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아나과

Lilianae

릴리아나에(Liliiflorae라고도 한다)는 이 피는 식물초순(순서보다 높은 계급)을 가리키는 식물 이름이다. 이러한 필요성의 초순에는 류리아과(그리고 대개 릴리알레스과)가 포함된다. 접미사 -anae가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슈퍼오더 순위의 종료는 조류, 곰팡이, 식물에 대한 국제 명명법(ICN)에 의해 표준화되지 않는다.[1][a]

1966년 슈퍼오더 명칭으로 소개된 릴리아나에는 1825년 주문의 명칭으로 소개된 오래된 용어 릴리플로레(Liliiflorae)가 점차 대체되었다.

분류학

역사

초기 역사 - 릴리플로라과

릴리플로레는 1825년아돌프 아가르드가 릴리과(Coronariae)와 관련 가족을 포함하기 위한 상위 명령으로 도입한 용어였다.[5][6] 아르가드는 드 칸돌레와 함께 순서가 정해진 식물 서열 개념을 발전시켰고, 이 경우주수외(1789)는 최근 제네라(가족)[8] 컬렉션을 더 높은 순서의 그룹화(순서)로 정의했다.[7][b] 그러나 당시 현재 가족으로 알려진 것을 오르도라는 용어로 지칭하였고, 아르가드의 명명법에서는 이들을 계급으로 분류하였다.[10][11]

반면 드 쥐 시외 형식을 가족이나 ordo 1위를 차지, 릴리 함께 Classis의 타이프 패밀리 프랑스어로 Liliacées라고 불리는 일곱개의 다른 ordines, 스태미나 Perigyna은 Monocotyledones(외떡잎 식물)[12]드 캉돌, 그들의 유관 속 앙(으로부터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 도관 식물(Vasculares)내에 속하는 것을 고려했다.dogè네스, 내생성(nes, endogenous))은 그가 모노코틸레도네스보다 선호했던 용어였다. 그래서 쥬시외는 모노코티리돈은 "보이는 씨앗"이라는 뜻의 파네로게메스가 되었고, 따라서 엔데로게메스 파네로메슈가 되었다. 드 칸돌의 파네로게메스는 따라서 22개의 파밀을 포함했다.[13] 이와는 대조적으로, 아르가드의 좀 더 구체적인 분류군인 클라리스 릴리플로레는 단지 10개 종만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더 큰 분류군인 크립토타일도네아(즉, 엔도게네스) 안에 릴리플로레를 배치하였다.

릴리플라과와 관련 가족을 그룹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른 용어가 연속적으로 사용되었는데, 릴리알레스(린들리, 1853[14]), 코로나리아에(벤담과 후커, 1883[15]), 릴리네스(반 티에그헴, 1891[16]), 엥글러(1892[17])가 릴리플로라를 레이헤(주문)로 재입문할 때까지도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분류는 Wettstein(1901–1908[18])과 Lotsy(1907–1911[19])에 의해 계속되었다. 핼리어(1912년[22])가 릴리플로레를 선호하긴 했지만 워밍업(1912년[20])과 베시[21](1915년) 등 다수의 다른 저자들이 릴리알레스를 선호했다. 이것들은 모두 본질적으로 명령이었고,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단조로운 가족 집단이었다. 칼레스타니(1933년[23])는 리란타를 구성하는 세 개의 시리즈 중 하나에 릴리과와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시리즈를 만들었고, 허친슨(1934년, 1959년[24][25])은 이들 사단을 불러 릴리알레스와 분단 코롤리페레를 순서에 배치했다. 1956년 [26]기무라씨는 여러 겹의 계략으로 릴리플로레스의 일부로서 릴리플로레스의 주문에 릴리플로레스를 넣었는데, 유사하게 엠베르거(1960[27])의 릴리플로레스의 일부로서 멜치오르[28](1964)가 릴리플로레를 질서의 반열에 올려놓긴 했지만 말이다. 이러한 분류들 중 극히 소수만이 특성들 간의 연결에 대한 매우 다른 개념에 기초하여 명명된 것 외에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29]

