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테테즈 투 지니코

Logothetes tou genikou

The logothetes tou genikou (Greek: λογοθέτης τοῦ γενικοῦ, often called genikos logothetes or simply ho genikos (ὁ γενικός [λογοθέτης], 'the general [logothete]'), and usually rendered in English as the General Logothete, was in charge of the 'general financial ministry', the genikon logothesion of the middle Byzantine Empire.[1]

이력 및 기능

프로에드로스제니코스로고테스의 국장 바실 제로스(11세기/12세기)

제너리콘일반 세금과 세입에 대한 책임을 지며,[1] 금융 사건의 재판소 역할도 했다.이와 같이, 주로 [2]근위부의 「총괄부」에서 유래하고 있지만, 초기의 사크래 종족의 임무를 대체로 완수했다.최초의 로고테테 투 지니쿠 승려 테오도토스는 692년에 언급되었지만, 그 직책은 [3][1]626년에 설립되었을지도 모른다.제니콘과 그 로고테의 사무국은 전체 비잔틴 시대(7-12세기) 동안 주요 부처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콤네니아 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떨어졌지만 엔젤로이 시대에 회복되었다.1204년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고 비잔틴 제국이 해체된 후, 로고테테스지니쿠의 직위는 1261년 [1]이후 니케아와 복원된 팔라이올로고 제국에 의해 순수한 명예 직함으로 유지되었다.

14세기 중반의 작가 사이비-코디노스는 황실의 파라코이모메노와 원시인 사이의 [4]황실 서열 20위에 그를 기록하고 있다.이때 그의 독특한 궁중복장과 휘장은 하얀 비단으로 된 스키아디온이라는 챙이 달린 모자, 긴 카프탄 같은 카바디온, 그리고 의식과 축제에는 흰색과 금색 비단으로 된 돔 모양의 스카라니콘 모자, 금색 철사로 된 자수와 앞뒤에 황제의 모습이 장식되어 있었다.다른 관리들과 달리 그는 사무직원이 없었다.[5]팔라이올로기 시대의 소유자들 중에는 조지 아크로폴리테스와 테오도르 메토키테스와 같은 중요한 지식인들과 정치인들이 있었다.마지막으로 기록된 로고테[1]1380년에 존 앤드루스가 있었다.그러나 그 무렵에는 본래의 기능은 잊혀진 지 오래였고, 유사 코디노스의 기록에 따르면 로고테 장군의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6]

하급 관리

Logothet's tou genikou의 부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서의 [7]수장인 Chartoularioi megaloi tou sekreto.
  • The chartoularioi ton arklon (χαρτουλάριοι τῶν ἀρκλῶν, where ἀρκλα means '[money] box"' i.e. 'treasury') or exo chartoularioi (ἔξω χαρτουλάριοι, 'outer chartularies').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지방(즉,[7][8] 콘스탄티노플 외곽)에 있는 고위 재무 관리들이었다.
  • The epoptai of the themata (ἐπόπται τῶν θεμάτων), who were the officials charged with control of taxation in the provinces.[7]
  • 코메테스 하이드톤(κμμμμαδδδδδ, '물의 수')은 아마도 [7][9]지방의 수도와 급수를 담당하는 관리들일 것이다.
  • The chartoularios tou oikistikou (χαρτουλάριος τοῦ οἰκιστικοῦ) or simply ho oikistikos, whose precise functions are unknown.11세기에는 비과세 업무를 담당하여 여러 가지 법무를 수행하였음을 증명하고 있으며, 이 직책은 황실(오이코이)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세기에 이르러 사무국은 독립국이 되었지만,[10][11] 그 후 사라졌습니다.
  • 세관원이었던 코메르키아리오이(κμμμμμμμμααομαομααομα)6세기 초부터 증명된 이들은 Notitia Dignitatum에 언급된 commercialciorum의 후계자들일 가능성이 높다.처음에는 국경지대에 주둔했지만, 7세기 이후에는 항구에 배치되거나 테마타 전체 또는 개별 [10][12]섬에 배치되었습니다.
  • 바실리코이 오이코이(iik estatesπ)는 황실을 [13]관장하는 후예이다.
  • Komes tes lamias (όμμα μμα ),)는 아마도 광산금괴를 담당하는 관리일 것이다.라틴어: lamina/lamna, '금, 귀금속'그러므로 보통 일리리쿰의 옛 메탈로럼의 후계자라고 추측된다.11세기까지 이 관직은 때때로 에피톤 오이케이아콘(고위 신하 계급인 오이케이아코이 담당)과 지니콘[14][15]샤툴라리오이 메가로이 중 하나의 직책과 결합되었다.
  • 세금 징수를 감독하는 관리인 디오이케타이(Dioiketai)는 다수의 프락토레('대리인')[14]의 도움을 받았다.
  • 기능 [16]불명의 관리인 kom[v]entianos(β]α)
  • 프로토킨켈라리오 하의 칸켈라리오이( (αγκλ from from from, 라틴어: cancellarius).원래는 근위부 고위 관리로, 비잔틴 중기에는 각 [17][18]부처의 중간 서기관이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ODB, "Genikon"(A. Kazhdan), 페이지 829-830.
  2. ^ 2005년, 페이지 305
  3. ^ 1911년, 페이지 86-87
  4. ^ Verpeaux 1966, 137페이지
  5. ^ Verpeaux 1966, 페이지 156-157.
  6. ^ Verpeau 1966, 페이지 176
  7. ^ a b c d 1911년 매장, 87페이지
  8. ^ ODB, "Arkla"(A. Kazhdan), 페이지 174.
  9. ^ ODB, "Komes hydaton"(A. Kazhdan), 페이지 1139.
  10. ^ a b 1911년 매장, 페이지 88
  11. ^ ODB, "Oikisticos"(A. Kazhdan), 페이지 1516.
  12. ^ ODB, "Kommerkiarios"(A. 카즈단, N. 오이코노미데스), 페이지 1141.
  13. ^ 1911년, 페이지 88-89
  14. ^ a b 1911년 매장 89쪽
  15. ^ ODB, "Komes tes lamias"(A. Kazhdan), 페이지 1139.
  16. ^ 1911년, 89-90페이지
  17. ^ 1911년 매장, 90페이지
  18. ^ ODB, "칸켈라리오스"(A. Kazhdan), 페이지 1101.

원천

  • Bury, J. B. (1911). The Imperial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Ninth Century – With a Revised Text of the Kletorologion of Philotheo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OCLC 1046639111 – via Archive.org.
  • Guilland, Rodolphe (1971). "Les Logothètes: Etudes sur l'histoire administrative de l'Empire byzantin" [The Logothetes: Studies on the Administrativ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Revue des études byzantines (in French). 29: 5–115. doi:10.3406/rebyz.1971.1441.
  • Kazhdan, Alexander, ed.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4652-8.
  • Louth, Andrew (2005). Fouracre, Paul (ed.).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1, c.500–c.7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053938.
  • Verpeaux, Jean, ed. (1966). Pseudo-Kodinos, Traité des Offices. Paris: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