었을지도 모르는 고대 도시 마날루스와 연관되어 있었다.[2][9]
- 기원전 420년과 416년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판크라티스트 마에날루스의 안드로스테네스.[10][11]:27[12]:10
- 기원전 384년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복서 마에날루스의 다목세니다.[10][11]:159[13]:246
- 기원전 464년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판크라티스트 마에날루스의 에포션.[12]:60
- 기원전 400년과 392년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소년과 성인 레슬링 선수 마에날루스의 에우티메네스.[10][12]:66
- 고대 올림픽 우승자와 그리스 신화적 인물들의 동상을 만든 조각가 마에날루스의 니코다무스.
- 겔로 섬김에 부자가 된 저명한 투사 마에날루스의 포미스.[10]
- 기원전 372년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남자 레슬링 선수 메날루스의 제노클레스.[10][12]:177
참조
- ^ a b c d Μαίναλο - Γράφημα των κορυφών του Μαίναλου [Mainalo - Graph of the peaks of Mainalo]. Oreivatein (in Greek). Retrieved 17 October 2018.
- ^ a b c
Smith, William, ed. (1857). "Maenalus".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Vol. 2. London: John Murray. pp. 243–244.
- ^ a b Στην κορυφή Τζελάτη του Μαινάλου [At the Tzelati peak of Mainalo]. hikingexperience.gr (in Greek). 15 October 2011. Retrieved 22 February 2018.
- ^ a b c "Mainalo". Peloponnese Travel Guide in Greece - Peloponnese.e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October 2018. Retrieved 20 December 2017.
- ^ a b c d e "N2K GR2520001 dataforms". Natura 2000. Retrieved 20 December 2017.
- ^ Orr, James (1915). "Greece; Graecia".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 II. Chicago: Howard-Severance Co. p. 1296 – via Archive.org.
- ^ "Ostrakina Ski Center - Mainalon". Greek Travel Pages. Retrieved 26 May 2018.
- ^ a b c Interpretation Manual of European Union Habitats (PDF). EUR 28. European Commission, DG-ENV. April 2013.
- ^ Leake, William Martin (1846). "Gates of Helos". Peloponnesiaca: a Supplement to Travels on the Moréa. London: J. Rodwell. pp. 241–243 – via Internet Archive.
- ^ a b c d e Leake, William Martin (1846). "Olympia". Peloponnesiaca: a Supplement to Travels on the Moréa. London: J. Rodwell. pp. 59–65 – via Internet Archive.
- ^ a b Matz, David (1991). Greek and Roman sport: a dictionary of athletes and events from the eighth century B.C. to the third century A.D.. United States: McFarland & Company Incorporated Pub. ISBN 9780899505589. OCLC 925131929.
- ^ a b c d Golden, Mark (2004). Sport in the Ancient World from A to Z. United States: Routledge. ISBN 9781134535965 – via Archive.org.
- ^ Durántez Corral, Conrado (2010). El significado de la victoria en los juegos de Olimpia - Los vencedores Olimpicos [The significance of victory in the games of Olympia - The Olympic victors] (PDF) (in Spanish). León: University of León.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메인탈로 관련 매체
- 마인날로 스키 센터 (그리스어로)
- 메인탈로의 예측
- 파트라스 대학교의 메날로 및 메날론 고원에 관한 기사 (그리스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