슈퍼오더 릴리아나에

1960년대 후반에는 이 집단의 분류학 처리에 현저한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세기의 가장 좋은 부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주로 슈퍼오더 개념을 사용한 네 가지 시스템이 발표되었다. 이것들은 아르메니아 탁타잔(1910–2009), 아서 크론퀴스트(1919–1992), 로버트 쏜(1920–2015), 롤프 달그렌(1932–1987)의 시스템이었다. 1964년 자빈코바는 슈퍼오더가 접미사 -anae로 끝나는 순서보다 높은 세자의 이름을 붙이는 공식 규칙을 제안했다.[30] Taxon Takhtajan의 같은 호에서, 다음과 같이 일관성 있는 계층적 상위 분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규칙을 활용했다.[31]

세르미시오 매그놀리아과 (안기오스페르마에)

이것은 그에 의해 릴리아나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이었지만, 그가 꽃식물 분류에 관한 공식 모노그래프(러시아어로 영어 번역 가능 1969년)를 출간할 때까지 정식으로 기술되지 않았고, 따라서 (수퍼로드 11월)에 귀속되었다.[33][34] 그는 릴리아나를 릴리포레와 동의어로 여겼다.[35] 동시에 긴밀하게 협력했던 크론퀴스트와 타크타잔이 공동으로 초특급 세자의 명칭과 분류를 위한 공식 제안을 영어로 공동 발표하였다. [36][d]

1964년부터는 사소한 세부사항으로만 차이가 난 시스템에서 그는 릴리아테(즉, 모노코티틸도네)의 4개 중 하나인 하위급 릴리과(Liliatae)의 슈퍼오더로 준카네와 함께 릴리아네를 배치했다.[38][39][33]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성이 바뀌었지만, 타크타잔은 2009년 자신의 마지막 작품을 통해 기본적인 구조를 이어갔는데, 이 작품은 릴리아네가 릴리대의 4대 슈퍼오더 중 하나이다.[40] 크론퀴스트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시스템을 개발하여 1968년(개정 1988년)에 처음으로 하위 클래스에 근거한 전체 분류를 생산했지만 슈퍼오더에 근거하지는 않았다. 이로써 릴리알레스와 오키달레스의 두 주문을 하위급 릴리과에 넣었고, 릴리아네를 포함하지 않았다.[41]

대조적으로 1968년에 그의 시스템을 생산한 Thorne은 단색체들 중에서 5개의 슈퍼오더를 만들었지만,[42] 릴리플로레라는 오래된 이름으로 릴리아네에 해당하는 슈퍼오더를 단 하나의 오더인 릴리알레스라고 불렀다. 쏘른은 자신의 원래 계획에 많은 수정을 가했으나 1992년 동시대인(탁타잔, 크론퀴스트, 달그렌족)의 관행을 따르고 (접미사가 혈관신생에만 적용되었기 때문에) 릴리플로레의 사용을 포기하고 릴리아나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이 버전에서 릴리아나에는 하위 등급 릴리과(단원형) 내의 9개의 슈퍼오더 중 하나였으며 릴리알레스, 부르마니알레스, 아스파라갈레스, 디오스코레알레스, 오키달레스 등 5개의 오더가 포함되어 있었다.[43] 휴버가 1969년 릴리플로레(Liliiflorae)의 종자 외투 특성에 대한 연구와 이것들을 다른 증거와 통합한 결과 이 집단에 대해 급진적으로 참신한 분류법이 나왔다.[44][45] 가족에 대한 그의 훨씬 더 좁은 개념은 현대 가족 구조를 향한 중요한 발판이었다.[29]

