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로지
Journalology저널리즘(출판과학이라고도 한다)은 학술 출판 과정의 모든 측면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1][2] 그 분야는 학술 출판에서 증거 기반 관행을 실시함으로써 학술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려 한다.[3] 저널로지라는 용어는 BMJ의 전 편집장 스티븐 록이 만든 것이다. 1989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제1차 피어리뷰대회는 뚜렷한 분야로 저널리즘이 창간되는 중추적인 순간으로 꼽힌다.[3] 저널리즘 분야는 과학, 특히 임상시험에서의 연구 사전등록을 추진하는 데 영향력이 있었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임상시험 등록이 예상된다.[3] 저널리즘 연구자들은 또한 동료 검토 과정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한다.
역사
최초의 과학 학술지는 17세기에 창간되었다. 대부분의 초기 저널들이 동료 검토를 사용했지만, 동료 리뷰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의학 저널에서 일반적인 관행이 되지 않았다.[4] 학술적 출판 과정(동료 검토 포함)은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발생하지 않았으며, 여전히 통일된 표준의 결여, 타당성(근거가 확실하고 효율적)과 [5]같은 신뢰성(일관성과 신뢰성의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6][7] 학술 출판 관행을 개혁하려는 시도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서기 시작했다.[8] 저널리즘 분야는 1989년에 정식으로 설립되었다.[3]
참고 항목
참조
- ^ Galipeau, James; Moher, David; Campbell, Craig; Hendry, Paul; Cameron, D. William; Palepu, Anita; Hébert, Paul C. (March 2015). "A systematic review highlights a knowledge gap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health-related training programs in journalolog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8 (3): 257–265. doi:10.1016/j.jclinepi.2014.09.024. PMID 25510373.
- ^ Wilson, Mitch; Moher, David (March 2019). "The Changing Landscape of Journalology in Medicine". Seminars in Nuclear Medicine. 49 (2): 105–114. doi:10.1053/j.semnuclmed.2018.11.009. hdl:10393/38493. PMID 30819390.
- ^ a b c d Couzin-Frankel, Jennifer (18 September 2018). "'Journalologists' use scientific methods to study academic publishing. Is their work improving science?". Science. Retrieved 4 May 2019.
- ^ Burnham, John C. (1990-03-09). "The Evolution of Editorial Peer Review".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3 (10): 1323. doi:10.1001/jama.1990.03440100023003. ISSN 0098-7484.
- ^ 미국 영어사전 제5판 보스턴: Houghton Mifflin Harcourt, 2020년. https://ahdictionary.com/word/search.html?q=reliable ("기존, 조정 1. 신뢰할 수 있는 ... 2. 동일하거나 양립 가능한 결과를 다른 임상 실험이나 통계 실험에서 산출")
- ^ Oxford English Dictionary (OED Online) (2nd ed.).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validity, n. ... 2. The quality of being well-founded on fact, or established on sound principles, and thoroughly applicable to the case or circumstances; soundness and strength (of argument, proof, authority, etc.) ... 4. Value or worth; efficacy. Merging into sense 2, from which in some instances it is hardly distinguishable.
- ^ Nederhof, A.J. (1988),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valuation of Scholarly Performance", Handbook of Quantitative Stud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Elsevier, pp. 193–228, doi:10.1016/b978-0-444-70537-2.50012-x, ISBN 978-0-444-70537-2, retrieved 15 September 2020
- ^ Smith, J (3 October 1990). "Journalology--or what editors do". BMJ : British Medical Journal. 301 (6754): 756–759. doi:10.1136/bmj.301.6754.756. ISSN 0959-8138. PMC 1664073. PMID 2224255.
추가 읽기
- Butcher, Nancy J.; Tricco, Andrea C.; Offringa, Martin; Moher, David; Galica, Jacqueline (2020). "Training researchers in publication science: why, what, and how".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17: 165–167. doi:10.1016/j.jclinepi.2019.08.007.
- Makel, Matthew C. (2014). "The empirical march: Making science better at self-correction".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8 (1): 2–7. doi:10.1037/a0035803. ISSN 1931-390X.
- Smith, J. (1990-10-03). "Journalology--or what editors do". BMJ. 301 (6754): 756–759. doi:10.1136/bmj.301.6754.756. ISSN 0959-8138. PMC 1664073. PMID 2224255.
외부 링크
저널스