후버의 구조에 관한 개념을 따랐던 롤프 달그렌은 탁타잔이 1977년 분류에서[47] 릴리아나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그의 동시대인들 중 다수가 더 나이든 릴리플로레를 계속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라왔다.[46][48] 클리포드는 당시 타크타잔과 크론퀴스트 제도를 비교해서 제공한다.[49] 이후 1980년[50] 달그렌은 다시 릴리플로라에로 되돌아가 이것이 크론퀴스트(1968년)[41][e]와 탁타잔(1969년)보다 우선했기 때문에 로버트 쏜(1968년, 1976년)[42][51]의 예를 따르고 있다고 설명했다.[35][f] 이후 단색형에 관한 그의 저서에서는 오직 릴리플로레만이 사용되었다.[54][55] 1987년 롤프 달그렌이 사망한 후 그의 아내 게르트루드 달그렌은 그들의 작업을 계속했고 1989년 릴리아나에로 되돌아간 추가 개정판을 출간했다.[56]

현대식 시스템의 기초가 된 달그렌의 마지막 작품(1985)은 릴리플로래를 단색형 안에 10개의 슈퍼오더 중 하나로 배치했고, 5개의 오더가 들어 있었다.[55]

1989년 거트루드 달그렌과 함께 오키드알레스를 릴리알레스에서 분리했다.[56]

Thorne은 그의 계획의 연속적인 버전을 발표했지만 1992년 개정의 두 번째에서 그는 또한 Chronquist가 그 용어를 사용했다고 잘못 믿고 있는 Dahlgren과 같이 수퍼 오더에 -florae over -florae라는 접미사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돌아갔다(위의 참고 참조).[53] Dahlgren 외 연구진(1985)[55]의 뒤를 이어 꽃식물에 관한 다음 주요 단음계(1985)는 KubitzkiHuber's The family and genera (1998년)인데, 이것 역시 릴라나에를 초주문으로 사용했다.[g][60][61][62] 이 시스템들은 보통 릴리아나에를 릴리옵시다의 하위 등급인 릴리야과 안에 배치한다.

슈퍼오더 릴리아나에(Liliiflorae)를 인식하는 이러한 식물 분류 체계 외에도 공개 시스템안기오스페름필로제 그룹(APG)이 있다. 후자의 시스템에서는 릴리아네를 비공식적인 미순위의 쇄골모노코트(clade monocots라고도 한다.[34]

필로제니

Cladogram : "Lilioids"로 간주되는 주문을 보여주는 릴리아네 주문의 Phylogeny.
릴리아나과

아코랄레스

알리스마타목

페트로사비알목

디오스코레아목

판다나목

릴리알레스목

아스파라갈목

동족류

다시포고나과

아레칼레스

포아레스

징기베르목

콤멜리날목

1. 분자 계통증거에 근거하여 관계를 반영하는 계통생식나무.[34]

2. 다시포고나과(Dasypogonae)는 배치되지 않은 콤멜린 계열을 나타내며, 이에 대해 다시포고날레스(Dasypogonales)의 주문이 제시되었다.[34]
3. "Lilioids": 릴리오이드 모노코츠.

참고 항목

메모들

  1. ^ 공식 명칭인 ICN은 아니지만, 슈퍼오더에 대한 접미사 -anae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2] ICN 코드 제16조에 따르면 릴리아네는 "자동으로 타이핑된 이름"[4]으로 자격을 부여한다.[3]
  2. ^ 따라서 모든 초자연적 명칭은 ICN 제13조에 의거한 1789년 8월 4일자 본 간행물에서 유래되었다.[9]
  3. ^ 준캐나는 이후 릴리아나에 포함되었고, 따라서 동의어로 나열된다.
  4. ^ 크론퀴스트의 초기 작품은 계급 이하의 계급은 고려하지 않았다.
  5. ^ Dahlgren은 이것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 크론퀴스트는 슈퍼오더 개념을 결코 받아들이지 않았고, 예를 들어 다수의 후속 소스에서 반복된 오류인 [4][52]릴리플로레나 릴리아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쏘른 1992년[53]
  6. ^ 아마도 1980년에 달그렌은 1966년부터의 탁타잔의 러시아어 원작을 모르고 있었으며, 탁타잔의 선례를 세운 1969년 영어 번역만을 인용했을 것이다.
  7. ^ Dahlgren은 그가 때아닌 죽음을 맞이하기 전에 단색형에 관한 부분을 편집하도록 임명되었다.

참조

  1. ^ Discovery & Bedell 1983.
  2. ^ 호크워스 2010, 페이지 27.
  3. ^ ICN 2011, 제16조 가족계급 이상 세자의 이름.
  4. ^ a b 2008년 공개.
  5. ^ 아가르드 1825, XI. 릴리플로레 페이지 8.
  6. ^ 더모티어 1864, 페이지 171.
  7. ^ 캔돌레 1813, 페이지 219 "에스키스. "D'une Séri Linéaire et par consecent artificielle, la deposition des familles du régne végetal"
  8. ^ 쥬시외 1789.
  9. ^ ICN 2011, 제13조 우선순위 원칙 제한
  10. ^ ICN 2011, 18.2 가족, 하위 가족, 부족하위 계층의 이름.
  11. ^ 1813년 칸돌레, 데스파밀레스 등 데스트리부스 192~195쪽.
  12. ^ 쥬시외 1789, 릴리아 페이지 48-49.
  13. ^ 케르너마릴라은 1890-1891.
  14. ^ 린들리 1853년
  15. ^ 벤담 후커 1862–1883.
  16. ^ 반 타이그헴 1891.
  17. ^ 엥글러 1892년
  18. ^ 웨트슈타인 1901–1908.
  19. ^ 롯시 1907-1911.
  20. ^ 1912년.
  21. ^ 베시 1915.
  22. ^ 할리에 1912.
  23. ^ 칼레스타니 1933.
  24. ^ 허친슨 1934.
  25. ^ 허친슨 1959.
  26. ^ 키무라 1956.
  27. ^ Chaudefaud & Emberger 1960, vol. ii Les végetto vasculars.
  28. ^ Melchior & Werdermann 1964, II: 안지오스페르멘..
  29. ^ a b Dahlgren & Clifford 1982년, 단색형식의 이전 분류의 일부 특징 2-17페이지.
  30. ^ 자빈코바 1964년
  31. ^ 타크타잔 1964년
  32. ^ 2012년 공개.
  33. ^ a b MBG 2015, 릴리아나에 타크트..
  34. ^ a b c d 체이스 & 공개 2009.
  35. ^ a b 타크타잔 1966.
  36. ^ 크론퀴스트, 타크타잔 & 짐머만 1966.
  37. ^ 크론퀴스트 1960.
  38. ^ 싱 2004년.
  39. ^ Naikh 1984, 111페이지의 다위니아 후 분류 체계.
  40. ^ Takhtajan 2009, Lilianae 페이지 626.
  41. ^ a b 크론퀴스트 1968년
  42. ^ a b 쏘른 1968년
  43. ^ Thorne 1992b, 페이지 241.
  44. ^ 휴버 1969.
  45. ^ 쿠비츠키, 루달 & 체이스 1998, 단조로운 분류의 짧은 역사 페이지 23.
  46. ^ 2002년.
  47. ^ Dahlgren 1977, Lilianae 페이지 278.
  48. ^ 쿠비츠키 1977.
  49. ^ 클리포드 1977 페이지 91.
  50. ^ 달그렌 1980.
  51. ^ 쏘른 1976년
  52. ^ 푸자 2004, 페이지 117.
  53. ^ a b 쏘른 1992b.
  54. ^ Dahlgren & Clifford 1982.
  55. ^ a b c Dahlgren, Clifford & Yeo 1985.
  56. ^ a b Dahlgren 1989.
  57. ^ 소른 1977.
  58. ^ 소른 1983년
  59. ^ 쏘른 1992a.
  60. ^ 쿠비츠키 & 휴버 1998.
  61. ^ 체이스1995.
  62. ^ 다무라 1998.

참고 문헌 목록

책과 심포비아

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